KR20180115670A - 음성 전달 특징부를 갖는 호흡기 마스크 - Google Patents

음성 전달 특징부를 갖는 호흡기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670A
KR20180115670A KR1020187014231A KR20187014231A KR20180115670A KR 20180115670 A KR20180115670 A KR 20180115670A KR 1020187014231 A KR1020187014231 A KR 1020187014231A KR 20187014231 A KR20187014231 A KR 20187014231A KR 20180115670 A KR20180115670 A KR 20180115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mask
voice transfer
us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린 카일 톰슨
아미 엘리자베스 콰이어링
에드워드 파워스 시몬즈
그레이엄 피터 윌슨
칼 에스코트 터커
Original Assignee
스코트 테크놀로지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코트 테크놀로지즈, 인크. filed Critical 스코트 테크놀로지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80115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3/00Diaphragms; Bellows; Bellows pistons
    • F16J3/02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3Transducers incorporated in garment, rucksack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Abstract

호흡기 마스크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본체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플레넘을 한정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호흡기 마스크는 또한 본체 내에서 본체와 인접하며 음성 전달 멤브레인을 갖는 음성 전달 특징부를 포함하고, 음성 전달 멤브레인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음파에 응답하여 진동하도록 구성되어, 음성 전달 멤브레인은 음파를 본체의 플레넘으로부터 사용자의 주위 환경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음성 전달 특징부는, 사용자가 말하고 있는 것을 다른 사람들이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스피치의 명료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이는, 호흡기 마스크의 사용이 요구되는 긴급 응답 상황들에서 안전 및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전달 특징부를 갖는 호흡기 마스크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또는 예시된 주제는 일반적으로 호흡 보호를 위한 호흡기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호흡기 마스크는, 개인이 가스, 증기, 에어로졸(예를 들어, 먼지, 안개 및/또는 생물학적 작용제)과 같은 위험한 물질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사용된다. 호흡기 마스크는 더 저렴한 일회용 마스크부터, 교체가능한 여과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더 비싸고 재사용가능한 마스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유형 및 크기를 나타낸다. 하프 마스크 호흡기와 같은 일부 호흡기 마스크는 사용자의 입 및 코를 커버하지만 사용자의 눈을 커버하지는 않는 한편, 전면 마스크 호흡기와 같은 다른 호흡기 마스크는 사용자의 입 및 코에 추가로 사용자의 눈을 커버한다.
공지된 호흡기 마스크는 착용자의 스피치를 이해할 수 없게 하는 경향이 있어서 사용자 간의 소통을 어렵게 만든다. 예를 들어, 호흡기 마스크가 사용자의 입을 커버하기 때문에, 호흡기 마스크의 본체는 사용자의 입으로부터의 음파의 자유로운 이동을 방해하여 스피치 명료성을 손상시킨다. 이러한 스피치 명료성은, 호흡기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다른 사람에게 말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고/있거나 호흡기 마스크를 착용한 두 명의 사용자가 서로 말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일부 환경에서, 사용자는 스피치 명료성 때문에 호흡기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의 호흡기계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리하게는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를 포함하는 호흡기 마스크를 제공한다. 호흡기 마스크는 호흡 보호를 제공하는 한편, 사용자로부터 이해가능한 스피치의 전달을 또한 허용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호흡기 마스크는, 마스크의 내부 공간을 한정하고 제1 표면 및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2 표면을 포함하는 본체 - 제1 표면은 내부 공간을 한정함 -, 및 본체에 인접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를 포함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는 멤브레인이고, 멤브레인은 제1 표면, 제2 표면, 및 멤브레인 제1 표면과 멤브레인 제2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두께를 갖고, 본체는 멤브레인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제2 두께를 갖고, 제2 두께는 본체 제1 표면과 본체 제2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1 두께는 제2 두께보다 작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멤브레인 제1 표면은 본체 제1 표면과 인접하고, 멤브레인 제2 표면은 본체 제2 표면과 인접하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멤브레인은 주연부를 갖고, 본체는 멤브레인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더 포함하고,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제2 두께를 갖는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는 본체와 단일의 통합 구성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본체는 상부 세그먼트 및 하부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고, 하부 세그먼트는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를 포함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상부 세그먼트는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하부 세그먼트는 사용자의 입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형태의 다른 양태에서, 상부 세그먼트는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하부 세그먼트는 사용자의 입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음성 전달 멤브레인 및 본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는 멤브레인 및 멤브레인에 결합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본체에 결합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프레임은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본체는 본체 제1 표면과 본체 제2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개구를 더 포함하고, 개구는 프레임을 수용 및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형태의 다른 양태에서, 프레임은 본체에 고정식으로 결합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멤브레인은 주연부를 갖고, 프레임은 멤브레인의 주연부에 결합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는 멤브레인 및 본체와 단일의 통합 구성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멤브레인의 주연부에 결합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호흡기 마스크는, 마스크의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본체 - 본체는 내부 표면, 내부 표면에 대향하는 외부 표면 및 본체 내부 표면으로부터 본체 외부 표면으로 연장되는 제1 두께를 포함하고, 내부 표면은 내부 공간을 한정함 -; 및 본체와 인접하는 본체의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를 포함하고,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는 멤브레인 - 멤브레인은 주연부, 내부 표면, 외부 표면 및 멤브레인 내부 표면으로부터 멤브레인 외부 표면으로 연장되는 제2 두께를 갖고, 제1 두께는 제2 두께보다 큼 -; 및 멤브레인 주연부와 경계를 이루고 그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본체에 결합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프레임은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는 본체 내부 표면과 본체 외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개구를 더 포함하고, 개구는 프레임을 수용 및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호흡기 마스크는, 마스크의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본체 - 본체는 내부 표면, 내부 표면에 대향하는 외부 표면 및 본체 내부 표면으로부터 본체 외부 표면으로 연장되는 제1 두께를 포함하고, 내부 표면은 내부 공간을 한정함 -; 및 본체에 인접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를 포함하고,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는 멤브레인 - 멤브레인은 주연부, 내부 표면, 외부 표면 및 멤브레인 내부 표면으로부터 멤브레인 외부 표면으로 연장되는 제2 두께를 갖고, 제1 두께는 제2 두께보다 큼 -; 및 멤브레인 주연부와 경계를 이루고 그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본체와 단일의 통합 구성으로 형성된다.
도 1은 호흡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호흡기 마스크의 제1 실시 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호흡기 마스크의 단면도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호흡기 마스크의 한정된 부분 A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호흡기 마스크의 제2 실시 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호흡기 마스크의 음성 전달 특징부의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음성 전달 요소와 마스크 본체 사이의 맞물림의 제1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음성 전달 요소와 마스크 본체 사이의 맞물림의 제2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구성 요소는 도면에서 관례 기호로 적절히 표현되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 형태를 이해하는데 관련되는 오직 그러한 특정 세부사항만을 도시하여 본 명세서의 설명의 이점을 갖는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세부사항으로 본 발명을 모호하지 않게 함을 주목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관계형 용어, 예를 들어, "제1", "제2", "최상부" 및 "바닥" 등은 단지 하나의 엔티티 또는 요소를 다른 엔티티 또는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엔티티 또는 요소 사이의 임의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암시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오직 특정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개념의 제한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백히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경우, 용어 "포함하다", "포함하는", "구비하다" 및/또는 "구비하는"은, 언급된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구성 요소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구성 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 중 하나 이상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음을 추가로 이해할 것이다.
달리 한정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 용어를 포함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 및 관련 기술분야의 맥락에서 이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그렇게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것임을 추가로 이해할 것이다.
이제, 유사한 참조 지정이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음성의 전달을 또한 허용하면서 호흡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호흡기 마스크의 실시 형태가 도면에 도시되며, 총괄적으로 "10"으로 지정된다. 도 1은, 사용자가 가스, 증기, 에어로졸(예를 들어, 먼지, 안개 및/또는 생물학적 작용제) 등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위험한 물질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도록 구성되는 호흡기 마스크(10)의 실시 형태의 정면도이다. 마스크(10)는 사용자의 코 및 입을 커버하는 크기를 갖고 구성되는 본체(12)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0)는 사용자의 눈을 커버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마스크의 예시된 실시 형태는 구비용(oronasal) 하프 마스크(10)이다. 그러나, 마스크(10)는 도면에 도시된 본체(12)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오히려, 마스크(10)는 전면 호흡기 마스크 등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임의의 다른 유형의 호흡기 마스크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마스크(10)는 일회용 호흡기 마스크이다.
마스크(10)의 본체(12)는 내부 표면(16) 및 내부 표면(16)에 대향하는 외부 표면(18)을 포함한다. 본체(12)는 코 영역(20)(때때로, 마스크 본체(12)의 "상부 부분"으로 지칭됨) 및 입 영역(22)(때때로, 마스크 본체(12)의 "하부 부분"으로 지칭됨)을 포함한다. 코 영역(20)은 코 영역(20)이 사용자의 코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사용자의 코를 그 안에 수용하는 크기를 갖고 구성된다. 예를 들어, 코 영역(20)은 코 및 사용자의 볼 윗 부분을 커버한다. 유사하게, 마스크(10)의 입 영역(22)은 사용자의 입을 커버하는 크기를 갖고 구성된다. 예를 들어, 입 영역(22)은 입, 턱의 적어도 일부 및 사용자의 볼 아래 부분을 커버한다.
마스크(10)의 본체(12)는, 사용자의 얼굴에 대해 밀봉하여 마스크(10)를 사용자의 얼굴에 밀봉하도록 구성되는 밀봉 영역(24)을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본체(12)의 밀봉 영역(2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가요성 립(lip)(26)에 의해 한정된다. 그러나, 밀봉 영역(24)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개스킷, 쿠션 등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임의의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밀봉 영역(24)에서, 하나 이상의 립(26)은 본체(12)의 나머지와 단일의 통합 구성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립(들)(26) 및/또는 밀봉 영역(24)의 다른 구조는 마스크 본체(12)에 착탈가능하게 또는 고정식으로 부착되는 별개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밀봉 영역(24)은, 마스크의 본체가 필터 재료로 제조되는 많은 일회용 호흡기 마스크들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2)의 여과 구조(미도시)의 일부에 의해 한정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밀봉 영역(24)의 구조는 마스크 본체(12)(미도시)에 부착된 재사용가능한 개별 성형 부재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마스크(10)의 본체(12)는 하나 이상의 개구(28)를 포함한다. 각각의 개구(28)는 교체가능한 필터 카트리지, 밸브, 호흡 가스 호스 및/또는 스피치 모듈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부착가능한 구성 요소(미도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체(12)는 마스크(10)의 특정 적용 및 사용되는 부착가능한 구성 요소의 수에 따라 임의의 수의 개구(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의 내부 표면(16)은, 내부 표면(16)이, 사용자의 코 및 입과 같은 사용자의 얼굴의 적어도 일부를 그 안에 수용하는 크기를 갖고 구성되는 본체(12)의 내부 공간(30)을 한정하도록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마스크(10)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동안, 사용자의 코 및 입은 내부 공간(30)으로 수용되어, 본체(12)의 내부 표면(16)과 마스크(10)에 의해 수용된 사용자의 얼굴의 일부 사이에 플레넘(plenum)이 한정된다. 따라서, 내부 공간(30)은, 사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플레넘으로 지칭될 수 있다. 마스크(10)의 동작 동안, 플레넘은, 예를 들어, 마스크(10)에 의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필터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것, 마스크(10)의 본체(12)를 사용하는 것 등에 의해) 여과되고/되거나 마스크(10)에 연결된 호스에 의해 공급되는 대기 공기 및/또는 수용된 공기와 같은 호흡가능한 가스를 유지한다.
도시되지 않지만, 마스크(10)는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얼굴 상에 마스크 본체(12)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코 및 입 위의 위치에 마스크(10)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하니스(harness)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하니스는 마스크 본체(12)에 부착되고 마스크(10)를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스트랩(미도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마스크 본체(12)는 하니스가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부착 요소(3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하니스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임의의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하니스는 재사용가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니스는 일회용이다. 하니스는 선택적으로, 비교적 통상적인 살균 방법으로 살균하기 비교적 용이한 재료로 구성된다.
마스크 본체(12)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본체(12)는 적어도 어느 정도의 가요성을 본체(12)에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의 예는, 열경화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여과 구조 및/또는 필터 재료, 쿠션 및/또는 댐프닝(dampening) 재료, 형상 기억 재료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마스크 본체(12)의 일부 또는 대략 전체는, 본체(12)의 적어도 일부가 여과 구조를 갖도록 하나 이상의 필터 재료로 제조된다.
이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음성 전달 특징부를 갖는 호흡기 마스크의 제1 실시 형태가 도시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음성 전달 특징부(32)는 마스크(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스피치의 명료성을 수동적으로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음성 전달 특징부(32)는 마스크(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스피치를 이해하기 위한 청취자의 능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는 마스크(10)를 착용한 사용자와 청취자 사이의 소통을 향상시킨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는 마스크(10)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음파에 응답하여 진동하도록 구성되는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을 포함한다.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의 진동은 음파를 마스크 내부 공간(30), 즉, 사용자의 얼굴과 내부 표면(16) 사이에 한정된 플레넘으로부터 마스크 본체(12) 외부, 즉 마스크(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주위 또는 외부 환경으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한 동안 말을 할 때, 마스크 본체(12)의 플레넘 내에서 사용자의 스피치에 의해 생성되는 음파는 마스크 본체(12)의 내부 표면(16) 및 특히,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의 내부 표면(36)을 따라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에 충돌한다. 음성 전달 멤브레인(34)과 음파의 충돌은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을 진동시켜서, 마스크 본체(12)의 외부 표면(18) 및 특히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의 외부 표면(38)을 따라 멤브레인(34)을 진동시킴으로써 음파가 재생성된다. 도 3은 도 2의 한정된 부분 A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의 내부 표면(36)은 마스크 본체(12)의 내부 표면(36)과 연속적(즉, 인접)이고, 외부 표면(38)은, 두께 T 및 T1이 상이하더라도 마스크 본체(12)의 외부 표면(18)과 연속적(즉, 인접)이다. 따라서,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은 사용자의 스피치를 마스크 본체(12)의 플레넘 내부로부터 마스크(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주위 환경으로 수동적으로 전달한다.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은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에 인접하거나 근접한 마스크 본체(12)의 하나 이상의 다른 세그먼트보다 얇을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40)는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에 바로 인접할 수 있다. 추가로,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은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을 둘러싸는 마스크 본체(12)의 세그먼트(40)에 비해 얇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위 세그먼트(40)는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의 주연부의 실질적으로 전체를 따라 음성 전달 멤브레인(34)과 경계를 이룬다. 달리 말하면,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2)의 주위 세그먼트(40)의 두께 T1보다 작은 두께 T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본체(12)는 멤브레인(34)과 세그먼트(40) 사이의 전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본체(12)의 두께는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의 두께 T 및 세그먼트(40)의 두께 T1로부터 증가한다.
더 두꺼운 주위 세그먼트(40)는 마스크 본체(12)에 강도 및 구조적 무결성을 추가한다. 또한, 더 두꺼운 주위 세그먼트(40)에 의해 제공되는 강성은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을 통해 마스크 본체(12)의 플레넘으로부터 스피치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고/하거나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두꺼운 주위 세그먼트(40)에 의해 제공되는 강성은 마스크(10)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음파에 응답하여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의 진동을 가능하게 하고/하거나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은 임의의 두께 T를 가질 수 있고 균일한 두께 T 또는 불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주위 세그먼트(40)는, 두께 T1이 두께 T보다 크다면, 임의의 두께 T1을 가질 수 있다.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의 주연부의 실질적으로 전체는 음성 전달 멤브레인(34)보다 두꺼운 주위 세그먼트(40)에 의해 둘러싸인다. 그러나,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의 주연부의 임의의 양(예를 들어, 임의의 수의 세그먼트(40) 또는 그 임의의 길이)이 마스크 본체(12)의 더 두꺼운 세그먼트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달리 말하면, 주위 세그먼트(40)의 적어도 일부는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의 적어도 일부의 두께 T보다 큰 두께 T1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은 마스크 본체(12)의 대부분 및/또는 나머지보다 얇다. 따라서, 음성 전달 멤브레인(34) 및 마스크 본체(12)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은 마스크 본체(12)보다 더 가요 성이 있다.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2)의 코 영역(20)을 따라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은 본체(12)의 코 영역(20)을 따라 연장된다. 그러나, 수동 음성 전송 특징부(32)는 이러한 위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입 영역(22)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마스크 본체(12)를 따른 임의의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 및/또는 예시된 바와 같이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이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의 예는, 열경화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여과 구조 및/또는 필터 재료, 쿠션 및/또는 댐프닝 재료, 형상 기억 재료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은 마스크 본체(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료(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 형태에서,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은 마스크 본체(12)를 구성하는 재료(들)와 상이한 하나 이상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은 (마스크 본체(12)가 필터 재료로 제조되는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필터 재료로 제조된다.
마스크 본체(12)의 재료(들),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의 재료(들), 두께 T, 두께(들) T1, 각각의 주위 세그먼트(40)의 두께 T1의 값에 대한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의 두께 T, 음성 전달 멤브레인(34)보다 두꺼운 것으로 제공되는 주위 세그먼트(40)의 수, 본체(12)의 더 두꺼운 세그먼트에 의해 둘러싸인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의 주연부의 양,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의 기하구조,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의 치수,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의 위치,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의 배향 등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마스크(10)의 다양한 설계 파라미터는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이 본 명세서에 설명 및/또는 예시된 것과 같이 기능할 수 있도록, 즉, 마스크(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스피치를 청취자가 더 양호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스피치를 마스크 본체(12)의 플레넘 내부로부터 더 적은 왜곡으로, 마스크(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주위 환경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는 사용자의 스피치를 마스크 본체(12)의 플레넘 내부로부터, 공지된 호흡기 마스크(10)보다 더 적은 왜곡으로, 마스크(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주위 환경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는 마스크(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스피치를 이해하기 위한 청취자의 능력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사용자와 청취자 사이의 소통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은 수동적 디바이스이고, 따라서 사용자의 스피치의 진폭은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에 의해 향상되거나 증가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음성 전달 특징부(32)는, 능동적 오디오 캡처를 포함하는 능동 음성 전달 특징부(32) 및/또는 사용자의 스피치의 진폭을 증가시키는 전원을 포함하거나 그에 연결된 전달 디바이스이다. 즉, 비제한적인 예로서, 마스크(10)는 마이크로폰 또는 다른 증폭기를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은,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이 마스크 본체(12)와 동일한 재료(들)로 구성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마스크 본체(12)와 단일의 통합 구성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마스크 본체(12)와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의 단일의 통합 구성은, 마스크에 장착될 개별적인 기계적 음성 전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호흡기 마스크보다,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 및/또는 마스크(10)가 덜 비싸고 고장이 덜 나도록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형태에서,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은 마스크 본체(12)에 부착되는 개별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호흡기 마스크(110)의 제2 실시 형태의 정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 개시된 구성 요소는, 100 시리즈에서 동일한 수로 지정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대응하는 구성 요소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마스크 본체(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구별적 특징부(예를 들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음성 전달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마스크 본체의 개구)를 제외하고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마스크 본체(112)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추가로, 일 실시 형태에 대해 개시된 특징부는 다른 실시 형태에 포함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마스크 본체(112)는 내부 표면(116) 및 내부 표면(116)에 대향하는 외부 표면(118)을 포함한다. 본체(112)는 코 영역(120)(때때로, 마스크 본체(112)의 "상부 부분"으로 지칭됨) 및 입 영역(122)(때때로, 마스크 본체(12)의 "하부 부분"으로 지칭됨)을 포함한다. 코 영역(120)은 코 영역(120)이 사용자의 코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사용자의 코를 그 안에 수용하는 크기를 갖고 구성된다. 예를 들어, 코 영역(120)은 코 및 사용자의 볼 윗 부분을 커버한다. 유사하게, 마스크(110)의 입 영역(122)은 사용자의 입을 커버하는 크기를 갖고 구성된다. 예를 들어, 입 영역(122)은 입, 턱의 적어도 일부 및 사용자의 볼 아래 부분을 커버한다.
도 4에 도시되지 않지만, 마스크 본체는, 사용자의 얼굴에 대해 밀봉하도록 구성되어 마스크(110)를 사용자의 얼굴에 밀봉하도록 구성되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밀봉 영역(24)과 유사한 밀봉 영역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마스크(110)의 본체(112)는 하나 이상의 개구(128)를 포함한다. 각각의 개구(128)는 교체가능한 필터 카트리지, 밸브, 호흡 가스 호스 및/또는 스피치 모듈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부착가능한 구성 요소(미도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체(112)는 마스크(10)의 특정 적용 및 사용되는 부착가능한 구성 요소의 수에 따라 임의의 수의 개구(128)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112)의 내부 표면(116)은, 내부 표면(116)이, 사용자의 코 및 입과 같은 사용자의 얼굴의 적어도 일부를 그 안에 수용하는 크기를 갖고 구성되는 본체(112)의 내부 공간(130)을 한정하도록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마스크(110)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동안, 사용자의 코 및 입은 내부 공간(130)으로 수용되어, 본체(112)의 내부 표면(116)과 마스크(10)에 의해 수용된 사용자의 얼굴의 일부 사이에 플레넘이 한정된다. 따라서, 내부 공간(130)은, 사용자가 마스크(1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플레넘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지만, 마스크(110)는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얼굴 상에 마스크 본체(12)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코 및 입 위의 위치에 마스크(10)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하니스(harness)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하니스는 마스크 본체(112)에 부착되고 마스크(110)를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스트랩(미도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마스크 본체(12)는 하니스가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부착 요소(13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하니스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임의의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하니스는 재사용가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니스는 일회용이다. 하니스는 선택적으로, 비교적 통상적인 살균 방법으로 살균하기 비교적 용이한 재료로 구성된다.
마스크 본체(112)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본체(112)는 적어도 어느 정도의 가요성을 본체(12)에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의 예는, 열경화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여과 구조 및/또는 필터 재료, 쿠션 및/또는 댐프닝 재료, 형상 기억 재료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마스크 본체(112)의 일부 또는 대략 전체는, 본체(112)의 적어도 일부가 여과 구조를 갖도록 하나 이상의 필터 재료로 제조된다.
호흡기 마스크(110)는, 마스크(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스피치의 명료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를 포함한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와 같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는 마스크(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스피치를 이해하기 위한 청취자의 능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는 마스크(110)를 착용한 사용자와 청취자 사이의 소통을 향상시킨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와 달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는 마스크 본체(112)와 단일의 통합 구성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그 대신 프레임(133) 및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을 포함한다.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은 마스크(110)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음파에 응답하여 진동하도록 구성된다.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의 진동은 음파를 마스크 내부 공간(130), 즉, 사용자의 얼굴과 내부 표면(116) 사이에 한정된 플레넘으로부터 마스크 본체(112) 외부, 즉 마스크(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주위 또는 외부 환경으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마스크(110)를 착용한 동안 말을 할 때, 마스크 본체(112)의 플레넘 내에서 사용자의 스피치에 의해 생성되는 음파는 마스크 본체(112)의 내부 표면(116) 및 특히,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의 내부 표면(136)을 따라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에 충돌한다.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과 음파의 충돌은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을 진동시켜서, 마스크 본체(112)의 외부 표면(118) 및 특히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의 외부 표면(138)을 따라 멤브레인(134)을 진동시킴으로써 음파가 재생성된다. 수동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 및 프레임(133)의 내부 표면(136)은 마스크 본체(112)의 내부 표면(136)과 연속적(즉, 인접)이고, 외부 표면(138) 및 프레임(133)은,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 프레임(133) 및 마스크 본체(112)의 두께가 상이하더라도 마스크 본체(112)의 외부 표면(118)과 연속적(즉, 인접)이다. 따라서,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은 사용자의 스피치를 마스크 본체(112)의 플레넘 내부로부터 마스크(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주위 환경으로 전달한다.
이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는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 및 프레임(133)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프레임(133)은, 마스크 본체(112)에 의해 프레임(133)이 고정되도록 마스크 본체(112)에 착탈가능하게 또는 고정식으로 결합되는 한편,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33)에 결합되고 그에 의해 고정된다. 예를 들어, 프레임(133)은 멤브레인(134)을 고정시키기 위해,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의 외측 에지 주위에 클램핑 또는 크림핑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프레임(133)은 마스크 본체(112)와 단일의 통합 구성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은 프레임(133)에 착탈가능하게 또는 고정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은 프레임(133)과 단일의 통합 구성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프레임(133)이 마스크 본체(1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실시 형태에서, 프레임(133)은 프레임(133)의 외측 에지 주위로 연장되는 주연부(142)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주연부(142)는 단면에서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추가로, 프레임(133)과 맞물리는 마스크 본체(112)의 부분은 단면에서 대응하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 주연부(144)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본체(112)는 프레임(133)을 수용하고 프레임(133)을 마스크 본체(112) 내에 보유하는 크기를 갖고 구성되는 개구(146)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임(133)의 볼록한 주연부(142)는 마스크 본체(112)의 개구(146)의 오목한 주연부(144)에 스내핑되거나(snapped) 그렇지 않으면 결합될 수 있다. 추가로, 프레임(133)이 마스크 본체(112)에 결합되는 경우, 결합은 유체 기밀일 수 있어서, 사용자가 마스크(1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마스크의 플레넘 내의 가스는 개구(146)를 통해 빠져 나가지 않는다. 대안적인 비제한적인 예에서, 프레임 주연부(142)는 단면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개구(146)의 주연부(144)는, 프레임(133)이 개구(146)에 있는 경우, 프레임을 마스크 본체(112) 내에 보유할 수 있는, 단면에서 대응하는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에 비해 프레임(133)의 강성 및/또는 마스크 본체(112)의 두께는, 스피치를 마스크 본체(112)의 플레넘으로부터 주위 또는 외부 환경에 전달하기 위한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하거나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에 비해 프레임(133)의 강성 및/또는 마스크 본체(112)의 두께는, 마스크(110)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음파에 응답하여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의 진동을 가능하게 하고/하거나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12)의 코 영역(120)을 따라 위치된다. 그러나, 수동 음성 전송 특징부(132)는 이러한 위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입 영역(122)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마스크 본체(112)를 따른 임의의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 및 프레임(133)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 및/또는 예시된 바와 같이 음성 전달 멤브레인(34)이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의 예는, 열경화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여과 구조 및/또는 필터 재료, 쿠션 및/또는 댐프닝 재료, 형상 기억 재료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은 마스크 본체(1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료(들)로 구성되는 한편, 프레임(133)은 상이한 더 강성 재료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마스크 본체(112) 및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 각각은 제1 경도계(durometer)를 갖는 제1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프레임은 제1 경도계보다 큰 제2 경도계를 갖는 제2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이, 프레임(133)을 구성하는 재료의 경도계보다 작은 경도계를 갖는 재료로 구성되면,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은, 마스크 본체(112)를 구성하는 재료와 상이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마스크 본체(112)의 재료(들), 프레임(133)의 강성,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 및/또는 프레임(133)의 재료(들),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의 두께, 마스크 본체(112)의 두께(들), 마스크 본체(112)의 두께(들)에 대한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의 두께,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의 기하구조,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의 치수,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의 위치,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의 배향 등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마스크(110)의 다양한 설계 파라미터는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이 본 명세서에 설명 및/또는 예시된 것과 같이 기능할 수 있도록, 즉, 마스크(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스피치를 청취자가 더 양호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스피치를 마스크 본체(112)의 플레넘 내부로부터 더 적은 왜곡으로, 마스크(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주위 환경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음성 수동 전달 특징부(132)는 사용자의 스피치를 마스크 본체(112)의 플레넘 내부로부터, 공지된 호흡기 마스크(110)보다 더 적은 왜곡으로, 마스크(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주위 환경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는 마스크(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스피치를 이해하기 위한 청취자의 능력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사용자와 청취자 사이의 소통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음성 전달 멤브레인(134)은 수동적 디바이스이고, 따라서 사용자의 스피치의 진폭은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에 의해 향상되거나 증가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는, 사용자의 스피치의 진폭을 증가시키는 전원을 포함하거나 그에 연결된 능동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마스크(110)는 또한 마이크로폰 또는 다른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를 포함하는 호흡기 마스크가 제공된다. 호흡기 마스크는 호흡 보호를 제공하는 한편, 사용자로부터 이해가능한 스피치의 전달을 또한 허용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호흡기 마스크는, 마스크(10)(110)의 내부 공간(30)(130)을 한정하고 제1 표면(16)(116) 및 제1 표면(16)(116)에 대향하는 제2 표면(18)(118)을 포함하는 본체(12)(112) - 제1 표면(16)(116)은 내부 공간(30)(130)을 한정함 -, 및 본체(12)(112)에 인접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132)를 포함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132)는 멤브레인(34)(134)이고, 멤브레인(34)(134)은 제1 표면(36)(136), 제2 표면(38)(138), 및 멤브레인 제1 표면(36)(136)과 멤브레인 제2 표면(38)(138)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두께(T)를 갖고, 본체(12)(112)는 멤브레인(34)(134)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제2 두께(T1)를 갖고, 제2 두께(T1)는 본체 제1 표면(16)(116)과 본체 제2 표면 사이(18)(118)에서 연장되고, 제1 두께(T)는 제2 두께(T1)보다 작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멤브레인 제1 표면(36)(136)은 본체 제1 표면(16)(116)과 인접하고, 멤브레인 제2 표면(38)(138)은 본체 제2 표면(18)(118)과 인접하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멤브레인(34)(134)은 주연부를 갖고, 본체(12)(112)는 멤브레인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부분(40)을 더 포함하고, 본체(12)(112)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제2 두께(T1)를 갖는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는 본체(12)(112)와 단일의 통합 구성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본체(12)(112)는 상부 세그먼트(20)(120) 및 하부 세그먼트(22)(122)를 더 포함하고, 하부 세그먼트(22)(122)는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132)를 포함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상부 세그먼트(20)(120)는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하부 세그먼트(22)(122)는 사용자의 입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형태의 다른 양태에서, 상부 세그먼트(20)(120)는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하부 세그먼트(22)(122)는 사용자의 입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132)는 사용자가 마스크(10)(1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음성 전달 멤브레인(34)(134) 및 본체(12)(11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는 멤브레인(134) 및 멤브레인(134)에 결합된 프레임(133)을 포함하고, 프레임(133)은 본체(112)에 결합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프레임(133)은 본체(1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본체(112)는 본체 제1 표면(116)과 본체 제2 표면(118) 사이에서 연장되는 개구(146)를 더 포함하고, 개구(146)는 프레임(133)을 수용 및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형태의 다른 양태에서, 프레임(133)은 본체(112)에 고정식으로 결합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멤브레인(134)은 주연부를 갖고, 프레임(133)은 멤브레인(134)의 주연부에 결합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는 멤브레인(134) 및 본체(112)와 단일의 통합 구성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33)을 포함하고, 프레임(133)은 멤브레인의 주연부에 결합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호흡기 마스크(110)는, 마스크(110)의 내부 공간(130)을 한정하는 본체(112) - 본체(112)는 내부 표면(116), 내부 표면(116)에 대향하는 외부 표면(118) 및 본체 내부 표면(116)으로부터 본체 외부 표면(118)으로 연장되는 제1 두께(T)를 포함하고, 내부 표면(116)은 내부 공간(130)을 한정함 -; 및 본체(112)와 인접하는 본체(112)의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를 포함하고,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는 사용자가 마스크(1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는 멤브레인(143) - 멤브레인(143)은 주연부, 내부 표면(136), 외부 표면(138) 및 멤브레인 내부 표면(136)으로부터 멤브레인 외부 표면(138)으로 연장되는 제2 두께(T1)를 갖고, 제1 두께(T)는 제2 두께(T1)보다 큼 -; 및 멤브레인(134) 주연부와 경계를 이루고 그에 결합되는 프레임(133)을 포함하고, 프레임(133)은 본체(112)에 결합된다.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 프레임(133)은 본체(1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112)는 본체 내부 표면(116)과 본체 외부 표면(118) 사이에서 연장되는 개구(146)를 더 포함하고, 개구(124)는 프레임(133)을 수용 및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호흡기 마스크(110)는, 마스크(110)의 내부 공간(130)을 한정하는 본체(112) - 본체(112)는 내부 표면(116), 내부 표면(116)에 대향하는 외부 표면(118) 및 본체 내부 표면(116)으로부터 본체 외부 표면(118)으로 연장되는 제1 두께(T)를 포함하고, 내부 표면(116)은 내부 공간(130)을 한정함 -; 및 본체(112)와 인접하는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를 포함하고,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는 멤브레인(134) - 멤브레인(134)은 주연부, 내부 표면(136), 외부 표면(138) 및 멤브레인 내부 표면(136)으로부터 멤브레인 외부 표면(138)으로 연장되는 제2 두께(T1)를 갖고, 제1 두께(T)는 제2 두께(T1)보다 큼 -; 및 멤브레인(134) 주연부와 경계를 이루고 그에 결합되는 프레임(133)을 포함하고, 프레임(133)은 본체(112)와 단일의 통합 구성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 형태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 호흡기 마스크로서,
사용자의 코 및 입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본체 - 본체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동안 본체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플레넘을 한정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함 -; 및
음성 전달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음성 전달 특징부를 포함하고, 음성 전달 멤브레인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음파에 응답하여 진동하도록 구성되어, 음성 전달 멤브레인은 음파를 본체의 플레넘으로부터 사용자의 주위 환경으로 전달하는, 호흡기 마스크.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음성 전달 멤브레인은 음성 전달 멤브레인에 인접한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에 비해 얇은, 호흡기 마스크.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본체는 음성 전달 멤브레인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주위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음성 전달 멤브레인은 주위 세그먼트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호흡기 마스크.
실시 형태 4.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음성 전달 멤브레인은 본체와 단일의 통합 구성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호흡기 마스크.
실시 형태 5.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음성 전달 멤브레인은 본체와 단일의 통합 구성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음성 전달 멤브레인은 본체의 나머지보다 얇은, 호흡기 마스크.
실시 형태 6.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음성 전달 멤브레인은 본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는, 호흡기 마스크.
실시 형태 7.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음성 전달 특징부는 본체에 의해 유지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음성 전달 특징부의 음성 전달 멤브레인은 프레임에 의해 유지되는, 호흡기 마스크.
실시 형태 8.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음성 전달 특징부는 본체와 단일의 통합 구성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음성 전달 특징부의 음성 전달 멤브레인은 프레임에 의해 유지되는, 호흡기 마스크.
실시 형태 9.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본체는 사용자의 코를 그 안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코 영역을 포함하고, 음성 전달 특징부는 본체의 코 영역을 따라 연장되는, 호흡기 마스크.
실시 형태 10.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본체는 사용자의 입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입 영역을 포함하고, 음성 전달 특징부는 본체의 입 영역을 따라 연장되는, 호흡기 마스크.
실시 형태 11.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본체는 사용자의 코를 그 안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코 영역 및 사용자의 입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입 영역을 포함하고, 코 영역 및 입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음성 전달 특징부를 포함하는, 호흡기 마스크.
실시 형태 12.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호흡기 마스크는 하프 마스크인, 호흡기 마스크.
실시 형태 13.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본체를 사용자의 얼굴 상에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하니스를 더 포함하는, 호흡기 마스크.
실시 형태 14.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본체는 필터 카트리지, 밸브 또는 호스 중 적어도 하나를 그 안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호흡기 마스크.
실시 형태 15. 호흡기 마스크로서,
사용자의 코 및 입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본체 - 본체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동안 본체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플레넘을 한정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함 -; 및
음성 전달 멤브레인과 경계를 이루는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에 비해 얇은 음성 전달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음성 전달 특징부를 포함하고, 음성 전달 멤브레인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음파에 응답하여 진동하도록 구성되어, 음성 전달 멤브레인은 음파를 본체의 플레넘으로부터 사용자의 주위 환경으로 전달하는, 호흡기 마스크.
상기 설명이 제한이 아니라 예시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및/또는 이의 양태)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에 적응시키기 위한 많은 수정이 행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구성 요소의 치수, 재료의 유형, 배향 및 다양한 구성 요소의 수 및 위치는 특정 실시 형태의 파라미터를 한정하도록 의도되고, 결코 제한적이 아니며 단지 예시적인 실시 형태이다. 상기 설명을 살펴보면 많은 다른 실시 형태 및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자격을 갖는 등가물의 전체 범주와 함께, 그러한 특허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용어 "포함하는" 및 "여기서"는 각각의 용어 "구비하는" 및 "여기서(wherein)"의 평이한 영문 등가물로서 사용된다. 더욱이,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용어 "제1", "제2", 및 "제3" 등은 단지 라벨로서 사용되며, 이들의 대상에 수치적 요건을 부과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추가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제한은 수단-및-기능 형식으로 작성된 것이 아니며, 이러한 특허청구범위 제한이, 추가적 구조가 없는 기능의 진술이 후속하는 구문 "위한 수단"을 명시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 35 U.S.C. §112, 6번째 문단에 기초하여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Claims (20)

  1. 마스크(10)(110)의 내부 공간(30)(130)을 한정하고 제1 표면(16)(116) 및 상기 제1 표면(16)(116)에 대향하는 제2 표면(18)(118)을 포함하는 본체(12)(112) - 상기 제1 표면(16)(116)은 상기 내부 공간(30)(130)을 한정함 -; 및
    상기 본체(12)(112)에 인접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132)를 포함하는, 호흡기 마스크(10)(1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132)는 멤브레인(34)(134)이고, 상기 멤브레인(34)(134)은 제1 표면(36)(136), 제2 표면(38)(138), 및 상기 멤브레인 제1 표면(36)(136)과 상기 멤브레인 제2 표면(38)(138)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두께(T)를 갖고, 상기 본체(12)(112)는 상기 멤브레인(34)(134)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제2 두께(T1)를 갖고, 상기 제2 두께(T1)는 상기 본체 제1 표면(16)(116)과 상기 본체 제2 표면(18)(118)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두께(T)는 상기 제2 두께(T1)보다 작은, 호흡기 마스크(10)(1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제1 표면(36)(136)은 상기 본체 제1 표면(16)(116)과 인접하고, 상기 멤브레인 제2 표면(38)(138)은 상기 본체 제2 표면(18)(118)과 인접하는, 호흡기 마스크(10)(110).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34)(134)은 주연부를 갖고, 상기 본체(12)(112)는 상기 멤브레인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부분(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12)(112)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제2 두께(T1)를 갖는, 호흡기 마스크(10)(11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는 상기 본체(12)(112)와 단일의 통합 구성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호흡기 마스크(10)(11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2)(112)는 상부 세그먼트(20)(120) 및 하부 세그먼트(22)(1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세그먼트(22)(122)는 상기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132)를 포함하는, 호흡기 마스크(10)(1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세그먼트(20)(120)는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세그먼트(22)(122)는 상기 사용자의 입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호흡기 마스크(10)(11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2)(112)는 상부 세그먼트(20)(120) 및 하부 세그먼트(22)(1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세그먼트(20)(120)는 상기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132)를 포함하는, 호흡기 마스크(10)(11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세그먼트(20)(120)는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세그먼트(22)(122)는 상기 사용자의 입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호흡기 마스크(10)(1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32)(132)는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10)(1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호흡기 마스크(10)(110).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전달 멤브레인(34)(134) 및 상기 본체(12)(11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는, 호흡기 마스크(10)(110).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는,
    멤브레인(134); 및
    상기 멤브레인(134)에 결합되는 프레임(133)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33)은 상기 본체(112)에 결합되는, 호흡기 마스크(11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33)은 상기 본체(1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호흡기 마스크(11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2)는 상기 본체 제1 표면(116)과 상기 본체 제2 표면(118) 사이에서 연장되는 개구(146)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146)는 상기 프레임(133)을 수용 및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호흡기 마스크(110).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33)은 상기 본체(112)에 고정식으로 결합되는, 호흡기 마스크(110).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134)은 주연부를 갖고, 상기 프레임(133)은 상기 멤브레인(134)의 주연부에 결합되는, 호흡기 마스크(110).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는,
    멤브레인(134); 및
    상기 본체(112)와 단일의 통합 구성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33)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33)은 상기 멤브레인의 주연부에 결합되는, 호흡기 마스크(110).
  18. 마스크(110)의 내부 공간(130)을 한정하는 본체(112) - 상기 본체(112)는 내부 표면(116), 상기 내부 표면(116)에 대향하는 외부 표면(118) 및 상기 본체 내부 표면(116)으로부터 상기 본체 외부 표면(118)으로 연장되는 제1 두께(T)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표면(116)은 상기 내부 공간(130)을 한정함 -; 및
    상기 본체(112)와 인접하는 상기 본체(112)의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는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1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는,
    멤브레인(134) - 상기 멤브레인(134)은 주연부, 내부 표면(136), 외부 표면(138) 및 상기 멤브레인 내부 표면(136)으로부터 상기 멤브레인 외부 표면(138)으로 연장되는 제2 두께(T1)를 갖고, 상기 제1 두께(T)는 상기 제2 두께(T1)보다 큼 -; 및
    상기 멤브레인(134) 주연부와 경계를 이루고 그에 결합되는 프레임(133)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33)은 상기 본체(112)에 결합되는, 호흡기 마스크(110).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33)은 상기 본체(1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112)는 상기 본체 내부 표면(116)과 상기 본체 외부 표면(118) 사이에서 연장되는 개구(146)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124)는 상기 프레임(133)을 수용 및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호흡기 마스크(110).
  20. 마스크(110)의 내부 공간(130)을 한정하는 본체(112) - 상기 본체(112)는 내부 표면(116), 상기 내부 표면(116)에 대향하는 외부 표면(118) 및 상기 본체 내부 표면(116)으로부터 상기 본체 외부 표면(118)으로 연장되는 제1 두께(T)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표면(116)은 상기 내부 공간(130)을 한정함 -; 및
    상기 본체(112)에 인접한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 음성 전달 특징부(132)는,
    멤브레인(134) - 상기 멤브레인(134)은 주연부, 내부 표면(136), 외부 표면(138) 및 상기 멤브레인 내부 표면(136)으로부터 상기 멤브레인 외부 표면(138)으로 연장되는 제2 두께(T1)를 갖고, 상기 제1 두께(T)는 상기 제2 두께(T1)보다 큼 -; 및
    상기 멤브레인(134) 주연부와 경계를 이루고 그에 결합되는 프레임(133)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33)은 상기 본체(112)와 단일의 통합 구성으로 형성되는, 호흡기 마스크(110).
KR1020187014231A 2015-10-22 2016-10-20 음성 전달 특징부를 갖는 호흡기 마스크 KR201801156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44917P 2015-10-22 2015-10-22
US62/244,917 2015-10-22
PCT/US2016/057921 WO2017070352A1 (en) 2015-10-22 2016-10-20 Respirator mask with voice transmittal fea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670A true KR20180115670A (ko) 2018-10-23

Family

ID=5855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231A KR20180115670A (ko) 2015-10-22 2016-10-20 음성 전달 특징부를 갖는 호흡기 마스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73334B2 (ko)
EP (1) EP3365075A4 (ko)
JP (2) JP2018531104A (ko)
KR (1) KR20180115670A (ko)
CN (1) CN108367182A (ko)
AU (1) AU2016342193B2 (ko)
WO (1) WO2017070352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853B1 (ko) 2020-09-16 2021-04-01 양경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200494337Y1 (ko) 2020-05-28 2021-09-16 양경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20220000154U (ko) 2020-07-08 2022-01-17 양경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20220000323U (ko) 2020-07-28 2022-02-04 양경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20220046314A (ko)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퓨먼 피보나치 수열을 이용하여 음성 전달 기능을 강화한 안면 마스크
KR20220117085A (ko)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이보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20230108105A (ko) 2022-01-10 2023-07-18 주식회사 이보 마스크용 발광형 음성 전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8124B2 (en) 2017-11-09 2024-01-23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Patient interface and a speech valve therefor
USD958966S1 (en) * 2020-07-21 2022-07-26 Desprez, Llc Face mask
USD1001271S1 (en) * 2021-03-18 2023-10-10 Tecmen Electronics Co., Ltd Respirato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4130A (en) * 1964-03-10 Respirator with speaking diaphragm
US1762695A (en) * 1924-05-14 1930-06-10 Monro Randolph Gas mask
US2164330A (en) * 1937-07-10 1939-07-04 Sidney H Katz Fully molded gas mask facepiece
US2738788A (en) * 1952-04-08 1956-03-20 Willson Products Inc Respirator with speaking diaphragm
US3602219A (en) * 1969-03-05 1971-08-31 Draegerwerk Ag Respirator having sound diaphragm protective cavity
EP0101292B1 (en) 1982-08-18 1987-10-28 Avon Industrial Polymers Limited Respirator speech transmitter
JPS59156356A (ja) * 1983-02-25 1984-09-05 株式会社 笠井仏檀工芸 作業用マスク
AT378652B (de) 1983-12-27 1985-09-10 Akg Akustische Kino Geraete Anordnung zur sprachuebertragung aus einer atemschutzmaske
JPH0680660B2 (ja) 1984-01-23 1994-10-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0153145U (ja) * 1984-03-22 1985-10-12 笠井 武 作業用マスク
JPS6148747A (ja) 1984-08-16 1986-03-10 Canon Inc 粒子解析装置
JPS6148747U (ko) * 1984-09-03 1986-04-01
FI96171C (fi) * 1992-03-02 1996-05-27 Kemira Oy Suojanaamari
US5385141A (en) 1992-04-16 1995-01-31 Siebe North, Inc. Speech diaphragm and exhalation valve
US5895537A (en) * 1997-10-09 1999-04-20 Campbell; Richard G. Sonic welded gas mask and process
JP3012845B1 (ja) 1998-12-15 2000-02-28 興研株式会社 伝声機能付きマスク
JP3234196B2 (ja) 1998-12-28 2001-12-04 興研株式会社 面体取り付け用伝声器
CN2667838Y (zh) 2003-10-27 2004-12-29 北京三方杰科技有限公司 防毒面具电声通话器
CN104524707B (zh) 2007-08-31 2018-11-13 3M创新有限公司 呼吸保护组合面罩及其形成方法
WO2009029349A1 (en) 2007-08-31 2009-03-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Unitary respirator with molded thermoset elastomeric elements
US20120260920A1 (en) * 2011-04-15 2012-10-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ce mask having welded thermoplastic mask body
JP5759032B2 (ja) * 2013-02-15 2015-08-05 興研株式会社 伝声器
CN204293714U (zh) 2014-12-12 2015-04-29 湖北华强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便于通话防毒面具
JP3234196U (ja) 2021-07-16 2021-09-24 株式会社富士山静養園 コルゲート管コテージ及び係止部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337Y1 (ko) 2020-05-28 2021-09-16 양경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20220000154U (ko) 2020-07-08 2022-01-17 양경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20220000323U (ko) 2020-07-28 2022-02-04 양경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102234853B1 (ko) 2020-09-16 2021-04-01 양경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20220046314A (ko)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퓨먼 피보나치 수열을 이용하여 음성 전달 기능을 강화한 안면 마스크
KR20220117085A (ko)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이보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20230108105A (ko) 2022-01-10 2023-07-18 주식회사 이보 마스크용 발광형 음성 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73334B2 (en) 2022-03-15
JP2018531104A (ja) 2018-10-25
CN108367182A (zh) 2018-08-03
AU2016342193A1 (en) 2018-05-10
EP3365075A1 (en) 2018-08-29
WO2017070352A1 (en) 2017-04-27
AU2016342193B2 (en) 2019-08-22
US20180311516A1 (en) 2018-11-01
JP2021164659A (ja) 2021-10-14
JP7426001B2 (ja) 2024-02-01
EP3365075A4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26001B2 (ja) 音声伝達機能を備えた呼吸用マスク
JP2018531104A6 (ja) 音声伝達機能を備えた呼吸用マスク
US9517367B2 (en) Respiratory mask having a clean air inlet chamber
US10661104B2 (en) Reconfigurable full facemask having a cartridge module for respiratory protection
US10974084B1 (en) Reusable respirator mask with refillable filter
KR101789107B1 (ko) 이종의 재질을 갖는 방진마스크
KR102386181B1 (ko) 코 지지 연장부를 갖는 호흡 마스크
KR20150115154A (ko)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
JP2015012896A (ja) マスク用パッドおよびマスク
US20200391057A1 (en) Respirator Mask with Eyewear Interface
KR102325079B1 (ko) 다목적용 방진 마스크
US10918894B2 (en) Face seal for respirator mask
CN117460435A (zh) 高过滤可重复使用的面罩
CN108785889A (zh) 一种消防用呼吸面罩
US20210393997A1 (en) Respirator mask with exhalation filter
US11957938B1 (en) Hydration providing mask apparatus
JP2006346166A (ja) フィルタ部材
JP2023129208A (ja) マスク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