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153U -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 - Google Patents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153U
KR20100001153U KR2020080009873U KR20080009873U KR20100001153U KR 20100001153 U KR20100001153 U KR 20100001153U KR 2020080009873 U KR2020080009873 U KR 2020080009873U KR 20080009873 U KR20080009873 U KR 20080009873U KR 20100001153 U KR20100001153 U KR 201000011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wearer
head
fire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대
Original Assignee
김정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대 filed Critical 김정대
Priority to KR2020080009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153U/ko
Publication of KR201000011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1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발생과 같이 유독가스에 의한 위험한 환경에서 머리에 착용하여 휴대용 산소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소를 통해 호흡하도록 하여 착용자의 안정적인 호흡을 제공하고, 갑작스런 고온의 화염 분출 및 위험물질의 폭발로부터 착용된 부분을 보호하도록 하기 위한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둘레, 귀, 목 및 머리를 덮도록 형성되는 방화커버부(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는 착용자가 방화커버부(40)의 하측 개구(44)를 통해 머리에 착용하도록 하므로써, 착용자의 안면, 안면둘레, 귀, 목 및 머리를 화염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는 착용자가 방화커버부(40)의 하측 개구(44)를 통해 머리에 착용하도록 하므로써, 착용자의 안면, 안면둘레, 귀, 목 및 머리를 고온의 화염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는 착용과 동시에 착용자의 안면, 안면둘레, 귀, 목 및 머리가 보호하여 긴급한 상황에서 고온의 화염에 대한 대비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므로, 특히 소방관이 화재진압 출동현장에 도착하였을 때 화재현장을 진입하기 위한 절차를 단축시키고, 안전한 방염효과로 인한 심리적 안정을 바탕으로 초기 화재진압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국민의 생명 및 재산을 보호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벨크로, 스냅단추 및 지퍼 등을 사용하여 방화커버부(40)가 분리가능하도록 하 므로써, 추후 유지 및 보수의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방화커버부(40)가 마스크 내부를 감싸는 형태로 보관할 수 있어 마스크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각종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

Description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A MASK FOR PREVENTING SCALD}
본 고안은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화재발생과 같이 유독가스에 의한 위험한 환경에서 머리에 착용하여 휴대용 산소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소를 통해 호흡하도록 하여 착용자의 안정적인 호흡을 제공하고, 고온의 화염으로부터 착용된 부분을 보호하도록 하기 위한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호흡기는 각종 유독가스 중에서 일정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압축공기식 개인호흡장비로서 마스크, 휴대용 산소통, 공급밸브, 배기밸브, 감압밸브, 등지게, 압력지시계, 경보장치, 급기호스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공기호흡기는 분진, 유해가스등이 발생하는 산업현장이나 산소결핍장소의 작업자, 지하철 등에서의 화재발생 및 화재 현장 등의 인명구조원(소방대원)들이 착용하여 안면을 보호하면서 인체에 유해한 가스의 흡입을 방지하고자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진, 유해가스를 비롯한 각종 유독가스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호흡기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0-0016090호 "예비용 연기중독 방지기구를 갖는 안면 마스크 및 그의 동작방법"에서는 압축공기와 연결되는 제 1 포트, 투명창 및 조임끈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6-0071061호 "비상용 공기 호흡장치"에서는 코와 입부를 외부와 차단하는 마스크와, 이 마스크와 연결하여 공기저장부를 설치하고, 공기저장부에는 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저장되도록 하고, 저장된 공기를 호흡에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공기호흡기는 얼굴 안면을 보호하면서 분진, 유해가스 및 각종 유독가스의 흡입을 방지하는 효과는 있지만, 화재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귀, 안면 둘레, 목 및 머리 등을 고온의 화염으로부터 보호하기에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공기호흡기의 마스크 내에 착용하여 고온의 화염 및 불로부터 귀, 안면 둘레, 목 및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두건, 방화두건 및 방열두건 등이 제안되었는 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63608호 "방열복용 두건"에서는 전면에 외부 투시를 위한 렌즈가 구비된 본체부와, 본체부 를 어깨측에 안착 지지하기 위해 두건 본체부와 수직방향을 이루며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어져 있는 견착부와, 견착부의 중앙에 머리부위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다각형상을 이루며 형성되어진 개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65642호 "소방용 방화두건"에서는 얼굴의 앞면이 노출되는 안면홀이 형성된 상부 밀착부와 이 상부 밀착부로부터 연장되어 목과 어깨를 감싸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밀착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하부 밀착부에 필터를 수용하기 위한 필터수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보호두건은 공기호흡기의 마스크 내에 착용하여 마스크로는 보호되지 않는 부분을 고온의 화염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공기호흡기와 보호두건은 보관 및 관리가 별도로 이루어지고 있어 실질적인 사용도 별개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예컨대, 화재 진압을 하는 소방대원들은 상술한 공기호흡기와 보호두건을 모두 소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와 같이 공기호흡기와 보호두건을 별도 관리하고 소지하게 되므로, 긴급 출동 시 공기호흡기의 마스크만을 착용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화재 현장에 임할 때 화기가 이미 강해졌을 경우, 적극적으로 대처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보호두건을 소지하더라도 착용하기 위한 시간적 여유가 없으며, 착용 시에 공기호흡기의 마스크를 벗고 보호두건을 착용 후 다시 공기호흡기이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착용자의 안면 뿐만 아니라 안면둘레, 귀, 목 및 머리 등을 갑작스런 고온의 화염 분출 및 위험물질의 폭발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고안은 종래 공기호흡기를 개선하여 안면을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종래 공기호흡기의 마스크에 안면둘레, 귀, 목 및 머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커버부를 설치하므로써, 별도의 보호두건을 사용하지 않고도 착용자의 안면뿐만 아니라 안면둘레, 귀, 목 및 머리 등을 고온의 화염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착용자의 안면둘레, 귀, 목 및 머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되는 방화커버를 마스크에 착탈형으로 설치하도록 하므로써, 유지 및 보수를 편리하게 하도록 하는 새로운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착용자의 안면을 고온의 화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안면부(20)상에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투시창(22)이 설치되고, 상기 투시창(22)의 하측에 형성되어 휴대용 산소통(38)과 연결되는 호흡장치(30)가 설치되며, 상기 안면부(20)의 가장자리(26)에 설치되어 머리에 밀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조임끈(24)을 구비하여,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하면서 착용시 상기 휴대용 산소통(38)을 사용하여 호흡하도록 하는 공기호흡기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26)를 따라 결합되는 상측 개구테(42)를 갖고, 상기 상측 개구테(4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안면둘레, 귀, 목 및 머리를 덮도록 형성되며, 하측방향으로 개구(44)가 형성되는 방화커버부(40)를 구비하여, 착용자가 상기 방화커버부(40)의 하측 개구(44)를 통해 머리에 착용하도록 하므로써, 착용자의 안면, 안면둘레, 귀, 목 및 머리를 고온의 화염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에서 상기 방화커버부(40)는 상기 가장자리(26) 및 상측 개구테(42)에 서로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벨크로, 스냅단추 및 지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의해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에 의하면, 착용 자가 방화커버부(40)의 하측 개구(44)를 통해 머리에 착용하도록 하므로써, 착용자의 안면, 안면둘레, 귀, 목 및 머리를 고온의 화염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는 착용과 동시에 착용자의 안면, 안면둘레, 귀, 목 및 머리가 보호하여 긴급한 상황에서 갑작스런 고온의 화염 분출 및 위험물질의 폭발에 대한 대비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므로, 특히 소방관이 화재진압 출동현장에 도착하였을 때 화재현장을 진입하기 위한 절차를 단축시키고, 안전한 방염효과로 인한 심리적 안정을 바탕으로 초기 화재진압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국민의 생명 및 재산을 보호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벨크로, 스냅단추 및 지퍼 등을 사용하여 방화커버부(40)가 분리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추후 유지 및 보수의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방화커버부(40)가 마스크 내부를 감싸는 형태로 보관할 수 있어 마스크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각종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도시한 호흡장치의 사용법 등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 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10)는 착용자의 안면을 화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안면부(20)상에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투시창(22)이 설치되고, 투시창(22)의 하측에 형성되어 휴대용 산소통(38)과 연결되는 호흡장치(30)가 설치되며, 안면부(20)의 가장자리(26)에 설치되어 머리에 밀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조임끈(24)을 구비하고, 안면부(20)의 가장자리(26)를 따라 결합되어 착용자의 안면 둘레, 귀, 목 및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방화커버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호흡장치(30)는 양압조정기(32), 바이패스밸브(34), 대기호흡장치(36) 및 휴대용 산소통(38, 도 3 참조)과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연결호스(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양압조정기(32)는 휴대용 산소통(38)과 연결되는 고압조정기에서 1차로 감압된 압력을 호흡하기에 적당한 압력으로 감압시키는 장치로써, 마스크(10) 내의 압력을 외부압력보다 약 20mm H₂O 정도 높은 압력으로 유지시켜 오염된 외부공기가 안면부(20) 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마스크(10)를 착용 후 조절 손잡이(33)를 이용하여 열림(OPEN) 상태로 위치하여 사용한다.
바이패스밸브(34)는 양압조정기(32)의 측면에 설치되어 양압조정기(32)의 작동에 이상이 생겼을 시 별도의 라인을 통해 마스크(10) 내로 공기를 유입하는 역할을 한다.
대기호흡장치(36)는 양압조정기(32)의 하측에 설치되어 양압호흡과 대기호흡을 조정하는 장치로써 양압호흡 상태로 위치시키면 양압조정기(32)를 통해 산소를 공급받고, 대기호흡 상태로 위치시키면 마스크(1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휴대용 산소통(38)을 통해 유입되는 산소를 사용하지 않고도 대기호흡을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한편, 대기호흡 상태에서 양압조정기(32)를 열림 상태로 위치시켰을 때 외부 공기와 휴대용 산소통(38)으로부터 들어오는 공기가 동시에 마스크(10) 내로 유입되어 질식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조임끈(24)은 안면부(20)의 가장자리(26)를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어 머리에 맞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방화커버부(40)는 안면부(20)의 가장자리(26)를 따라 결합되는 상측 개구테(42)를 갖고, 상측 개구테(4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안면 둘레, 귀, 목 및 머리를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46)를 가지며, 커버(46)의 하측 방향으로 개구(44)가 형성된다.
이때, 방화커버부(40)의 상측 개구테(42)는 안면부(20)의 가장자리(26)를 따라 결합되되, 조임끈(24)이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조임끈(24)에 의해 안면부(20)와 방화커버부(40)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고 결합되도록 밀폐홀(4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화커버부(40)는 신축성 및 밀착성이 좋고, 내열성 및 내화성이 뛰어난 메타계 아라미드, 노맥스, 탄소섬유, 실리카 및 케블라 등의 섬유 재질의 원단을 사용하거나, 산업안전공단 및 국가소방검정기관 등을 통해 승인된 재질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10)는 방화커버부(40)의 하측에 형성되는 개구(44)를 통해 머리에 착용되도록 하여 착용자의 안면, 안면 둘레, 귀, 목 및 머리를 고온의 화염으로부터 보호하도 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10)는 방화커버부(40)가 안면부(20)의 가장자리(26)에 결합되어 구성되므로써 착용과 동시에 착용자의 안면, 안면둘레, 귀, 목 및 머리가 보호하여 긴급한 상황에서 고온의 화염에 대한 대비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므로, 특히 소방관이 화재진압 출동현장에 도착하였을 때 화재현장을 진입하기 위한 절차를 단축시키고, 안전한 방염효과로 인한 심리적 안정을 바탕으로 초기 화재진압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국민의 생명 및 재산을 보호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10)에서 방화커버부(40)는 벨크로(도 2참조), 스냅단추 및 지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의해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10)에서 벨크로, 스냅단추 및 지퍼 등을 사용하여 방화커버부(40)가 분리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추후 유지 및 보수의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방화커버부(40)가 마스크(10) 내부를 감싸는 형태로 보관할 수 있어 마스크(10)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각종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10)에서 방화커버부(40)는 통상의 결합방법인 박음질 처리되어 안면부(20)의 가장자리(26)에 결합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10)에서 도 4의 (a)는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10)를 착용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b)는 뒤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안면, 안면 둘레, 귀, 목 및 머리 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소방대원들은 고온의 화염 및 고열로부터 화상을 입지 않게 되고,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갖게 되어 화재 진압 작업을 신속하게 하여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
20 : 안면부 22 : 투시창
24 : 조임끈 26 : 가장자리
30 : 호흡장치 38 : 휴대용 산소통
40 : 방화커버부 42 : 상측 개구테
44 : 하측 개구

Claims (2)

  1. 착용자의 안면을 고온의 화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안면부(20)상에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투시창(22)이 설치되고, 상기 투시창(22)의 하측에 형성되어 휴대용 산소통(38)과 연결되는 호흡장치(30)가 설치되며, 상기 안면부(20)의 가장자리(26)에 설치되어 머리에 밀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조임끈(24)을 구비하여,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하면서 착용시 상기 휴대용 산소통(38)을 사용하여 호흡하도록 하는 공기호흡기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26)를 따라 결합되는 상측 개구테(42)를 갖고, 상기 상측 개구테(4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안면둘레, 귀, 목 및 머리를 덮도록 형성되며, 하측방향으로 개구(44)가 형성되는 방화커버부(40)를 구비하여, 착용자가 상기 방화커버부(40)의 하측 개구(44)를 통해 머리에 착용하도록 하므로써, 착용자의 안면, 안면둘레, 귀, 목 및 머리를 고온의 화염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커버부(40)는 상기 가장자리(26) 및 상측 개구테(42)에 서로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벨크로, 스냅단추 및 지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의해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
KR2020080009873U 2008-07-24 2008-07-24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 KR201000011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873U KR20100001153U (ko) 2008-07-24 2008-07-24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873U KR20100001153U (ko) 2008-07-24 2008-07-24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153U true KR20100001153U (ko) 2010-02-03

Family

ID=44196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873U KR20100001153U (ko) 2008-07-24 2008-07-24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153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610Y1 (ko) * 2010-06-25 2012-06-13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
KR101278436B1 (ko) * 2012-11-22 2013-06-24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
WO2014081209A1 (ko) * 2012-11-22 2014-05-30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
KR101700604B1 (ko) 2016-04-01 2017-01-31 주식회사 산청 풀 페이스 타입의 방독 마스크
KR20200113049A (ko) * 2019-03-20 2020-10-06 오종환 산소 증강형 미세 먼지 제거 마스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610Y1 (ko) * 2010-06-25 2012-06-13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
KR101278436B1 (ko) * 2012-11-22 2013-06-24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
WO2014081209A1 (ko) * 2012-11-22 2014-05-30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
WO2014081217A1 (ko) * 2012-11-22 2014-05-30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
KR101700604B1 (ko) 2016-04-01 2017-01-31 주식회사 산청 풀 페이스 타입의 방독 마스크
KR20200113049A (ko) * 2019-03-20 2020-10-06 오종환 산소 증강형 미세 먼지 제거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7547B2 (en) Protective hood
CN206525621U (zh) 一种抢险救援消防头盔
US5690095A (en) Emergency escape breathing apparatus
US8276582B2 (en) Respirator assembly
KR20170048809A (ko) 산소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방연 및 단열, 두건형태의 마스크
KR20100001153U (ko)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
US20060096592A1 (en) Protective ensemble comprising protective garment, face mask mounting respirator, and means for conducting exhaled gases into space within protective garment
CN206525620U (zh) 一种抢险救援消防头盔
KR200346391Y1 (ko) 방독면
CN208465012U (zh) 一种易识别的荧光防护头罩
CN203802975U (zh) 一种具有硅胶半面罩的新型矿用自救器
KR100452167B1 (ko) 개인휴대용 화재안전 방독가스 마스크
CN209788609U (zh) 一种绝热防火头盔
KR100662097B1 (ko) 방염 및 방연 두건
CN210159102U (zh) 一种隔热消防服
CN215653488U (zh) 过滤式消防自救呼吸器
CN214633426U (zh) 一种佩戴舒适度高的消防自救呼吸器
RU196244U1 (ru) Защитная накидка лесного пожарного
KR200365642Y1 (ko) 소방용 방화두건
KR102382876B1 (ko) 화재 대피용 일체형 생존키트 및 이와 연동되는 피난유도 led라인 시스템
CN215741477U (zh) 方便佩戴的松紧自适应防毒面罩
JP3912787B2 (ja) ヘルメット内装型空気呼吸器用頭巾
CN210170697U (zh) 一种一体式隔热防护罩
RU2252049C2 (ru) Защитный шлем
JP7454238B2 (ja) 消火活動用マスク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