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217A -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여과용 필터부 및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 Google Patents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여과용 필터부 및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217A
KR20200052217A KR1020190133127A KR20190133127A KR20200052217A KR 20200052217 A KR20200052217 A KR 20200052217A KR 1020190133127 A KR1020190133127 A KR 1020190133127A KR 20190133127 A KR20190133127 A KR 20190133127A KR 20200052217 A KR20200052217 A KR 20200052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se
mask body
discharge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대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쉐마
한대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쉐마, 한대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쉐마
Priority to CN201911052974.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135492A/zh
Publication of KR20200052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2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여과용 필터부 및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에 관한다. 본 발명의 마스크용 필터부는, 내부 필터 케이스, 외부 필터 케이스, 필터 안착부 및 필터를 포함하고, 필터를 수용하는 내부 필터 케이스, 외부 필터 케이스, 필터 안착부가 착탈가능한 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내부 필터 케이스와 필터 안착부가 자성 결합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분리 및 결합이 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필터의 교체가 보다 용이해진다.

Description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여과용 필터부 및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Filter unit that can be easily replace filter and Mask including the filter unit}
본 발명은, 생활용품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여과용 필터부 및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자동차 및/또는 산업 현장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초미세먼지), 중금속 유해물질 및 질소화합물 등 유해성 물질이 과거에 비해 증가하고 있고, 그리고 화분과 같은 알레르기성 물질이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기의 질문제는 사회적인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상기 언급한 유해성 물질(황사,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 각종 유해성 미립자 등)은, 그대로 구강이나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흡입되는 경우, 폐에 치명적인 질환을 초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식 등의 호흡기 질환의 원인으로 되고, 알레르기 체질의 사람들이 공기 중의 화분과 같은 알레르기성 물질을 흡입한 경우 화분 알레르기가 유발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해성 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갖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일상화되고 있다.
이러한 유해성 물질과 알레르기성 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마스크는, 일반적으로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에 고정되며 유해성 물질이 함유된 마스크 외부의 공기를 여과하여 그 여과된 공기를 마스크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필터가 내장된 필터부를 구비한다.
기존의 필터에 있어서, 필터부에 착탈불가로 구비되며 사용 후는 버려지는 것에 의해 그 버려지는 양이 늘어남에 따라 또 다른 환경의 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그리고 필터의 교체는 가능하지만 그 교체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터의 교체불가 또는 교체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여과용 필터부 및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여과용 필터부는, 내부 필터 케이스, 외부 필터 케이스, 필터 안착부, 및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안착부는, 상기 내부 필터 케이스와 상기 외부 필터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안착부는 착탈가능으로 결합되고, 상기 외부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안착부는 착탈가능으로 결합되고, 상기 외부 필터 케이스에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 안착부에는 제1 관통구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 필터 케이스에는 상기 제1 관통구와 관통되는 제2 관통구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를 경과하여 상기 제1 관통구에 유입되도록 상기 제1 관통구와 상기 유입구 사이의 공기 흐름 통로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필터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원통 형태이고, 상기 필터의 일단은 상기 외부 필터 케이스의 내측벽에 당접하고, 상기 필터의 타단은 상기 필터 안착부의 상기 외부 필터 케이스측을 향하는 내측벽에 당접하고, 상기 외부 필터 케이스의 유입구는 상기 중공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관통구는 상기 필터 안착부의 테두리와 상기 필터의 테두리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안착된 필터가 필터 안착부와 외부 필터 케이스 사이에서 격렬히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필터 안착부의 상기 외부 필터 케이스을 향하는 일측에 상기 외부 필터 케이스를 향해 돌출된 지지 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필터의 중공부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내부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안착부는 자석에 의해 자성 결합된다.
또한, 내부 필터 케이스와 필터 안착부를 보다 견고히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내부 필터 케이스에는 상기 필터 안착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제1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필터 안착부에는 상기 돌출부와 체결되는 자석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자석 수용부 내부에는 상기 제1 자석과 극성이 반대되는 제2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필터 안착부의 테두리부와 상기 자석 수용부의 바닥부의 테두리부 사이에 상기 필터를 안착시키기 위한 제1 필터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터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외부 필터 케이스의 내측벽에는 상기 유입구를 둘러 제2 필터 수용홈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에 구비되어 있는 필터부 체결홀을 통해 상기 마스크 본체에 장착된다. 또한, 마스크 본체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마스크 착용자의 코와 입을 차폐한다.
또한, 상기 내부 필터 케이스는 상기 필터부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의 외측 둘레는 일정한 두께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는 상기 마스크 본체에 구비되는 배출 밸브와, 상기 마스크 본체에 구비되는 착용부를 더 포함한다. 배출 밸브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측에 개폐가능으로 구비되어 착용자가 날숨을 내쉴 경우 개방되어 날숨을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배출 밸브의 내부 배출 케이스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 밸브의 외부 배출 케이스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와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는 상기 배출 밸브 체결홀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코와 입에 대응하는 부위가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배출 밸브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출 밸브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의 하측에는, 착용자의 턱 부위와 협력하는 내측 완곡 구조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 밸브는 상기 내측 완곡 구조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측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착용자의 입과 코에 근접하는 부위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출 밸브는, 내부 배출 케이스, 외부 배출 케이스 및 유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 케이스에는 내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에는 외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와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는 탈착가능으로 결합되고, 상기 내부 배출구와 상기 외부 배출구는 관통하고,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와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연결된 고정부와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내부 배출구와 상기 외부 배출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에 고정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외부 배출구 측과 상기 내부 배출구 측 사이에서 유동하고, 상기 개폐부의 면적은 상기 내부 배출구의 면적보다는 작지 않고 상기 외부 배출구의 면적보다는 크지 않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유동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연결된다.
또한, 유동부재의 개폐부를 내부 배출구 측으로 보다 바람직하게 유동시켜 내부 배출 케이스에 밀착시켜 내부 배출구를 완전히 폐쇄시키기 위해,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에는 내부 경사면이 더 구비되고, 상기 내부 경사면은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배출구는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경사면의 상기 내부 배출구 측에 근접하는 부위의 높이는 상기 내부 배출구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에는 외부 경사면이 더 구비되고, 상기 외부 경사면은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 배출구는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 경사면의 상기 외부 배출구 측에 근접하는 부위의 높이는 상기 외부 배출구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내부 경사면과 상기 외부 경사면은 기울기가 같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내부 경사면과 상기 외부 경사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가 상기 내부 경사면 또는 상기 외부 경사면에 고정 결합되건, 또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내부 경사면과 상기 외부 경사면에 각각 당접한다.
또한, 유동부재를 보다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부에 고정홀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경사면과 상기 외부 경사면 중의 일방에 제1 고정홈이 구비되고 타방에 제1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홀을 삽입 관통하여 상기 제1 고정홈과 체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 고정홀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와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 중의 일방에 제2 고정홈이 구비되고 타방에 제2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홀을 삽입 관통하여 상기 제2 고정홈과 체결된다.
또한, 들숨의 경우 개폐부가 내부 배출구 측으로 과도적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부 배출구에는 제1 제한 리브가 구비되고, 제1 제한 리브는 상기 내부 배출구를 복수개의 서브 배출구로 분할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유동부재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고정부의 외주연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 배출구의 중심에는 고정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 장착부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날숨의 경우 개폐부가 외부 배출구 측으로 과도적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에는 제2 제한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제한 리브는 외부 배출구의 상하 양단을 가로지르고, 상기 제2 제한 리브의 하측은 상기 내부 배출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를 수용하는 내부 필터 케이스, 외부 필터 케이스, 필터 안착부가 착탈가능한 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내부 필터 케이스와 필터 안착부가 자성 결합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분리 및 결합이 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필터의 교체가 보다 용이해짐과 동시에, 내부 필터 케이스, 외부 필터 케이스 및 필터 안착부의 교체도 용이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에 따라 단일 방향으로 개폐되는 배출 밸브가 구비되고, 이 배출 밸브는, 착용자의 들숨인 경우 개폐부가 내부 배출구 측으로 유동하여 내부 배출구를 완전히 폐쇄시키는 것에 의해 폐쇄되고, 날숨인 경우 개폐부가 외측 배출구 측으로 유동하는 것에 의해 개방되어 내부 배출부를 통해 날숨을 배출시키는 것에 의해, 들숨의 경우 외부의 유해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날숨의 경우는 내쉰 기체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킨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배출 밸브는, 배출 밸브로 흡입되는 공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배출 밸브에 배플(baffle)이 고정되지만, 착용자가 배출 밸브를 통해 숨을 내쉬는 경우 배플이 기체의 효과적인 배출을 저해하고, 내쉰 기체의 습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배출 밸브가 쉽게 습해져서, 먼지의 부착, 세균의 번식, 악취의 발생 등이 용이해지는 종래의 배출 밸브에 있어서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안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과 마스크를 착용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배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내부 배출 케이스가 고정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외부 배출 케이스가 고정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한 리브를 가지는 내부 배출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부와 마스크 본체가 결합된 국부 확대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안착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앞서, 마스크는 일상 생활에서 입 및/또는 코를 통해 체내로 흡입될 수 있는 먼지, 미세먼지, 화학물질, 알레르기성 물질 등의 흡입을 방지하거나, 공장, 건설현장 등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부유분진이나 먼지 등과 같은 유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입과 코를 차폐하도록 착용한다. 마스크는, 일반적으로 마스크 본체와, 필터부를 구비한다. 하지만, 기존의 필터에 있어서, 필터부에 착탈불가로 구비되며 사용 후는 마스크를 버리는 것에 의해 그 버려지는 양이 늘어남에 따라 다른 환경의 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그리고 필터의 교체는 가능하지만 그 교체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필터부(300)는 유해물질 및/또는 알레르기성 물질을 함유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마스크에 적용하는 필터부(300)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말하면, 본원의 필터부(300)는 마스크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기타의 공기 여과용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필터부(300)는, 유해물질 및 또는 알레르기성 물질을 함유한 마스크 외부의 공기를 여과하여 그 여과된 공기를 마스크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필터부(300)는 마스크 본체(100)에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필터(34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여 그 여과된 공기를 마스크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필터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마스크 본체(100)의 필터부 체결홀(102)에 체결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필터부(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300)는 내부 필터 케이스(310), 외부 필터 케이스(320), 필터 안착부(330) 및 필터(340)를 포함한다.
필터 안착부(330)는 내부 필터 케이스(310)와 외부 필터 케이스(320)의 사이에 위치하고, 내부 필터 케이스(310)와 필터 안착부(330)는 탈착가능으로 결합된다.
필터(340)는 필터 안착부(330)와 외부 필터 케이스(320)의 사이에 위치한다.
외부 필터 케이스(320)는 마스크 본체(100)의 외측에 위치하며 필터 안착부(330)와 탈착가능으로 결합되고, 외부 필터 케이스(320)에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필터 안착부(330)에는 제1 관통구가 형성되고, 내부 필터 케이스(310)에는 상기 제1 관통구와 연통되는 제2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필터(340)는 상기 제1 관통구와 상기 유입구 사이의 공기 흐름 통로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필터(340)를 경과하여 상기 제1 관통구에 유입되도록 한다.
필터부(300)를 구성하는 각 부재끼리가 착탈가능으로 결합되므로 부재의 조립, 세정 및 교체가 용이하다.
내부 필터 케이스(310)와 필터 안착부(330)가 착탈가능으로 결합되는 구현 형식으로서는, 내부 필터 케이스(310)와 필터 안착부(330)가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 형식으로서는, 내부 필터 케이스(310)와 필터 안착부(330)가 자석에 의해 자성 결합될 수도 있다. 내부 필터 케이스(310) 및 필터 안착부(330)는 서로 대응하는 일측에 반대 극성으로 마주하는 자석을 구비하여 자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내부 필터 케이스(310)의 테두리에 소정의 두께로 연장하여 형성된 연장부에 자석을 구비하고, 결합시 이와 대응되는 필터 안착부(330)의 테두리 영역에 반대 극성으로 마주하는 자석을 구비함으로써, 내부 필터 케이스(310)와 필터 안착부(330)를 자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내부 필터 케이스(310)와 상기 필터 안착부(330)가 착탈가능으로 결합되는 구현 형식은 상기한 두 가지 구현 형식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필터 안착부(330)는 내부 필터 케이스(310)와 외부 필터 케이스(320)의 사이에 위치되어 필터(340)를 안착시키고, 필터(340)는 외부 공기를 여과하여 마스크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필터(340)는 상기 제1 관통구와 상기 유입구 사이의 공기 흐름 통로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필터(340)를 경과하여 상기 제1 관통구에 유입되도록 한다.
필터 안착부(330)와 외부 필터 케이스(320)가 착탈가능으로 결합되는 구현 형식으로서는, 필터 안착부(330)와 외부 필터 케이스(320)가끼움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필터 안착부(330)와 외부 필터 케이스(320)가 서로 대응하는 일측에 반대 극성으로 마주하는 자석을 구비하여 자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필터 안착부(330)의 테두리 영역에 자석을 구비하고, 결합시 이와 대응되는 외부 필터 케이스(320)의 테두리 영역에 반대 극성으로 마주하는 자석을 구비함으로써, 필터 안착부(330)와 외부 필터 케이스(320)를 자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필터 안착부(330)와 상기 외부 필터 케이스(320)가 착탈가능으로 결합되는 구현 형식은 상기한 두 가지 구현 형식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 안착부(330)와 내부 필터 케이스(310)가 탈착가능으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필터 안착부(330), 필터(340) 및 외부 필터 케이스(320)와 내부 필터 케이스(310)와의 분리 또는 결합이 용이해지고, 필터 안착부(330)와 외부 필터 케이스(320)도 착탈가능한 결합형식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필터 안착부(330)와 외부 필터 케이스(320) 사이의 필터(340)의 교체가 용이해진다.
외부 필터 케이스(320)는 상술한 내부 필터 케이스(310)의 외측에 결합된다. 외부 필터 케이스(320)는 마스크 본체(10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여 필터 안착부(330)에 안착된 필터(340)를 보호할 수 있다. 외부 필터 케이스(32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필터 케이스(320)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재질일 수 있다. 이처럼, 외부 필터 케이스(320)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함에 따라, 필터(340)의 불량 여부 및/또는 오염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필터(340)의 불량 및/또는 오염이 발생한 경우 이를 신속히 교체할 수 있다.
필터(340)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원통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내부가 중공인 주름진 원통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필터(340)는 원주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지게 굴곡진 형태이다. 이처럼, 필터(340)가 주름진 원통형인 경우 다면적을 형성하므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기 전에 다면적을 갖는 주름진 원통형의 필터(340)에 의해 여과되어 필터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원주 방향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기존의 필터와 비교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340)는 원주 방향으로 주름지게 굴곡진 형태를 가지므로 표면적이 증대한다. 이 때, 표면적의 증대는 여과 면적의 증대를 의미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340)를 적용하는 경우 기존의 필터에 비해 여과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340)는 헤파필터(Hepa Filter),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품 물질을 구비하는 필터, 또는 화분 등과 같은 알레르기성 물질을 억제할 수 있는 필터일 수 있다. 헤파필터는 공기 중의 미립자를 여과시키기 위한 공기 정화 장치이다. 헤파필터는 방사성 물질을 취급하는 시설이나, 클린룸 등에서 고도의 청정환경을 만들 때 미세입자를 고효율로 여과하기 위한 필터이다. 또한, 헤파필터는, 화학 실험실과 인간 건강과 안전을 위해 전면적으로 깨끗한 공기 환경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 사용된다.
필터(340)가 중공부를 갖는 원통 형태의 필터의 경우, 필터(340)의 위쪽 일단은 외부 필터 케이스(320)의 내측벽에 당접하고, 필터(340)의 아래쪽 타단은 필터 안착부(330)의 외부 필터 케이스(320) 측을 면향하는 내측벽에 당접하며, 외부 필터 케이스(320)의 유입구는 필터(340)의 상기 중공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필터 안착부(330)의 상기 제1 관통구는 필터 안착부(330)의 테두리와 필터(340)의 테두리 사이에 위치한다. 필터(340)의 양단은 필터 안착부(330)와 외부 필터 케이스(320)에 당접하고, 외부 공기는 외부 필터 케이스(320)의 유입구를 통해 필터(340)의 중공부에 유입되고, 필터(340)에 의해 여과된 공기는 필터 안착부(330)의 테두리와 필터(340)의 테두리 사이의 필터 안착부(330)의 상기 제1 관통구로 유입된다. 결국 여과된 공기는 필터 안착부(330)의 상기 제1 관통구에서 내부 필터 케이스(310)의 상기 제2 관통구로 유입하는 것에 의해 최종적으로 마스크 본체(100)의 내부에 유입된다. 여기서, 필터 안착부(330)의 상기 제1 관통구는 필터 안착부(33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입구는 외부 필터 케이스(320)의 윗쪽면 즉 필터(340)의 중공부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관통구는 필터 안착부(330)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유입구가 외부 필터 케이스(320)의 측면에 구비되고, 제1 관통구는 필터 안착부(330)의 중간 위치에 구비되어 필터(340)의 중공부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 때, 공기는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고 필터(340)를 경과하여 중공부에 유입된 다음 제1 관통구에 유입된다.
안착된 필터(340)가 필터 안착부(330)와 외부 필터 케이스(320) 사이에서 격렬히 움직여서 위치가 가변되어 일부의 공기가 필터(340)를 걸치지 않고 마스크 내부에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 안착부(330)에 외부 필터 케이스(320) 측을 향해 돌출되고 필터(340)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지지 기둥을 구비한다. 지지 기둥이 필터(340)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필터(340)를 지지함과 동시에 필터(340)의 위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필터(340)가 격렬히 움직여서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한다.
내부 필터 케이스(310)와 필터 안착부(330)를 보다 견고히 체결하기 위해, 내부 필터 케이스(310)는 필터 안착부(330)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311)를 구비한다. 돌출부(311)에는 제1 자석(M)이 구비되고, 필터 안착부(330)에는 돌출부(311)와 체결되는 자석 수용부(335)가 구비되고, 자석 수용부(335) 내부에는 제1 자석(M)과 극성이 반대되는 제2 자석(M)이 구비되고, 필터 안착부(330)의 테두리부와 자석 수용부(335)의 바닥부의 테두리부(333) 사이에 필터(340)를 안착시키기 위한 제1 필터 수용홈(331)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11)는 내부 필터 케이스(310)의 중앙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제1 자석(M)을 수용하고, 이 때, 내부 필터 케이스(310)의 돌출부(311)에 구비된 제1 자석(M)과 필터 안착부(330)의 자석 수용부(335)에 구비된 제2 자석(M)은 극성이 반대되는 것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한편, 내부 필터 케이스(310)와 필터 안착부(330)의 체결에 있어서, 돌출부(311)의 돌출된 부분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석 수용부(335)의 내측에 인입되어 끼움결합됨과 동시에 자석에 의해 자성 결합됨으로써, 내부 필터 케이스(310)와 필터 안착부(330)의 체결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여 필터 안착부(330)에 안착되는 필터(340)를 보다 수월히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생산 과정에 있어서, 사출의 원인에 인해 조립 후의 필터 안착부(330)와 내부 필터 케이스(310) 사이에 약 0.1mm의 틈이 생길 수 있고, 또 이런 틈은 필터 안착부(330)와 내부 필터 케이스(310) 사이의 밀폐성을 좋지 않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의 발생을 면하기 위해서는, 필터 안착부(330)와 내부 필터 케이스(310) 사이에 밀폐용 부재(예컨대, 링 또는 개스킷)를 구비할 수 있고, 밀폐용 부재는 유연성 재료를 채용할 수 있고, 예컨대 고무제의 밀폐용 부재일 수 있다.
한편, 필터 안착부(330)는 필터 안착부(330)의 자석 수용부(335)와 바닥부의 테두리부(333) 사이에 필터(340)를 안착시키기 위한 제1 필터 수용홈(3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제1 필터 수용홈(331)은 필터 안착부(330)의 자석 수용부(335)와 바닥부의 테두리부(333) 사이에 형성되되, 일정 깊이를 갖는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필터(340)를 효과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필터 수용홈(331)은 일정 깊이를 갖는 단차를 형성함에 따라, 필터(340)를 필터 안착부(330)에 안착할 때, 필터(3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제1 필터 수용홈(331)이 없는 경우, 필터(340)가 외측 방향으로 밀려나 유출구 쪽에 걸쳐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 필터 케이스(320)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의 유해물질 및/또는 알레르기성 물질을 함유한 공기가 필터(340)에 의해 여과되지 않고 유출구를 통해 마스크 본체(100) 내부로 직접 유입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깊이를 갖는 단차를 형성하는 필터 수용홈(331)에 필터(340)가 안착되므로, 필터(3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필터(340)의 본연의 목적(여과 기능)을 달성하도록 할 수 있다.
필터(340)의 이동을 방지하여 필터(340)의 본연의 목적(여과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즉, 외부 필터 케이스(320)의 내벽에 상기 유입구를 따라 제2 필터 수용홈(321)을 구비한다. 필터(340)의 일단이 제2 필터 수용홈(321) 내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필터(340)의 이동을 방지하여 필터(340)의 본연의 목적(여과 기능)을 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숨을 내쉬는 경우(날숨의 경우)에는 습기를 함유한 기체가 필터부(300)에 진입될 가능성이 있고, 이런 습기는 필터(340)를 습윤(濕潤)시켜 필터(340)의 사용 효과 및 사용 수명에 영향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면하기 위해서는 내부 필터 케이스(310)의 마스크 본체(100) 내측을 향하는 제2 관통구에 밸브 시트를 설치할 수 있다. 숨을 들이마이는 경우(들숨의 경우)에는 밸브 시트가 외부의 공기가 마스크 본체 내로 유입되도록 마스크 내부의 착용자 안면 측으로 유동하여 제2 관통구를 개방시킨다. 숨을 내쉬는 경우(날숨의 경우)에는 밸브 시트가 내쉰 기체가 필터부(300)에 진입하지 않도록 내부 필터 케이스(310) 측으로 유동하여 내부 필터 케이스(310)에 밀착하여 제2 관통구를 완전히 폐쇄시키는 것에 의해, 습기가 필터(340)의 사용 효과 및 사용 수명에 영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시트와 내부 필터 케이스(310)의 연결방식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유동부재(230)와 내부 배출 케이스(210) 및 외부 배출 케이스(220)의 연결방식을 참조하면 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필터 수용홈(331)과 제2 필터 수용홈(321)을 동시에 구비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필터(340)의 일단이 제1 필터 수용홈(331)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필터 수용홈(321)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필터(340)를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필터부(300)에 대해 종합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유해물질 및/또는 알레르기성 물질을 함유한 공기는 외부 필터 케이스(320)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고 필터(340)를 경과하여 여과된다. 이후, 필터(340)에 의해 여과된 공기는 필터 안착부(330)와 내부 필터 케이스(310)에 형성된 유출구(제1 관통구와 제2 관통구)를 통해 마스크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마스크의 착용자는 숨을 들이마시는 경우(들숨인 경우), 필터부(300)에 의해 여과된 깨끗한 공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필터 케이스(320)는 중앙에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를 관통 형성하고, 필터 안착부(330)에 필터(340)를 수용하기 위한 제1 필터 수용홈(331)을 형성하며, 제1 필터 수용홈(331)의 양측에는 필터(340)를 통해 여과된 공기를 마스크 본체(100) 내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제1 관통구)를 관통 형성한다. 또한, 필터(340)는 제1 필터 수용홈(331)에 수용되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는 외부 필터 케이스(320)의 유입구와 대응되고, 주름진 벽면은 외부 필터 케이스(320)의 유입구 및 필터 안착부(330)와 내부 필터 케이스(310)의 유출구 사이에 위치하여,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중공부를 진난 후, 주름진 벽면을 경과하여 여과되어 마스크 본체(100)로 유출되므로, 마스크의 착용자는 숨을 들이마시는 경우, 필터부(300)에 의해 여과된 깨끗한 공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스크를 제공하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100) 및 상기 마스크가 적용하는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300)를 포함한다. 필터부(300)는 마스크 본체(100)의 필터부 체결홀(102)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마스크 본체(100)에 장착된다. 내부 필터 케이스(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스크 본체(10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마스크 본체(100)의 일측에 고정된다. 내부 필터 케이스(310)의 외측 둘레는 일정한 두께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를 더 포함함에 따라, 내부 필터 케이스(310)가 마스크 본체(10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경우 마스크 본체(100)의 외측으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마스크 본체(100)와 접하는 연장부의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마스크 본체(100)에 내부 필터 케이스(310)를 고정할 수도 있다.
필터 안착부(330)와 내부 필터 케이스(310)는 착탈가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필터(340)를 교체하는 경우, 필터 안착부(330), 필터(340) 및 외부 필터 케이스(320)를 마스크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필터 안착부(330)와 외부 필터 케이스(320)도 착탈가능으로 결합할 수 있어 필터 안착부(330)와 외부 필터 케이스(320) 사이의 필터(340)의 교체를 용이하도록 한다.
마스크 본체(100)는 마스크 착용자의 코와 입을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경우 안면부에 밀착되어 밀폐성을 높일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크 본체(100)는 합성 수지, 카본 소재, 고무 재질, 부직포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100)는 착용자의 얼굴 표정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마스크 본체(100)의 내부에는 김서림 방지 또는 물기 응결 방지 기능이 적용된 물질이 도포될 수도 있다. 예컨대, 마스크 본체(100)의 내부에 대해 플라즈마 처리 또는 마스크 본체(100)의 내부에 미세 구조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마스크 본체(100) 내부에 물기의 응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미세 구조는, 예컨대 나노 코팅층 또는 나노 필름을 채용하여 마스크 본체(100) 내부의 거친 미시적 표면을 개변하여 형성된 평활한 미시적 표면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00)는 상부가 착용자의 코 부분을 차폐하도록 위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마스크 본체(100)의 전단부는 착용자의 얼굴 윤곽에 맞추어 코 형상을 따라 볼록하게 튀어 나온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100)와 착용자의 피부가 접하는 부위에는 밀착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밀착부(미도시)는 마스크 본체(100)와 착용자의 피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밀착부(미도시)는 흡착 및/또는 점착성이 높은 재질 예컨대, 젤 및/또는 실리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인해, 마스크 본체(100)와 착용자의 피부 사이는 보다 효과적으로 밀착되어 부착성 및 밀폐성이 보다 높아져 마스크 본체를 착용자의 얼굴에 효과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으며, 외부의 공기가 마스크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마스크 본체(100)에는 후술하는 마스크의 구성들이 체결될 수 있도록 배출 밸브 체결홀(101), 필터부 체결홀(102) 및 스트랩부 체결홀(103)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100)에 구비되는 배출 밸브(200)와, 마스크 본체(100)에 구비되는 스트랩부(착용부)(400)를 더 포함한다. 배출 밸브(200)는 마스크 본체(100)의 배출 밸브 체결홀(101)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마스크 본체(100)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100)는 코와 입에 대응하는 부위가 외부로 돌출되고, 배출 밸브(200)는 마스크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된 부위에 구비되며, 필터부(300)는 배출 밸브(200)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 구비된다. 다시 말해, 배출 밸브(200)는 마스크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한 부위에 구비되고, 필터부(300)는 마스크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부위에 구비된다. 예컨대, 필터부(300)는 마스크 본체(100)의 양측에 구비된다. 마스크 본체(100)는 코와 입에 대응하는 부위를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서 착용자가 내쉰 기체를 외부로 돌출된 부위에 집중시킨다. 이와 동시에, 필터부(300)는 배출 밸브(200)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위에 구비되어서 숨을 내쉴 때에 대량의 기체가 필터부(300)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내쉰 기체가 필터부(300)에 분출되면, 그 기체의 습도가 높기 때문에 필터부(300), 특히 필터부(300)에 구비된 필터(340)가 파손되기 쉽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100)의 하측에는 착용자의 턱 부위의 형상에 대응하는 내측 완곡 구조가 구비되고, 배출 밸브(200)는 상기 내측 완곡 구조에 구비되고, 필터부(300)는 마스크 본체(100)의 측면에 구비된다. 착용자가 코로 숨을 쉴 때 기체는 코구멍에서 하방을 향해 분출되기에, 다시 말하면 분출된 기체의 흐름은 마스크 본체(100)의 밑부분을 향하기에, 코에서 분출된 기체를 보다 원활히 배출하도록 배출 밸브(200)는 마스크 본체(100)의 하측의 내측 완곡 구조에 구비된다. 필터부(300)를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측면에 구비하는 것은, 숨을 내쉴 때에 대량의 기체가 필터부(300)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내쉰 기체가 필터부(300)에 분출되면, 그 기체의 습도가 높기 때문에 필터부(300), 특히 필터부(300)에 구비된 필터(340)가 파손되기 쉽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필터부(300)는 마스크 본체(100)의 착용자의 입과 코에 근접하는 부위에 구비된다. 필터부(300)의 역할은 여과된 깨끗한 공기를 입과 코에 제공하여 들이마시도록 하고, 숨을 들이마시는 경우 마스크 본체(100) 내부에 부압(負壓)을 형성하여 마스크 본체(100)를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시키는 것이다. 이 때 필터부(300)를 마스크 본체(100)의 입과 코에 근접하는 부위에 구비하지 않으면, 마스크 본체(100)와 착용자의 안면부의 밀착이 필터부(300)를 경과하여 처리된 공기가 착용자의 입과 코에로 흐르는 것을 저해하여 착용자의 호흡을 곤란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부(300)를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착용자의 입과 코에 근접하는 부위에 구비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는 마스크 본체(100)의 착용자의 입과 코에 대응하는 부위를 외부로 돌출시켜 구비하고 마스크 본체(100)의 하측에 착용자의 턱과 협력하는 내측 완곡 구조를 구비하고 배출 밸브(200)를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내측 완곡 구조에 구비하는 것에 의해 외부로 돌출된 부위와 안면부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마스크 본체(100)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량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 밸브(200)와 필터부(300)가 마스크 본체(100)에 장착되는 몇가지 상황에 관해 소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배출 밸브(200)와 필터부(300)의 수량도 제한 없이 수요에 따라 배출 밸브와 필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배출 밸브(200)를 용이하게 교체 또는 세정하기 위해, 배출 밸브(200)의 내부 배출 케이스(210)를 마스크 본체(100) 내측에 위치시키고, 배출 밸브(200)의 외부 배출 케이스(220)를 마스크 본체(100) 외측에 위치시키며, 내부 배출 케이스(210)와 외부 배출 케이스(220)를 배출 밸브 체결홀(101)에 체결시킨다. 즉, 내부 배출 케이스(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스크 본체(10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마스크 본체(100)의 일측에 고정된다. 내부 배출 케이스(210)의 외측 둘레는 일정한 두께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를 더 포함함에 따라, 내부 배출 케이스(210)가 마스크 본체(10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경우, 마스크 본체(100)의 외측으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출 밸브(200)의 부재를 용이하게 교체 또는 세정할 수 있다.
한편, 내부 배출 케이스(210)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 본체(100)와 접하는 연장부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마스크 본체(100)에 내부 배출 케이스(210)를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고글(10)과 결합될 수도 있다. 보다 자세하게, 마스크 착용자의 코 부분을 차폐하도록 위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갖는 마스크 본체(100)의 상부 외측에 자석을 구비하고, 자석이 구비된 마스크 본체(100)의 일측과 대응되는 고글(10)의 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에 자석을 구비함으로써, 고글(10)과 마스크 본체(100)는 자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인해, 고글(10)을 마스크에 쉽게 탈착시킬 수 있다. 이 때, 고글(10)은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마스크 착용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다.
배출 밸브(200)는 마스크 본체(100) 내부의 날숨(내 쉬는 숨)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배출 밸브(200)는 마스크 본체(100)의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숨을 내쉬는 경우(날숨인 경우) 개방되어 날숨을 마스크 본체(100)의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시키고, 숨을 들이마시는 경우(들숨인 경우)에는 폐쇄된 상태로 외부의 유해물질 및/또는 알레르기성 물질을 함유한 공기가 마스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 때, 배출 밸브(200)의 개폐는 착용자의 들숨 및/또는 날숨의 여부에 따라 탄성력을 갖는 유동부재(230)의 움직임에 따라 결정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배출 밸브(20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출 밸브(200)는, 내부 배출 케이스(210), 외부 배출 케이스(220) 및 유동부재(230)를 포함한다. 내부 배출 케이스(210)에는 내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 배출 케이스(220)에는 외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배출 케이스(210)와 외부 배출 케이스(220)는 탈착가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내부 배출 케이스(210)와 외부 배출 케이스(220)의 착탈가능한 결합의 구현 형식으로서, 내부 배출 케이스(210)와 외부 배출 케이스(220)는 끼움결합에 의해 배출 밸브(200)를 형성한다. 또 다른 구현 형식으로서, 외부 배출 케이스(220) 및 내부 배출 케이스(210)는 서로 대응되는 일측에 반대 극성으로 마주하는 자석을 구비하여 자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내부 배출 케이스(210)의 외측 둘레에 일정한 두께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에 자석을 구비하고, 결합시 이와 대응되는 외부 배출 케이스(220)의 테두리 영역에 자석을 구비함으로써, 외부 배출 케이스(220) 및 내부 배출 케이스(210)는 자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배출 케이스(210)와 외부 배출 케이스(220)의 착탈가능한 결합의 구현 형식은 상기한 두가지 형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부 배출 케이스(210)의 상기 내부 배출구와 외부 배출 케이스(220)의 상기 외부 배출구는 관통되고, 유동부재(230)는 내부 배출 케이스(210)와 외부 배출 케이스(220) 사이에 위치한다. 유동부재(230)는 서로 연결된 고정부(231)와 개폐부(233)를 포함하고, 개폐부(233)는 상기 내부 배출구와 상기 외부 배출구 사이에 위치한다. 그 중에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 부재(230)는 내부 배출 케이스(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231)는 내부 배출 케이스(2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고, 예컨대, 고정부(231)를 접착제로 내부 배출 케이스(210)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 부재(230)는 외부 배출 케이스(2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231)는 외부 배출 케이스(220)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예컨대, 고정부(231)를 접착제로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220)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231)가 내부 배출 케이스(210)와 외부 케이스(220) 사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그 구현 형식으로서, 고정부(231)는 내부 배출 케이스(210)와 외부 배출 케이스(220)에 구비된 당접면에 의해 내부 배출 케이스(210)와 외부 케이스(220) 사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내부 배출 케이스(210)에 당접면이 구비되고 외부 배출 케이스(220)에 다른 당접면이 구비되고, 양 당접면이 프레스에 의해 당접되는 경우 고정부(231)가 양 당접면에 압접하여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 형식으로서는, 고정부(231)에 고정홀을 구비하고 내부 배출 케이스(210)와 외부 배출 케이스(220) 중의 일방에 제2 고정홈을 구비하고 타방에 제2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홀을 삽입 관통하여 상기 제2 고정홈과 체결될 수 있다.
유동부재(230)는 탄성을 갖는 유연성 시트일 수 있다.
개폐부(233)는 상기 외부 배출구 측과 상기 내부 배출구 측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고, 개폐부(233)의 면적은 내부 배출구의 면적보다는 작지 않고 외부 배출구의 면적보다는 크지 않다. 다시 말해, 고정부(231)는 내부 배출 케이스(210)와 외부 배출 케이스(220) 사이에 고정되고, 고정부(231)와 연결된 개폐부(233)는 상기 내부 배출구와 상기 외부 배출구 사이에 위치하며, 숨을 내쉴 경우(날숨의 경우) 개폐부(233)가 상기 외부 배출구 측으로 유동하여 내쉰 기체를 내부 배출구에서 배출시키고, 숨을 들이마실 경우(들숨의 경우) 개폐부(233)가 상기 내부 배출구 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내부 배출구를 완전히 폐쇄한다. 개폐부(233)의 면적이 상기 내부 배출구의 면적보다 작지않으므로 숨을 들이마실 경우(들숨의 경우) 개폐부(233)가 내부 배출구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고, 개폐부(233)의 면적이 상기 외부 배출구의 면적보다 크지않으므로 숨을 내쉴 경우(날숨의 경우) 개폐부(233)가 상기 외부 배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 배출구의 내외 양측에서 유동할 수 있다.
개폐부(233)와 고정부(231)의 위치관계는 하기와 같은 두 가지가 있다. 첫번째 위치관계에 있어서, 고정부(231)가 유동부재(230)의 일측에 위치하며, 개폐부(233)는 상기 고정부(231)의 일측에 연결된다. 개폐부(233)는 고정부(231)에서 일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내부 배출구 및 상기 외부 배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두번째 위치관계에 있어서, 고정부(231)가 유동부재(230)의 중심에 위치하며, 개폐부(233)는 고정부(231)의 외주연에 연결된다. 사용하는 경우, 숨을 내쉴 경우(날숨의 경우) 개폐부(233)가 마스크 본체(100) 외측으로 유동하고, 숨을 들이마실 경우(들숨의 경우) 개폐부(233)가 마스크 본체(100) 내측으로 유동한다.
개폐부(233)와 고정부(231)가 첫번째 위치관계인 경우, 개폐부(233)는 고정부(231)에서 일측으로 연장하여 내부 배출구 및 외부 배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유동부재(230)의 개폐부(233)를 내부 배출구 측으로 보다 바람직하게 유동시켜 내부 배출 케이스(210)에 밀착시켜 내부 배출구를 완전히 폐쇄시키기 위해,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210)에는 내부 경사면(212)이 구비되고, 내부 경사면(212)은 내부 배출 케이스(210)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배출구는 내부 배출 케이스(210)의 타측에 위치한다. 예컨대, 내부 경사면(212)은 상기 내부 배출구의 상측에 위치하고, 내부 경사면(212)의 상기 내부 배출구 측에 근접하는 부위의 높이는 상기 내부 배출구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의 높이보다 낮다. 외부 배출 케이스(200)에는 외부 경사면(222)이 구비되고, 외부 경사면(222)은 외부 배출 케이스(220)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 배출구는 외부 배출 케이스(220)의 타측에 위치한다. 예컨대, 외부 경사면(222)은 상기 외부 배출구의 상측에 위치하고, 외부 경사면(222)의 상기 외부 배출구 측에 근접하는 부위의 높이는 상기 외부 배출구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의 높이보다 낮다. 내부 경사면(212)과 외부 경사면(222)은 기울기가 같고, 고정부(231)는 내부 경사면(212)과 외부 경사면(222) 사이에 위치하며, 고정부(231)는 각각 내부 경사면(212)과 외부 경사면(222)에 당접한다. 이 때, 고정부(231)는 내부 배출 케이스(210)에 형성된 내부 경사면(212) 및 외부 배출 케이스(220)에 형성된 외부 경사면(222)의 경사 각도에 따라 일정 각도(A)로 기울어지면서 당접되고, 이에 인해 고정부(231)와 개폐부(233) 사이에 협각(夾角)이 형성되어, 숨을 들이마실 경우(들숨의 경우) 개폐부(233)가 보다 효과적으로 내부 배출구 측으로 작용하여 내부 배출 케이스(210)와 밀착하여 내부 배출구를 완전히 폐쇄시킨다. 그 중에서, 내부 경사면(212)이 내부 배출 케이스(210)의 일측에 위치하고, 타측에는 내부 배출구가 위치하고, 마찬가지로 외부 경사면(222)이 외부 배출 케이스(220)의 일측에 위치하고, 타측에는 외부 배출구가 위치한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서 배출 밸브(200)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밸브(200)의 단면도이다.
이 때, 도 11은 들숨의 경우 배출 밸브(200)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날숨의 경우 배출 밸브(200)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유동부재(230)의 일측 즉, 고정부(231)는 일정 각도(A)를 형성하여 마스크 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고정부(231)에서 연장된 개폐부(233)는 마스크 본체(100)의 내측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배출 밸브(200)는 폐쇄된 상태(close)가 되어 외부의 유해물질 및/또는 알레르기성 물질을 함유한 공기가 마스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마스크를 착용하는 착용자가 날숨을 쉬는 경우를 제외한 상황에서, 유동부재(2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되지 않아, 배출 밸브(200)는 시종 폐쇄된 상태(close)를 유지한다. 다시 말해, 착용자가 들숨을 쉬는 경우, 유동부재(230)의 개폐부(233)는 상방으로의 압력에 의해 상방 즉, 마스크 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내부 배출구를 폐쇄시켜, 외부의 유해물질 및/또는 알레르기성 물질을 함유한 공기가 마스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도 12를 참조하면, 마스크를 착용한 착용자가 숨을 내쉬는 경우(날숨인 경우)에는 유동부재(230)의 개폐부(233)가 마스크 본체(100)의 외측으로 유동됨에 따라 배출 밸브(200)는 개방(open)되어 착용자의 내쉰 기체는 마스크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고정부(231)를 내부 경사면(212)과 외부 경사면(222)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은, 고정부(231)를 내부 경사면(212) 또는 외부 경사면(222)에 고정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고정부(231)를 내부 경사면(212)과 외부 경사면(222) 사이에 끼워넣고 내부 경사면(212)과 외부 경사면(222)을 압접시켜 고정부(231)를 내부 경사면(212)과 외부 경사면(222) 사이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유동부재(230)를 보다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해, 특히 고정부(231)를 내부 배출 케이스(210)와 외부 배출 케이스(220) 사이에 고정시키는 경우, 고정부(231)에 고정홀(235)을 구비하고, 내부 경사면(212)과 외부 경사면(222) 중의 일방에 제1 고정홈(211)을 구비하고 타방에 제1 고정돌기(223)를 구비하고, 제1 고정돌기(223)는 고정홀(235)을 삽입 관통하여 제1 고정홈(211)과 체결될 수 있다. 유동부재(230)는 제1 고정돌기(223)가 고정홀(235)을 삽입 관통하여 제1 고정홈(211)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유동부재(23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 경사면(212)에 제1 고정홈(211)이 구비되면 외부 경사면(222)에는 제1 고정홈(211)과 체결되는 제1 고정돌기(223)가 구비되고, 외부 경사면(222)에 제1 고정홈(211)이 구비되면 내부 경사면(212)에는 제1 고정홈(211)과 체결되는 제1 고정돌기(223)가 구비된다.
내부 배출 케이스(210)와 외부 배출 케이스(220) 사이에 내부 경사면(212)과 외부 경사면(222)이 구비되지않은 경우, 고정부(231)에는 고정홀(235)이 구비되고, 내부 배출 케이스(210)와 외부 배출 케이스(220) 중의 일방에 제2 고정홈이 구비되고, 타방에는 제2 고정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홀을 삽입 관통하여 상기 제2 고정홈에 체결된다. 다시 말해, 고정부(231)는 내부 배출 케이스(210) 또는 외부 배출 케이스(2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경사면(212)과 외부 경사면(222)이 압접하는 것에 의해 내부 배출 케이스(210)와 외부 배출 케이스(220) 사이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제2 고정돌기와 상기 제2 고정홈이 체결되는 것에 의해 내부 배출 케이스(210)와 외부 배출 케이스(220) 사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유동부재(230)를 보다 견고히 고정시키는 또 다른 형식으로서는, 내부 경사면(212)과 외부 경사면(222)에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마찰면을 구비하거나, 또는 내부 경사면(212)과 외부 경사면(222)에 서로 협력가능한 철부(凸部) 또는 파형 구조를 구비하여 양자 간의 고정부(231)를 보다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개폐부(233)와 고정부(231)의 두번째 위치관계에 관해, 고정부(231)는 유동부재(230)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고, 개폐부(233)는 고정부(231)의 외주연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내부 배출구의 중심에는 고정 장착부가 구비되며, 고정부(231)는 상기 고정 장착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개폐부(233)는 고정부(231)를 중심으로 연장하여 상기 내부 배출구 및 상기 외부 배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내부 배출구의 면적 이상이며 상기 외부 배출구의 면적보다 크지 않은 면적을 갖는다, 상기 고정 장착부는 장착홀과 장착 로드의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내부 배출구의 중심 위치에 상기 장착홀이 구비되고, 고정부(231)는 상기 장착 로드와 상기 장착홀을 통해 상기 내부 배출구 중심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부(231)는 유동부재(230)의 중심에 구비되고, 고정부(231)는 내부 배출구의 중심 위치에 고정되며, 개폐부(233)는 고정부(231)의 외주연을 둘러 구비되고 개폐부(233)는 유동부재(230)의 중심에 위치하는 고정부(231)를 고정 지점으로 하여 유동시킨다.
숨을 들이마시는 경우(들숨의 경우) 개폐부(233)가 내부 배출구 측으로 과도적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부 배출구에는 제1 제한 리브(213)가 구비되고, 제1 제한 리브(213)는 상기 내부 배출구를 복수개의 서브 배출구로 분할시킨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한 리브(213)의 외부 배출구에 면향하는 측면과 내부 배출구의 외부 배출구에 면향하는 측면은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하고, 제1 제한 리브(213)는 개폐부(233)를 내부 배출구의 외부 배출구에 면향하는 측면 상에 효과적으로 막아 놓을 수 있어, 들숨의 경우 개폐구(233)가 내부 배출구 측으로 과도적으로 유동하여 배출 밸브(200)가 불완전적으로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제한 리브(213)의 중심에 노드(node)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중심의 노드에서 내부 배출구의 테두리로 연장하여 제1 제한 리브(213)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는 재료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부(233)가 내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고정부(231)가 유동부재(230)의 중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내부 배출구 중심의 제1 제한 리브(213)에 고정 장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외부 배출 케이스(220)에는 제2 제한 리브(221)가 구비되고, 제2 제한 리브(221)는 외부 배출구의 상하 양단을 가로지르고, 제2 제한 리브(221)의 하측은 상기 내부 배출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제2 제한 리브(221)는 외부 배출구의 외측에 긴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유동부재(230)의 과도한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제한 리브(221)는 외부 배출구를 가로지르도록 외부 배출 케이스(220)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유동부재(230)가 마스크 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착용자가 말하고 있거나 호흡할 경우에 병균이 배출 밸브(200)로부터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 밸브(200)의 내부 배출구 또는 외부 배출구에 여과용 필름을 구비할 수 있고, 이 여과용 필름은 호흡 시의 개폐부(230)의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의 유동에 영향하지 않는다.
종래의 마스크에 있어서, 끈 부재는 일반적으로 마스크 본체에 직접 연결되며 점연결(點連結)에 거의 가까운 형식으로 마스크 본체에 연결되므로, 착용자가 말을 할 때에 입부의 움직임에 인해 마스크 본체가 점연결 부위를 축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동되어 마스크 전체가 하방으로 처지는 것이 있다. 따라서, 마스크 상부가 코 구멍 부위에서 격리되어 사용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은 마스크의 사용효과에 영향을 주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마스크의 스트랩부(400)를 더 제공한다.
스트랩부(400)는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할 때에 마스크를 착용자의 안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스트랩부(100)는 여러가지 형식으로 마스크를 착용자의 안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경우 귀와 대응되는 위치인 마스크 본체(100)의 일측 끝단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부(4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끈 부재 고정부(420) 및 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끈 부재 고정부(420)는 연결부(410)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부(410)는 마스크 본체(100)에 결합된다. 상기 끈 부재는, 두개의 연결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끈 부재의 일방의 연결단부는 일방의 끈 부재 고정부(420)에 연결되고, 상기 끈 부재의 타방의 연결단부는 타방의 끈 부재 고정부(420)에 연결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끈 부재의 두 연결단부 사이의 간격(L1)은 착용자의 귀의 지름(L2)보다 크고, 상기 귀의 지름(L2)은,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의 귀의 상단에 위치하는 끈 부재와 귀의 하단에 위치하는 끈 부재 사이의 간격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 있어서는, 끈 부재는 마스크 본체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스트랩부(400)를 통해 마스크 본체(100)에 연결된다. 즉, 끈 부재는 마스크 본체(100)에 결합되는 스트랩부(400)의 두 끈 부재 고정부(420)에 연결되고, 두 끈 부재 고정부(420)는, 두 끈 부재 고정부(420)에 연결된 끈 부재의 두 연결단부의 사이의 간격(L1)이 착용자의 귀의 지름(L2)보다 크거나 같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있다. 끈 부재의 두 연결단부의 사이의 간격(L1)이 착용자의 귀의 지름(L2)과 같은 경우 상방에 위치하는 끈과 하방에 위치하는 끈은 평행상태로 된다. 끈 부재의 두 연결단부의 사이의 간격(L1)이 착용자의 귀의 지름(L2)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끈 부재의 두 연결단부가 끈 부재와 마스크 본체(100) 사이의 힘을 공동으로 부담하여 받는 힘이 보다 균일해지므로, 착용자가 말을 하고 있더라도 입부의 움직임에 인한 마스크 본체의 회동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최상단(A)과, 끈 부재의 위측에 위치하는 연결단부(B)와, 상기 끈 부재의 귀의 상단과의 접촉점(C)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의 세 점(A, B, C)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마스크를 착용시의 안정성이 최적이고, 말을 할 때에 마스크 본체(100)의 상단이 처지지 않음과 동시에 마스크 전반의 외관에도 영향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끈 부재 고정부(420)에는 끈 부재 삽입홀(423)이 구비되고, 상기 끈 부재의 연결단부가 상기 끈 부재 삽입홀(423)을 통과한 후 끈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매듭이 형성된다.
끈 부재는, 착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된 고무줄 등과 같은 신축성이 있는 밴드 형태일 수 있다. 끈 부재와 끈 부재 고정부(420)의 연결방식은, 예컨대 끈 부재의 두 연결단부를 두 끈 부재 고정부(420)에 직접 접착시키거나, 또는 각각 끈 부재 삽입홀(423)을 지난 끈 부재의 양단에 매듭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먼저 일방의 끈 부재 삽입홀(423)을 통과한 끈 부재의 일방의 연결단부에 매듭을 형성한 다음, 끈 부재의 타방의 연결단부를 타방의 끈 부재 삽입홀(423)을 통과시키면서 착용한 마스크가 착용자의 안면에 고정되도록 끈 부재의 길이를 조절하고 매듭을 형성한다. 이런 연결방식의 이점은 착용자가 자신의 상황에 맞춰 끈 부재의 조임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끈 부재의 교환이 편리한 점에 있다.
이 때, 끈 부재의 매듭진 부분이 돌출되어 있고,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경우 매듭진 부분이 얼굴의 피부에 접촉되어 불편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제공한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해,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끈 부재 고정부(420) 내측에는, 상기 매듭이 수용되도록 끈 부재 고정부(420) 외측으로 옴폭하게 들어간 끈 부재 수용홈(421)이 구비되어 있다.
끈 부재 고정부(420) 내측은 마스크 본체(100) 내측을 향하는 측을 말하고, 끈 부재 고정부(420) 외측은 마스크 본체(100) 외측을 향하는 측을 말한다.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경우, 끈 부재 고정부(420) 내측의 끈 부재 수용홈(421)과 얼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하게 되고, 끈 부재의 매듭은 끈 부재 수용홈(421) 내에 수용하게 되므로 매듭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끈 부재의 매듭진 부분으로 인해 착용시 불편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매듭이 끈 부재 수용홈(421)에 수용되므로 스트랩부(400)와 마스크 본체(100)의 체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해, 도 15를 참조하면, 끈 부재 고정부(420) 내측에는, 끈 부재 삽입홀(423)에 대응하도록 주머니부(424)가 구비되고, 상기 매듭은 주머니부(424)에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머니부(424)와 끈 부재 고정부(420) 내측면 사이에 끈 부재 삽입홀(423)을 포위하는 공간 구조가 형성된다. 이 공간 구조의 일단은 개방되고, 끈 부재 삽입홀(423)은 공간 구조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경우, 끈 부재의 매듭이 주머니부(424) 내에 수용되어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끈 부재의 매듭진 부분으로 인해 착용시 불편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문제를 보다 바람직하게 해결하기 위해,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를 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끈 부재 고정부(420) 내측에 상기 매듭이 수용되도록 상기 끈 부재 고정부(420) 외측으로 옴폭하게 들어간 끈 부재 수용홈(421)이 구비됨과 동시에, 끈 부재 고정부(420) 내측에 끈 부재 삽입홀(423)에 대응하도록 주머니부(424)가 구비될 수 있다. 그 구체적 내용은 상기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부(410)와 마스크 본체(100)의 연결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 일종으로서는, 도 14를 참조하면, 연결부(410)에는 마스크 본체(100)와 체결되는 막대기모양 후크부(411)가 구비되고, 마스크 본체(100)에는 스트랩부 체결홀(103)이 구비되며, 막대기모양 후크부(411)와 스트랩부 체결홀(103)은 끼임 결합된다.
막대기모양 후크부(411)와 스트랩부 체결홀(103)가 끼임 결합되는 것에 의해, 스트랩부(400)와 마스크 본체(100)의 연결부위는, 점(點)형태의 구조가 아닌 긴 막대기 구조를 이룬다. 긴 막대기 구조는, 마스크 본체가 연결부위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연결방식으로서는,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연결부(410)에는 마스크 본체(100)와 체결되는 복수 개의 돌기(425)가 구비되고, 마스크 본체(100)에는 돌기(425)와 결합되는 안착홀이 구비되며, 돌기(425)와 상기 안착홀이 끼임 결합된다. 복수개의 돌기(425)는 연결부(410)에 분산되어 구비된다.
복수개의 돌기(425)는 연결부(410)에 분산되어 구비된다는 것은 복수개의 돌기(425)가 집중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것을 말한다. 즉, 복수개의 돌기(425)가 대응하는 안착홀과 체결 후의 스트랩부(400)와 마스크 본체(100)의 연결은 점형태가 아니고, 마스크 본체(100)는 돌기(425)와 대응 안착홀의 연결부위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지 않는다.
상기의 연결부(410)와 마스크 본체(100)의 연결방식은, 모두 막대기모양 후크부(411) 또는 돌기(425)를 통해 스트랩부(400)를 마스크 본체(100)에 결합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연결부(410)와 마스크 본체(100)는 자성에 의해 자성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두개의 스트랩부(400)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마스크 본체(1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일방의 스크랩부(400)는 끼임 결합에 의해 마스크 본체(100)에 결합되고, 타방의 스트랩부(400)는 자성 결합에 의해 마스크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410)의 마스크 본체(100)에 접촉하는 측에 자석을 구비하고 마스크 본체(100)의 연결부(410)에 구비된 자석과 대응하는 위치에 자석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스트랩부(400)와 마스크 본체(100)는 자성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성으로 스트랩부(400)와 마스크 본체(100)를 결합시키는 것은, 스트랩부(400)에 연결된 끈 부재가 귀에 걸 수 없는 밴드 형태인 경우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함에 있어서의 불편함을 최대한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이다. 즉, 끈 부재가 밴드 형태이고 두개의 스트랩부(400) 중의 어느 하나가 자성에 의해 마스크 본체(100)에 결합되는 경우, 먼저 마스크 착용자는 마스크 본체(100)를 얼굴에 당접시킨 후, 마대기모양 후쿠부(411)에 의해 스트랩부 안착홀(103)에 체결된 스트랩부(400)에 연결된 밴드 형태의 끈 부재를 머리 뒤로 돌린 다음 자석이 구비된 스트랩부(400)를 자석이 구비된 마스크 본체(100) 측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마스크 착용자가 보다 쉽게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다.
스트랩부(400)와 마스크 본체(100)의 결합을 보다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 상기 끈 부재 고정부(420)의 하단와 상기 마스크 본체(100)이 연결된다.
끈 부재 고정부(420)의 하단은 끈 부재 연결단부가 연결되지 않는 끈 부재 고정부(420)의 일단을 말하고, 스트랩부(400)는 중간의 연결부(410)만이 마스크 본체(100)와 연결되고, 착용시에는 끈 부재의 인장력에 의해 연결부(410) 양단의 끈 부재 고정부(420)가 쉽게 외측으로 들리는 것에 의해 연결부(410)와 마스크 본체(100)의 연결의 안정성에 영향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끈 부재 고정부(420)의 하단과 상기 마스크 본체(100)를 연결하여 끈 부재 고정부(420)를 마스크 본체(100)에 고정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마스크의 스트랩부(400)의 상기 연결부(410)의 상방 및 하방에는 각각 C자모양의 결구(缺口)가 형성되어 있다.
착용시에, 상기 결구는 끈 부재의 인장력에 의해 두개의 끈 부재 고정부(420) 내측과 마스크 본체(100)가 보다 좋게 밀착되도록 한다.
게다가, 상기 두개의 끈 부재 고정부(420)와 상기 연결부(410)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랩부(40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0)도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물론, 두개의 끈 부재 고정부(420)와 상기 연결부(410)의 연결방식, 스트랩부(40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연결방식은 상기한 연결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의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마스크 본체
101: 배출 밸브 체결홀
102: 필터부 체결홀
103: 스트랩부 체결홀
200: 배출 밸브
210: 내부 배출 케이스
211: 제1 고정홈
212: 내부 경사면
213: 제1 제한 리브
220: 외부 배출 케이스
221: 제2 제한 리브
222: 외부 경사면
223: 제1 고정돌기
230: 유동부재
231: 고정부
233: 개폐부
235: 고정홀
300: 필터부
310: 내부 필터 케이스
311: 돌출부
320: 외부 필터 케이스
321: 제2 필터 수용홈
330: 필터 안착부
331: 제1 필터 수용홈
333: 테두리부
335: 자석 수용부
340: 필터
400: 스트랩부(착용부)
410: 연결부
411: 막대기모양 후크부
420: 끈 부재 고정부
421: 끈 부재 수용홈
423: 끈 부재 인입홀
424: 주머니부
425: 돌기
10: 고글

Claims (16)

  1. 내부 필터 케이스, 외부 필터 케이스, 필터 안착부, 및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안착부는, 상기 내부 필터 케이스와 상기 외부 필터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안착부는 착탈가능으로 결합되고,
    상기 외부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안착부는 착탈가능으로 결합되고, 상기 외부 필터 케이스에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 안착부에는 제1 관통구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 필터 케이스에는 상기 제1 관통구와 관통되는 제2 관통구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를 경과하여 상기 제1 관통구에 유입되도록 상기 제1 관통구와 상기 유입구 사이의 공기 흐름 통로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여과용 필터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원통 형태이고,
    상기 필터의 일단은 상기 외부 필터 케이스의 내측벽에 당접하고, 상기 필터의 타단은 상기 필터 안착부의 상기 외부 필터 케이스측을 향하는 내측벽에 당접하고,
    상기 외부 필터 케이스의 유입구는 상기 중공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관통구는 상기 필터 안착부의 테두리와 상기 필터의 테두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여과용 필터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안착부의 상기 외부 필터 케이스을 향하는 일측에 상기 외부 필터 케이스를 향해 돌출된 지지 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필터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여과용 필터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안착부는 자석에 의해 자성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여과용 필터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필터 케이스에는 상기 필터 안착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제1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필터 안착부에는 상기 돌출부와 체결되는 자석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자석 수용부 내부에는 상기 제1 자석과 극성이 반대되는 제2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필터 안착부의 테두리부와 상기 자석 수용부의 바닥부의 테두리부 사이에 상기 필터를 안착시키기 위한 제1 필터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여과용 필터부.
  6.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필터 케이스의 내측벽에는 상기 유입구를 둘러 제2 필터 수용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여과용 필터부.
  7. 필터부 체결홀을 구비하는 마스크 본체; 및
    상기 필터부 체결홀을 통해 상기 마스크 본체에 장착되는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의 필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필터 케이스는 상기 필터부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의 외측 둘레는 일정한 두께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상기 마스크 본체에 구비되는 배출 밸브와, 상기 마스크 본체에 구비되는 착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코와 입에 대응하는 부위가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배출 밸브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출 밸브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하측에는, 착용자의 턱 부위와 협력하는 내측 완곡 구조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 밸브는 상기 내측 완곡 구조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2. 제 9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착용자의 입과 코에 근접하는 부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밸브는, 내부 배출 케이스, 외부 배출 케이스 및 유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 케이스에는 내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에는 외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와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는 탈착가능으로 결합되고, 상기 내부 배출구와 상기 외부 배출구는 관통하고,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와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연결된 고정부와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내부 배출구와 상기 외부 배출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에 고정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외부 배출구 측과 상기 내부 배출구 측 사이에서 유동하고, 상기 개폐부의 면적은 상기 내부 배출구의 면적보다는 작지 않고 상기 외부 배출구의 면적보다는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유동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에는 내부 경사면이 더 구비되고, 상기 내부 경사면은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배출구는 상기 내부 배출 케이스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경사면의 상기 내부 배출구 측에 근접하는 부위의 높이는 상기 내부 배출구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에는 외부 경사면이 더 구비되고, 상기 외부 경사면은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 배출구는 상기 외부 배출 케이스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 경사면의 상기 외부 배출구 측에 근접하는 부위의 높이는 상기 외부 배출구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내부 경사면과 상기 외부 경사면은 기울기가 같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내부 경사면과 상기 외부 경사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가 상기 내부 경사면 또는 상기 외부 경사면에 고정 결합되건, 또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내부 경사면과 상기 외부 경사면에 각각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고정홀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경사면과 상기 외부 경사면 중의 일방에 제1 고정홈이 구비되고 타방에 제1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홀을 삽입 관통하여 상기 제1 고정홈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190133127A 2018-11-06 2019-10-24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여과용 필터부 및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KR202000522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052974.3A CN111135492A (zh) 2018-11-06 2019-10-31 易于更换过滤器的过滤空气用过滤部及带有过滤部的口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190 2018-11-06
KR20180135190 2018-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217A true KR20200052217A (ko) 2020-05-14

Family

ID=707371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128A KR20200052218A (ko) 2018-11-06 2019-10-24 마스크용 배출 밸브,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및 상기 마스크의 착용부
KR1020190133127A KR20200052217A (ko) 2018-11-06 2019-10-24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여과용 필터부 및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128A KR20200052218A (ko) 2018-11-06 2019-10-24 마스크용 배출 밸브,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및 상기 마스크의 착용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05221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286B1 (ko) * 2021-07-28 2022-02-23 주식회사 씨에이랩 기계식 마스크
KR20220037830A (ko) * 2020-09-18 2022-03-25 주식회사 루터스시스템 기밀성 향상 구조를 갖는 차세대 마스크
KR20220075252A (ko) * 2020-11-29 2022-06-08 주식회사 씨에이랩 기계식 마스크
KR20220123888A (ko) * 2021-03-02 2022-09-13 권희택 투명필름이 구비된 일회용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90630A (zh) * 2020-09-17 2022-03-18 捷科罗股份有限公司 口罩用风扇过滤装置
EP4218945A1 (en) * 2022-01-28 2023-08-02 MANN+HUMMEL Vokes Air GmbH & Co. OHG Filter element for a breathing apparatus, filter device, breathing apparatus, and use of a filter ele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830A (ko) * 2020-09-18 2022-03-25 주식회사 루터스시스템 기밀성 향상 구조를 갖는 차세대 마스크
KR20220075252A (ko) * 2020-11-29 2022-06-08 주식회사 씨에이랩 기계식 마스크
KR20220123888A (ko) * 2021-03-02 2022-09-13 권희택 투명필름이 구비된 일회용 마스크
KR102366286B1 (ko) * 2021-07-28 2022-02-23 주식회사 씨에이랩 기계식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218A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2217A (ko)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여과용 필터부 및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KR101619487B1 (ko) 기능성 마스크
US6817362B2 (en) Respirator
US20170065838A1 (en) Filtering facemask holder
KR101619494B1 (ko) 흡입부 분리형 기능성 마스크
KR102036025B1 (ko) 휴대성을 위해 목에 착용하는 일회용 마스크
KR20200016489A (ko) 영역분리구조를 갖는 배기정화형 공기 청정 마스크
JP2018512235A (ja) 汚染物質吸入防止用マスク
US20200061399A1 (en) Venus Flu Trap
WO2015168077A1 (en) Filtering face respirator having optimized facial filter location
US20230132896A1 (en) Facemask With Facial Seal And Seal Test Device
CN111135492A (zh) 易于更换过滤器的过滤空气用过滤部及带有过滤部的口罩
KR20170085627A (ko) 안면 마스크
US20220362591A1 (en) Nasal device with air filter
KR101863286B1 (ko) 안면 마스크
WO2021236955A1 (en) Respirator mask for long-term use
GB2597641A (en) Adjustable face mask
US20230181943A1 (en) Respirator mask for long-term use
US20210316169A1 (en) Reusable Respirator Mask Apparatus
CN111135495A (zh) 口罩用排出阀、带有该排出阀的口罩及该口罩的挂带部
CN215501461U (zh) 一种口罩
US10888722B2 (en) Adjustable breathing apparatus
US20210220679A1 (en) Filter-type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
KR20210003367A (ko) 미세 먼지용 마스크
KR20230054703A (ko) 호흡기 보호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