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8482A -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 - Google Patents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8482A
KR20050028482A KR1020030064754A KR20030064754A KR20050028482A KR 20050028482 A KR20050028482 A KR 20050028482A KR 1020030064754 A KR1020030064754 A KR 1020030064754A KR 20030064754 A KR20030064754 A KR 20030064754A KR 20050028482 A KR20050028482 A KR 20050028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face mask
fastening
protrusion
seal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5926B1 (ko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03-0064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926B1/ko
Publication of KR20050028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9/00Cartridges with absorbing substances for respiratory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독성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독면에 관한것으로서, 안면에 착용되는 안면마스크의 양측에 체결구삽입구멍을 관통형성하고, 이 체결구삽입구멍에 정화통과 나사결합하는 정화통체결구를 조립 장착하되; 상기 정화통체결구는 내주면에 상기 정화통과 나사결합하는 나사부 및, 흡기밸브가 걸려 고정되는 스토퍼판을 가지며, 후단에는 서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돌기 및 걸림판이 상기 체결구삽입구멍의 내·외측에서 걸려 고정되는 원통형의 체결구본체와; 상기 체결구본체의 걸림돌기 전방측 선단 외주면에서 체결수단에 의해 억지끼워 맞춤으로 체결됨으로써, 테두리가 상기 걸림판 전방의 상기 안면마스크를 가압하여 기밀상태로 만들면서 체결구본체를 안면마스크상에 고정시키는 오목하게 형성된 환상의 실링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정화통체결구를 안면마스크에 간단히 조립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방독면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GAS MASK HAVING CANISTER CONNECTION STRUCTURE OF CONSTRUCTING TYPE}
본 발명은 유독성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독면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정화통을 연결시키는 연결구를 방독면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방독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화학전이나 생물학전, 방사능전 등의 위급상황에서 발생되는 유독성 오염물질이 인체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안면에 착용하며, 이를 착용함으로써 사람은 오염지역에서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독면은 본 발명에 앞서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되어 1999년 4월 23일자로 등록된 등록번호 제20-152227호(명칭: 방독면)에 잘 나타나 있으며,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등록된 실용신안에 기재된 방독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방독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독면의 정화통연결부분을 확대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방독면은 미도시된 머리를 감싸는 신축섬유밴드에 버클(미도시)로 연결되어 안면에 착용되는 연질 고무재의 안면마스크(10)와, 안면마스크(1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어 외부를 투시하는 투시렌즈(2)와, 투시렌즈(2)의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음성을 전달하는 전성판(3)과, 전성판(3)의 하부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호흡을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밸브(4) 및, 안면마스크(10)의 하부 양측에 원통형으로 돌출되어 연장형성되고, 정화통(20)을 연결하는 정화통체결구(6)가 매설 고정된 한쌍의 정화통연결보스(5: 정화통연결boss)로 구성된다.
여기서, 정화통(20)은 흡기밸브(22)와 함께 한쌍의 정화통연결보스(5)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연결되며, 정화통(20)이 체결되지 않은 다른 정화통연결보스(5)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를 취수하는 취수구(30)가 실링부재(33) 및 이탈방지커버(32)와 함께 체결되어 연결된다.
이때, 정화통연결보스(5)에 매설되는 정화통체결구(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암나사부(6a)가 형성된 일반적인 유니온너트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며, 안면마스크(10)와 달리 플라스틱재나 알루미늄재질로 형성되어 안면마스크(10)의 성형시 정화통연결보스(5)에 인서트(insert)되어 매설되거나, 외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부착됨으로써 매설된다.
이와 달리 정화통체결구(6)를 정화통연결보스(5)에 삽입한 후 정화통연결보스(5)의 외주면을 미도시된 링형 클램프로 클램핑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정화통(20)은 후방으로 돌출된 수나사부(20a)가 정화통체결구(6)의 암나사부(6a)에 체결됨으로써 정화통연결보스(5)에 연결된다.
이러한 정화통체결구(6)는 정화통(20)이 연결되려면 암나사부(6a)가 형성되어야 하며, 이로 인하여 정화통체결구(6)는 암나사부(6a)의 탭 높이에 대응되는 일정 높이를 갖는다.
그러므로, 정화통연결보스(5)는 일정 높이를 갖는 정화통체결구(6)를 수용하기 위하여 정화통체결구(6)의 높이에 상응되도록 안면마스크(10)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야 하므로, 일반적인 보스(boss)의 모양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방독면은 정화통연결보스(5)에 정화통체결구(6)를 인서트 하거나, 접착제로 부착하여 매설 고정하거나, 또는 삽입된 정화통체결구(6)를 클램프로 클램핑하므로 방독면의 제조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정화통체결구(6)를 인서트할 경우 고무재의 정화통연결보스(5)가 정화통체결구(6)로 흘러내리면서 경화되어 정화통체결구(6)의 암나사부(6a)를 차폐시키는 문제도 발생하므로, 인서트가 완료되면 경화된 고무재 버(burr)를 칼로 제거하는 작업을 연이어서 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버의 제거작업으로 인하여 방독면의 제조시간이 연장되는 문제도 있다.
물론, 정화통체결구(6)를 접착제로 매설할 경우에는 버 제거작업은 불필요 하지만, 대신 접착시 정화통연결보스(5)의 외부로 유출된 접착제를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접착제로 매설할 경우 가장 심각한 문제는 접착제의 접착력이 약화되면 정화통체결구(6)가 이탈되어 외부의 유독성 물질이 방독면에 유입되는 것이 가장 치명적인 문제이다.
아울러, 정화통체결구(6)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정화통연결보스(5)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안면마스크(10)의 성형시 고무재를 과다하게 투입함으로써 재료비가 상승되어, 급기야 방독면의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안면마스크에 종래에서 처럼 돌출된 정화통연결보스를 형성하지 않고, 정화통체결구를 삽입하는 구멍만 형성하여, 그 구멍에 정화통체결구를 간단히 조립 장착할 수 있어 방독면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면마스크를 성형하기 위한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은, 안면에 착용되는 안면마스크(10)와, 안면마스크(10)의 상부에 구비된 투시렌즈(2)와, 투시렌즈(2)의 하부에 구비되는 전성판(3) 및 배기밸브(4)와, 안면마스크(10)의 내부와 연통상태로 구비되는 관형상의 취수구(30)를 포함하는 방독면에 있어서, 상기 안면마스크(10)는 양측에 체결구삽입구멍(50)을 관통형성하고, 이 체결구삽입구멍(50)에 정화통(20)과 나사결합하는 정화통체결구(100)를 조립 장착하되; 상기 정화통체결구(100)는 내주면에 상기 정화통(20)과 나사결합하는 나사부(110a) 및, 흡기밸브(22)가 걸려 고정되는 스토퍼판(118)을 가지며, 후단에는 서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14) 및 걸림판(116)이 상기 체결구삽입구멍(50)의 내·외측에서 걸려 고정되는 원통형의 체결구본체(110)와; 상기 체결구본체(110)의 걸림돌기(114) 전방측 선단 외주면에서 체결수단에 의해 억지끼워 맞춤으로 체결됨으로써, 테두리가 상기 걸림판(118) 전방의 상기 안면마스크(10)를 가압하여 기밀상태로 만들면서 체결구본체(110)를 안면마스크(10)상에 고정시키는 오목하게 형성된 환상의 실링캡(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정화통체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정화통체결구의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은 미도시된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신축섬유밴드에 버클(미도시)로 연결되거나, 미도시된 두건 등에 연결되어 안면에 착용되는 연질 고무재의 안면마스크(10)와, 안면마스크(1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어 외부를 투시하는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투시렌즈(2)와, 투시렌즈(2)의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음성을 전달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배출공기를 배기하는 전성판(3) 및 배기밸브(4)와, 안면마스크(10)의 일측에 안면마스크(10)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외부의 음료가 공급되는 관형상의 취수구(30)를 포함한다.
이때, 안면마스크(10)의 하부 양측에는 원형의 체결구삽입구멍(50)을 관통형성하여, 체결구삽입구멍(50)에 정화통(20)의 수나사부(20a)와 나사결합함으로써 안면마스크(10)에 정화통(20)을 연결하는 플라스틱재 정화통체결구(100)를 조립 장착한다.
이러한, 정화통체결구(100)는 내주면에 상기 정화통(20)과 나사결합하는 나사부(110a) 및, 흡기밸브(22)가 걸려 고정되는 스토퍼판(118)을 가지며, 후단에는 서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14) 및 걸림판(116)이 체결구삽입구멍(50)의 내·외측에서 걸려 고정되는 원통형의 체결구본체(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체결구본체(110)의 걸림돌기(114) 전방측 선단 외주면에서 체결수단에 의해 억지끼워 맞춤으로 체결됨으로써, 테두리가 스토퍼판(118) 외측의 안면마스크(10)를 가압하여 기밀상태로 만들면서 체결구본체(110)를 안면마스크(10)상에 고정시키는 환상의 실링캡(120)을 포함한다.
이때, 체결구본체(110)의 고정돌기(114)와 걸림판(116) 사이의 이격 거리는 안면마스크(10)의 두께에 상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며, 만약 안면마스크(10)의 두께가 고정돌기(114)와 걸림판(116) 사이의 이격폭 보다 얇을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삽입구멍(50) 주변에 방크(bank) 형태의 돌출된 보강리브(5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아우러, 실링캡(120)은 중앙에 구멍을 갖는 환상으로 형성하되, 테두리가 체결구삽입구멍(50) 주벽을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오목한 모양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여기서, 체결수단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체결수단은 체결구본체(110)의 걸림돌기(114)에서 전방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반구형 단면을 갖는 체결돌기(112)를 형성하고, 실링캡(120)의 내주면측 선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전방 돌출된 걸림턱(122)의 내경을 체결돌기(112)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하여, 실링캡(120)의 걸림턱(122)을 체결돌기(112)에 억지끼움으로 관통시켜서 걸림턱(122)이 확장 및 수축되면서 체결돌기(112)의 후방에 걸림으로써 체결력을 유지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체결돌기(112)의 배면은 실링캡(120)의 걸림턱(122)의 선단부가 걸려 고정되도록 평면가공하고, 체결구본체(110)의 체결돌기(112)와 고정돌기(114)는 실링캡(120)의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간극으로 이격형성한다.
한편, 체결구본체(110)의 걸림돌기(114)는 외주면에 후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경사를 형성하고, 상기 실링캡(120)의 내주면에는 이 걸림돌기(114)의 경사에 대응되는 경사면(120a)을 형성하여, 체결구본체(110)와 실링캡(120)의 체결시 실링캡(120)에 가압됨으로써 발생되는 상기 체결구삽입구멍(50) 주변의 상기 안면마스크(1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실링캡(120)이 경사면(120a)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체결구본체(110)는 경사에 의하여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실링캡(12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캡(120)의 배면 테두리에서 원주를 따라 칼날과 같이 형성된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가압돌기(124)를 돌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화통체결구(100)를 안면마스크(10)에 조립 장착하려면, 우선 안면마스크(10)의 체결구삽입구멍(50)에 체결구본체(110)를 관통시켜서 걸림돌기(114)와 걸림판(116)이 체결구삽입구멍(50)의 내·외측에서 걸리도록 한다.
즉, 걸림돌기(114)와 걸림판(116) 사이에 체결구삽입구멍(50)이 위치하도록 하여, 걸림돌기(114)와 걸림판(116)이 체결구삽입구멍(50) 주변의 안면마스크(10)에 걸리도록 한다.
그러면, 체결구본체(110)는 걸림돌기(114)와 걸림판(116)에 의하여 체결구삽입구멍(50)의 안면마스크(10)상에 걸리게되며, 이로 인하여 체결구본체(110)는 고정돌기(114)와 선단에 형성된 체결돌기(112)가 안면마스크(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계속해서, 체결구본체(110)가 안면마스크(10)에 걸리면, 안면마스크(10) 외측으로 노출된 체결구본체(110)의 선단에 실링캡(120)을 압입하여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한다.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노출된 체결구본체(110)의 체결돌기(112)에 실링캡(120)을 압입하면, 내경이 체결돌기(112)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된 링캡(120)의 걸림턱(122)은, 자체탄성력으로 확장되면서 체결돌기(112)의 외측 라운드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체결돌기(112)를 관통한 후 '딱' 소리와 함께 다시 수축되어 체결돌기(112)의 배면, 즉 체결돌기(112)와 고정돌기(114) 사이에 걸림으로써 체결력이 유지된다.
이때, 실링캡(120)의 배면 테두리는 체결구삽입구멍(50)의 주변을 가압하되, 체결구본체(110)의 걸림판(116) 전방에 위치한 안면마스크(10)를 가압하여 체결구본체(110)의 선단부 외주면을 외부와 차폐시켜 기밀상태를 만듦과 동시에, 가압된 안면마스크(10)가 걸림판(116)을 가압하도록 하여 안면마스크(10)와 체결구본체(110)를 일체로 만든다.
따라서, 체결구본체(110)와 실링캡(120)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서로 체결되면서 안면마스크(10)상에서 이탈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실링캡(120)의 배면에 형성된 가압돌기(124)는 체결구삽입구멍(50)의 테두리주변을 가압하면서 웨지(wedge)고정되므로 보다 확실한 기밀상태를 만든다.
물론, 이러한 기밀상태에서 정화통(20)을 정화통체결구(100)에 체결하면, 정화통체결구(100)는 완전하게 외부와 차단되므로 외부의 오염물질은 안면마스크(10) 내부로 일절 유입되지 못한다.
한편, 실링캡(120)은 걸림턱(122)이 체결구본체(110)의 체결돌기(112)를 관통한 후 고정될 때, 가압되는 가압력으로 인하여 체결돌기(112)의 후방으로 밀린 후 다시 전방으로 돌아와서 체결돌기(112)에 걸려 고정된다.
이렇게 실링캡(120)이 압입력에 의하여 후방 및 전방 왕복하는 이유는 체결구본체(110)의 걸림돌기(114)에 형성된 경사와, 그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면(120a)으로 인하여 실링캡(120)이 슬라이딩하면서 체결구삽입구멍(50) 주변의 안면마스크(10)를 가압하기 때문이다.
즉, 실링캡(120)의 후방 슬라이딩시, 실링캡(120)의 테두리는 체결구삽입구멍(50) 주변의 안면마스크(10)를 가압하게되며, 가압된 안면마스크(10)는 자체탄성력으로 실링캡(120)을 다시 전방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실링캡(120)은 경사면(120a)을 따라 전방으로 다시 슬라이딩되고, 결국 걸림턱(122)이 체결돌기(112)의 배면에 걸려서 고정된다.
이렇게 실링캡(120)이 안면마스크(10)를 가압한 후 걸려 고정됨에 따라 실링캡(120)의 배면은 보다 확실하게 안면마스크(10)에 밀착될 뿐만 아니라, 실링캡(120)에 의하여 가압되었던 안면마스크(10)를 원상태 보다 덜 복귀되도록 가압할 수 있으므로, 안면마스크(10)가 실링캡(120)의 테두리를 탄성력으로 계속 밀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실링캡(120) 배면의 가압돌기(1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마스크(10)에 웨지고정되며, 이러한 경우 외부 오염물질은 안면마스크(10)와 밀착된 실링캡(120)의 배면 테두리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차단되고, 가압돌기(124)에 의하여 이차적으로 차단된다.
다시 말하면, 오염물질은 실링캡(120) 테두리와 가압돌기(124)에 의하여 이중으로 차단된다.
이렇게 안면마스크(10)에 정화통체결구(100)가 조립 장착되면, 비로소 정화통체결구(100)에 정화통(20)을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정화통체결구(100)는 안면마스크(10)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구삽입구멍(50)에 모두 삽입되어 조립 장착되며, 정화통(20)은 이 중 한 곳에만 흡기밸브(22)와 함께 나사결합된다.
그러므로, 다른 한쪽의 정화통체결구(100)에는 종래와 같이(도 1 참고) 취수구(30)를 실링부재 및 커버와 함께 설치하거나, 전성판(3)을 커버와 함께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취수구(3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정화통(20)이 체결되지 않은 정화통체결구(100)에 체결할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마스크(10)의 하부면에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은, 정화통체결구(100)를 안면마스크(10)에 간편하게 조립하여 장착하므로 방독면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종래와 달리 정화통체결구(100)를 매설하기 위한 돌출형성된 정화통연결보스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재료비 절감에 따른 제조단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 및 형상, 구조 등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은, 안면마스크에 체결구삽입구멍을 관통 형성하여 체결구삽입구멍에 정화통체결구를 삽입한채 간단하게 조립 장착할 수 있으므로 방독면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종래 처럼 정화통체결구를 매설하기 위하여 돌출된 정화통연결보스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불필요한 재료비 지출을 방지할 수 있어 방독면의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구본체에 억지끼움으로 걸려 고정된 실링캡에 의하여 정화통체결구가 안면마스크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정화통체결구의 이탈로 인한 방독면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방독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방독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독면의 정화통연결부분을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정화통체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정화통체결구의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면마스크 50 : 체결구삽입구멍
100 : 정화통체결구 110 : 체결구본체
112 : 체결돌기 114 : 걸림돌기
116 : 걸림판 120 : 실링캡
122 : 걸림턱 124 : 가압돌기

Claims (4)

  1. 안면에 착용되는 안면마스크(10)와, 안면마스크(10)의 상부에 구비된 투시렌즈(2)와, 투시렌즈(2)의 하부에 구비되는 전성판(3) 및 배기밸브(4)와, 안면마스크(10)의 내부와 연통상태로 구비되는 관형상의 취수구(30)를 포함하는 방독면에 있어서,
    상기 안면마스크(10)는 양측에 체결구삽입구멍(50)을 관통형성하고, 이 체결구삽입구멍(50)에 정화통(20)과 나사결합하는 정화통체결구(100)를 조립 장착하되;
    상기 정화통체결구(100)는 내주면에 상기 정화통(20)과 나사결합하는 나사부(110a) 및, 흡기밸브(22)가 걸려 고정되는 스토퍼판(118)을 가지며, 후단에는 서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14) 및 걸림판(116)이 상기 체결구삽입구멍(50)의 내·외측에서 걸려 고정되는 원통형의 체결구본체(110)와;
    상기 체결구본체(110)의 걸림돌기(114) 전방측 선단 외주면에서 체결수단에 의해 억지끼워 맞춤으로 체결됨으로써, 테두리가 상기 걸림판(116) 전방의 상기 안면마스크(10)를 가압하여 기밀상태로 만들면서 체결구본체(110)를 안면마스크(10)상에 고정시키는 오목하게 형성된 환상의 실링캡(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화통 체결구를 갖는 방독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체결구본체(110)의 걸림돌기(114)에서 전방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반구형 단면을 갖는 체결돌기(112)를 형성하고, 상기 실링캡(120)의 내주면측 선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전방 돌출된 걸림턱(122)의 내경을 상기 체결돌기(112)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하여, 실링캡(120)의 걸림턱(122)을 체결돌기(112)에 억지끼움으로 관통시켜서 걸림턱(122)이 확장 및 수축되면서 체결돌기(112)의 후방에 걸림으로써 체결력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화통 체결구를 갖는 방독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본체(110)의 걸림돌기(114)는 외주면에 후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경사를 형성하고, 상기 실링캡(120)의 내주면에는 이 걸림돌기(114)의 경사에 대응되는 경사면(120a)을 형성하여, 체결구본체(110)와 실링캡(120)의 체결시 실링캡(120)에 가압됨으로써 발생되는 상기 체결구삽입구멍(50) 주변의 상기 안면마스크(1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실링캡(120)이 경사면(120a)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화통 체결구를 갖는 방독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캡(120)은 후단의 배면 테두리에 삼각형 단면을 가지며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칼날형태의 가압돌기(124)를 형성하여, 상기 체결구본체(110)와의 조립시 가압돌기(124)가 상기 안면마스크(10)의 체결구삽입구멍(50) 테두리에 웨지(wedge)고정됨으로써 기밀상태가 보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
KR10-2003-0064754A 2003-09-18 2003-09-18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 KR100515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754A KR100515926B1 (ko) 2003-09-18 2003-09-18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754A KR100515926B1 (ko) 2003-09-18 2003-09-18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616U Division KR200335507Y1 (ko) 2003-09-18 2003-09-18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482A true KR20050028482A (ko) 2005-03-23
KR100515926B1 KR100515926B1 (ko) 2005-09-21

Family

ID=37385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754A KR100515926B1 (ko) 2003-09-18 2003-09-18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92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444B1 (ko) * 2013-01-16 2013-08-28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의 정화통 고정유닛
KR101468976B1 (ko) * 2014-06-13 2014-12-04 주식회사 액트알엠티 방사성물질 유입방지용 방독마스크
KR101500675B1 (ko) * 2014-03-07 2015-03-09 주식회사 인텍 휴대용 방독면, 이의 사출성형장치
KR101536264B1 (ko) * 2015-04-14 2015-07-13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KR101536265B1 (ko) * 2015-04-14 2015-07-13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KR20190055488A (ko) * 2017-11-15 2019-05-23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방독면의 정화통 고정 장치
KR20220083397A (ko) * 2020-12-11 2022-06-20 권오석 마스크 호흡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444B1 (ko) * 2013-01-16 2013-08-28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의 정화통 고정유닛
WO2014112773A1 (ko) * 2013-01-16 2014-07-24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의 정화통 고정유닛
KR101500675B1 (ko) * 2014-03-07 2015-03-09 주식회사 인텍 휴대용 방독면, 이의 사출성형장치
KR101468976B1 (ko) * 2014-06-13 2014-12-04 주식회사 액트알엠티 방사성물질 유입방지용 방독마스크
KR101536264B1 (ko) * 2015-04-14 2015-07-13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KR101536265B1 (ko) * 2015-04-14 2015-07-13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WO2016167531A1 (ko) * 2015-04-14 2016-10-20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WO2016167532A1 (ko) * 2015-04-14 2016-10-20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KR20190055488A (ko) * 2017-11-15 2019-05-23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방독면의 정화통 고정 장치
KR20220083397A (ko) * 2020-12-11 2022-06-20 권오석 마스크 호흡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5926B1 (ko) 200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8849B1 (en) Respirator mask with snap in filter cartridge
US7849856B2 (en) Respirator valve
US6044842A (en) Gasketless connecting adapter
KR100515926B1 (ko)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
CN103385682A (zh) 栓体
WO1994003259A1 (en) Pressure vessel
KR200335507Y1 (ko)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
US20040040562A1 (en) Mask and spherically configured valve
KR200392356Y1 (ko) 잠수복용 방수장갑 탈부착장치
JP2010270839A (ja) 逆止弁ユニット
JP4325770B2 (ja) 流体管の離脱防止装置
KR200335505Y1 (ko) 방독면 전성배기유닛
JP4304369B2 (ja) 通気機能付き床排水トラップ
KR100515925B1 (ko) 조립식 렌즈를 갖는 방독면
RU2340374C1 (ru) Клапанно-перегов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лапаном выдоха
KR200336025Y1 (ko) 관 연결구
KR200496060Y1 (ko) 호흡 마스크용 공기정화 아답터
KR100466009B1 (ko)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
JP3125030U (ja) 浄化器用ポートキャップ
JP4041848B2 (ja) マスク
KR200177395Y1 (ko) 방독면의 흡기밸브
KR101904301B1 (ko) 방독면
JPH11247281A (ja) 排水桝
KR200142445Y1 (ko) 방독면의 전성판 보호덮개
KR200279467Y1 (ko)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의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