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009B1 -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 - Google Patents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009B1
KR100466009B1 KR10-2002-0014833A KR20020014833A KR100466009B1 KR 100466009 B1 KR100466009 B1 KR 100466009B1 KR 20020014833 A KR20020014833 A KR 20020014833A KR 100466009 B1 KR100466009 B1 KR 100466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malleable
rear cover
exhaust val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5556A (ko
Inventor
이건
Original Assignee
삼공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공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공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4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009B1/ko
Publication of KR20030075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0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통공을 가지는 전방덮개와, 이 전방덮개의 후방부에 결합되어 설치공간부가 내측에 구비되도록 결합되고 다수개의 통공이 후면판에 형성되는 후방덮개와, 상기 후방덮개의 내면에 후단 주연부가 접촉되는 고무재 배기막과, 상기 배기막의 원통부 전방부에 배치되는 전성통과, 상기 배기막과 전성통을 고정하고, 상기 전방덮개와 후방덮개의 내부에 배기통로가 확보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성배기밸브는 배기 및 전성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착용자가 세척 교환 등의 필요한 정비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성배기밸브는 통상의 활동에 따라 유발되는 외적 충격과 같은 외력에 의해서는 전방덮개가 무단히 풀리지 않고, 착용자가 정비 등을 위하여 의도적으로 강한 힘을 가한 경우에만 전방덮개가 풀리게 되므로 전성배기밸브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음성의 떨림 현상이 감소되어 의사소통을 보다 분명하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EXHAUST VALVE APPARATUS TO TRANSMIT SOUND AS FOR GAS MASK}
본 발명은 화생방전시 또는 기타의 유독성가스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방독마스크에 부설하여,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대화를 위한 전성(轉聲)작용과 호흡을 위한 배기작용을 하나의 장비로서 겸용할 수 있게 구성한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기 및 전성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착용자가 세척 교환 등의 필요한 정비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방독마스크의 전성배기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방독마스크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호흡 작용을 위한 흡기밸브와 배기밸브만을 설치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나 이와 같은 방독마스크는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로 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소위 전성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화를 나눌 수 없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폐단을 시정하고 전성과 배기를 함께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마스크에 배기밸브와 별도로 전성장치를 배기밸브에 인접하여 설치한 방독마스크가 개발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독마스크의 경우에는 그 면적이 극히 한정되어 있는 마스크의 정면 하부에 별개로 제작된 배기밸브와 전성장치를 각각 배치하게 되므로 그 제작 및 조립공정이 복잡해질 뿐아니라 배기밸브 및 전성장치의 크기도 자연히 제한을 받게되어 배기 성능과 전성성능이 양호하지 못한 결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두개의 기능 즉 배기 기능과 전성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겸할 수 있게 하므로 제작 및 조립의 간편 내지는 간소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배기작용과 전성작용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안출한 전성배기밸브가 실용신안등록번호 실1983-002536호에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성배기밸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된 전방덮개(1)의 전면외주연부 내측에 환형결합부(1a)를 형성하고, 그 환형결합부(1a)의 안쪽으로는 중앙부를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진 원추상부(1b)와 그 중앙부에 원통부(1c)를 각각 일연체로 형성하되 원추상부(1b)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배기공(3)들을 천공하고, 원통부(1c)의 측주벽에는 나선홈(4)을 형성하는 한편 원통부(1c)의 정면에는 다수의 통공(5)들을 방사상으로 천공하고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체(1)의 내부에는 그 본체(1)보다 직경이 작고 또한 상기한 본체(1)의 원통부(1c)에 나사결합되도록 측주벽에 나선홈(6)을 형성한 원통부(7a)가 전면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원통부(7a)의 전면에는 다수의 통공(8)이 천공된 전성통(7)을 끼워서 본체(1)의 원통부(1c)에 전성통(7)의 원통부(7a)가 나사결합되게 하는 동시에, 그 전성통(7)의 외벽과 본체(1)의 내벽사이에 배기통로(9)가 형성되게 하고, 전성통(7)의 단연부에는 체결부(7b)를 절곡 형성하여 그 내부에 다수의 통공(10)을 갖는 유공보호판(11)과 음성진동판(12)을 고무로 된 환상지지체(13)와 함께 삽입하여 지지 고정시킨다. 그리고 본체(1)의 환형결합부(1a)내에는 내측모서리에 환상익부(14)가 일체로 형성된 고무재 밸브체(15)를 삽입하고 고정환(16)으로 고정시켜서 그 환상익부(14)의 내측단 연부가 전성통(7)의 외주면에 밀접되어 있게 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d는 전방덮개(1)의 환형결합부(1a)의 내측단 연부에 형성된 걸림부를 보인 것이고, 2는 후방덮개판을 보인 것이며, 17은 방독마스크를 보인 것이며, 18은 흡기밸브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성배기밸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방독마스크(17)의 전면 입부위에 부설하여 사용케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성배기밸브는 방독마스크(17)를 착용하였을 때 호흡작용에 의한 배기는 도 2의 화살표 표시와 같이 본체(1)와 전성통(7) 사이의 배기통로(9)를 통하여 환상익부(14)를 열고 배기공(3)으로 배출되며, 반대로 흡기시에는 환상익부(14)가 전성통(7)에 밀접되어 배기통로(9)를 폐쇄하는 동시에 별도로 설치된 흡기밸브(18)에 의하여 흡기작용을 하게되며, 방독마스크(17)를 착용한 상태에서 말을 하게되면 음성진동판(12)의 울림작용에 의한 진동음이 전성통(7)의 원통부(7a) 전면에 천공된 통공(8)과 본체(1)의 원통부(1c) 전면에 천공된 통공(5)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어 대화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종래의 전성배기밸브는 방독마스크 착용자의 음성이 후방덮개판(2)의 전면에 걸쳐 형성된 통공(10)을 통하여 내측의 전성통(7)에 전달되면서, 넓은 영역으로 퍼져 전달될 뿐아니라, 전방덮개(1)의 환형결합부(1a)와 전성통(7)의 체결부(7b) 사이에 환상으로 형성되는 배기통로(9)를 통하여 분산되어 전달되므로 전성통(7)에 집중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성통(7)의 내부에 결합된 음성진동판(12)을 진동시켜 음성을 전달하는 전성력이 떨어져 음성전달이 명확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독마스크 착용자의 숨을 내쉴 때에 배기가 도 2의 화살표 표시와 같이 전방덮개(1)의 환형결합부(1a)와 전성통(7)의 체결부(7b) 사이에 환상으로 형성되는 배기통로(9)를 통과한 다음, 밸브체(15)의 환상익부(14)를 밀쳐 내고 배출되는 것이므로 배기가 협소하고 긴 통로를 통과하면서 저항을 받게 되어 배기가 원활하게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전성배기밸브는 전방덮개(1)를 고무재 방독마스크(17)에 결합하면서 방독마스크(17)의 원통형 결합부(17a)에 전방덮개(1)의 환형결합부(1a)를 삽입하고 원통형 결합부(17a)의 외측으로 철재 조임밴드(B)를 체결함으로써, 제조공장에서 일단 조립하여 보급한 후에는 착용자가 분리할 수 없도록 되어 있으므로, 모래, 이물질 등이 들어가거나 그외 다른 이유로 세척, 소독, 교환 등을 하기 위하여 착용자가 자체적으로 정비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배기 및 전성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착용자가 세척 교환 등의 필요한 정비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방독마스크에 종래 전성배기밸브를 결합한 형태를 보인 정면사시도.
도 2는 종래 전성배기밸브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성배기밸브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3은 전성배기밸브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전성배기밸브의 작용을 보인 부분 종단면도.
도 5는 전성배기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6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성배기밸브를 보인 것으로,
도 6은 전성배기밸브의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전성배기밸브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환상 지지체와 후방덮개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전방덮개의 종단면도 및 부분 평면도.
도 11, 도 12 및 도 13은 환상 지지체의 종단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
도 14 및 도 15는 후방덮개의 종단면도 및 부분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전방덮개 21 : 환형결합부
22 : 원추상부 23 : 원통부
24, 25 : 통공 26, 32 : 나사홈
30 : 후방덮개 31 : 원통부
34 : 후면판 35 : 통공
39 : 로크기어 40 : 배기막
41 : 원통부 42 : 경사익부
43 : 걸림턱 44 : 절곡익부
45 : 만곡 연결부 46 : 확장밀착부
50 : 가이드부재 60 : 환상 지지체
61 : 원통형 지지부 62 : 걸림턱
63 : 통공 64 : 고정부
65 : 체결링 66, 67 : 나사홈
69 : 로크기어 70 : 전성통
80 : 로킹수단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는 다수개의 통공을 가지는 전방덮개와, 이 전방덮개의 후방부에 결합되어 설치공간부가 내측에 구비되도록 결합되고 다수개의 통공이 후면판에 형성되는 후방덮개와, 상기 후방덮개의 내면에 후단 주연부가 접촉되는 고무재 배기막과, 상기 배기막의 원통부 전방부에 배치되는 전성통과, 상기 배기막과 전성통을 고정하고, 상기 전방덮개와 후방덮개의 내부에 배기통로가 확보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덮개의 원통부는 방독마스크의 결합부에 철재 조임밴드로 체결되고, 상기 전방덮개와 후방덮개는 환형결합부와 원통부에 형성된 나사홈으로 나사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착용자가 상기 전,후방덮개를 인력으로 분해할 수 있어 자체 정비도 가능하게 되고, 외력에 의한 무단 분리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무단분리 방지용 로킹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성배기밸브를 보인 것으로, 도 3에는 전성배기밸브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전성배기밸브의 작용을 보인 부분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전성배기밸브의 분해 사시도가 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성배기밸브는 다수개의 통공(24),(25)을 가지는 전방덮개(20)와, 이 전방덮개(20)의 후방부에 결합되어 설치공간부가 내측에 구비되도록 결합되고 다수개의 통공(35)이 후면판(34)에 형성되는 후방덮개(30)와, 경사익부(42)와 원통부(41)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후방덮개(30)의 내면에 경사익부(42)의 후단 주연부가 접촉되는 고무재 배기막(40)과, 상기 배기막(40)의 원통부(41) 전방부에 배치되는 전성통(70)과, 상기 배기막(40)과 전성통(70)을 고정하고, 상기 전방덮개(20)와 후방덮개(30)의 내부에 배기통로(A)가 확보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부재(50)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방덮개(20),(30), 환상 지지체(60)와 체결링(65)은 합성수지 사출성형재로 형성되고, 상기 배기막(40)은 합성고무 보다 실리콘 고무로 형성하는 것이 내구성 및 배기 원활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덮개(20)는 환형결합부(21)와 원추상부(22)와 원통부(23)가 일체로 구비되도록 형성되고 원통부(23)의 전면과 원추상부(22)에 다수개의 통공(24),(25)이 형성된다.
상기 후방덮개(30)는 원통부(31)에 후면판(34)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형성되고, 후면판(34)에 다수개의 통공(35)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단 연부에는 걸림돌조(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덮개(20)와 후방덮개(30)는 환형결합부(21)와 원통부(31)에 나사홈(26),(32)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으로 서로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부재(50)는 원통형 지지부(61)와 고정부(64)를 가지는 환상 지지체(60)와 체결링(65)으로 구성된다.
상기 환상 지지체(60)는 후방덮개(30)와 사이에 배기통로(A)가 구비되도록 형성되는 원통형 지지부(61)가 구비되고, 후방덮개(30)의 원통부(31) 선단과 전방덮개(20)의 원추상부(22) 사이에 끼여 고정되는 고정부(64)와 다수개의 통공(63)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며, 원통형 지지부(61)의 후단부에는 걸림턱(62)이 형성된다.
상기 전성통(70)은 전,후 케이스(71),(72)의 내부에 음성진동판(73)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성통(70)은 환상 지지체(60)의 원통형 지지부(61) 내측 중간부에 삽입되고, 상기 배기막(40)은 원통부(41)의 선단부에 걸림턱(43)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지지부(61)의 걸림턱(62)과 전성통(70)의 외주연부 사이에 끼여 결합된다.
상기 체결링(65)의 외주면과 원통형 지지부(61)의 내주면에는 나사홈(66),(67)이 형성되어 체결링(65)을 원통형 지지부(61)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전성통(70)과 배기막(40)이 안정하게 고정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체결링(65)의 외측단 연부에는 다수개의 걸림홈(68)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나사결합을 쉽게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성배기밸브를 조립할 때에는 환상 지지체(60)의 걸림턱(62) 내측으로 배기막(40)의 걸림턱(43)을 삽입하고, 전성통(70)을 환상 지지체(60)의 내측 중간부에 삽입하며, 환상 지지체(60)의 원통형 지지부(61)에 체결링(65)을 나사결합함으로써 환상 지지체(60), 배기막(40), 전성통(70) 및 체결링(65)을 일연체로 조립한다.
이어서, 이와 같이 결합된 환상 지지체(60), 배기막(40), 전성통(70) 및 체결링(65)의 조립체를 전방덮개(20)의 환형결합부(21) 내측에 삽입하여 환상 지지체(60)의 고정부(64)를 전방덮개(20)의 원추상부(22)에 접촉시킨다.
이어서 전방덮개(20)의 환형결합부(21)에 후방덮개(30)의 원통부(31)를 나사결합하면 밸브의 조립이 완료되며, 이때 배기막(40)의 경사익부(42)의 후단 연부가후방덮개(30)의 내면에 접촉된 형태로 조립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전성배기밸브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3과 같이 방독마스크(17)(도 1 참조)의 결합부(17a)에 후방덮개(30)의 원통부(31)를 삽입하고, 철재 조임밴드(B)로 체결하여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전성배기밸브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독마스크(17)를 착용하였을 때 호흡작용에 의한 배기는 도 3 및 도 4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후방덮개(30)의 통공(35)을 통하여 내측으로 유입되고, 이와 같이 후방덮개(30)의 내측으로 배기가 유입되면 배기막(40)의 경사익부(42)의 외주연부가 휘어지고, 이에 따라 도 4와 같이 후방덮개(30)의 내면과 경사익부(42)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므로 그 사이의 틈새와 배기통로(A)를 통과한 후, 전방덮개(20)에 형성된 통공(24),(2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착용자가 공기를 흡입하는 때에는 배기막(40)의 경사익부(42)의 외주연부가 후방덮개(30)의 내면에 밀착되므로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며, 호흡작용에 의한 외부 공기의 유입은 방독마스크(17)에 구비된 흡기밸브(18)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호흡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방독마스크(17)를 착용한 상태에서 말을 하게되면 음성이 후방덮개(30)의 통공(35)을 통하여 내측으로 유입되고, 배기막(40)의 원통부(41) 안쪽을 통하여 전성통(70)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성통(70)에 내장된 음성진동판(73)이 진동되어 음성이 외부로 전달됨으로써 대화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전성배기밸브는 방독마스크 착용자의 음성이 후방덮개(30)에 형성된 통공(35)을 통하여 유입되고, 이 배기가 배기막(40)의 경사익부(42)에 의해 배기통로(A)와 차단된 원통부(41)의 내측 공간부를 통하여 외부로 분산 손실됨이 없이 전성통(70)의 음성진동판(73)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전성력이 향상된다.
또한, 방독마스크 착용자의 숨을 내쉴 때에 배기가 도 4의 화살표 표시와 같이 후방덮개(30)의 통공(35)을 통해 유입되어 곧바로 배기막(40)의 경사익부(42)를 개방시키고 배기통로(A)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배기 경로가 단축되고, 유로 저항이 감소되므로 배기가 매우 원활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전성배기밸브는 밸브의 후방덮개(30)의 원통부(31)를 방독마스크(17)의 결합부(17a)에 철재 조임밴드(B)로 체결하고, 전방덮개(20)와 후방덮개(30)는 나사결합으로 체결한 것이어서, 착용자가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세척 교환 등을 위하여 자체적으로 정비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간편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성배기밸브를 보인 것으로, 도 6에는 전성배기밸브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7a 및 도 7b에는 전성배기밸브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8a 및 도 8b는 환상 지지체 및 후방덮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성배기밸브는 전방덮개(20)와 후방덮개(30)는 나사결합으로 고정한 것이어서, 착용자가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세척 교환 등을 위하여 자체적으로 정비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간편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갖는 것이나, 반면에 방독면 착용자가 활동하는 중에 전방덮개(20)가 외력에 의해 느슨하게 풀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부로 이물질이 삽입될 염려를 배제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정비 등을 위하여 의도적으로 강한 힘을 가한 경우에는 전방덮개(20)가 풀리도록 하되, 통상의 활동에 따라 유발되는 외적 충격과 같은 외력에 의해서는 전방덮개(20)가 무단히 풀리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구비하게 되면 전성배기밸브의 가치가 더 향상될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성배기밸브는 배기막(40)의 원추형 경사익부(42)의 단부가 후방덮개(30)의 후면판(34) 내면에 접촉된 형태로서 착용하고 대화를 하는 때에 의사소통에 지장이 없는 것이기는 하나 발음이 약간 떨리는 현상이 있으므로 이러한 떨림 현상을 감소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게 되면 전성배기밸브의 가치가 더 향상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성배기밸브는 착용자가 정비도 가능하게 되고, 외력에 의한 무단 분리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무단분리 방지용 로킹수단(80)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배기막(40)의 형태가 떨림이 제거되도록 변형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로킹수단(80)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덮개(20),(30)의 내부에서 서로 접촉되는 환상 지지체(60)의 고정부(64) 후면과 후방덮개(30)의 원통부(31) 선단면에 전,후방덮개(20),(30)를 나사 체결함에 의해 서로 맞물리는 래치트형 로크기어(69),(39)를 형성하여 조립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배기막(40)은 걸림턱(43)이 선단부에 형성된 원통부(41)에 ㄴ자형 단면을 갖는 절곡익부(44)가 만곡 연결부(45)로 연결되고, 절곡익부(44)의 후단 주연부에는 상기 후방덮개(30)의 내면에 밀착되는 확장밀착부(46)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은 전방덮개의 종단면도 및 부분 평면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덮개(20)는 내면에 수개의 걸림홈(20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11, 도 12 및 도 13은 환상 지지체의 종단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를 보인 것으로, 상기 환상 지지체(60)는 상기 전방덮개(20)의 각 걸림홈(20a)에 걸리는 걸림편(60a)이 고정부(64)의 전면에 형성되어 전방덮개(20)의 내측에 환상 지지체(60)를 결합하면 환상 지지체(60)의 각 걸림편(60a)이 전방덮개(20)의 각 걸림홈(20a)에 걸려 환상 지지체(60)가 전방덮개(20)에 대하여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환상 지지체(60)의 고정부(64)의 후면 주연부에는 로크기어(69)가 형성되어 있고, 도 14 및 도 15는 후방덮개의 종단면도 및 평면도를 보인 것으로 상기 후방덮개(30)의 원통부(31) 선단 주연부에는 로크기어(69)가 형성되어 상기 환상 지지체(60)와 후방덮개(30)의 로크기어(39),(69)가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성배기밸브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는 전성배기밸브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후방덮개(30)에 대하여 전방덮개(20)가 꽉 조여진 상태이므로 전방덮개(20)를 오른쪽으로 회전시켜도 더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전방덮개(20)와 후방덮개(30) 사이에 환상 지지체(60)의 고정부(64)가 끼여 압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환상 지지체(60)의 고정부(64) 후면 주연부와 후방덮개(30)의 원통부(31) 선단 주연부에 형성된 래치트형 로크기어(39),(69)가 서로 맞물려 있으므로 전방덮개(20)를 왼쪽으로 회전시켜 풀고자 하는 경우에도 쉽게 풀리지 않으며, 통상의 활동으로 가하여지는 외부의 충격과 같은 외력이 가하여져도 풀리지 않게 되므로 무단 분리의 우려가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전성배기밸브를 세척 및 보수 등을 위하여 꼭 분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전방덮개(20)를 손으로 잡고 강한 힘, 즉 합성수지재 환상 지지체(60)에 형성된 로크기어(69)가 후방덮개(30)의 로크기어(39)와 어긋나면서 미소한 유격이 생길 정도로 강한 힘을 가하여 왼쪽으로 돌리면 전방덮개(20)가 비로소 나사가 풀려 분해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성배기밸브는 도 7a와 같이 배기막(40)의 원통부(41)에 ㄴ자형 단면을 갖는 절곡익부(44)가 형성되고, 절곡익부(44)의 후단 주연부에 형성된 확장밀착부(46)가 상기 후방덮개(30)의 내면에 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착용자가 숨을 들여마시는 경우에는 절곡익부(44)의 확장밀착부(46)가 후방덮개(30)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이 방지되고, 숨을 내쉬는 경우에는 절곡익부(44)의 확장밀착부(46)가 후방덮개(30)의내면에서 떨어지면서 배출공기가 외부로 방출된다.
이러한 전성배기밸브의 흡기차단 및 배기 방출작용은 상기한 일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나, 이와 같이 배기막(40)에 ㄴ자형 절곡익부(44)가 구비된 실시예가 배기막(40)에 경사익부(42)가 구비된 실시예에 비하여 호흡기 배출이 보다 편하게 되었으며, 또한 착용자가 대화를 하는 때에 음성의 떨림 현상이 제거되고 이에 따라 의사소통이 보다 분명하게 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의 일 실시형태는 배기가 원활하고, 전성성능이 크게 향상되어 음성이 명확하게 전달되며, 착용자가 세척 교환 등의 필요한 정비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고, 전성배기밸브가 방독마스크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정비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성배기밸브는 통상의 활동에 따라 유발되는 외적 충격과 같은 외력에 의해서는 전방덮개가 무단히 풀리지 않고, 착용자가 정비 등을 위하여 의도적으로 강한 힘을 가한 경우에만 전방덮개가 풀리게 되므로 전성배기밸브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음성의 떨림 현상이 감소되어 의사소통을 보다 분명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전방덮개(20)와 후방덮개(30)의 내부에 전성통(70)이 결합된 방독마스크용 배기밸브에 있어서, 다수개의 통공(24),(25)을 가지는 전방덮개(20)와, 이 전방덮개(20)의 후방부에 결합되어 설치공간부가 내측에 구비되도록 결합되고 다수개의 통공(35)이 후면판(34)에 형성되는 후방덮개(30)와, 경사익부(42)와 원통부(41)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후방덮개(30)의 내면에 경사익부(42)의 후단 주연부가 접촉되는 고무재 배기막(40)과, 상기 배기막(40)의 원통부(41) 전방부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전성통(70)과, 상기 배기막(40)과 전성통(70)을 고정하고, 상기 전방덮개(20)와 후방덮개(30)의 내부에 배기통로(A)가 확보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덮개(30)의 원통부(41)는 방독마스크(17)의 결합부(17a)에 철재 조임밴드(B)로 체결되고, 상기 전방덮개(20)와 후방덮개(30)는 환형결합부(21)와 원통부(31)에 형성된 나사홈(26),(32)으로 나사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덮개(20)는 환형결합부(21)와 원추상부(22)와 원통부(23)가 일체로 구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23)의 전면과 원추상부(22)에 다수개의 통공(24),(25)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덮개(30)는 원통부(31)에후면판(34)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형성되고, 후면판(34)에 다수개의 통공(35)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50)는 원통형 지지부(61)와 고정부(64)를 가지는 환상 지지체(60)와 이 환상 지지체(60)에 나사홈(67),(66)으로 나사결합되는 체결링(65)으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지지체(60)는 상기 후방덮개(30)와의 사이에 상기 배기통로(A)가 구비되도록 형성되는 원통형 지지부(61)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덮개(30)의 원통부(31) 선단과 상기 전방덮개(20)의 원추상부(22) 사이에 끼여 고정되는 고정부(64)와 다수개의 통공(63)이 구비되게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지지부(61)의 후단부에는 걸림턱(6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전성통(70)은 상기 환상 지지체(60)의 원통형 지지부(61) 내측 중간부에 삽입되고, 상기 배기막(40)은 원통부(41)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턱(43)이 상기 원통형 지지부(61)의 걸림턱(62)과 전성통(70)의 외주연부 사이에 끼여 결합되며, 상기 체결링(65)과 원통형 지지부(61)가 나사홈(66),(67)으로 나사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덮개(20),(30)의 무단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무단분리 방지용 로킹수단(80)이 구비되고, 상기 로킹수단(80)은 상기 전,후방덮개(20),(30)의 내부에서 서로 접촉되는 환상 지지체(60)의 고정부(64) 후면과 후방덮개(30)의 원통부(31) 선단면에 상기 전,후방덮개(20),(30)를 나사 체결함에 의해 서로 맞물리는 래치트형 로크기어(69),(39)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
KR10-2002-0014833A 2002-03-19 2002-03-19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 KR100466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833A KR100466009B1 (ko) 2002-03-19 2002-03-19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833A KR100466009B1 (ko) 2002-03-19 2002-03-19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556A KR20030075556A (ko) 2003-09-26
KR100466009B1 true KR100466009B1 (ko) 2005-01-13

Family

ID=32225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833A KR100466009B1 (ko) 2002-03-19 2002-03-19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853B1 (ko) * 2020-09-16 2021-04-01 양경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WO2022025501A1 (ko) * 2020-07-28 2022-02-03 주식회사 이보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200496058Y1 (ko) * 2020-07-28 2022-10-24 양경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102487561B1 (ko) * 2021-02-16 2023-01-12 주식회사 이보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3520A (en) * 1979-09-28 1983-02-15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ce Respirator speech unit/outlet valve
US4718415A (en) * 1983-12-27 1988-01-12 AKG Akustische u.KinoGerate Gesellschaft m.b.H. Breathing mask having a transducer movable parts coupled to a speaking diaphragm for speech transmission
KR940000436U (ko) * 1992-06-24 1994-01-03 김종기 방진 방독 마스크
US5385141A (en) * 1992-04-16 1995-01-31 Siebe North, Inc. Speech diaphragm and exhalation valve
KR20030039051A (ko) * 2001-11-09 2003-05-17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3520A (en) * 1979-09-28 1983-02-15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ce Respirator speech unit/outlet valve
US4718415A (en) * 1983-12-27 1988-01-12 AKG Akustische u.KinoGerate Gesellschaft m.b.H. Breathing mask having a transducer movable parts coupled to a speaking diaphragm for speech transmission
US5385141A (en) * 1992-04-16 1995-01-31 Siebe North, Inc. Speech diaphragm and exhalation valve
KR940000436U (ko) * 1992-06-24 1994-01-03 김종기 방진 방독 마스크
KR20030039051A (ko) * 2001-11-09 2003-05-17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556A (ko) 200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9827C1 (ru) Респиратор с плавающим эластомерным рукавом
EP0566400B1 (en) Speech diaphragm and exhalation valve
US6298849B1 (en) Respirator mask with snap in filter cartridge
US4373520A (en) Respirator speech unit/outlet valve
CA1071499A (en) Respirators
US4958633A (en) Valve for respirator
RU2374125C2 (ru) Клапан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подводного водолазного снаряжения
US20120090615A1 (en) Separably assembled filtering respirator
IT201800001849A1 (it) Maschera subacquea con sistema perfezionato di alimentazione e di scarico dell’aria di respirazione
JP2004535259A (ja) 音声送信機能および呼気弁機能を備えた呼吸器モジュール
JP2018531104A6 (ja) 音声伝達機能を備えた呼吸用マスク
JP2018531104A (ja) 音声伝達機能を備えた呼吸用マスク
KR100466009B1 (ko)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
KR20200052217A (ko)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여과용 필터부 및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IT202000005188A1 (it) Maschera subacquea con sistema perfezionato di scarico acqua e aria di respirazione
KR200279467Y1 (ko)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의 체결장치
KR100419713B1 (ko)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장치
US7770581B2 (en) Breathing mask
KR200434575Y1 (ko) 코 마스크
JP3514954B2 (ja) 管楽器用弱音具
KR20200142367A (ko)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KR100515926B1 (ko)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
RU2340374C1 (ru) Клапанно-перегов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лапаном выдоха
KR200257107Y1 (ko) 방독마스크
KR830002536Y1 (ko) 방독마스크용 전성(轉聲)배기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