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397A - 마스크 호흡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 호흡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83397A KR20220083397A KR1020200173608A KR20200173608A KR20220083397A KR 20220083397 A KR20220083397 A KR 20220083397A KR 1020200173608 A KR1020200173608 A KR 1020200173608A KR 20200173608 A KR20200173608 A KR 20200173608A KR 20220083397 A KR20220083397 A KR 202200833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k
- oxygen
- hose
- oxygen supply
- fixing clip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022 vent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081 physical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928 nas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0 mo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3—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having means for creating a fresh air curtain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호흡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마스크에 연결되는 산소공급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운동이 되도록 하되 산소공급장치와 마스크의 연결이 용이하고 기밀하게 이루어지는 마스크 호흡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마스크; 상기 마스크와 이격형성되고, 내부에 산소가 저장되는 산소공급기; 일단이 상기 산소공급기에 연결되어 상기 산소공급기의 산소가 유입되는 호스; 및 일측은 상기 호스의 타단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마스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정클립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마스크; 상기 마스크와 이격형성되고, 내부에 산소가 저장되는 산소공급기; 일단이 상기 산소공급기에 연결되어 상기 산소공급기의 산소가 유입되는 호스; 및 일측은 상기 호스의 타단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마스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정클립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스크 호흡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마스크에 연결되는 산소공급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운동이 되도록 하되 산소공급장치와 마스크의 연결이 용이하고 기밀하게 이루어지는 마스크 호흡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외부의 이물질이 비강과 구강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면에 착용하는 보호기구이며, 이물질은 일반적인 미세먼지나 황사와 같은 고체성 입자부터 바이러스나 세균과 같은 유기물 입자까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전세계적으로 큰 피해를 입히고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마스크 착용이 강제되고 있으며 실내 뿐 아니라 야외에서도 모든 사람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스포츠나 체력증진 또는 재활치료 활동 등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격렬한 신체활동을 하고 있으나, 마스크 착용으로 인하여 그 호흡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원활하지 못한 호흡은 채내 산소포화도를 떨어뜨리고, 이로 인해 지속적인 신체활동을 어렵게 만들어 그 효과를 저해하고 운동 의욕을 떨어뜨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격렬한 신체활동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 감염병이 전파되는 2차적인 문제도 다수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마스크를 착용한 채로 신체활동시 원활한 호흡을 유지하고, 운동효과도 높이기 위하여 마스크에 산소를 공급하는 방식의 개발이 종래 이루어졌으나, 탈부착이 용이하지 않고, 동일한 마스크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여야 함에 따른 위생상의 문제점도 있어 활용도가 낮았다.
또한, 개발이 이루어진 제품이라도 운동선수의 근력 향상을 극대화하기 위한 특수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국한되어 대중에게 알려져 있지 않았고, 산소 공급을 위한 설비의 운용에 전문성이 요구되어 접근성이 높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운동하는 사용자의 호흡을 보조하되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산소의 공급이 원활히 되도록, 기밀하면서도 용이하게 결합되는 마스크 호흡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호흡보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호흡보조장치는 마스크; 상기 마스크와 이격형성되고, 내부에 산소가 저장되는 산소공급기; 일단이 상기 산소공급기에 연결되어 상기 산소공급기의 산소가 유입되는 호스; 및 일측은 상기 호스의 타단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마스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정클립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소공급기와 상기 호스 사이에는, 상기 산소공급기의 저온 산소를 호흡이 가능한 온도로 상승시켜주는 온도안정관이 더 구비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은, 일단은 상기 호스에 내삽되는 쐐기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마스크 내부에 위치하되 슬릿이 형성된 통기부; 상기 통기부의 외면으로부터 축에 수직하도록 연장형성되어 상기 마스크의 외부면에 접촉되는 외접부; 및 상기 통기부의 타단으로 삽입되어 상기 외접부와 대향되도록 결합되되, 마스크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링형 내접부로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접부는 상기 통기부에 형성된 홈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접부와 상기 내접부에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자력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산소공급기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고정이 되도록 하는 산소공급기착용단계; 상기 호스의 일단을 상기 산소공급기에 연결하고, 상기 호스의 타단을 상기 고정클립에 연결하는 호스연결단계; 상기 고정클립을 상기 마스크에 고정하는 고정클립고정단계; 상기 고정클립고정단계가 완료된 상기 마스크를 사용자가 착용하는 마스크착용단계;및 상기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운동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산소공급기로부터 상기 마스크를 통해 산소가 공급되는 산소공급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마스크와 산소공급기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마스크에도 적용이 가능할 수 있는데, 일회용 마스크가 대표적일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감염병 예방을 위하여 한번 사용된 일회용 마스크는 교체가 권장되고 있는데, 이런 점에서 용이한 교체를 통해 위생적인 측면이나 감염병 예방 차원에서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휴대가 용이하여 신체활동이 처음부터 계획되지 않은 돌발적인 상황에도, 착용하고 있는 마스크에 바로 장착하여 원하는 활동을 실시할 수 있다.
마스크에 결합시 기밀한 결합이 가능하여, 공급되는 산소의 누출이 최소화됨으로써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마스크에 결합되는 고정클립은 탈부착이 가능하여 세척이 가능하고 부분적으로 파손되었을 때 전체 중 일부분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용자에게 산소를 추가 공급함으로써 운동효과 증진과 피로감소 효과가 기대되며, 호흡이 원활하지 않은 고령의 사용자들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재활운동 등을 해야 하는 경우에도 원활한 호흡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호흡보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이용한 운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이용한 운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호흡보조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호흡보조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및 도 6은 본 발명을 이용한 운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호흡보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00), 산소공급기(200), 호스(300) 및 고정클립(4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마스크(100)를 살펴본다.
마스크(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비강(鼻腔)이나 구강(口腔)과 같은 호흡기로 외부 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통칭할 수 있다.
마스크(100)의 재질은 합성수지(合成樹脂), 섬유(纖維), 지류(紙類) 등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마스크(100)는 사용자에 대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바깥쪽인 외부면과 사용자쪽인 내부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마스크(100)에는 후술할 고정클립(400)이 결합되되, 통기부(41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1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110)은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통기부(410)를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마스크(100)의 종류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할 수 있으나, 통기부(410)를 통하여 공급되는 산소가 마스크(100) 내부에서 일정량이 존재하여야 사용자의 호흡이 원활히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마스크(100)와 사용자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산소공급기(200)를 살펴본다.
산소공급기(200)는 내부에 산소가 공급되는 용기를 통칭하는 것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신체 일부에 착용이 가능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산소공급기(200)의 외면에 밴드(210)가 형성되되, 벨크로(230) 형태 등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팔이나 다리 등과 같은 신체 일부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산소공급기(200)의 내부에는 고순도 산소가 저장되어 있어, 후술할 호스(300)를 통해 사용자의 마스크(100)로 산소가 공급될 수 있다.
산소공급기(200)에는 산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미도시)나 스위치(60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하거나 센서에 의하여 유량을 측정, 또는 배출되는 산소의 압력을 측정하여 자동으로 공급량이 조절되는 형태도 가능할 수 있다.
산소공급기(200)는 밀폐형 용기로 형성되되, 재질은 금속제로 형성하고 구조적으로는 원통형 챔버로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에도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호스(300)를 살펴본다.
호스(300)는 상기 산소공급기(200)에 저장된 산소가, 이격된 마스크(100)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호스(300)의 일단은 산소공급기(200)에 연결되고, 타단은 마스크(100)측으로 연결되되 상세하게는 후술할 고정클립(400)에 연결됨으로써 산소공급기(200)로부터 마스크(100)에 이르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호스(300)의 일단이 연결되는 산소공급기(200)는 사용자에게 착용되되 팔이나 다리와 같이 그 착용위치가 유동적일 수 있으므로, 호스(300)의 길이는 그 착용될 위치와 마스크(100)와의 거리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착용위치를 스스로 조절하도록 호스(300)의 절단이 필요할 수 있고, 산소공급기(200)나 고정클립(400)에 연결시 확장이 필요할 수 있으며, 착용 후 움직임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되는 바, 호스(300)는 유연하면서도 절단과 확장이 용이한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는, 호스(300)외 외면 전면에 열선이 매설되는 형태로 구성하고, 이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호스(300) 내부에 생길 수 있는 습기가 제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클립(400)을 살펴본다.
고정클립(400)은 상기 호스(300)로부터 상기 마스크(1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호스(300)가 마스크(100)에 결합되는 역할을 함과 함께, 공급되는 산소가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클립(400)은 분리되어 탈부착이 될 수 있어, 사용자가 마스크(100)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하다가 고정클립(400)을 부착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고정클립(400)은 세부적으로 통기부(410), 외접부(430) 및 내접부(450)로 형성될 수 있다.
통기부(410)는 상술한 호스(300)로부터 공급되는 산소가 마스크(100)로 공급되는 통로를 고정클립(400)에 형성한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즉, 통기부(410)는 호스(300)와 유사한 관(管) 형태로 구성하여, 일단은 상기 호스(300)에 연결되고 타단은 마스크(100) 내부에 산소가 배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통기부(410)가 호스(300)에 결합되는 일단은 호스(300)에 내삽되도록 쐐기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관 형태인 통기부(410)에서 호스(300)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끝단은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호스(300)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는, 고정클립(400)은 마스크(100)와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체적으로 연질(軟質)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통기부(410)가 호스(300)에 삽입되는 끝단은 삽입의 용이함을 위하여 별도의 연결구(4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호스(300)에 삽입되는 통기부(410)의 끝단에 형성된 연결구(411)는 경질(硬質) 재료인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하여 호스(300)에 삽입시 가해지는 압력에도 변형되지 않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관 형태인 연결구(411)의 일측은 호스(300)에 삽입되는 부분을 쐐기형으로 구성하고, 타측은 내경을 일측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연질 재료인 부분에 형성된 화살머리형 결합돌기(413)가 연결구(411)의 타측에 억지 끼워맞춤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스크(1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통기부(410)의 타단에는 슬릿(415)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415)은 통기부(410)의 타단이 마스크(100)에 형성된 관통홀(110)에 삽입시, 가압에 의하여 외경과 내경을 일시적으로 감소시켜 용이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는, 통기부(410) 타단의 내경은 통기부(410) 전체의 내경보다 끝단쪽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단면적의 확대에 따른 산소의 유입속도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통기부(410)의 타단은 마스크(1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배출되는 산소가 사용자의 안면에 강하게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 형태인 통기부(410)의 길이방향 중심 부근에는 외접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외접부(430)는 통기부(410)의 외면으로부터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원판(原板)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외접부(430)의 외경은 마스크(100)에 형성되는 관통홀(110)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클립(400)의 통기부(410)가 마스크(100) 내부로 모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스크(100)의 외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외접부(430)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되 통기부(410)의 타단으로 삽입되어 외접부(430)에 대향결합되는 링(ring) 형태인 내접부(450)가 구비될 수 있다.
내접부(450)는 마스크(100)의 내부면에 접촉하여 외접부(430)와 결합함으로써, 고정클립(400)이 마스크(100)에 고정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내접부(450)의 내경은 통기부(410)의 외경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통기부(41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내접부(450)는 연질 재료로 형성되어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통기부(410)에 삽입시에도 확장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내접부(450)가 외접부(430)와 접촉하여 결합시 내접부(450)의 내경이 위치하는 곳의 통기부(410) 외면에는 맞춤홈(417)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통기부(410)의 타단을 통해 삽입시에는 내접부(450)의 내경을 확장하고, 외접부(430)와 내접부(450)가 접촉한 후에 내접부(450)의 내경은 맞춤홈(417)에 안착되어 외접부(430)와 내접부(4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해 내접부(450)가 결합되는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외접부(430)와 내접부(450)의 내부에는 자성체(M)가 구비되어, 자력에 의하여 외접부(430)와 내접부(45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성체(M)는 외접부(430)와 내접부(450) 내부에 동축 형성되되 연결된 띠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간헐적으로 단절된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외접부(430)와 내접부(450)가 접촉하는 면에는 돌출돌기(431)와 이에 맞춤결합되는 함입홈(451)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돌기(431)가 외접부(43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함입홈(451)이 내접부(450)에 형성되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할 수 있으며, 돌출돌기(431)와 함임홉은 외접부(430)와 내접부(450)가 결합시 그 결합위치가 한정되는 역할과 함께, 결합후에는 외접부(430)와 내접부(450)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는, 상술한 호스(300)와 산소공급기(200)가 결합하는 부위에는 별도의 온도안정관(500) 및 스위치(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산소공급기(200) 내부의 산소는 한정된 용량에 최대한 저장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저온의 상태일 수가 있는데, 이러한 저온의 산소가 그대로 호흡기로 공급되면 사용자는 저온손상을 입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산소공급기(200)로부터 배출되는 산소는 충분히 길게 형성된 온도안정관(500)을 통과함으로써, 산소가 상온수준까지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온도안정관(500)은, 내부 저온의 산소가 외기와 열교환을 통해 상온으로 온도 상승이 용이하도록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구리(Copper)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충분히 길게 형성되는 온도안정관(500)은, 그 길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운동이나 활동범위를 제약할 수 있으므로, 산소공급기(200)의 외면에 부착되되, 지그재그형으로 형성하여 부착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산소공급기(200)의 외면에 부착된 온도안정관(500)이 사용자에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온차단막(5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저온차단막(510)은 산소공급기(20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온도안정관(50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거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온도안정관(500)을 보호하는 역할, 자체적으로 발열체를 내장하여 저온의 산소를 신속하게 상온으로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온도안정관(500)과 호스(300) 사이에는 추가적으로 스위치(600)가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600)는 일반적인 구성으로서, 산소공급기(200)의 배출유량을 미리 설정해놓고 산소의 공급여부를 온-오프로서 간단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장치를 이용하는 운동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호흡보조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은 산소공급기착용단계(S100), 호스연결단계(S200), 고정클립고정단계(S300), 마스크착용단계(S400) 및 산소공급단계(S500)로 구성될 수 있다.
산소공급기착용단계(S100)는 상기 산소공급기(200)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고정이 되도록 하는 과정으로서, 상세하게는 산소공급기(200)가 고정된 밴드(210)를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 등에 감은 후에 벨크로(230)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밴드(210)는 일반적으로 탄성이 있는 것으로서 강한 탄성력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한 후에 벨크로(230) 고정을 통해 산소공급기(200)가 신체에 밀착결합될 수 있다.
산소공급기착용단계(S100)에서 착용한 산소공급기(200)에 호스(300)의 일단을 결합하고, 호스(300)의 타단은 상기 고정클립(400)에 연결하는 호스연결단계(S200)가 이루어질 수 있다.
호스(300)의 타단을 고정클립(400)에 연결시에는 고정클립(400)의 통기부(410)에 형성된 쐐기형 연결구(411)를 호스(300)의 내경에 삽입하여 가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호스(300)가 연결구(411)의 외경을 내포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호스(300)가 연결된 고정클립(400)은 마스크(100)에 고정되는 고정클립고정단계(S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고정클립(400)의 통기부(410) 일단에는 호스(300)가 연결되고, 타단은 마스크(100)에 형성된 관통홀(110)로 관통삽입되되, 통기부(410)의 타단은 슬릿(415)에 의한 외경과 내경의 감소로 관통홀(1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통기부(410)의 타단은 외접부(430)가 마스크(100)의 외부면에 접촉할 때까지 삽입하여 마스크(1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통기부(410)의 타단으로 내접부(450)가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접부(450)의 내경은 통기부(41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연질 재료인 내접부(450)의 내경을 확장하여 끼워맞춤 할 수 있으며, 통기부(410)의 타단에 형성된 슬릿(415)에 의하여 내접부(450)의 내경으로의 결합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내접부(450)는 통기부(410)를 따라 외접부(430)와 접촉할 때까지 이동하되, 통기부(410)에 형성된 맞춤홈(417)에 확장된 내경이 좁아지면서 안착될 수 있다.
외접부(430)와 내접부(450)에 각 형성된 돌출돌기(431)와 함입홈(451)의 결합에 의하여 내접부(450)가 외접부(430)의 결합위치가 한정되고, 내포된 자성체(M)에 의하여 자력결합되어 강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고정클립(400)단계가 이루어지고 난 후, 상기 산소공급기(200)와 상기 마스크(100)는 호스(3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산소가 누출되지 않는 기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마스크(100)를 착용하는 마스크착용단계(S400)를 행할 수 있다.
마스크(100)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산소공급기(200)로부터 산소가 공급되는 산소공급단계(S500)가 이루어지며,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밸브나 스위치(600)를 조절하여 산소를 공급하거나 유량 또는 압력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산소의 공급량이 조절되는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산소공급단계(S500)에 의하여 공급되는 산소는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비강 또는 구강으로 유입되어 사용자에게 원활한 호흡을 제공하고 높은 운동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마스크
110: 관통홀
200: 산소공급기
210: 밴드
230: 벨크로
300: 호스
400: 고정클립
410: 통기부
411: 연결구
413: 결합돌기
415: 슬릿
417: 맞춤홈
430: 외접부
431: 돌출돌기
450: 내접부
451: 함입홈
500: 온도안정관
510: 저온차단막
600: 스위치
M: 자성체
S100: 산소공급기착용단계
S200: 호스연결단계
S300: 고정클립고정단계
S400: 마스크착용단계
S500: 산소공급단계
110: 관통홀
200: 산소공급기
210: 밴드
230: 벨크로
300: 호스
400: 고정클립
410: 통기부
411: 연결구
413: 결합돌기
415: 슬릿
417: 맞춤홈
430: 외접부
431: 돌출돌기
450: 내접부
451: 함입홈
500: 온도안정관
510: 저온차단막
600: 스위치
M: 자성체
S100: 산소공급기착용단계
S200: 호스연결단계
S300: 고정클립고정단계
S400: 마스크착용단계
S500: 산소공급단계
Claims (6)
- 마스크;
상기 마스크와 이격형성되고, 내부에 산소가 저장되는 산소공급기;
일단이 상기 산소공급기에 연결되어 상기 산소공급기의 산소가 유입되는 호스; 및
일측은 상기 호스의 타단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마스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정클립으로 이루어진 마스크 호흡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공급기와 상기 호스 사이에는, 상기 산소공급기의 저온 산소를 호흡이 가능한 온도로 상승시켜주는 온도안정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호흡보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일단은 상기 호스에 내삽되는 쐐기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마스크 내부에 위치하되 슬릿이 형성된 통기부;
상기 통기부의 외면으로부터 축에 수직하도록 연장형성되어 상기 마스크의 외부면에 접촉되는 외접부; 및
상기 통기부의 타단으로 삽입되어 상기 외접부와 대향되도록 결합되되, 마스크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링형 내접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호흡보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접부는 상기 통기부에 형성된 홈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호흡보조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외접부와 상기 내접부에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자력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호흡보조장치. - 제1항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산소공급기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고정이 되도록 하는 산소공급기착용단계;
상기 호스의 일단을 상기 산소공급기에 연결하고, 상기 호스의 타단을 상기 고정클립에 연결하는 호스연결단계;
상기 고정클립을 상기 마스크에 고정하는 고정클립고정단계;
상기 고정클립고정단계가 완료된 상기 마스크를 사용자가 착용하는 마스크착용단계;및
상기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운동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산소공급기로부터 상기 마스크를 통해 산소가 공급되는 산소공급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호흡보조장치를 이용한 운동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3608A KR102527747B1 (ko) | 2020-12-11 | 2020-12-11 | 마스크 호흡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3608A KR102527747B1 (ko) | 2020-12-11 | 2020-12-11 | 마스크 호흡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3397A true KR20220083397A (ko) | 2022-06-20 |
KR102527747B1 KR102527747B1 (ko) | 2023-04-28 |
Family
ID=8225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3608A KR102527747B1 (ko) | 2020-12-11 | 2020-12-11 | 마스크 호흡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7747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1101Y1 (ko) * | 2003-04-17 | 2003-07-22 | 남택중 | 긴급 대피용 비상 소형 간이 산소마스크 |
KR20050028482A (ko) * | 2003-09-18 | 2005-03-23 | 주식회사 산청 |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 |
KR100988464B1 (ko) | 2009-08-12 | 2010-10-18 | 주식회사 파인테크윈 | 자전거용 호흡 보조장치 |
KR102065707B1 (ko) * | 2018-09-11 | 2020-01-14 | 비클시스템주식회사 | 공기 유입 연결관의 자성 탈부착식 안면 마스크 |
KR102114239B1 (ko) | 2018-08-17 | 2020-05-25 | 주식회사 성진프린텍 | 휴대용 산소마스크장치 |
-
2020
- 2020-12-11 KR KR1020200173608A patent/KR1025277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1101Y1 (ko) * | 2003-04-17 | 2003-07-22 | 남택중 | 긴급 대피용 비상 소형 간이 산소마스크 |
KR20050028482A (ko) * | 2003-09-18 | 2005-03-23 | 주식회사 산청 |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 |
KR100988464B1 (ko) | 2009-08-12 | 2010-10-18 | 주식회사 파인테크윈 | 자전거용 호흡 보조장치 |
KR102114239B1 (ko) | 2018-08-17 | 2020-05-25 | 주식회사 성진프린텍 | 휴대용 산소마스크장치 |
KR102065707B1 (ko) * | 2018-09-11 | 2020-01-14 | 비클시스템주식회사 | 공기 유입 연결관의 자성 탈부착식 안면 마스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7747B1 (ko) | 2023-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152903B (zh) | 用于患者接口的可调节头带管 | |
JP5439314B2 (ja) | マスクおよびそのための通気アセンブリ | |
US5269296A (en) |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apparatus and method | |
US10307562B2 (en) | Auto-feedback valve for a sleep apnea device | |
US3769983A (en) | Medical devices | |
US20170232222A1 (en) | Vent system for cpap patient interface used in treatment of sleep disordered breathing | |
US10272226B2 (en) | Auto-feedback valve for a sleep apnea device | |
EP1696985B1 (en) | Sealing nasal cannula | |
EP2838618B1 (en) | Gas carrying headgear with porous exhalation portions | |
US6431172B1 (en) | Nasal cannula with inflatable plenum chamber | |
US4471776A (en) | Static tracheostomy tube | |
US20100043801A1 (en) | Minimally invasive nasal cannula | |
EP0658356A2 (en) | Nasal ventilation cannula | |
EP2996753B1 (en) | Auto-feedback valve for a sleep apnea device | |
JP2011218175A (ja) | 呼吸補助装置 | |
DE60111054D1 (de) | Beatmungsmaske | |
JP2010528713A (ja) | 鼻cpap用の一体型マスク及びプロング | |
JP2009504334A (ja) | マスク取付装置 | |
CA2701876A1 (en) | Respiration bag | |
US10828459B2 (en) | Breath powered positive airway pressure device | |
KR20220083397A (ko) | 마스크 호흡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 |
JPH08252315A (ja) | 細菌フィルタ器付き一方向バルブ | |
CA3110720A1 (en) | Breath powered positive airway pressure device | |
CN217745612U (zh) | 一种可进行呼吸功能锻炼的气管套管 | |
CN211301633U (zh) | 呼吸面罩和通气治疗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