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7253A - 착용이 용이하고 기밀성이 향상된 방독 마스크 - Google Patents

착용이 용이하고 기밀성이 향상된 방독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7253A
KR20080107253A KR1020080037149A KR20080037149A KR20080107253A KR 20080107253 A KR20080107253 A KR 20080107253A KR 1020080037149 A KR1020080037149 A KR 1020080037149A KR 20080037149 A KR20080037149 A KR 20080037149A KR 20080107253 A KR20080107253 A KR 20080107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mask
air
gas mask
contac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6464B1 (ko
Inventor
박재철
Original Assignee
박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철 filed Critical 박재철
Publication of KR20080107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6Adaptations for consuming refreshments without unmask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착용이 용이하고 기밀성이 향상된 방독 마스크를 제공한다. 그 마스크는 진공부위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측과 내측에 격벽이 형성된 마스크 본체의 외측과 내측의 격벽의 단부에 각각 부착되고 공기의 압력의 변화에 따라 형상이 변화되는 외부 밀착부와 내부 밀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내측의 격벽에 형성되어 진공부위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진공체크밸브 및 진공부위의 외측의 격벽에 형성되어 진공부위에 공기를 출입을 조절하는 진공잠금부를 포함한다.
방독 마스크, 진공부위, 밀착부, 진공체크밸브, 진공잠금부

Description

착용이 용이하고 기밀성이 향상된 방독 마스크{Anti-gas mask of easy wearing and enhanced airtightness}
본 발명은 방진, 방독 마스크(이하, 방독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진이 발생되는 곳이나 기타 유독성 가스가 발생될 수 있는 지역으로부터 인체의 보호하는 방독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방독 마스크는 머리끈을 균형있게 조여야만 마스크의 전면부와 사람의 안면부가 완전하게 밀착을 할 수 있다. 즉, 마스크와 안면부는 머리끈을 이용하여 밀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마스크는 착용시간의 길뿐만 아니라, 착용할 때 완전하게 밀착이 되지 않아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마스크 내부로 침투하기도 한다. 특히 숙련되지 않은 사람이 마스크를 착용할 때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은 문제점은 더욱 심각하다.
또한, 위와 같이 마스크가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은 것을 해결하고자 별도의 마스크 두건을 만들어 목 부위에 설치된 조임장치를 통해 마스크의 밀착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마스크 두건을 사용하면 마스크를 착용하기가 불편하고 마스크의 투시창에 사람이 호흡할 때 발생하는 김이 서리는 등의 새로운 문제점이 야기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착용이 용이하고 기밀성이 향상된 방독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독 마스크는 진공부위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측과 내측에 격벽이 형성된 마스크 본체와 상기 외측과 내측의 격벽의 단부에 각각 부착되고 공기의 압력의 변화에 따라 형상이 변화되는 외부 밀착부와 내부 밀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측의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진공부위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진공체크밸브 및 상기 진공부위의 상기 외측의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진공부위에 공기를 출입을 조절하는 진공잠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방독 마스크를 지지하는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외부 밀착부와 상기 내부 밀착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보다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밀착부와 상기 내부 밀착부는 탄성고무 또는 실리콘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공체크밸브는 상기 진공부위의 공기가 빠져 나감으로써, 상기 외부 밀착부와 내부 밀착부가 사람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압축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독 마스크는 공기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방독 마스크를 쓰고 벗으므로 착용이 간편하고, 진공부위의 압력을 줄여 그로 인한 압축력에 의해 방독 마스크를 안면에 강하게 밀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독 마스크(100)를 인체의 안면을 중심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a; 바깥 부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독 마스크(100)를 인체의 안면을 향하는 부분(b; 안쪽 부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때, 도 3의 정화통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완전히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표현하였다. 방독 마스크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나, 여기서는 사람의 코와 입 부분을 덮는 마스크를 사례로 제시하였다. 도 3에서의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방독 마스크(100)는 마스크 본체(10), 정화통(20), 배기체크밸브(30), 전성판(40) 및 진공잠금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마스크 본체(10)는 방독마스크(100)를 지지하며, 정화통(20)은 외부의 오염 된 공기를 정화하여 안쪽 부위(b)로 유입하며, 배기체크밸브(30)는 안쪽부위(b)에서 발생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전성판(40)은 외부로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진공잠금부(6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마스크 본체(10)는 상대적으로 낮은 유연성을 가지며, 안쪽부위(b)의 사람의 안면(70)과 닿는 부분에 진공부위(c)를 이루는 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마스크 본체(10)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격벽과 사람의 코(72)를 중심으로 마스크 본체(10)의 둘레를 따라 진공부위(c)를 형성하기 위한 격벽이 형성되어 있다. 즉, 마스크 본체(10)의 바깥부위는 외측격벽(10a)이 있고, 안쪽부위에는 내측격벽(10b)이 존재한다. 마스크 본체(1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견뎌야 하고, 또한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방독 마스크(100)의 탈착 및 부착(착용이라고 함)에 잘 적응해야 한다. 마스크 본체(10)는 예를 들어 고분자 물질이 바람직하다.
마스크 본체(10)와 사람의 안면(70) 사이에는 마스크 본체(1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진 밀착부들(12, 14)이 존재한다. 즉, 마스크 본체 외측격벽(10a)의 단부에는 외부 밀착부(12)가 부착되어 있고, 마스크 본체 내측격벽(10b)의 단부에는 내부 밀착부(14)가 부착되어 있다. 밀착부(12, 14)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할 수 있으며, 마스크 본체(10)와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밀착부들(12, 14)은 안면(70)과 밀착이 충분하도록 공기의 압력에 따라 형상이 변화되는 재질, 예컨대 고무 또는 실리콘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형상의 변화를 확보하기 위한 내부는 빈 공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크 본체(10), 외부 밀착부(12), 내부 밀착부(14) 및 사람의 안면(70)은 진공부위(c)를 형성한다.
내부 밀착부(14)가 부착된 내측격벽(10b)의 제1 유로(58)에는 진공체크밸브(50)가 설치된다. 진공체크밸브(50)는 마스크 본체의 내측격벽(10b)에 고정되며, 제1 덮게(52) 내에 제1 격판(54) 및 제1 스프링(56)으로 이루어진다. 제1 스프링(56)은 제1 덮게(52)에 고정되어 있다. 진공체크밸브(50)는 방독 마스크(100)의 착용 시에 진공부위(c)에 함유된 공기를 진공부위(c)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진공부위(c)에서의 마스크 본체의 외측격벽(10b)에는 진공잠금부(6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독마스크(100)의 마스크 본체(10)에는 사람의 안면이 닿는 부위에는 외부 밀착부(12)와 내부 밀착부(12)가 부착되어 있고, 외측격벽(10a)에는 진공잠금부(60)가 설치되어 있으며, 내측격벽(10b)에는 진공체크밸브(50)가 설치되어 있다.
정화통(20)의 입구를 손 등으로 막고 숨을 들이키면, 진공부위(c) 내부의 공기는 진공체크밸브(50)를 작동시켜 진공부위(c)의 외부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숨을 들이키는 것에 의해 진공부위(c)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가 발생하고, 압력 차이에 의한 구동력은 제1 격판(54)을 밀어 올린다. 이에 따라 제1 격판(54)의 이동에 의해 제1 유로(58)가 개방되어, 공기는 제1 덮게(52)를 지나 진공부위(c)의 외부로 유출된다.
진공부위(c)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이 같아지면, 제1 스프링(56)이 제1 격판(54)을 원위치로 하여, 제1 유로(58)에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위와 같 은 방식으로 진공부위(c)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만 흐를 뿐, 진공부위(c) 외부의 공기는 내부로 유입되지 못한다. 이때, 진공잠금부(60)는 잠겨 있어서 외부와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진공부위(c)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면, 진공부위(c)의 압력이 낮아지고, 진공부위(c)의 공간을 줄어든다. 여기서, 진공부위(c)란 위와 같이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 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을 지칭하기 위하여 명명한 것이다. 줄어든 압력은 외부 밀착부(12), 내부 밀착부(14) 및 안면(70)에 압축력을 부여하여. 외부 밀착부(12), 내부 밀착부(14)의 형상이 변화하면서 방독 마스크(100)는 사람의 안면(70)에 더욱 강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종래의 방독 마스크와는 달리 끈이나 두건을 이용하여 안면에 밀착시키지 않고 단지 진공부위(c)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방독마스크를 안면에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진공부위(c)에 공기를 유입하여 진공부위(c)의 기압을 대기압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방독 마스크(100)를 벗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진공잠금부(60)를 열면 외부의 공기가 진공부위(c)로 들어와 진공부위(c)의 압력을 대기상태와 같게 한다. 이렇게 되면, 진공부위(c)에 인가된 압축력이 깨져 외부 밀착부(12)와 내부 밀착부(14)가 안면(70)에서 용이하게 떨어진다. 진공잠금부(60)는 도면에서는 간략하게 표현하였으나, 열고 닫을 수 있는 덮게를 두어 간단하게 동작할 수 있을 수 있다.
도면에서는 진공체크밸브(50)와 진공잠금부(60)가 각각 하나씩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진공체크밸브(50) 및 진공잠금부(60)는 여러 개 둘 수 있다. 왜냐하면, 진공부위(c)의 공기가 빠른 시간 내에 외부로 배출하기 위함이다. 또한, 진공잠금부(60)의 홀의 크기를 조절하여 외부에서 진공부위(c)로 들어오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정화통(20)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며, 정화통 연결부(22)에 결합된다. 정화통(20)과 정화통 연결부(22) 사이에는 흡기체크밸브(24)가 설치되어 있어, 정화된 공기가 마스크 본체(10)의 내부로만 흐르게 한다. 흡기체크밸브(24)는 구조와 동작은 앞에서 설명한 진공체크밸브(50)와 유사하다.
전성판(40)은 방독 마스크(100)를 착용한 후, 사람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배기체크밸브(30)는 방독 마스크(100)를 착용한 후, 호흡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만 방출하기 위한 것이다. 배기체크밸브(30)는 진공체크밸브(5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사람의 호흡으로 발생한 공기에 의해 안쪽부위(b)와 바깥부위(a)의 압력 차이가 발생하고, 압력 차이에 의한 구동력은 제2 격판(34)을 밀어 올린다. 이에 따라 제2 격판(34)과 제1 유로(38)가 개방되어 공기는 제2 덮게(32)를 지나 방독 마스크(100)의 외부로 유출된다. 방독 마스크(10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이 같아지면, 제2 스프링(36)이 제2 격판(34)을 원위치로 하여, 제2 유로(38)에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독 마스크는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방독 마스크를 쓰고 벗으므로, 착용이 간편하다. 또한, 진공부위의 압력을 줄여 그로 인한 압축력에 의해 방독 마스크를 안면에 강하게 밀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독 마스크를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독 마스크를 인체의 안면을 향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방독 마스크 10; 마스크 본체
10a; 외측 격벽 10b; 내측 격벽
12; 외부 밀착부 14; 내부 밀착부
20; 정화통 30; 배기체크밸브
40; 전성판 50; 진공체크밸브
60; 진공잠금부

Claims (5)

  1. 진공부위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측과 내측에 격벽이 형성된 마스크 본체;
    상기 외측과 내측의 격벽의 단부에 각각 부착되고 공기의 압력의 변화에 따라 형상이 변화되는 외부 밀착부와 내부 밀착부;
    상기 내측의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진공부위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진공체크밸브; 및
    상기 진공부위의 상기 외측의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진공부위에 공기를 출입을 조절하는 진공잠금부를 포함하는 착용이 용이하고 기밀성이 향상된 방독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방독 마스크를 지지하는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하고 기밀성이 향상된 방독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밀착부와 상기 내부 밀착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보다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하고 기밀성이 향상된 방독마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밀착부와 상기 내부 밀착부는 탄성고무 또는 실리콘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하고 기밀성이 향상된 방독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체크밸브는 상기 진공부위의 공기가 빠져 나감으로써, 상기 외부 밀착부와 내부 밀착부가 사람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압축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하고 기밀성이 향상된 방독마스크.
KR1020080037149A 2007-06-05 2008-04-22 착용이 용이하고 기밀성이 향상된 방독 마스크 KR100966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730 2007-06-05
KR20070054730 2007-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253A true KR20080107253A (ko) 2008-12-10
KR100966464B1 KR100966464B1 (ko) 2010-06-28

Family

ID=4036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149A KR100966464B1 (ko) 2007-06-05 2008-04-22 착용이 용이하고 기밀성이 향상된 방독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4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264B1 (ko) * 2015-04-14 2015-07-13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KR101536265B1 (ko) * 2015-04-14 2015-07-13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82388B (sv) 1973-12-19 1976-02-02 Gnosjoeplast Ab Andningsmask, serskilt for konstgjord andning
JPS5819302B2 (ja) 1979-06-19 1983-04-18 増田 紀雄 外部汚染空気浸入防止マスク
DE3230939C2 (de) 1982-08-20 1984-06-28 Drägerwerk AG, 2400 Lübeck Atemschutzmaske mit Innenhalbmaske
AUPS192602A0 (en) 2002-04-23 2002-05-30 Resmed Limited Nasal mask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264B1 (ko) * 2015-04-14 2015-07-13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KR101536265B1 (ko) * 2015-04-14 2015-07-13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WO2016167531A1 (ko) * 2015-04-14 2016-10-20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WO2016167532A1 (ko) * 2015-04-14 2016-10-20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TWI583427B (zh) * 2015-04-14 2017-05-21 山凊股份有限公司 頭罩式防毒面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6464B1 (ko) 2010-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0930B2 (ja) 清浄空気吸入室を有する呼吸用マスク
US10166417B2 (en) Respirator having an integrated oronasal mask
AU2002303617B2 (en) Respirator valve
EP0182550B1 (en) Valve for respirator
RU2724570C1 (ru) Маска для подводного плавания, имеющая корпус, оснащенный устройством удаления выдыхаемого воздуха, содержащим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JP2007216949A (ja) 水中潜水器具用弁機構
PL1962964T3 (pl) Filtrująca maska na twarz z jednokierunkowym zaworem posiadającym sztywną nienaprężoną giętką klapkę
AU2016342193B2 (en) Respirator mask with voice transmittal feature
GB2404721B (en) Improvements relating to exhalation valves
DE60204909D1 (de) Atemschutzmaske, die ein ausatmungsventil benutzt, das eine flexible, mehrschichtige klappe hat
ZA200608636B (en) Respirators
CN109701175B (zh) 一种呼吸隔离罩及呼吸辅助系统
US5645047A (en) Inhalation mask
KR20060095136A (ko) 안면 마스크
KR100966464B1 (ko) 착용이 용이하고 기밀성이 향상된 방독 마스크
KR20090053529A (ko)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AU2003290242A1 (en) Breathing apparatus
AU2003208418B2 (en) Respirators
KR101847152B1 (ko) 역세척 가능한 멤브레인 일체형 공기호흡장치가 장착된 헬멧
KR101730831B1 (ko) 방독 마스크
KR102104886B1 (ko)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
KR200177395Y1 (ko) 방독면의 흡기밸브
CN110575629A (zh) 易排出呼出气体的防护面罩
CA1106258A (en) Respirators
CN111905287A (zh) 空气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