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032A -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 - Google Patents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032A
KR20200076032A KR1020180164673A KR20180164673A KR20200076032A KR 20200076032 A KR20200076032 A KR 20200076032A KR 1020180164673 A KR1020180164673 A KR 1020180164673A KR 20180164673 A KR20180164673 A KR 20180164673A KR 20200076032 A KR20200076032 A KR 20200076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gas mask
radio
communication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한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신
Priority to KR1020180164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6032A/ko
Publication of KR20200076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0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방독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을 위해 무전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무전기를 파지 및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시킬 필요 없이 간편하게 무전기의 스위치만 작동한 상태에서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등 무전기의 사용이 편리하게 하며, 또한 통신 과정에서 차단막 없이 음질 전달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음질의 정확한 전달이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른 양호한 통신 품질을 제공받을 수 있게 하며, 또한 통신수단을 방독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통신수단의 취급 및 사용 효율성의 향상과 고장을 예방 하기 위한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Gas mask with communication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방독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험 지역에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공기 속에 있는 유해 물질의 흡입을 막고 안면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그 구조에 따라 풀페이스형, 하프 페이스형, 두건형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인 두건형 방독면은 착용자의 머리 전체와 어께 부분을 감싸는 주머니 형태의 두건에 착용자가 전방을 주시할 수 있게 전안부에 형성되는 안면렌즈(visor), 전안부에 구비되어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는 정화통(cartridge), 정화통에 설치되어 공기를 전안부로 들어가게 하고 착용자가 내뱉는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흡기 밸브(inhalation valve), 착용자가 내뱉는 공기가 전안부의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전안부에 구비되는 배기 밸브(exhalation valve), 전안부를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시키도록 착용자의 머리 뒷부분을 감싸는 조절끈(head harness)으로 구성된 것으로, 주로 소방, 군사 방역용 등에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두건형 방독면은 작업 과정에서 외부와의 통신시 무전기를 파지 및 방독면의 외측에 대고 통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인바,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방독면을 착용하고 통신을 수행하는 특성상 울림과 주변의 잡음과 방독면에 의해 차단막이 형성되는 것인바, 마이크나 스피커 음질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등 통신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출원등록 제10-1536264호. 대한민국실용신안출원등록 제20-02210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통신을 위해 무전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무전기를 파지 및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시킬 필요 없이 간편하게 무전기의 스위치만 작동한 상태에서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등 무전기의 사용이 편리하게 하기 위한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통신 과정에서 차단막 없이 음질 전달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음질의 정확한 전달이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른 양호한 통신 품질을 제공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한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통신수단을 방독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통신수단의 취급 및 사용 효율성의 향상과 고장을 예방 하기 위한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두건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사용되는 두건형 방독면에 있어서,
두건의 내측에 외부의 무전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무전기의 송수신 전달이 가능하게 하는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통신수단은,
소리의 송출이 가능한 마이크;
소리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이어폰의 연결이 가능한 이어폰 포트;
마이크와 스피커와 이어폰 포트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와 무전기를 유선 연결하여 신호의 입출력이 가능하게 하는 연결젠더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은, 마이크 및 스피커가 두건의 내측에 구성된 것인바, 사용자가 작업중 외부와의 통신시 무전기를 얼굴 위치에 근접시킬 필요 없이 스위치만의 작동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등 무전기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마이크와 스피커가 형성되는 통신수단이 두건의 내측에 형성된 것인바, 사용자와 무전기 사이에 장애물이 없어 통신 과정에서 정확한 음질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등 통신 품질이 현격히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통신수단이 두건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인바, 사용시 부착하여 사용하고 두건의 세탁시나 보관시 탈거하여 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등 통신수단의 보호 및 사용 효율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의 통신수단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의 다른 실시예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의 착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의 수신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의 송신 사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의 통신수단 요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1)은, 두건(10)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사용되는 두건형 방독면 자체에서 무전기의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두건(10)의 내측에 외부의 무전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무전기의 송수신 연동이 가능하게 하는 통신수단(100)이 구성된다.
상기 통신수단(100)은 먼저, 사용자의 소리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마이크(120)가 구성된 것으로, 마이크(120)는 무전기의 마이크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통신수단(100)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소리의 출력이 가능하게 하는 스피커(130)가 구성된 것으로, 스피커(130)는 무전기의 스피커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통신수단(100)은 상기 이어폰의 연결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어폰 포트(140)가 구성된다.
또한, 통신수단(100)은 상기 마이크(120)와 스피커(130)와 이어폰 포트(14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신호의 입출력이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150)가 구성된 것으로, 제어부(150)는 무전기(30)의 제어부(31)와 상호 신호 전달하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통신수단(100)은 상기 제어부(150)에 그 제어부(150)와 무전기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신호의 입출력이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형태의 연결젠더(160)가 구성된 것으로, 연결젠더(160)는 두건(10)의 외부로 인출되게 구성된다.
즉, 통신수단(100)은 사용자가 두건형 방독면(1)을 착용시 연결젠더(160)를 통해 무전기와 연결되어 제어부(150)를 중계로 하여 사용자가 말하는 소리를 마이크(120)로 입력 및 무전기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무전기로 전달되는 소리를 스피커(130)를 통해 출력하게 되는 것으로, 두건(10)의 내측에 형성되는 특성상 사용자의 입과 귀와 근접되어 소리의 입력 및 출력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통신수단(100)을 두건(10)에 형성함에 있어서는 두건(1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두건(10)의 내측에 탈부착수단(200)을 통해 탈부착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통신수단(100)은 별도의 본체(110)을 구성하되, 이때, 본체(110)는 절곡력을 가지는 좌,우 길이를 갖는 신축성 재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두건과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어 두건(10)의 내측 후방에서 측면에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본체(110)에 상기 마이크(120)와 스피커(130)와 이어폰 포트(140)와 제어부(150)가 형성되고, 연결젠더(160)이 본체(110)으로부터 인출되게 구성하며, 그 본체(110)가 두건(10)의 내측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부착수단(200)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암수 구분되어 서로 탈부착 되는 것이면 가능한 것으로, 일예로 통상의 밸크로테이프나 스냅단추 등을 통해 가능할 수 있으며, 일예로 두건(10)에 암형 탈부착수단(200)을 구성하고 본체(110)에 수형 탈부착수단(200)을 형성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통신수단(100)의 탈부착은 방독면의 세탁이나 정비 및 보관시 통신수단(100)과 별도 취급함으로 통신수단(100)의 보호 및 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1)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 6의 도시와 같이 통상의 두건형 방독면과 같이 사용자로 하여금 두건(10)을 이용하여 머리에 쓴 상태에서 어깨를 덮어 착용하면 된다.
그리고, 무전기(30)를 휴대하되, 무전기(30)는 통상의 휴대 방법과 같이 보호복 등의 작업복에 수납 보관하면 된다.
그리고, 통신수단(100)을 무전기(30)와 연결하되, 이는 본체(110)로부터 인출된 연결젠더(160)를 무전기(30)에 꽂아 연결하면 된다.
또한, 사용자가 스피커(130) 대신 이어폰을 사용시에는 이어폰 포트(140)에 이어폰(40)을 연결 사용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1)을 착용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통신수단(100)이 두건(10)에 일체 구성시에는 그 두건형 방독면(1)만 착용하더라도 그 사용이 가능하게 되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체(110)를 통해 분리 구성시에는 탈부착수단(200)을 통해 두건(10)의 내측에 부착 장착하면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두건형 방독면(1)을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업 중 외부와의 통신을 위해서는 통상의 무전기(30) 통신과 같이 무전기(30)의 조작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1)을 통해 통신을 위해서는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외부로부터 작업 지시 및 현장 상황 등을 전달받는 수신시에는 그 신호가 무전기(30)의 제어부(150)를 거쳐 연결젠더(160)를 통해 본체(110)의 제어부(150)로 전달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제어부(150)에서는 그 신호를 스피커(130)로 출력하여 두건(10) 내부에서 사용자에게 전달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외부로 현장 상황 등을 전달하는 송신시에는 도 8을 참조하여 사용자는 통상의 무전기 사용과 같이 그 무전기(30)의 송신 스위치(32)를 누른 상태에서 통신하면 되는 것으로, 그 송신 스위치(32)를 누르게 되면 신호를 본체(110)의 제어부(150)로 전송하여 마이크(120)의 송신을 개방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사용자가 말하는 소리는 마이크(210)를 통해 입력 및 본체(110)의 제어부(150)와 무전기(30)의 제어부(150)를 통해 외부로 송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스피커(130) 및 마이크(120)는 본체(110)가 두건(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인바, 사용자의 귀 및 입과 근접하여 선명한 음질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은 사용자가 작업 현장에 진입 및 무전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무전기의 마이크를 사용자의 얼굴 위치에 근접시켜 통신할 필요 없이 스위치만의 작동으로 두건의 내부에서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는 등 무전기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통신 과정에서 무전기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 두건의 차단막이 없어 선명의 음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두건에 탈착 가능하게 하면 통신수단의 취급과 보호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10 : 두건 30 : 무전기
31 : 제어부 32 : 송신 스위치
100 : 통신수단 110 : 본체
120 : 마이크 130 : 스피커
140 : 이어폰 포트 150 : 제어부
160 : 연결젠더 200 : 탈부탁수단

Claims (3)

  1. 두건(10)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사용되는 두건형 방독면에 있어서,
    두건(10)의 내측에 외부의 무전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무전기의 송수신 전달이 가능하게 하는 통신수단(1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통신수단(100)은,
    소리의 송출이 가능한 마이크(120);
    소리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130);
    이어폰의 연결이 가능한 이어폰 포트(140);
    마이크(120)와 스피커(130)와 이어폰 포트(14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50); 및
    제어부(150)와 무전기를 유선 연결하여 신호의 입출력이 가능하게 하는 연결젠더(16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
  2. 제 1항에 있어서,
    통신수단(100)은,
    두건(10)에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
  3. 제 1항에 있어서,
    통신수단(100)은,
    마이크(120)와 스피커(130)와 이어폰 포트(140)이 본체(110)에 형성되게 구성하고, 그 본체(110)가 두건(10)의 내측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두건(10)과 본체(110)에는 각각 암수 분리되어 서로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수단(200)이 더 형성되어 본체(110)를 두건(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
KR1020180164673A 2018-12-19 2018-12-19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 KR20200076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673A KR20200076032A (ko) 2018-12-19 2018-12-19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673A KR20200076032A (ko) 2018-12-19 2018-12-19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032A true KR20200076032A (ko) 2020-06-29

Family

ID=71400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673A KR20200076032A (ko) 2018-12-19 2018-12-19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60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320A (ko) * 2020-07-17 202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034Y1 (ko) 2000-10-24 2001-04-16 삼공물산주식회사 두건형 방독면의 오염가스 유입차단장치
KR101536264B1 (ko) 2015-04-14 2015-07-13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034Y1 (ko) 2000-10-24 2001-04-16 삼공물산주식회사 두건형 방독면의 오염가스 유입차단장치
KR101536264B1 (ko) 2015-04-14 2015-07-13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320A (ko) * 2020-07-17 202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20815A1 (en) Protective Mask with Imbedded Functionality
US4374301A (en) Local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for enclosed helmet and mask assembly
US20100045928A1 (en) Fashion eyewear frame that houses circuitry to effect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while providing extraneous background noise cancellation capability
JP7085529B2 (ja) 一体型骨伝導トランスデューサ付き呼吸マスク
EP2112768A3 (en) Neckpad communications system for a helmet
KR200407382Y1 (ko)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핸즈프리 헬멧
JP2013522953A (ja) 通信用眼鏡
KR20200076032A (ko)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
KR200398317Y1 (ko) 이어-마이크 셋트 사용이 가능한 마스크
KR101474760B1 (ko) 소방 작업자용 송수신 장치
KR101429870B1 (ko) 커트보
KR102014023B1 (ko) 넥 밴드형 유무선 튜브 이어 마이크
CN204540899U (zh) 一种阻燃通信防护头罩
KR200290419Y1 (ko) 마이크 및 스피커 폰이 부착된 공기 호흡기
KR200288245Y1 (ko) 영상송신 및 음성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송수신기가부착된 헬멧
CN211608339U (zh) 一种带沟通装置的消防头盔
KR102405469B1 (ko)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CN208609160U (zh) 一种用于头戴设备的扬声器耳壳及一种头戴设备
KR20200122108A (ko) 코마스크
KR102101679B1 (ko)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보호복
CN206775692U (zh) 一种拾音降噪耳机
CN212938053U (zh) 改良型抛弃式轻便口罩
KR20210023588A (ko) 이어셋 타입의 휴대 가능한 공기청정기
KR20200138924A (ko) 안면 마스크
CN206365526U (zh) 一种一体式对讲安全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