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469B1 -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 Google Patents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469B1
KR102405469B1 KR1020200145668A KR20200145668A KR102405469B1 KR 102405469 B1 KR102405469 B1 KR 102405469B1 KR 1020200145668 A KR1020200145668 A KR 1020200145668A KR 20200145668 A KR20200145668 A KR 20200145668A KR 102405469 B1 KR102405469 B1 KR 102405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main body
microphone
communication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0108A (ko
Inventor
반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써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써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써반
Priority to KR1020200145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469B1/ko
Priority to PCT/KR2021/015746 priority patent/WO2022098069A1/ko
Priority to US18/035,486 priority patent/US20230336899A1/en
Publication of KR20220060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4Throat mountings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6Special adaptations for use as contact microphones, e.g. on musical instrument, on stethoscop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72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with extendable microphones or ear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tte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에 관한 것으로, 통신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목 뒷부분에 안착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목 앞부분에 밀착되어 목의 진동으로 음성을 전달하는 넥마이크(12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무게에 의해 무게 중심이 사용자의 목 뒤에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넥마이크와 무선 통신장치의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면체를 쓰고 화재진압을 하거나 화학방호복을 착용한 경우에도 양손이 자유롭게 통신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NECK MICROPHONE}
본 발명은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넥마이크와 무선 통신장치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양손이 자유롭게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에 관한 것이다.
화재현장에서 몸을 던져 인명을 구하는 소방관들은 갖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소음은 원활한 의사소통을 어렵게 하므로 위협적이다.
특히, 화재현장은 내부에 있는 소방관이 외부에서 파악한 추가 정보를 듣고 사람을 구하거나 대피할 시점을 파악할 때가 많은데, 주변 소음 때문에 혹은 구조에 집중하느라 중요한 정보를 종종 놓치곤 한다.
또한 화재현장에서 무전기로 소통했을 때는 현장에서 동료의 목소리를 듣지 못해 위험한 경우가 많으며, 면체를 쓰고 화재진압을 하거나 화학보호복을 착용하는 경우에는 무전기의 버튼을 누르기 어려워 교신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소음기 가득한 재난구조 현장에서 소방관들이 원활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해 인명구조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711001호(2017.02.22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넥마이크와 무선 통신장치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면체를 쓰고 화재진압을 하거나 화학방호복을 착용한 경우에도 양손이 자유롭게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통신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목 뒷부분에 안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목 앞부분에 밀착되어 목의 진동으로 음성을 전달하는 넥마이크를 포함하고, 본체의 무게에 의해 무게 중심이 사용자의 목 뒤에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목 아래부분과 어깨의 굴곡에 맞추어 안착되게 하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넥마이크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끼워지고 상기 본체의 양단에서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넥밴드부와, 상기 넥밴드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목에 접촉되어 목의 진동을 검출하는 넥마이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넥밴드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안내슬롯부를 통과하여 삽입슬롯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통신장치는 다자간 실시간 통화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하면에 무전기와 연결을 위한 무전기 연결잭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일측 측면에 무전기를 이용해 음성을 송출하기 위한 PTT(push to talk)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PTT 버튼은 상기 본체의 일측 측면에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위급상황 발생시 자동경보기능을 갖는 자동경보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일측 측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뮤트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와 넥마이크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므로 본체와 넥마이크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선이 필요없게 되어, 화재현장과 같은 구조작업 환경 하에서 움직임이 자유롭고 손쉽게 통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 뒤에서 끼우는 간단한 방법으로 착용 가능하며 면체나 소방관모를 쓰고 두꺼운 화학방호복을 입은 상태에서도 간섭받지 않고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무게로 인한 하중을 목 아래부분과 어깨에 골고루 분산시켜 착용감을 좋게 하고 안정적으로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장시간 착용하고 화재진압 및 재난구조 작업을 진행하더라도 인체에 부담을 주지않고, 움직임이 많은 다양한 자세를 취하더라도 인체에 무리없이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착용 위치가 변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넥마이크를 사용하므로 소음이 가득한 재난구조 환경에서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고, 넥마이크가 목에 안착되어 면체의 하부 공간에 위치함으로써, 면체의 간섭을 받지 않고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전기를 연결하여, 장치에 포함된 무선통신 기능에 추가적으로 무전기를 통한 통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넥마이크가 본체에서 착탈 가능하므로 이상이 발생했을 때 넥마이크 부분만 별도로 분리하여 교환 수리가 가능하고, 넥마이크를 제거하고 상부 팔에 두르는 것처럼 다른 부위에 착용하여 통신을 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뮤트버튼과 PTT버튼 등이 본체의 양쪽에 구분되어 있고 돌출되어 있어 화재진압이나 재난구조 작업 중에 두꺼운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신속하게 버튼을 누를 수 있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도 서로 통신이 가능하고, 다자간 실시간 통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넥마이크와 무선 통신장치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므로 면체를 쓰고 화재진압을 하거나 화학방호복을 착용한 경우에도 착용이 간편하고 착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소음이 심한 환경에서도 대원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를 상부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를 하부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에서 넥마이크의 길이조절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본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를 착용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는 사용자의 목에 걸어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목 뒷부분에 안착되는 본체(110)와 사용자의 목 앞부분에 밀착되는 넥마이크(12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화재진압 현장이나 재난현장에서 인명 구조를 수행하는 소방관, 구조대원 등이 해당된다. 사용자가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를 착용한 상태의 예로 도 5를 참고할 수 있다.
본체(110)는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의 작동을 위한 각종 장치들이 포함된다. 본체(110)는 사용자의 목 뒷부분에 걸어져 넥마이크(120)를 지지한다.
본체(110)의 무게로 인해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는 무게 중심이 사용자의 목 뒤에 있게 되고, 무게 중심이 사용자의 목 뒤 하방에 있도록 본체(110)는 하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본체(110)의 무게 중심이 사용자의 목 뒤 하방으로 가면 본체(110)의 무게로 인한 하중을 사용자의 목 아래부분과 어깨에 분산시켜 무게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하고 착용감이 향상되고 목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본체(110)는 소정의 부피를 가지며, 상면이 유선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본체(110)의 하면은 사용자의 목 아래부분과 어깨의 굴곡에 맞추어 안착되고 사용자의 목 아래부분과 어깨에 접촉된다. 구체적으로는, 본체(110)의 저면은 사용자의 목 아래부분과 어깨의 굴곡에 맞추어 밀착되게 아래로 굴곡져 형성된다. 상기한 본체(110)의 형상은 본체(110)의 무게로 인한 하중을 넓은 부위에 골고루 분산시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의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넥마이크(120)는 본체(110)의 양단에서 돌출되게 구비된다. 넥마이크(120)는 사용자 간 통신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넥마이크(120)는 목의 진동으로 음성을 전달한다. 넥마이크(120)는 성대의 울림에 따른 진동신호를 검출하여 음성신호로 변환시키는 장치로, 성대의 진동을 피부에서 직접 검출하기 때문에 작은 음성도 또렷하게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의 잡음이 심한곳에서도 적은 목소리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등 외부 소음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소방관, 구조대원 등은 안면 가림구(면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형태의 마이크보다 넥마이크를 사용하는 유용성이 증대된다.
넥마이크(120)는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10)와 일체형으로 된다. 넥마이크(120)와 본체(110)가 일체형으로 되면, 넥마이크(120)와 본체(110)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선이 필요없어 시야확보가 어려운 화재현장에서도 안정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넥마이크(120)와 본체(110)의 전기적 연결은 넥마이크(120)가 본체(110)에 결합된 부분인 본체(110)의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넥마이크(120)와 본체(110)가 일체형으로 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는 전방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는 본체(110)가 사용자의 목 뒤쪽으로 위치하고 넥마이크(120)가 사용자의 목 앞쪽으로 위치하도록 목에 걸어서 착용하게 된다.
넥마이크(120)는 본체(110)와 일체형으로 되나, 본체(110)에서 착탈 가능하다. 넥마이크(120)가 본체(110)에서 착탈 가능함에 의해, 넥마이크(120)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넥마이크(120) 부분만 별도로 분리하여 교환 수리 가능하다. 넥마이크(120)는 본체(110)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끼워지고 본체(110)의 양단에서 라운드지게 돌출되며 길이조절 가능하다.
한편, 본체(110)에서 넥마이크(120)를 제거하고 넥마이크(120) 대신 탄성있는 밴드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상부 팔에 장착하여 무선통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넥마이크(120) 대신 다른 종류의 마이크를 본체(110)에 연결하여 음성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넥마이크(120)는 넥밴드부(121)와 넥마이크부(122)로 구분된다. 넥밴드부(121)는 본체(110)의 내부에 끼움 결합되고 길이조절 가능하다. 넥마이크부(122)는 넥밴드부(121)의 단부에 구비된다. 넥밴드부(121)의 길이조절은 넥마이크(120)가 사용자의 사이즈에 맞게 조절되어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넥마이크부(122)가 성대의 울림을 감지하는 감도를 향상시킨다.
실시예에서, 넥마이크(120)는 넥밴드부(121)가 본체(110)의 양단에서 라운드지게 돌출되며 길이조절 가능하다. 넥마이크(120)는 미사용시에는 넥밴드부(121)가 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사용시에는 넥밴드부(121)를 본체(110)의 내부에서 인출하여 길이를 신장시킬 수도 있다. 넥밴드부(121)는 탄성을 가짐으로써 넥마이크부(122)가 사용자의 목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넥마이크(120)의 단부의 넥마이크부(122)는 통형 구조로 되어 사용자의 목에 접촉되고 목의 진동을 검출할 수 있다. 넥마이크부(122)는 성대의 울림에 따른 진동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시킨다.
넥마이크부(122)가 사용자의 목에 접촉되고 본체(110)가 사용자의 목의 아래부분에 안착되는 구조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하는 면체(도 5의 도면부호 10)와의 간섭을 방지한다. 화재현장에서 소방관들은 얼굴을 보호하기 위하여 면체를 착용하게 되는데, 면체를 착용하게 됨에 따라 통신기기와 마이크를 장착하는데 어려움이 크다. 그러나 넥마이크부(122)는 면체의 아래 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성대의 울림에 따른 진동신호를 감지하여 음성을 전달하므로 소방관들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면체를 쓴 상태에서도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의 착용이 가능하고 통신이 가능하다.
본체(110) 또한 소방관모(도 5의 도면부호 20)의 아래 공간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소방관모와 면체를 쓴 상태에서도 본체(110)와 넥마이크(120)가 결합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를 쉽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넥마이크부(122)는 통 구조의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에 진동신호를 채집할 수 있는 흡음판, 흡음판을 통해 채집된 진동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로폰과 마이크로폰과 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된 울림통에 삽입되어 정재파를 제거하는 흡음부재와 하우징과 흡음판 사이에 배치되는 실리콘 재질의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넥마이크부(122)는 마이크의 성능이 470KΩ, -56dB이고, 스피커의 성능이 32Ω, 96dB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본체(110)는 뮤트(MUTE)버튼(130)과 PTT(Push To Talk)버튼(140)이 구비된다.
뮤트버튼(130)과 PTT버튼(140)은 본체(110)의 일측 측면과 타측 측면에 각각 구비하고 소정부분 돌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착용 상태에서 직접 보지 않고도 버튼을 쉽게 누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뮤트버튼(130)은 왼쪽에 구비되고 PTT버튼(140)은 오른쪽에 구비된다. 양쪽에 별도로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버튼을 잘못 누르는 오류를 범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뮤트버튼(130)과 PTT버튼(140)은 소정의 크기를 가져 사용자가 두꺼운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버튼을 쉽게 누를 수 있다.
뮤트버튼(130)은 음소거버튼이다. 뮤트버튼(130)은 사용자의 소리가 상대방에게 들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뮤트버튼(130)을 한 번 누르면 사용자의 소리가 상대방에게 들리지 않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원래 상태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자간 통화가 실시간으로 가능한 통신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소음이 심한 공간에 진입했을 때에 그 소음이 다른 사용자들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뮤트버튼(130)을 이용해서,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소리가 상대방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다.
PTT버튼(140)은 누른 상태에서 무전기 통신이 가능한 버튼으로, 무전기를 이용해 음성을 송출하는 것이 가능한 버튼이다. 무전기는 소위 워키토키라고도 하는 것으로 군인이나 구조대원들이 기존에 사용해 온 통신장비로서 본인의 음성을 송출하기 위해서는 PTT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말해야 한다. 본체(110)에는 별도의 잭을 이용해 무전기를 연결할 수 있으며, PTT버튼(140)은 연결된 무전기로 음성을 송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PTT버튼(140)은 무전기의 기본 통화 방식으로 말할 때 누르고 들을 때는 떼는 방식으로 무전기를 통한 음성 통신이 가능하도록 만든 버튼이다.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는 구조작업을 진행하는 소방관 사이에 다자간 통화가 가능하지만, 구조작업시 지휘관 등 특정인원은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무전기를 사용하여 작업 지휘를 하는 경우도 있다.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는 무전기를 연결할 수 있어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의 통신장치를 이용해 수신되는 음성과 함께 무전기로 수신되는 음성을 들을 수 있으며 PTT버튼(140)을 이용해 연결된 무전기를 통해 사용자가 음성을 송출하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본체(110)는 디스플레이부(150), 전원버튼(161), 설정버튼(162) 및 볼륨조절버튼(163)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본체(110)에 입력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본체(110)에 설정된 각종 세팅값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본체(110)의 상면에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150)의 주변에 전원버튼(161), 설정버튼(162) 및 볼륨조절버튼(163)이 구비될 수 있다.
전원버튼(161)은 본체(110)의 온오프 기능을 담당한다. 전원버튼(161)은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원을 오프시킨다. 본체(110)는 리튬 이온 배터리가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리튬 이온 배터리는 3.7V, 1350mA 사양이고 약 10시간 연속 사용 가능하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충전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체(110)는 25MHz~937.5MHz 대역 무선주파수를 사용하며, 사용 주파수 개수는 다수 개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 주파수 개수는 36개 채널이다. 36개 채널 중에서 선택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본체(110)의 크기는 대략 85×145×28mm 이며, 무게는 약 250g이다. 통신거리는 약 1,000m(LOS 기준)이며, 무전기와 연결시 최대 6km까지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110)는 예를 들어 6명 다대다 실시간 통화가 가능하고 다자간에 동시에 음성을 송출하면서 대화가 가능하다. 또한 대화 그룹 간 통화내용의 암호화 통신이 가능하다. 이는 본체(110)에서 설정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체(110)의 상면에 구비된 설정버튼(162)을 눌러 사용 주파수 채널을 선택할 수 있고, 동일한 채널을 선택한 그룹 간 암호화도 가능하다. 본체(110)는 소음 제거 기능을 갖는다. 일 예로 100dB 이상에서 통화가 구현되게 설정함으로써 주변 소음이 차단되어 불필요한 소음을 줄여줄 수 있다.
본체(110)는 이와 같이 다자간 통화가 가능한 기기이며, 별도로 무전기를 연결하여 무전기를 이용한 음성 통신을 병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PTT 버튼(140)은 무전기 통신시에 필요에 따라 사용 가능한 버튼이다.
볼륨조절버튼(163)은 사용자 간 통신 음량 조절을 위한 것이다. 볼륨조절버튼(163)은 본체(110)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사용자가 조작하기 쉬운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체(110)는 휴대폰을 연결하여 연동이 가능하고 무전기를 연결하여 연동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를 하부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는 하면이 하향 경사지고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본체(110)의 하면은 사용자의 목 아래부분과 어깨의 굴곡에 맞추어 안착되고 사용자의 목 아래부분과 어깨에 접촉되어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본체(110)의 하면의 선단측에는 무전기를 연결하기 위한 무전기 연결잭(171)이 구비된다. 무전기 연결잭(171)에는 무전기가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커버를 열면 무전기와 연결할 수 있는 잭이 노출되며 이 잭에 무전기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다.
본체(110)에 무전기를 연결하여 연동함으로써 본체(110)에 마련된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를 사용하는 주위 사용자와 통신이 가능할 뿐 아니라 무전기를 통해 지휘통제실과도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무전기 연결잭(171)에는 무전기를 연결하기 위한 잭 이외에 이어폰, 헤드셋 등의 이어셋을 연결할 수 있는 이어셋잭이 마련될 수 있다. 이어셋잭에 이어폰을 연결하면 사용자가 이어폰을 통해 통신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한편, 이어폰은 넥마이크(120)에서 연장되어 넥마이크(120)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본체(110)와 블루투스 통신 등의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무선 이어폰일 수도 있다. 무선 이어폰의 경우 별도의 케이블 없이 사용자의 귀에 착용 가능하므로 구조 작업 환경 하에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하면의 선단측에는 충전과 유선사용을 위한 USB 포트(172)가 구비된다. USB 포트(172)에 충전케이블을 연결하여 본체(110) 내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는, USB 포트(172)에 무전기 등 다른 통신기기를 연결하여 본체(110)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지휘통제실과도 개별 통신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USB 포트(172)에 휴대폰 등의 휴대단말을 연결하여 연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무전기 연결잭(171)과 USB 포트(172)가 본체(110)의 하면 선단측에 구비되므로 무전기 연결잭(171)과 USB 포트(172)에 연결하는 케이블은 사용자의 등 뒤로 위치된다. 이는 사용자의 허리에 무전기나 핸드폰을 착용한 상태에서 케이블을 무전기 연결잭(171)과 USB 포트(172)에 연결하면 케이블이 사용자를 간섭하지 않아 사용자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된다.
실시예에서 무전기 연결잭(171), USB 포트(172)의 위치는 움직임이 많고 위험한 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늘어진 케이블 등으로 인해 움직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체(110) 및 넥마이크(120)는 방수처리된다. 본체(110)와 넥마이크(120)의 방수처리는 외부로부터 물 유입을 차단하여 선명한 음성신호를 전달하고, 뮤트버튼이나 PTT버튼의 사이의 틈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본체(110)의 내부 스위치나 내부 회로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 및 넥마이크(120)는 난연성 재질로 형성하여 고열에 의한 착화 또는 연소를 방지하여 사용자들 간의 통신이 두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체(110) 및 넥마이크(120)는 야간 시인성을 갖도록 야광 에폭시가 외주면에 도포되거나 야광 테이프가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는 화재진압 또는 재난구조 상황에서 사용자(소방관 또는 구조대원) 간의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에서 넥마이크의 길이조절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넥마이크(120)는 넥밴드부(121)가 본체(110)의 일측인 후단측에 구비된 안내슬롯부(111)를 통과하여 삽입슬롯부(113)에 삽입되고 인출되는 방식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다. 넥밴드부(121)는 삽입슬롯부(113)에 삽입되고 이동되어 길이조절된다.
넥밴드부(121)는 삽입슬롯부(113)에 레일식으로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는 다단 걸림구조로 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넥밴드부(121)의 길이조절 구성은 공지된 헤드셋의 길이 조절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본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음성을 넥마이크(120) - 뮤트버튼(130)/PTT버튼(140) - 그룹모드/상대방(190), 무전기(175), 핸드폰(176) 의 동작순서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음성을 넥마이크 - 뮤트버튼 - 그룹모드로 전송하거나, 넥마이크 - 뮤트버튼 - 상대방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자신의 음성을 넥마이크 - PTT버튼 - 무전기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그룹모드'는 다자간 통화를 하는 것이고, '상대방'은 특정 상대와 통화를 하는 것이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상대방의 음성을 그룹모드/상대방(190), 무전기(175), 핸드폰(176) - 뮤트버튼(130)/PTT버튼(140) - 이어셋(174) 의 동작순서로 수신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음성 수신시에는 뮤트버튼/PTT버튼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대방의 음성을 그룹모드 - 이어셋으로 수신하거나, 상대방 - 이어셋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체(110)는 설정 시간 단위로 조절 또는 해제 가능한 자동경보모드(18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경보모드(180)는 사용자(구조대원 또는 소방관)의 위급상황 발생시 자동경보기능을 갖는다. 자동경보모드(180)는 수초 단위로 자동경보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자동경보모드(180)는 사용자의 위급상황 발생시 30초 단위로 자동경보할 수 있다. 자동경보모드(180)는 그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자동경보모드(180)는 사용자가가 직접 경보버튼을 눌러 실행할 수도 있고, 본체(110)와 유무선 연결된 감지센서가 사용자의 인체 특정 부분의 신호를 감지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자동경보모드(180)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거나 맥박 등이 뛰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체온이 설정온도 이하로 낮아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경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10)는 경보기(185)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다자간 실시간 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통신장치(미도시)를 갖는다. 실시예의 통신장치는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끼리 다자간 실시간 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본체(110)는 이 외에도 여러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필요한 전자 회로를 포함한다.
이 통신장치는 그룹모드(190)를 포함한다. 그룹모드(190)는 여러 명의 사람이 하나의 주파수 채널을 공유하면서 통신하도록 한 것이다. 그룹모드(190)는 암호화 가능하다. 자동경보모드(180)는 사용자의 위급상황 발생시 그룹모드(190)의 채널에 경보음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대방의 음성을 이어셋을 통해 듣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체(110)에 스피커부를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이어셋을 사용하지 않고 본체(110)에 구비된 스피커부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을 전달받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를 착용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는 목 뒤에서 목 앞쪽으로 끼우는 방법으로 착용한다. 면체(10)와 소방관모(30)를 착용한 상태에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를 착용하면, 넥마이크부(122)가 사용자의 목에 접촉되고, 본체(110)가 사용자의 목 뒷부분에 안착되어 면체(10)나 소방관모(20)와 간섭되지 않는다.
즉, 넥마이크부(122)가 면체(10)의 아래 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본체(110)가 소방관모(20)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목 뒷부분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면체(10)를 쓴 상태에서도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의 착용이 가능하고, 면체(10)나 소방관모(20)와 간섭되지 않아 통신장치 착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이어셋(30)을 귀와 근접한 거리에 구비할 수 있어 사용자의 귀에 착용이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는 본체(110)와 넥마이크(120)가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이는 본체(110)와 넥마이크(120)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선이 필요없게 되어, 화재현장과 같은 구조작업 환경 하에서 소방관들의 움직임이 자유롭고 손쉽게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는 본체(110)의 무게로 인한 하중을 목 아래부분과 어깨에 골고루 분산시켜 착용감을 좋게 하고 안정적으로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를 장시간 착용하고 화재진압 및 재난구조 작업을 진행하더라도 인체에 부담을 주지않으며, 움직임이 많은 다양한 자세를 취하더라도 인체에 무리없이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착용 위치가 변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는 목의 진동으로 음성을 전달하는 넥마이크(120)를 사용하므로 소음이 가득한 재난구조 환경에서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고, 넥마이크(120)가 목 아래부분에 안착되어 면체의 하부 공간에 위치함으로써, 면체의 간섭을 받지 않고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는 넥마이크(120)가 본체(110)에서 착탈 가능하므로 이상이 발생했을 때 넥마이크(120) 부분만 별도로 분리하여 교환 수리가 가능하며, 넥마이크를 제거하고 상부 팔에 두르는 것처럼 다른 부위에 착용하여 통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는 무전기를 연결하여 장치에 포함된 무선통신 기능에 추가적으로 무전기를 통한 통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는 뮤트버튼(130)과 PTT버튼(140)이 본체(110)의 양쪽에 구분되어 있고 돌출되어 있어 화재진압이나 재난구조 작업 중에 두꺼운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신속하게 버튼을 누를 수 있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100)는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도 서로 통신이 가능하고, 다자간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은 넥마이크와 무선 통신장치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므로 면체를 쓰고 화재진압을 하거나 화학방호복을 착용한 경우에도 착용이 간편하고 착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소음이 심한 환경에서도 대원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110: 본체 111: 안내슬롯부
113: 삽입슬롯부 120: 넥마이크
121: 넥밴드부 122: 넥마이크부
130: 뮤트버튼 140: PTT 버튼
150: 디스플레이부 161: 전원버튼
162: 설정버튼 163: 볼륨조절버튼
171: 무전기 연결잭 172: USB 포트
174: 이어셋 175: 무전기
176: 핸드폰 180: 자동경보모드
190: 그룹모드

Claims (10)

  1. 통신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목 뒷부분에 안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목 앞부분에 밀착되어 목의 진동으로 음성을 전달하는 넥마이크;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목 뒷부분에 걸어져 상기 넥마이크를 지지하되,
    상기 본체의 무게에 의해 무게 중심이 사용자의 목 뒤에 있도록, 상면이 유선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이 하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 아래부분과 어깨의 굴곡에 맞추어 안착되게 하여 상기 본체의 무게로 인한 하중을 사용자의 목 아래부분과 어깨에 분산시켜 주고, 상기 본체의 하중이 상기 넥마이크를 상기 사용자의 목 앞부분에 밀착 고정되게 하며,
    상기 본체는 PTT(push to talk)버튼과 뮤트버튼을 구비하는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넥마이크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끼워지고 상기 본체의 양단에서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넥밴드부; 및
    상기 넥밴드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목에 접촉되어 목의 진동을 검출하는 넥마이크부;
    를 포함하는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안내슬롯부를 통과하여 삽입슬롯부에 삽입되는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다자간 실시간 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면에 무전기와 연결을 위한 무전기 연결잭이 구비되는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T(push to talk)버튼은 상기 본체의 일측 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위급상황 발생시 자동경보기능을 갖는 자동경보모드를 포함하는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T(push to talk)버튼과 상기 뮤트버튼은
    상기 본체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고 돌출된 형상인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KR1020200145668A 2020-11-04 2020-11-04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KR102405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668A KR102405469B1 (ko) 2020-11-04 2020-11-04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PCT/KR2021/015746 WO2022098069A1 (ko) 2020-11-04 2021-11-03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US18/035,486 US20230336899A1 (en) 2020-11-04 2021-11-03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neck micro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668A KR102405469B1 (ko) 2020-11-04 2020-11-04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108A KR20220060108A (ko) 2022-05-11
KR102405469B1 true KR102405469B1 (ko) 2022-06-07

Family

ID=8145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668A KR102405469B1 (ko) 2020-11-04 2020-11-04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36899A1 (ko)
KR (1) KR102405469B1 (ko)
WO (1) WO2022098069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786A (ko) * 2003-06-11 2004-12-18 넥스원퓨처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03190B1 (ko) * 2004-03-22 2006-07-25 한 성 운 넥마이크 장치
KR101206066B1 (ko) * 2011-03-02 2012-11-28 주식회사 바투아이앤씨 그룹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662689B1 (ko) * 2014-11-26 2016-10-17 아바드(주) 원활하게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넥 밴드 타입의 단말기
KR101711001B1 (ko) 2015-09-21 2017-03-03 케이디테크(주) 소방용 무전기 통신 시스템
KR101745866B1 (ko) * 2016-03-24 2017-06-12 주식회사 블루콤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108A (ko) 2022-05-11
US20230336899A1 (en) 2023-10-19
WO2022098069A1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2895B2 (en) Control device, connector, and audio interface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US5404577A (en) Combination head-protective helmet & communications system
US5099519A (en) Headphones
CA2045241C (en) Combination head-protective helmet with local and remote voice triggered communication system
US4374301A (en) Local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for enclosed helmet and mask assembly
US20080152183A1 (en) Compact wireless headset
US20070049360A1 (en) Cell phone interface to personal protection device
US9742890B2 (en) System for control and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US20140328508A1 (en) Hat with sound playing device
US10165101B2 (en) Wireless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KR102405469B1 (ko)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JP2007259276A (ja) 無線通信通話ユニット
KR200290419Y1 (ko) 마이크 및 스피커 폰이 부착된 공기 호흡기
KR200290420Y1 (ko) 마이크 및 스피커 폰이 부착된 방독면
KR200288245Y1 (ko) 영상송신 및 음성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송수신기가부착된 헬멧
KR20220005729A (ko) 투명 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 시스템
CN203252024U (zh) 一种耳麦式可对讲头盔
JPH0492542A (ja) 携帯式電話器
JPS58154937A (ja) イヤ−マイクロホンを用いた送受信装置
CN201139106Y (zh) 具有视频和通讯功能的消防头盔
CN215423056U (zh) 一种可拆卸式安全帽耳罩
CN215187334U (zh) 一种机场用全双工通话无线头戴式耳机
CN212909508U (zh) 适用于救援的配戴式对讲装置
CN201139109Y (zh) 一种消防头盔
JPS58156233A (ja) イヤ−マイクロホンを用いた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