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729A - 투명 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투명 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729A
KR20220005729A KR1020200083260A KR20200083260A KR20220005729A KR 20220005729 A KR20220005729 A KR 20220005729A KR 1020200083260 A KR1020200083260 A KR 1020200083260A KR 20200083260 A KR20200083260 A KR 20200083260A KR 20220005729 A KR20220005729 A KR 20220005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voice information
mask
earphone
pa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민
Original Assignee
임병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민 filed Critical 임병민
Priority to KR1020200083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5729A/ko
Publication of KR20220005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84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protection for the eyes, e.g. using shield or vis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2Assembling eyepieces, lenses or vision-correction means in or on gas-mas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3Transducers incorporated in garment, rucksack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에 장착된 이어폰마이크와 휴대폰 그리고 상대의 휴대폰과 상대의 이어폰마이크가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됨으로써, 마스크를 쓴 상태에서도 상대방과 말하고 들을 수 있고, 또한 동시통역도 가능하게 하는 투명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연결된 통신모듈로 전송하는 마이크; 통신모듈과 연결되어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음성정보를 소리로 나타내는 이어폰; 상기 마이크와 이어폰과 음성정보를 수발신하고 휴대폰과 블루투스로 음성정보를 수발신하는 이어폰마이크 통신모듈; 그리고 이러한 이어폰마스크 시스템이 장착되고 호흡을 위한 마스크필터가 있는 투명마스크;
또한 휴대폰에 있어서, 이어폰마이크 통신모듈과 음성정보를 주고 받고, 다른 사람의 휴대폰 통신모듈과 블루투스로 음성정보를 주고받는 휴대폰 통신모듈; 통화할 상대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대의 장치와 통신모듈에 연결하도록 하고 자신의 이어폰마스크 통신모듈부터 수신된 자기의 음성정보를 통신모듈로 하여금 음성정보를 방송하도록 하고, 통신모듈로부터 받은 상대들의 음성정보를 융합하여 자신의 이어폰으로 음성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시스템이 작동되는 휴대폰을 포함한다.
또한 상대방과 언어가 다른 경우 언어 통번역을 설정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대의 음성정보를 설정된 언어로 통번역하여 반환해 주는 통번역모듈을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시스템에 더 포함한다.
또한 마스크 상단에 눈점막 보호 겸용 고글 구글 글래스 모니터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홈을 투명마스크에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투명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시스템{Multi communication system connected to a seeing mask}
본 발명은 투명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에 장착된 이어폰마이크와 휴대폰 그리고 상대의 휴대폰과 상대의 이어폰마이크가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됨으로써, 마스크를 쓴 상태에서도 상대방과 말하고 들을 수 있고 또한 동시통역과, 고글 구글 글래스 모니터를 가능하게 하는 투명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인한 마스크 사용이 일상화되고 있으면서 착용에 따른 여러 가지 불편에 대한 해결을 위해 많은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입을 가림으로 인하여 입모양을 볼 수 없어서 의사소통에 지장을 주고 있는 이유로 한국 공개번호 제10-2016-0014964호로 필름형 투명 마스크 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는 기술로써 입의 모양을 볼 수가 있고 필터를 통하여 호흡을 할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소리가 잘 전달되지 않는 관계로 의사소통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어폰마이크가 부착된 마스크와 휴대폰 간에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되고 고글 구글 글래스 모니터와 휴대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대방의 휴대폰의 어플리케이션과 근거리통신으로 연결됨으로써 화자의 마이크과 상대방의 이어폰이 연결되어 상호 음성정보를 교환하도록 하는 투명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방과 언어가 다른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에 따라 자기언어로 통번역되어 들리도록 하는 투명마스크와 고글 구글 글래스 모니터가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 예는 투명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구현 예의 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연결된 통신모듈로 전송하는 마이크; 통신모듈과 연결되어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음성정보를 소리로 나타내는 이어폰; 상기 마이크와 이어폰과 음성정보를 수발신하고 휴대폰과 블루투스로 음성정보를 수발신하는 이어폰마이크 통신모듈; 그리고 이러한 이어폰마스크 시스템이 장착되고 호흡을 위한 마스크필터가 있는 투명마스크;
또한 휴대폰에 있어서, 이어폰마이크 통신모듈과 음성정보를 주고 받고, 다른 사람의 휴대폰 통신모듈과 블루투스로 음성정보를 주고받는 휴대폰 통신모듈; 통화할 상대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대의 장치와 통신모듈에 연결하도록 하고 자신의 이어폰마스크 통신모듈부터 수신된 자기의 음성정보를 통신모듈로 하여금 음성정보를 방송하도록 하고, 통신모듈로부터 받은 상대들의 음성정보를 융합하여 자신의 이어폰으로 음성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시스템이 작동되는 휴대폰을 포함한다.
또한 상대방과 언어가 다른 경우 언어 통번역을 설정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대의 음성정보를 설정된 언어로 통번역하여 반환해 주는 통번역모듈을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시스템에 더 포함한다.
또한 마스크 상단에 눈점막 보호 겸용 고글 구글 글래스 모니터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홈을 투명마스크에 더 포함한다.
본 구현 예에 따르면, 서로의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통신을 활용하여 마이크로 수신된 음성정보를 상호 교신함으로써, 마스크를 쓴 상태에서도 상대방과 말하고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상대가 다른 언어 사용자 인 경우 동시통역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눈점막 보호 겸용 고글 구글 글래스 모니터를 안착함으로써, 눈 점막 보호와 함께 안정적인 구글 글래스 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의 3자 연결된 투명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실시 예의 이어폰마이크시스템과 이 시스템이 장착된 투명마스크,
도 3은 본 실시 예에 어플리케이션시스템과 이 시스템이 장착된 휴대폰 구성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으로 잡히는 주변 사람 중에서 대화상대를 선택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도 5는 본 실시 예의 고글 구글 글래스 모니터와 연결된 이어폰마이크시스템과 이 시스템이 장착된 투명마스크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먼저, 본 실시 예에서 통신모듈은 휴대폰의 블루투스 통신으로 설명하며, 기타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모듈이 사용될 수 있고, 휴대폰이 아닌 다른 무선단말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의 3자 연결된 투명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의 이어폰마이크시스템과 이 시스템이 장착된 투명마스크이다.
본 실시 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연결된 통신모듈(103)로 전송하는 마이크(104); 통신모듈(103)과 연결되어 통신모듈(103)로부터 수신된 음성정보를 소리로 나타내는 이어폰(105); 상기 마이크와 이어폰과 음성정보를 수발신하고 휴대폰(200)과 블루투스로 음성정보를 수발신하는 이어폰마이크 통신모듈(103);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이어폰마스크 시스템이 장착되고 호흡을 위한 마스크필터(102)가 있는 투명마스크(101)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어플리케이션시스템과 이 시스템이 장착된 휴대폰 구성도로써,
또한 휴대폰에 있어서는, 이어폰마이크 통신모듈(103)과 블루투스로 음성정보를 주고 받고, 다른 사람의 휴대폰 통신모듈과 블루투스로 음성정보를 주고받는 휴대폰 통신모듈(220); 통화할 상대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대의 장치와 통신모듈에 연결하도록 하고 자신의 이어폰마스크 통신모듈부터 수신된 자기의 음성정보를 통신모듈로 하여금 음성정보를 방송하도록 하고, 통신모듈로부터 받은 상대들의 음성정보를 융합하여 자신의 이어폰으로 음성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210);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시스템이 작동되는 휴대폰(200)을 포함한다.
또한 상대방과 언어가 다른 경우 언어 통번역을 설정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대의 음성정보를 설정된 언어로 통번역하여 반환해 주는 통번역모듈(212)을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시스템(210)에 더 포함한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고글 구글 글래스 모니터와 연결된 이어폰마이크시스템과 이 시스템이 장착된 투명마스크로써,
또한 마스크 상단에 눈점막 보호 겸용 고글 구글 글래스 모니터(107)를 체결할수 있는 체결홈(106)을 투명마스크에 더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다시 설명하면,
휴대폰의 블루투스가 켜진 상태가 되면, 도 4와 같이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 목록에 주변의 블루투스단말기의 목록이 나타나게 되며, 여기서 원하는 상대를 선택하면 상호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A, B, C를 연결한 상태이다.
사용자 A의 입장에서 상대방의 음성정보의 수신과정을 보면, 사용자 B, C의 휴대폰 통신모듈(220)로부터 음성정보가 블루투스를 통해 A사용자의 휴대폰 통신모듈(220)로 수신되고, 휴대폰 어플리케이션(210)은 통신모듈로 수신된 음성정보를 통합/가공(211)하여 통합된 음성정보를 휴대폰 통신모듈(220)에서 블루투스를 통해 이어폰마이크의 통신모듈(103)로 보내며, 이 통신모듈은 받은 음성정보를 이어폰(105)으로 보내며, 이어폰(105)은 음성정보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음성정보의 발신과정을 보면, 사용자 A의 음성이 마이크(104)에서 음성정보로 변환되어 이어폰마이크 통신모듈(103)로 전해지고, 이 이어폰마이크 통신모듈(103)은 블루투스를 통하여 휴대폰 통신모듈(220)로 전송되고, 휴대폰 통신모듈(220)은 블루투스로 방송하게 됨으로써, 여러 상대방의 휴대폰 통신모듈(220)이 수신하게 되어, 상기 수신과정과 같은 방법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다자간 쌍방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휴대폰 어플리케이션(210)은 통번역모듈을 내장 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을 통하여 수신할 언어를 선택하는 경우, 수신된 음성정보의 언어를 미리 설정한 언어로 변환한 음성정보를 이어폰으로 보낼 수 있고, 또한 내가 말하는 음성정보를 상대방 언어의 음성정보로 변환하여 보내도록 함으로써, 동시 통역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마스크 상단에 고글 구글 글래스 모니터를 체결 할 수 있는 홈을 구비함으로써, 눈점막 보호 겸용 고글 구글 글래스 모니터(107)를 체결하여 구글 글래스의 기술을 활용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서로의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통신을 활용하여 마이크로 수신된 음성정보를 상호 교신함으로써, 마스크를 쓴 상태에서도 상대방과 말하고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상대가 다른 언어 사용자 인 경우 동시통역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눈점막 보호 겸용 고글 구글 글래스 모니터를 안착함으로써, 눈 점막 보호와 함께 안정적인 구글 글래스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이어폰마이크 시스템 101: 마스크
102: 마스크필터 103: 이어폰마이크 통신모듈
104: 마이크 105: 이어폰
106: 체결홈 107: 고글 구글 글래스 모니터
200: 휴대폰 210: 어플리케이션
211: 음성정보통합/가공시스템 212: 통번역모듈
220: 휴대폰통신모듈

Claims (3)

  1.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연결된 통신모듈로 전송하는 마이크;
    통신모듈과 연결되어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음성정보를 소리로 나타내는 이어폰;
    상기 마이크와 이어폰과 음성정보를 수발신하고 휴대폰과 블루투스로 음성정보를 수발신하는 이어폰마이크 통신모듈;
    그리고 이러한 이어폰마스크 시스템이 장착되고 호흡을 위한 마스크필터가 있는 투명마스크;
    또한 휴대폰에 있어서,
    이어폰마이크 통신모듈과 음성정보를 주고 받고, 다른 사람의 휴대폰 통신모듈과 블루투스로 음성정보를 주고받는 휴대폰 통신모듈;
    통화할 상대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대의 장치와 통신모듈에 연결하도록 하고 자신의 이어폰마스크 통신모듈부터 수신된 자기의 음성정보를 통신모듈로 하여금 음성정보를 방송하도록 하고, 통신모듈로부터 받은 상대들의 음성정보를 융합하여 자신의 이어폰으로 음성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시스템이 작동되는 휴대폰을 포함하는 투명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은 상대방과 언어가 다른 경우 언어 통번역을 설정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대의 음성정보를 설정된 언어로 통번역하여 반환해 주는 통번역앱을 포함하는 투명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투명마스크는 마스크 상단에 눈점막 보호 겸용 고글 구글 글래스 모니터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투명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시스템.
KR1020200083260A 2020-07-07 2020-07-07 투명 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 시스템 KR202200057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260A KR20220005729A (ko) 2020-07-07 2020-07-07 투명 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260A KR20220005729A (ko) 2020-07-07 2020-07-07 투명 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729A true KR20220005729A (ko) 2022-01-14

Family

ID=79342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260A KR20220005729A (ko) 2020-07-07 2020-07-07 투명 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57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273B1 (ko) * 2022-09-27 2023-11-02 손부기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273B1 (ko) * 2022-09-27 2023-11-02 손부기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2678B1 (en) A headset system with microphone for ambient sounds
US11805350B2 (en) Point-to-multipoint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9973327B2 (en) Connective assembly for selectively interfacing a listening device with two-way radio and cellular device
EP2153693B1 (en) Hearing aid system establishing a conversation group among hearing aids used by different users
US20070049360A1 (en) Cell phone interface to personal protection device
WO2020113587A1 (zh) 一种使用蓝牙耳机进行通话的方法、设备及系统
KR20220005729A (ko) 투명 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 시스템
US201601045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Conversation in a Noisy Environment
JPH09139690A (ja) 通話システム
US6845242B1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US20030053650A1 (en) Earphone device for motorcycle rider and passenger
US9026091B2 (en) On-demand, real-time interpretation system and method
JPH0492542A (ja) 携帯式電話器
KR100494981B1 (ko) 화상 통신용 송수신 장치
KR102405469B1 (ko)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US11843908B2 (en) Remote speaker microphone unit for use with headset
RU196546U1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наземного персонала с экипажем воздушного судна
JPH11112643A (ja) ハンドフリー型通話装置
TWI661704B (zh) 群組式藍芽通訊方法及藍芽群組通訊裝置
GB2347817A (en) Cordless earphone arrangement for a telephone
JP2009171002A (ja) 無線電話機
KR20030090298A (ko)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통화방법
JP2021145291A (ja) 電話装置
CN116074665A (zh) 无线音频系统中的分布式麦克风
JP2009239551A (ja) 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及び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