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273B1 -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 - Google Patents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273B1
KR102597273B1 KR1020220122346A KR20220122346A KR102597273B1 KR 102597273 B1 KR102597273 B1 KR 102597273B1 KR 1020220122346 A KR1020220122346 A KR 1020220122346A KR 20220122346 A KR20220122346 A KR 20220122346A KR 102597273 B1 KR102597273 B1 KR 102597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microphone
control uni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2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부기
Original Assignee
손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부기 filed Critical 손부기
Priority to KR1020220122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2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H04R1/086Protective screens, e.g. all weather or wind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6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on the he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밀착라인이 배치되며 사용자의 호흡기를 감싸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측부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연성재질로 구성되는 귀걸이부와,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고, 외부의 기체를 필터링하여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공급하는 필터부와,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음성을 전달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를 제어하는 제어부 또는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는 콘트롤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주파수가 일치하는 여러 사람들과 통신이 가능하고, 또한 밀착력이 우수하여 사용자의 호흡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MASK DEVICE CAPABLE OF MULTI-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주파수가 일치하는 여러 사람들과 통신이 가능하고, 또한 밀착력이 우수하여 사용자의 호흡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각종 유해가스, 황사, 미세먼지, 매연 등에 의해 호흡기 건강을 위협받고 있다. 이는 산업화시대에 들어서면서 인류가 겪고 있는 현상이며, 산업의 발전과 도시의 편익이 발달함에 따라 그에 비례하여 대기 오염은 더욱 심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에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대유행을 하며 전세계적인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고 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앗아갔다.
이러한 유해환경속에서 사람의 호흡기 건강을 지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뤄지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마스크 개발을 들 수 있다. 사람의 주된 호흡계통은 코와 입이므로, 코와 입을 마스크로 보호하여 대기오염물질, 호흡기 질환 바이러스 등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일반적인 마스크의 경우, 사람이 마스크를 쓰며 의사전달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마스크에 의해 입모양이 가려져 있고, 음성이 마스크에 의해 방해받기 때문에 상대방이 의사를 제대로 전달받기 어렵다.
특히, 버스 운전기사가 승객들에게 버스 운행에 대해 알릴 때나 각종 강연 등에서 강연자가 청취자들에게 마스크를 쓰고 얘기하는 경우 내용이 잘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마스크를 쓰고 말을 하다보면 마스크가 얼굴에 밀착되어 있지 않아, 마스크가 흘러 내려진다. 이 경우 대기오염물질, 바이러스 등에 노출되므로,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주파수가 일치하는 여러 사람들과 통신이 가능하고, 또한 밀착력이 우수하여 사용자의 호흡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밀착라인이 배치되며 사용자의 호흡기를 감싸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측부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귀걸이부;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고, 외부의 기체를 필터링하여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필터부;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를 제어하는 제어부 또는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는 콘트롤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람의 호흡 기체에 의해 상기 마이크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를 감싸며 배치되는 방수코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트롤박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진동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진동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진동센서가 상기 바디부를 진동시켜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트롤박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소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소리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소리센서가 특정 소리를 발생하며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트롤박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정보를 송출하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터미널단자; 및 상기 콘트롤박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외부의 단말기를 연결하며 상기 마이크의 음성을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어폰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고, 내측 둘레에는 함몰된 형태의 지지홈이 형성되는 필터장착부; 필터의 외측 둘레에 연결되며 배치되고, 필터의 외형을 지지하는 필터지지체; 및 상기 필터지지체의 외측 둘레에 연결되며 배치되고, 형상이 변형되며 상기 지지홈에 탈착되는 연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호흡 기체에 의해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는 습기방지코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디부의 가장자리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며 상기 바디부가 사용자의 호흡기를 밀폐하도록 제공되는 형상변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형상변형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측 둘레의 상부에서 하부로 복수의 단으로 배치되는 돌기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형상변형부는, 소정의 온도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되는 형상기억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모듈; 상기 데이터처리모듈과 연동되고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데이터처리모듈과 연동되고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에 표시하는 표시모듈; 상기 데이터처리모듈과 연동되고 특정 상황 발생시 사용자에게 경고신호를 주는 경고신호모듈; 및 상기 데이터처리모듈과 연동되고 외부의 단말기에 설치되며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통신주파수를 조작하여 복수의 단말기들간의 연동을 제어하는 주파수조작부; 상기 마이크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조작부; 및 상기 마이크와 무선 단말기간의 무선 통신을 조작하는 블루투스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고신호모듈은, 상기 진동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진동신호부; 및 상기 소리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소리신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모듈은, 상기 진동센서 또는 상기 소리센서를 조작하는 경고신호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디부는, 가장자리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라인 형상의 상부바디; 및 가장자리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라인 형상의 하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상부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형상변형부는 상기 하부바디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마주하는 면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부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부와 사용자의 얼굴간의 밀착력을 높이도록 제공되는 밀착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착유닛은, 상기 귀걸이부가 사용자의 귀에 걸릴 때 상기 귀걸이부가 상기 상부바디를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하부바디에 전달하고, 상기 하부바디와 사용자의 얼굴이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착유닛은 상기 밀착라인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착유닛은, 중앙측에는 내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 상기 내공간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봉; 및 상기 내공간부에서 상기 가이드봉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배치되는 밀착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체는, 상기 상부바디의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베이스; 상기 하부바디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베이스; 및 상기 상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중앙측에는 상기 가이드봉과 상기 밀착스프링이 배치되는 내공간부가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이뤄진 유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체는, 상기 유동체의 상측부에 삽입되며 배치되고, 상기 상부베이스의 하단에 접촉하는 상부지지판; 상기 유동체의 하측부에 삽입되며 배치되고,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단에 접촉하는 하부지지판; 및 상기 유동체에서 상기 상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 사이에 복수의 디스크로 복수의 층을 이루며 배치되는 디스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크부는, 상기 유동체의 내부에서 소정 공간을 형성하며 배치되고, 상기 내공간부와 연결되는 내간격부; 상기 유동체의 내부에서 상기 내간격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디스크; 상기 유동체의 내부에서 상기 내간격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디스크; 및 상기 내간격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2 디스크와 각각 접촉되어 배치되는 탄성재질로 형성된 댐퍼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댐퍼판은, 일방향으로 곡선지게 형성된 제1 댐퍼판면; 및 상기 제1 댐퍼판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댐퍼판면과 반대방향으로 곡선지게 형성된 제2 댐퍼판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크부는, 상기 유동체의 내부에서 소정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공간부와 연결되며 배치되는 내간격부; 상기 유동체의 내부에서 상기 내간격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디스크; 상기 유동체의 내부에서 상기 내간격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디스크; 상기 제2 디스크에 형성되는 제2 디스크홈; 상기 제2 디스크홈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크스프링; 및 하부는 상기 제2 디스크홈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크스프링의 상단에 접촉되고, 상부는 상기 제1 디스크의 하단에 접촉되는 돌기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기블록은, 상기 제2 디스크의 상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기블록은, 상기 제2 디스크의 상부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사람들이 사용하는 무선이어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스마트기기와 같은 단말기간에 통신주파수를 일치시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여러 사람들이 원활하게 의사를 소통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와 사용자의 얼굴간에 밀착력을 강화하여 사용자가 말을 하는 때에서 마스크가 흘러 내리지 않고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어 있어, 공기오염물질,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실시예(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도 2에 개시된 C-C 부분에서 필터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에 개시된 B 부분에서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된 밀착유닛의 제1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에 개시된 B 부분에서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된 밀착유닛의 제2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에 개시된 A-A 부분에서 밀착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에 개시된 H 부분에서 디스크부의 제1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a는 도 7에 개시된 H 부분에서 디스크부의 제2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b 및 도 9c는 도 9a에 개시된 돌기블록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a는 여러 사람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를 착용하고 다중 통신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b는 버스운전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를 착용하고 통신주파수 일치로 스피커와 연동되며 버스승객들에게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c는 강연자 및 청취객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를 착용하고 스피커 또는 상호간에 통신주파수 일치로 연동되며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복수의 실시예들은 서로 상충되지 않는 한 중복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100)는 바디부(110), 귀걸이부(120), 필터부(130), 마이크(230), 콘트롤박스(200) 및 형상변형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실리콘, 합성수지 등의 연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를 따라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밀착라인(140)이 배치될 수 있다. 밀착라인(140)이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며 바디부(110)가 전반적으로 사용자의 코, 입 등의 호흡기를 감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바디부(110)는 방음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말을 하더라도 말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바디부(110)의 내측면에는 습기방지코팅부(112)가 배치될 수 있다. 습기방지코팅부(112)는 사용자의 호흡 기체에 의해 바디부(110)의 내측면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습기방지코팅부(112)는 얇은 방습필름이 바디부(11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10)의 내부에 조성되는 호흡 기체에 의한 습도는 필터부(130)를 통해 외부에서 출입되는 기체와의 혼합으로 인해 낮아지며, 비교적 쾌적한 호흡환경이 유지될 수 있다.
귀걸이부(120)는 실리콘, 합성수지 등의 연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디부(110)의 측부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귀에 귀걸이부(120)를 걸면 귀걸이부(120)가 바디부(110)를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당겨 바디부(110)의 밀착라인(140)이 사용자의 얼굴이 밀착되는 힘을 받을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필터부(130)는 바디부(1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외부의 기체를 필터링하여 바디부(1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필터부(130)는 필터탈착부(131), 지지홈(131a), 필터(133), 필터지지체(134) 및 연성체(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탈착부(131)는 바디부(1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둥근 형태의 블록으로 표현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홈(131a)은 필터탈착부(131)의 내측 둘레를 따라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필터지지체(134)는 필터(133)의 외측 둘레에 연결되며 배치되고 필터(133)의 외형을 지지할 수 있다.
연성체(135)는 실리콘, 합성수지 등의 연성재질일 수 있으며, 필터지지체(134)의 외측 둘레에 연결되며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성체(135)는 형상이 변형되며 지지홈(131a)에 탈착될 수 있다.
연성체(135)가 지지홈(131a)에 장착될 때는 필터(133) 및 필터지지체(134)가 필터탈착부(131)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연성체(135)는 지지홈(131a)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연성체(135)와 지지홈(131a) 사이로 외부의 기체가 바디부(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필터(133)는 외부의 기체를 필터링하여 바디부(1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필터(133)는 0.1μm 이하의 기공 크기를 가지는 나노섬유로 이뤄진 필터일 수 있다. 이 경우 0.1μm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먼지, 바이러스 등을 정화할 수 있게 된다. 대부분의 미세먼지, 바이러스 등의 크기가 0.1μm 이상이므로, 각종 미세먼지,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호흡기를 지킬 수 있다.
마이크(230)는 바디부(1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말을 할 때 호흡기를 통해 따뜻한 기체가 마이크(230)에 분사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이크(230)에 온도차로 인한 습기가 머금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마이크(230)를 감싸는 방수코팅부(240)를 형성할 수 있다. 방수코팅부(240)는 얇은 방수 필름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습기로부터 마이크(230)를 보호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230)로 입력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콘트롤박스(200)는 마이크(230)에 연결되며 바디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콘트롤박스(200)는 마이크(23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 및/또는 제어부(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콘트롤박스(200)에는 터미널단자(211) 및 이어폰잭(213)이 배치될 수 있다.
터미널단자(211)는 제어부(300)와 연결되며 제어부(300)에 저장된 정보를 송출하거나 또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단자(211)는 USB포트, C-type 포트 등 기타 스마트기기에 사용되는 단자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외부 전원케이블을 터미널단자(211)에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230)에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은 제어부(300)에 녹음될 수 있다. 녹음 내용은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에 자동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만약 블루투스 환경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외부 데이터케이블을 터미널단자(211)에 연결하고 스마트기기로 직접 전송받을 수 있다. 즉, 터미널단자(211)는 무선으로 녹음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만약의 상황에 활용될 수 있다.
이어폰잭(213)은 제어부(300)와 외부의 단말기를 연결하고 마이크(230)의 음성을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단말기는 스마트기기와 함께 이어폰, 헤드셋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마이크(230)의 음성 내용은 스마트기기나 이어폰, 헤드셋 등에 전송될 수 있다. 만약 블루투스 환경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유선으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는 이어폰잭(213)에 3.5mm 단자를 연결하고 이어폰이나 헤드셋 등을 통해 마이크(230)의 음성 내용을 들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콘트롤박스(200)에는 진동센서(221) 및 소리센서(223)가 배치될 수 있다.
진동센서(221)는 제어부(3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300)가 진동센서(221)의 동작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진동센서(221)는 특정 조건에서 바디부(110)를 진동시켜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소리센서(223)는 제어부(3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300)가 소리센서(223)의 동작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소리센서(223)는 특정 조건에서 특정 소리를 발생하며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조건은 마스크장치(100)를 착용하는 환경마다 달라질 수 있으며, 이하 도 11a 내지 도 11c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2을 참고하면, 형상변형부(114)는 바디부(110)의 가장자리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며 바디부(110)가 사용자의 호흡기를 밀폐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형상변형부(114)는 돌기 형상일 수 있으며, 바디부(110)의 내측 둘레의 상부에서 하부로 복수의 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형상변형부(114)의 일 형태에서는 형상변형부(114)의 재질이 실리콘, 합성수지 등의 연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 형상변형부(114)가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되면, 돌기가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따라 변형되면서, 형상변형부(114)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를 밀폐하게 된다.
또한 형상변형부(114)의 다른 형태에서는 형상변형부(114)의 재질이 형상기억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다. 형상기억수지는 변형되었다가 소정의 온도에는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는 합성수지 재질이다.
예컨대, 형상변형부(114)가 소정의 온도 가령 25℃ 근처에서 형상이 회복되는 것인 경우, 사용자가 마스크장치(100)를 착용하면 형상변형부(114)의 돌기가 사용자의 얼굴 형태에 맞춰 눌리면서 형상이 변형되고 밀착되었다가, 사용자가 다시 마스크장치(100)를 벗고 25℃ 근처에 일정 시간 노출시키면, 형상변형부(114)의 돌기가 다시 원래의 형상대로 회복되는 것이다.
즉, 형상변형부(114)는 사용자의 얼구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복수의 단으로 배치되는 돌기와 함께,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따라 눌리면서 밀착되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바디부(110)의 내부를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다. 이는 외부 기체를 유입을 막을 뿐만 아니라, 방음효과에도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9c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100)는 밀착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밀착유닛은 바디부(110)의 밀착라인(14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10)는 밀착라인(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바디(116) 및 하부바디(117)를 형성될 수 있다.
상부바디(116)는 바디부(110)의 가장자리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라인 형상일 수 있으며, 하부바디(117)는 바디부(110)의 가장자리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라인 형상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밀착유닛은 밀착라인(140)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 개시된 것과 같이, 밀착유닛(400)의 전반적인 형상은 원통 형상일 수 있거나 또는 도 6에 개시된 것과 같이, 밀착유닛의 전반적인 형상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내지 도 9c에 개시된 밀착유닛(400)의 구성요소들은 도 5에 개시된 원통 형상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도 6에 개시된 직육면체 형상에도 원형을 사각형으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귀걸이부(120)는 상부바디(116)에 연결될 수 있으며, 형상변형부(114)는 하부바디(117)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마주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밀착유닛은 바디부(1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부바디(116)와 하부바디(117)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바디부(110)와 사용자의 얼굴간의 밀착력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귀걸이부(120)가 사용자의 귀에 걸릴 때, 귀걸이부(120)가 상부바디(116)를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밀착유닛이 탄성력을 부여하여 하부바디(117)에 전달함으로써, 하부바디(117)와 사용자의 얼굴이 밀착되는 방식이다.
즉, 밀착유닛은 마스크장치(100)와 사용자의 얼굴간에 밀착라인(140)을 따라 밀착정도 및 밀폐력을 높이게 된다.
도 7을 참고하면, 이러한 밀착유닛(400)은 가이드봉(420), 밀착스프링(410) 및 탄성체(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탄성체(500)는 중앙측에는 내공간부(580)가 형성되고, 상부바디(116)와 하부바디(11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500)는 상부베이스(521), 하부베이스(523), 유동체(510), 상부지지판(531), 하부지지판(533) 및 디스크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베이스(521)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바디(116)의 하부에 플라스틱,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인 링크핀(521a)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베이스(523)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바디(117)의 상부에 링크핀(523a)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유동체(510)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상부베이스(521)와 하부베이스(5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체(510)의 중앙측에는 가이드봉(420)과 밀착스프링(410)이 배치되는 내공간부(580)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동체(510)는 고밀도 압축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뤄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력을 발생할 수 있는 재질이면 다른 재질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지지판(531)은 원형 링 형상일 수 있으며, 유동체(510)의 상측부에 삽입되며 배치되고, 상부베이스(521)의 하단에 접촉할 수 있다. 상부지지판(531)은 탄성재질인 유동체(510)의 상측부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부지지판(533)은 원형 링 형상일 수 있으며, 유동체(510)의 하단부에 삽입되며 배치되고, 하부베이스(523)의 상단에 접촉할 수 있다. 하부지지판(533)은 탄성재질인 유동체(510)의 하측부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부지지판(531)과 하부지지판(533)이 유동체(5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삽입되며 배치됨에 따라, 유동체(510)가 Z축 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약간씩 변형되더라도 유동체(510)의 복원시에는 원래 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상기 힘은 귀걸이부(120)가 귀에 걸릴 때, 상부바디(116)를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당기는 힘일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크부(540)는 유동체(510)에서 상부지지판(531)과 하부지지판(533) 사이에 복수의 디스크로 복수의 층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디스크부(540)는 유동체(510)의 중간부위에서 복수의 층을 이루며 배치되며 유동체(51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만약 유동체(510)에 힘이 인가되는 경우, 유동체(510)가 변위 허용범위를 이탈하여 과도한 탄성변형을 일으키고, 결국 유동체(510)는 손상될 수 있다. 이때 디스크부(540)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크가 유동체(510)의 중간부위에서 복수의 층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어, 과도한 탄성변형이 일어나는 것이 억제할 수 있다.
가이드봉(420)은 상부봉(421)과 하부봉(423)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봉(421)의 중앙측에는 하부봉(423)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봉(420)은 내공간부(580)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봉(420)의 상단은 상부베이스(521)의 하단에 접촉되고, 가이드봉(420)의 하단은 하부베이스(523)의 상단에 접촉될 수 있다.
가이드봉(420)은 밀착스프링(410)이 Z축 방향으로 신축하는 것을 안내함으로써, 귀걸이부(120)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인가되는 당기는 힘에 밀착스프링(410)이 탄성력을 인가할 때, 사용자의 얼굴 방향인 Z축으로 정확히 탄성력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밀착스프링(410)은 내공간부(580)에서 가이드봉(420)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밀착스프링(410)은 코일스프링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력 및 복원력을 발휘하는 다른 장치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고하면, 디스크부(540)의 제1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디스크부(540)의 제1 형태는 내간격부(550), 제1 디스크(541), 제2 디스크(543) 및 댐퍼판(5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간격부(550)는 유동체(510)의 내부에서 소정 공간을 형성하며 배치되고, 내공간부(58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디스크(541)는 원형 링 형상일 수 있으며, 유동체(510)의 내부에서 내간격부(55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크(543)는 원형 링 형상일 수 있으며, 유동체(510)의 내부에서 내간격부(5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판(560)은 전반적으로 원형 링 형상일 수 있으며, 내간격부(550)의 내부에서 제1,2 디스크(541,543)와 각각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댐퍼판(560)은 탄성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그리고 댐퍼판(560)은 제1 댐퍼판면(561) 및 제2 댐퍼판면(56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댐퍼판면(561)은 일방향으로 곡선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댐퍼판면(563)은 제1 댐퍼판면(561)에 연결되고, 제1 댐퍼판면(561)과 반대방향으로 곡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댐퍼판(560)의 상단은 제1 디스크(541)의 하단과 접촉되고, 댐퍼판(560)의 하단은 제2 디스크(543)의 상단과 접촉될 수 있다.
유동체(510)에 Z축 방향 변위가 발생하면, 제1,2 디스크(541,543)간의 간격이 축소될 수 있으며, 이때 댐퍼판(560)은 탄성에 의해 변형되면서 제1,2 디스크(541,543)간의 변위 정도를 완화하게 된다. 즉 유동체(510)에 인가되는 힘에 의한 변형을 자연스럽게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복원력을 발휘하여 제1,2 디스크(541,543)간의 간격을 원위치시키며, 이는 유동체(510)의 형상복원에 기여하게 된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c를 참고하면, 상기 디스크부(540)의 제2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디스크부(540)의 제2 형태는 내간격부(550), 제1 디스크(541), 제2 디스크(543), 제2 디스크홈(571), 디스크스프링(574) 및 돌기블록(57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간격부(550)는 유동체(510)의 내부에서 소정 공간을 형성하며 배치되고, 내공간부(58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디스크(541)는 유동체(510)의 내부에서 내간격부(55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크(543)는 유동체(510)의 내부에서 내간격부(5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a를 참고하면, 제2 디스크(543)의 상부에는 제2 디스크홈(57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디스크홈(571)의 내부에는 디스크스프링(574)이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크스프링(574)은 판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돌기블록(572)의 하부는 제2 디스크홈(571)의 내부에 배치되며 디스크스프링(574)의 상단에 접촉될 수 있으며, 돌기블록(572)의 상부는 제1 디스크(541)의 하단에 접촉될 수 있다.
도 9b를 참고하면, 돌기블록(572)의 일 형태는 제2 디스크(543)의 상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블록(572)은 제2 디스크(543)의 상부에서 방사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9c를 참고하면, 돌기블록(572)의 다른 형태는 제2 디스크(543)의 상부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블록(572)은 제2 디스크(543)의 상부에서 방사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유동체(510)에 인가되는 귀걸이부(120)의 당기는 힘으로 인해 Z축 방향 변위가 발생하면, 제1,2 디스크(541,543)간의 간격이 축소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크스프링(574)의 탄성 변형에 의해 돌기블록(572)의 위치가 서서히 변경되면서 제1,2 디스크(541)간의 변위속도 및 크기를 완화하게 된다.
즉 제1 디스크(541)를 돌기블록(572)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디스크스프링(574)이 탄성 변형되므로, 제1 디스크(541)의 Z축 방향 변위는 서서히 진행되게 된다. 이에 따라 힘에 의한 변형은 완화하게 된다. 사용자가 마스크를 벗어 귀걸이부(120)에 의한 당기는 힘이 없어진 후에는 디스크스프링(574)이 복원력을 발휘하여 돌기블록(572)을 상방향으로 밀어, 제1,2 디스크(541,543)간의 간격을 원위치시키며, 유동체(510)의 형상복원에 기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착유닛(400)은 상술한 구조를 통해 귀걸이부(120)의 당기는 힘에 탄성력을 더하여 바디부(110)와 사용자의 얼굴간의 밀착력을 더욱 높이게 된다.
한편, 도 10을 참고하면, 제어부(300)는 외부의 단말기와 연동되는 다양한 제어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300)는 데이터처리모듈(310), 통신모듈(320), 경고신호모듈(330), 표시모듈(340) 및 애플리케이션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모듈(310)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CPU와 같은 모듈일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는 녹음데이터, 경고상황데이터 등일 수 있고, 그 밖에 필요한 정보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320)은 데이터처리모듈(310)과 연동되고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와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모듈(320)은 블루투스 무선 송수신장치 및 이어폰잭(213)과 연결된 송수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340)은 데이터처리모듈(310)과 연동되고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기기의 화면에 녹음데이터, 경고상황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경고신호모듈(330)은 데이터처리모듈(310)과 연동되고 특정 상황 발생시 사용자에게 경고신호를 주는 모듈일 수 있다.
그리고 경고신호모듈(330)은 진동신호부(331) 및 소리신호부(333)를 포함할 수 잇다. 진동신호부(331)는 진동센서(221)의 동작을 제어하고, 소리신호부(333)는 소리센서(22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정 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진동센서(221) 또는 소리센서(223)를 동작할 수 있다.
경고신호모듈(330)의 진동신호부(331) 및 소리신호부(333)가 동작하는 특정 상황은 도 11b를 설명할 때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애플리케이션모듈(350)은 데이터처리모듈(310)과 연동되고 핸드폰, 태플릿PC 등 스마트기기와 같은 외부의 단말기에 앱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모듈(350)은 데이터저장부(351), 주파수조작부(352), 마이크조작부(353), 블루투스조작부(354) 및 경고신호조작부(355)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저장부(351)는 통신모듈(320)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앱 내부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앱 버튼을 클릭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주파수조작부(352)는 통신주파수를 조작하여 복수의 단말기들간의 연동을 제어하는 앱 내부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앱 버튼에서 특정 주파수를 입력하거나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주파수가 일치하는 단말기간에는 통신모듈(320)이 서로 연동되며 대화를 주고 받거나 또는 마이크(230)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
마이크조작부(353)는 마이크(2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앱 내부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사용자는 앱 버튼을 클릭하여 마이크(230)를 on/off 시킬 수 있다.
블루투스조작부(354)는 마이크(230)와 무선 단말기간의 무선 통신을 조작하는 앱 내부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사용자가 앱 버튼을 클릭하면 블루투스 모드가 작동 상태되거나 또는 비작동 상태가 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드가 작동상태인 경우 녹음데이터, 경고상황데이터 등이 무선으로 데이터저장부(351)에 저장될 수 있으며, 통신주파수가 일치하는 경우 다수의 사용자간에 통신이 가능하다.
경고신호조작부(355)는 진동센서(221) 또는 소리센서(223)를 조작하는 앱 내부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사용자는 앱 버튼 클릭에 따라 특정 상황 발생시 진동센서(221)를 동작할지 아니면 소리센서(223)를 동작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상술한 제어부(300)를 통해 각종 상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100)를 활용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a에서는 본 발명의 마스크장치(100)를 일반적인 대화 상황에서 활용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a를 참고하면, 어느 한명의 사용자가 단말기(H1)에 설치된 앱의 주파수조작부(352)를 통해 통신주파수를 특정 주파수로 맞춘다. 그리고 다른 한명의 사용자가 단말기(H2)에 설치된 앱의 주파수조작부(352)를 통해 역시 동일한 통신주파수로 맞춘다. 이 경우 각 사용자들이 착용한 마스크장치(100)의 마이크(230)와 이어폰(E ; 도 1 참고)이 서로 연동되면서 상호간에 대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11b에서는 본 발명의 마스크장치(100)를 버스 운행 상황에서 활용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b를 참고하면, 버스운전자가 단말기에 설치된 앱의 주파수조작부(352)를 통해 통신주파수를 버스스피커(S1)의 주파수에 맞춘다. 이때 버스스피커(S1)는 특정 통신주파수가 일치하는 경우 마이크(230)의 음성이 송출될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버스운전자는 이후 마이크(230)를 통해 버스 운행 상황을 버스승객들에게 송출할 수 있다.
예컨대, 버스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상황을 버스운전자가 모니터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만약 버스승객들 중 안전벨트를 매지 않은 사람이 있으면, 모니터를 통해 파악하고 버스운전자가 버스승객에게 안전벨트를 맬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해 버스운전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운행을 하고 있다. 이 경우 마스크로 인해 버스운전자의 음성이 버스승객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 발생시, 본 발명의 마스크장치(100)를 착용한 버스운전자는 단말기를 통해 마이크(230)의 통신주파수를 버스스피커(S1)의 통신주파수에 일치시키고, 마이크(230)를 통해 말하면, 버스스피커(S1)가 버스승객들에게 안전벨트를 맬 것을 전송하게 된다. 즉 마스크를 착용했더라도, 버스운전자의 음성이 버스승객들에게 분명하게 전달된다.
또한 진동센서(221) 또는 소리센서(223)를 통해 특정 조건에서 버스운전자에게 경고 신호를 주어 버스운전자가 방송을 하게끔 할 수 있다. 예컨대 버스운전자가 단말기에 설치된 앱 프로그램의 진동신호부(331)를 조작하여 진동센서(221)가 특정 조건에서 작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소리신호부(333)를 통한 소리센서(223) 작동도 동일하다.
여기서 특정 조건은 버스승객이 안전벨트를 미착용한 조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데이터처리모듈(310)이 경고신호모듈(330)의 진동신호부(331)에 진동센서(221)를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마스크장치(100)에 있는 진동센서(221)가 진동을 일으키며 버스운전자에게 안전 벨트 미착용 승객이 있음을 알린다. 이는 버스운전자가 모니터를 확인할 수 없는 상황에 유용하다.
소리센서(223)의 경우 경고음이 마이크(230)를 통해 버스운전자의 이어폰(E ; 도 1 참고)으로 전송되어 버스운전자가 알 수 있다.
상기 예와 같이, 종래 일반적인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와 달리, 본 발명의 마스크장치(100)를 착용하면 버스운전자는 버스승객들에게 버스 운행 정보를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버스운행지연을 방지할 수 있어 운행 효율도 개선할 수 있다.
다른 상황으로는, 도 11c에서는 본 발명의 마스크장치(100)를 강연에서 활용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c를 참고하면, 강연자가 단말기에 설치된 앱의 주파수조작부(352)를 통해 통신주파수를 강연실 스피커(S2)의 주파수에 맞춘다. 이때 강연실 스피커(S2)는 특정 통신주파수가 일치하는 경우 마이크(230)의 음성이 송출될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강연자는 이후 마이크(230)를 통해 강연 내용을 청취객들에게 송출할 수 있다.
또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강연자가 단말기에 설치된 앱의 주파수조작부(352)를 통해 통신주파수를 청취객들의 이어폰의 주파수에 맞출 수 있다. 강연자는 이후 마이크(230)를 통해 강연 내용을 청취객들의 이어폰으로 송출할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은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0: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
110:바디부 112:습기방지코팅부
114:형상변형부 116:상부바디
117:하부바디 120:귀걸이부
130:필터부 131:필터탈착부
131a:지지홈 133:필터
134:필터지지체 135:연성체
140:밀착라인
200:콘트롤박스 211:터미널단자
213:이어폰잭 221:진동센서
223:소리센서 230:마이크
240:방수코팅부
300:제어부 310:데이터처리모듈
320:통신모듈 330:경고신호모듈
331:진동신호부 333:소리신호부
340:표시모듈 350:애플리케이션모듈
351:데이터저장부 352:주파수조작부
353:마이크조작부 354:블루투스조작부
355:경고신호조작부
400:밀착유닛 410:밀착스프링
420:가이드봉 500:탄성체
510:유동체 531:상부지지판
533;하부지지판 540:디스크부
541:제1 디스크 543:제2 디스크
550:내간격부 560:댐퍼판
561:제1 댐퍼판면 562:제2 댐퍼판면
563:댐퍼홀 571:제2 디스크홈
572:돌기블록 574:디스크스프링

Claims (13)

  1. 가장자리를 따라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밀착라인이 배치되며 사용자의 호흡기를 감싸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측부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귀걸이부;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고, 외부의 기체를 필터링하여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필터부;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를 제어하는 제어부 또는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는 콘트롤박스; 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박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진동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진동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진동센서가 상기 바디부를 진동시켜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콘트롤박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소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소리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소리센서가 특정 소리를 발생하며 상기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를 전달하는,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람의 호흡 기체에 의해 상기 마이크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를 감싸며 배치되는 방수코팅부;
    를 더 포함하는,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박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정보를 송출하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터미널단자; 및
    상기 콘트롤박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외부의 단말기를 연결하며 상기 마이크의 음성을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어폰잭;
    을 더 포함하는,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고, 내측 둘레에는 함몰된 형태의 지지홈이 형성되는 필터장착부;
    필터의 외측 둘레에 연결되며 배치되고, 필터의 외형을 지지하는 필터지지체; 및
    상기 필터지지체의 외측 둘레에 연결되며 배치되고, 형상이 변형되며 상기 지지홈에 탈착되는 연성체;
    를 포함하는,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호흡 기체에 의해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는 습기방지코팅부;
    를 더 포함하는,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가장자리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며 상기 바디부가 사용자의 호흡기를 밀폐하도록 제공되는 형상변형부;
    를 더 포함하는,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측 둘레의 상부에서 하부로 복수의 단으로 배치되는 돌기 형상인,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부는, 소정의 온도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되는 형상기억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
  11. 가장자리를 따라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밀착라인이 배치되며 사용자의 호흡기를 감싸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측부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귀걸이부;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고, 외부의 기체를 필터링하여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필터부;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를 제어하는 제어부 또는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는 콘트롤박스; 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박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진동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진동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진동센서가 상기 바디부를 진동시켜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콘트롤박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소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소리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소리센서가 특정 소리를 발생하며 상기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모듈;
    상기 데이터처리모듈과 연동되고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데이터처리모듈과 연동되고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에 표시하는 표시모듈;
    상기 데이터처리모듈과 연동되고 특정 상황 발생시 사용자에게 경고신호를 주는 경고신호모듈; 및
    상기 데이터처리모듈과 연동되고 외부의 단말기에 설치되며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모듈;
    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통신주파수를 조작하여 복수의 단말기들간의 연동을 제어하는 주파수조작부;
    상기 마이크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조작부; 및
    상기 마이크와 무선 단말기간의 무선 통신을 조작하는 블루투스조작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신호모듈은,
    상기 진동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진동신호부; 및
    상기 소리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소리신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모듈은,
    상기 진동센서 또는 상기 소리센서를 조작하는 경고신호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220122346A 2022-09-27 2022-09-27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 KR102597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346A KR102597273B1 (ko) 2022-09-27 2022-09-27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346A KR102597273B1 (ko) 2022-09-27 2022-09-27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273B1 true KR102597273B1 (ko) 2023-11-02

Family

ID=8874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346A KR102597273B1 (ko) 2022-09-27 2022-09-27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2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440B1 (ko) * 2010-02-04 2012-06-15 (주)한국카스코 무선통신용 방진 마스크
KR20180001512U (ko) * 2016-11-14 2018-05-24 주식회사 에이치디메디스 행사용 마스크
KR101940383B1 (ko) * 2015-12-29 2019-01-18 한가현 턱 움직임이 용이한 보건 마스크
KR20220005729A (ko) * 2020-07-07 2022-01-14 임병민 투명 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 시스템
KR20220106483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 디아이티그린 호흡에 따라 공기량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440B1 (ko) * 2010-02-04 2012-06-15 (주)한국카스코 무선통신용 방진 마스크
KR101940383B1 (ko) * 2015-12-29 2019-01-18 한가현 턱 움직임이 용이한 보건 마스크
KR20180001512U (ko) * 2016-11-14 2018-05-24 주식회사 에이치디메디스 행사용 마스크
KR20220005729A (ko) * 2020-07-07 2022-01-14 임병민 투명 마스크에 장착되는 다자간 통신 시스템
KR20220106483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 디아이티그린 호흡에 따라 공기량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0965B2 (en) Multi-function bone conducting headphones
EP2320674B1 (en) Ear-muff type headset for two-way communication
RU2713042C1 (ru) Способ модификаци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защиты органов слух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рганов слуха
WO2018079576A1 (ja) 骨伝導ヘッドセット
CN101766036A (zh) 音频设备
KR101507869B1 (ko) 무선음향기기
US20230052568A1 (en) Bone conduc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JP7473673B2 (ja) 音響入出力装置
US11265637B2 (en) Bone-conduction microphone
JP2019530298A (ja) 一体型骨伝導トランスデューサ付き呼吸マスク
US9402119B2 (en) Communication system in respiratory protection masks
KR102597273B1 (ko) 다중통신이 가능한 마스크장치
US20220086559A1 (en) Wearable audio device with tri-port acoustic cavity
US20170318145A1 (en) Wireless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CN116671127A (zh) 具有控制平台的可穿戴音频设备
KR102513860B1 (ko) 산소공급이 가능한 멀티 기능형 마스크장치
US20220369021A1 (en) Acoustic output apparatuses
CN204193347U (zh) 一种用于防护面罩的通讯装置
TWM524643U (zh) 具藍芽模組之安全帽
CN202496477U (zh) 一种带蓝牙装置的通讯头盔
CN209968842U (zh) 设置于用户佩戴装置的振动输出装置
US20220296940A1 (en) Communications Enabled Respirator Assembly
WO2018042900A1 (ja) 音響出力装置
AU2014274681C1 (en) Acoustic isolation mechanism with membrane
WO2023004902A1 (zh) 一种可兼容头盔佩戴的非入耳式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