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298A -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통화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통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298A
KR20030090298A KR1020020028351A KR20020028351A KR20030090298A KR 20030090298 A KR20030090298 A KR 20030090298A KR 1020020028351 A KR1020020028351 A KR 1020020028351A KR 20020028351 A KR20020028351 A KR 20020028351A KR 20030090298 A KR20030090298 A KR 20030090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ear microphone
base station
wireless ear
h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8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0298A/ko
Publication of KR20030090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2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된 무선 이어 마이크와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구성되는 핸즈프리 장치의 베이스 스테이션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잭 연결부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무선 이어 마이크를 사용해 통화할 수 있는 통신환경을 제공하는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되어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하여 송출하고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베이스 스테이션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 출력하거나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무선 이어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즈프리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하지 않고도 핸즈프리 장치에 접속시켜 핸즈프리 장치의 베이스 스테이션과 무선 이어 마이크간의 무선 통신에 의한 음성신호 송/수신으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 시에 무선 이어 마이크를 이용해 활동제약없이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통화음의 외부 노출로 인해 사생활을 침해받을 우려없이 통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Device for a hands free of wireless ear mike and telephonic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된 무선 이어 마이크와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구성되는 핸즈프리 장치의 베이스 스테이션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잭 연결부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무선 이어 마이크를 사용해 통화할 수 있는 통신환경을 제공하는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분야의 기술이 점차 발전되어 가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인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는 우리의 실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제품으로 자리 매김을 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이 보편화되어 가면서 운전 중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으로 인한 교통 사고가 급증하고 있어 근래에는 운전 중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 등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위한 이어 마이크 또는 핸즈프리 장치 등의 통신 주변 장치가 널리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이어 마이크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잭 연결부에 이어 마이크 잭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선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단말기 사용자는 항상 단말기를 소지하여야하기 때문에 활동에 제한을 받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사용자 불편을 덜기 위해 종래에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편리하게 휴대하고 이어 마이크를 통해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체의 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한 목걸이(100)와, 상기 목걸이(100)에 단말기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며 이어 마이크 잭 연결부를 포함하는 이루어지는 커넥터(101)와, 상기 커넥터(101)의 이어 마이크 잭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단말기와의 음성신호 입/출력을 위한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 마이크(10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단말기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핸즈프리 장치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용 시거 잭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시거 잭 커넥터(201)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잭 연결을 위한 이어 마이크 잭 연결부(20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일체형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음성신호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증폭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03)와, 사용자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로 전송하는 마이크로 폰(2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핸즈프리는 일체형 케이스에 고정 설치된 마이크로 폰을 이용해 통화하게되는데, 이에 따라 통화 시에 마이크로 폰(204)을 통해 외부 잡음이 입력되거나 스피커(203)로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마이크로 폰(204)을 통해 입력되는 등의 잡음 현상으로 인해 통화에 어려움을 겪게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스피커(203)를 통해 수신음을 출력하기 때문에 통화음이 외부로 출력되어 제 3자에게 통화 내용을 유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된 무선 이어 마이크와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구성되는 핸즈프리 장치를 차량 내부에 설치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핸즈프리 장치의 베이스 스테이션에 연결하여 베이스 스테이션과 무선 이어 마이크간의 무선 통신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무선 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무선 이어 마이크를 귀에 장착한 상태에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되어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하여 송출하고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베이스 스테이션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 출력하거나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무선 이어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핸즈프리 장치를 이용한 통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핸즈프리 장치의 베이스 스테이션에 접속시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과 무선 이어 마이크간의 소정의 무선 통신을 통한 음성 송/수신으로 통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목걸이형 이어폰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핸즈프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장착된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목걸이 101 : 커넥터
102 : 이어 마이크
200 : 케이스 201 : 시거 잭 커넥터
202 : 이어 마이크 잭 연결부 203 : 스피커
104 : 마이크로폰
310 : 베이스 스테이션
311 : 잭 연결부 312 : 제어부
313 : 무선통신모듈(제 1 통신모듈) 314 : 전원부
320 : 무선 이어 마이크
321 : 무선통신모듈(제 2 통신모듈) 322 : 마이크로 프로세서
323 : 키 입력부 324 : 마이크로 폰
325 : 스피커 326 : 전원부
400 : 이동통신 단말기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접속되면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통신을 위한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여 송출하고, 무선 이어 마이크(320)로부터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베이스 스테이션(310)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310)으로부터 전송되는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 출력하고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310)으로 전송하는 무선 이어 마이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310)은 차량 내부에 장착 가능한 일체형 수용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 잭 연결부에 접속 가능한 연결단자를 갖는 잭 연결부(311)와, 상기 잭 연결부(311)를 통한 음성 신호의 입/출력 및 송/수신 제어와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312)와, 상기 제어부(312)의 동작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모듈(313)과, 상기 제어부(312) 및 무선통신모듈(313)에 필요한 전력 공급을 위한 전원부(314)를 내부에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12)는 무선 이어 마이크(320)로부터 무선통신 모듈(313)을 통해 수신되는 통화연결을 위한 키 버튼 선택 신호를 잭 연결부(311)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하여 착신연결 및 발신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무선 이어 마이크(320)는 인체의 귀에 착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310)의 무선통신 모듈(313)(이하, 제 1 통신모듈이라 칭함.)과 쌍으로 동작하는 무선통신 모듈(321)(이하, 제 2 통신모듈이라 칭함.)과, 상기 제 2 통신모듈(321)을 이용한 무선통신과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부(322)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발신 및 착신 연결을 위한 키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키 버튼 선택에 의해 발생되는 키 데이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부(322)로 전송하는 키 입력부(323)와, 마이크로 프로세서부(322)의 동작 제어에 따라 외부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로 프로세서부(322)로 전송하는 마이크로폰(324)과, 마이크로 프로세서부(322)의 동작 제어에 따라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325)와, 마이크로 프로세서부(322) 및 제 2 통신모듈(321)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부(3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모듈(313,321)은 도시는 생략되었으나, 소정의 통신 규약에 따라 음성 신호를 무선주파 신호로 변조하여 베이스 스테이션(310)과 무선 이어 마이크(320)간에 송/수신하도록 하는 것으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ess)/TDD에 따라 무선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접속방식인 DECT(Digital Duropean Cordless Telephone), 양방향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표준인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 무선통신 표준인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의 무선통신 모듈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통신 모듈(313,321)은 음성 신호를 무선 주파신호로 변/복조하기 위한 변/복조부와, 상기 무선 주파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실시에 있어서는 해당 무선 통신규약과 관련된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핸즈프리 장치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핸즈프리 장치의 베이스 스테이션(310)에 접속시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310)과 무선 이어 마이크(320)간의 소정의 무선 통신을 통한 음성 송/수신으로 통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400)가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400)를 핸즈프리 장치의 베이스 스테이션(310)에 접속시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310)과 무선 이어 마이크(320)간의 소정의 무선 통신을 통한 음성 송/수신으로 통화한다.
예를 들어, 핸즈프리 장치에서 이용되는 무선통신 모듈이 DECT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구조로 이루어진다면, 이동통신 단말기(400)를 통한 호 신호 수신 시 핸즈프리 장치 사용자는 호 신호 응답을 위해 무선 이어 마이크(320)의 키 버튼을 선택한다.
무선 이어 마이크(32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부(322)에서는 사용자의 키 버튼 선택에 따라 발생된 키 데이터를 제 2 통신모듈(321)로 전송한다.
제 2 통신모듈(321)에서는 키 데이터를 베이스 스테이션(310)의 제 1 통신모듈(313)로 전송하기 위해 DECT 프로토콜에 따른 전송 패킷의 데이터로 변조하고, 변조된 데이터를 전송을 위한 주파수로 변환 및 DECT 방식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한 후에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
제 2 통신모듈(321)로부터 송출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모듈(313)에서는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를 통화 연결을 위한 키 데이터로 복조하여 제어부(312)로 전송하고, 제어부(312)에서는 잭 연결부(311)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베이스 스테이션(310)으로부터 잭 연결부(311)를 통해 통화 연결을 위한 키 데이터가 수신되면 단말기에서는 착신되는 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출하고 통화 링크가 형성되면 안테나를 통한 음성신호 송/수신을 수행하여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
이동통신 단말기(400)에서는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잭 연결부(101)를 통해 베이스 스테이션(310)의 제어부(312)로 전송하고, 제어부(312)에서는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무선 이어 마이크(320)로의 송출을 위한 제어 명령어와 함께 제 1 통신 모듈(313)로 전송한다.
제 1 통신 모듈(313)에서는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제 2 통신모듈(321)로 전송하기 위해 DECT 프로토콜에 따른 전송 패킷의 데이터로 변조하고, 변조된 데이터를 전송을 위한 주파수로 변환 및 DECT 방식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한 후에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
제 1 통신 모듈(313)로부터 송출되는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통신 모듈(321)에서는 수신된 주파수 신호를 단말기로 착신된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부(322)로 전송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부(322)에서는 음성신호를 스피커(325)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무선 이어 마이크(320)에서는 마이크로폰(324)으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한 과정과 같은 처리 과정을 통해 베이스 스테이션(310)으로 전송하여 베이스 스테이션(310)을 경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400)를 통해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의 반복적인 수행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400) 사용자는 무선 이어 마이크(320)를 이용해 발신자와 통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착신응답 뿐만 아니라, 무선 이어 마이크(320) 사용자는 발신 시에 무선 이어 마이크(320)에 구비된 통화 버튼을 선택하여 사용자의 통화 버튼 선택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400)에서의 호 신호 발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무선 이어 마이크(320) 사용자는 차량 내부에서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통신모듈(313,321)의 DECT 방식에 따른 주파수 증폭도에 따른 통신 범위에서 자유롭게 통화할 수 있게 되는데, 예를 들어, 0 dBm인 경우 약 20~50m, 20 dBM인 경우 약 300m 내에서 통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통신 모듈(313,321)로 링크 제어부, 기저대역 처리부, 송/수신부를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루투스 모듈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무선 이어 마이크(320)와 베이스 스테이션(310)간에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블루투스 통신 규약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패킷으로 변조하고 해당되는 기저대역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송/수신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무선 이어 마이크와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구성되는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 시에 무선 이어 마이크를 이용해 활동제약없이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통화음의 외부 노출로 인해 사생활을 침해받을 우려없이 통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되어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하여 송출하고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베이스 스테이션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무선 이어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 잭 연결부에 접속 가능한 연결단자를 갖는 잭 연결부와,
    상기 잭 연결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음성신호 입/출력 및 상기 무선 이어 마이크와의 무선신호 송/수신을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무선 이어 마이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발신 및 착신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동작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통신모듈과,
    상기 제어부 및 제 1 통신모듈에 필요한 전력 공급을 위한 전원부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이어 마이크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의 제 1 통신모듈과 쌍으로 동작하는 제 2 통신모듈과,
    상기 제 2 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선통신과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발신 및 착신 연결을 위한 키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키 버튼 선택에 의해 발생되는 키 데이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부로 전송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부의 동작 제어에 따라 외부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로 프로세서부로 전송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부의 동작 제어에 따라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부 및 제 2 통신모듈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은 소정의 통신 규약에 따라 음성 신호를 무선주파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과 상기 무선 이어 마이크간에 송/수신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규약은 DECT 또는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 데이터 통신 규약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
  6.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핸즈프리 장치를 이용한 통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핸즈프리 장치의 베이스 스테이션에 접속시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과 무선 이어 마이크간의 소정의 무선 통신을 통한 음성 송/수신으로 통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를 이용한 통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은 DECT 또는 블루투스 무선통신 방법을 이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를 이용한 통화 방법.
KR1020020028351A 2002-05-22 2002-05-22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통화방법 KR20030090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351A KR20030090298A (ko) 2002-05-22 2002-05-22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통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351A KR20030090298A (ko) 2002-05-22 2002-05-22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통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298A true KR20030090298A (ko) 2003-11-28

Family

ID=32383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351A KR20030090298A (ko) 2002-05-22 2002-05-22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통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02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111A (ko) * 2002-06-27 2004-01-07 최명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통신을 위한 소형전화기형 중계단말기와 튜부형 이어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9927A (ja) * 1998-07-17 2000-02-18 Ire Denshi Sangyo Kk セルラー無線通信端末機のハンドフリー装置
KR20020007046A (ko) * 2000-07-14 2002-01-26 이금랑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
KR20020011497A (ko) * 2000-08-02 2002-02-09 박석근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
KR20020033365A (ko) * 2000-10-31 2002-05-06 데이비드호강 효율적인 모듈형 무선 헤드셋 장치
KR20020035960A (ko) * 2000-11-07 2002-05-16 송문섭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 핸즈프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9927A (ja) * 1998-07-17 2000-02-18 Ire Denshi Sangyo Kk セルラー無線通信端末機のハンドフリー装置
KR20020007046A (ko) * 2000-07-14 2002-01-26 이금랑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
KR20020011497A (ko) * 2000-08-02 2002-02-09 박석근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
KR20020033365A (ko) * 2000-10-31 2002-05-06 데이비드호강 효율적인 모듈형 무선 헤드셋 장치
KR20020035960A (ko) * 2000-11-07 2002-05-16 송문섭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 핸즈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111A (ko) * 2002-06-27 2004-01-07 최명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통신을 위한 소형전화기형 중계단말기와 튜부형 이어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1498B2 (en) Radio headset system
US20030054784A1 (en) Infrared full-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247585Y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핸즈프리장치
KR20030090298A (ko) 무선 이어 마이크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통화방법
KR200218536Y1 (ko) 이동 단말기의 무선 핸즈프리시스템
KR200196444Y1 (ko) 인터넷 전화기용 헤드셋의 무선 중계장치
KR100246477B1 (ko) 무선 이어세트를 이용한 핸즈프리 장치
KR200194772Y1 (ko) 휴대폰용 무선 이어폰
KR101009885B1 (ko) 무선 이어폰 세트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세트
KR200250539Y1 (ko) 무선 송수신 장치가 내장된 헬멧
JPH11150762A (ja) ハンズフリー移動通信システム
JPH11154999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849138B1 (ko) 무선 헤드셋
KR100371449B1 (ko) 무선 이어폰/마이크를 갖는 착탈형 무선전환장치
KR100820549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화 장치
JPH04127644A (ja) 電話端末用ヘッドセット
KR200164205Y1 (ko) 핸즈프리형 이어마이크폰 휴대장치
KR200218557Y1 (ko) 이동 단말기 보조 통화 시스템
KR200187695Y1 (ko) 다이얼 리모콘을 갖는 이어폰마이크 타입 무선 전화기
JPH0631243U (ja) 電話用ワイヤレスイヤフォンマイクセット
KR200208111Y1 (ko) 음성변환기능이 내장된 마이크 겸용 이어폰
KR20040106786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224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송수신장치
KR200199056Y1 (ko) 무선이어폰과 마이크
KR200184061Y1 (ko) 와이어리스 수화기를 구비한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