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1301U - 방독면 보호두건 - Google Patents

방독면 보호두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1301U
KR19980021301U KR2019960034579U KR19960034579U KR19980021301U KR 19980021301 U KR19980021301 U KR 19980021301U KR 2019960034579 U KR2019960034579 U KR 2019960034579U KR 19960034579 U KR19960034579 U KR 19960034579U KR 19980021301 U KR19980021301 U KR 199800213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mask
hood
exposed
mask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4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2446Y1 (ko
Inventor
이건
Original Assignee
이건
삼공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 삼공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건
Priority to KR2019960034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446Y1/ko
Publication of KR199800213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3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4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4Hoo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6Adaptations for consuming refreshments without unmask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Abstract

본 고안은 방독면의 외측에 덮개 씌워 인체 피부로 침투하는 유독성 화공물질이나 낙진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해주기 위한 두부 보호용 두건에 관한 것으로, 방독면의 마스크 본체(1)에 돌출 형성된 투시창(2), 전성부(3), 배기밸브(4), 정화통(5) 및 음료 취수구(6) 등의 돌출부위가 노출될 두건몸체(10) 상부일측에 마스크 본체(1) 크기 정도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위가 긴밀히 삽입 노출되는 노출구멍(2a) (3a) (4a) (5a) (6a)이 각각 형성된 탄고무재의 안면시트(11)를 상기 개구부에 봉착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방독면의 돌출부위가 노출될 두건몸체(10)의 해당부분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에 신축성이 좋은 합성고무재의 안면시트(11)를 봉착함으로써, 방독면을 상기 보호두건(H)에 결합하였을 때 방독면의 외부 노출부위에 두건몸체(10)가 신축성 있게 밀착되어 제품의 밀봉성이 향상되고, 장기간 사용 후에도 밀착성이 유지되며, 상기 구멍(2a) (3a) (4a) (5a) (6a) 가장자리부를 고무사로 재봉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공정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방독면 보호두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독면 보호두건
본 고안은 방독면의 외측에 덮어 씌워 인체 피부로 침투하는 유독성 화공물질이나 낙진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해주기 위한 두부 보호용 두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독면의 외부 노출부위에 신축성 있게 밀착되어 제품의 성능이 향상되고, 제작공정이 개선된 방독면 보호두건에 관한 것이다.
화생방전용 방독면은 화학전이나 생물학전 또는 핵전쟁과 같은 위급상황의 발발시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게 되는 각종 유독가스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으로서, 현재 여러 종류 및 형태의 방독면들이 제안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방돌면의 외측에 덮어 씌워 두부에 착용하는 보호두건은 피부로 침투하여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게 되는 각종 화공물질 또는 핵폭발시 방사능 오염의 주원인인 낙진 등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방독면은 도 3의 하단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면부에 착용되는 마스크 본체(1)의 상부 좌우측에 투시창(2)이 배치되어 있고, 그 투시창(2)의 하부, 즉 마스크 본체(1)의 중앙부 상하측에는 방독면의 착용상태에서 외부로의 음성전달을 원활히 하기 위한 전성판(傳聲板; 3b)이 내장된 전성부(3)와 호흡시의 배기를 위한 배기밸브(4)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그 전성부(3)의 좌우 양측에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통(5) 및 방독면 착용자가 휴대한 수통과 연결되는 음료 취수구(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방독면 보호두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 재질의 두건몸체(10) 상부 일측에는 상기 방독면의 투시창(2), 전성부(3), 정화통(5) 및 음료 취수구(6)가 노출될 수 있도록 투시창 노출구멍(2a), 전성부 노출구멍(3a), 정화통 결합구멍(5a) 및 음료 취수구 노출구멍(6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구멍(2a) (3a) (5a) (6a)의 가장자리부에는 방독면을 결합했을 때 상기 돌출부위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무줄이 각 구멍(2a) (3a) (5a) (6a)의 둘레를 따라 재봉되어 있으며, 상기 두건몸체(10)의 중앙부에는 착용 후 두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조여주는 목끈(14)과, 이 목끈(14)의 양단을 수용하여 적정 길이로 고정해주는 목끈 홀더(14a)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상 미설명 부호 7은 재봉선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독면 보호두건은 두건몸체(10)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시킨 후 각 구멍의 둘레마다 일일이 재봉을 해야 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또한 신축성을 가진 고무줄을 사용하여 상기 각 구멍이 신축 가능하도록 재봉해야 하므로 재봉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 후에는 상기 고무사의 탄성이 저하되어 밀착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방독면의 외부 노출부위에 신축성 있게 밀착되어 제품의 성능이 향상되고, 장기간 사용 후에도 밀착성이 유지되며, 제작공정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방독면 보호두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독면 보호두건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독면 보호두건의 안면시트 개방부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방독면을 본 고안의 보호두건에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방독면을 본 고안의 보호두건에 결합한 상태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방독면 보호두건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 보호 두건2a; 투시창 노출구멍
3a; 전성부 노출구멍4a; 배기밸브 노출구멍
5a; 정화통 결합구멍6a; 음료 취수구 노출구멍
10; 두건몸체11; 안면 시트
12; 개방부13; 매직 패스너
14; 목끈14a; 목끈 홀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방독면 보호두건은 방독면의 돌출부위가 노출될 두건몸체 상부일측에 마스크 본체 크기 정도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위가 긴밀히 삽입 노출되는 노출구멍이 각각 형성된 탄성고무재의 안면시트를 상기 개구부에 봉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면시트는 상기 배기밸브 노출구멍의 좌우측을 절개하여 개방부를 형성하고, 이 개방부의 상하단에는 상기 배기밸브를 외부로 돌출시킨 후 밀봉할 수 있는 매직 패스너가 부착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독면 보호두건(H)은 천 재질의 두건 몸체(10) 상부 일측에 방독면의 마스크 본체(1) 크기 정도로 도려내어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방독면의 투시창(2), 전성부(3), 배기밸브(4), 정화통(5) 및 음료 취수구(6)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에 투시창 노출구멍(2a), 전성부 노출구멍(3a), 배기밸브 노출구멍(4a), 정화통 결합구멍(5a) 및 음료 취수구 노출구멍(6a)을 각각 형성시킨 탄성고무재의 안면시트(11)가 상기 개구부에 봉착되어 밀봉되며, 상기 두건몸체(10)의 중앙부에는 착용 후 두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조여주는 목끈(14)과, 이 목끈(14)의 양단을 수용하여 적정 길이로 고정해주는 목끈 홀더(14a)가 부착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면시트(11)는 상기 배기밸브 노출구멍(4a)의 좌우측을 절개하여 개방부(12)를 형성하고, 이 개방부(12)의 상하단에는 매직 패스너(13)가 부착되어 상기 배기밸브(4)를 외부로 돌출시킨 후 밀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두건(H)은 합성고무재의 안면시트(11)에 방독면의 각 돌출부위(2)(3)(4)(5)(6)보다 다소 작은 크기로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돌출부위가 상기 노출구멍(2a)(3a)(4a)(5a)(6a)에 억지 끼워맞춤됨으로써 안면시트(11)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안면시트(11)는 그 하단부에 착탈 고정이 가능한 개방부(12)를 형성하여, 전성부(3)로부터 분리되어 배기밸브(4)가 별도로 구비된 방독면을 결합하게 되는 경우에도, 간단히 수용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더욱이 정화통(5)과 음료 취수구(6)의 위치를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양손잡이용의 방독면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정화통 결합구멍(5a)과 음료 취수구 노출구멍(6a)을 대칭되게 형성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방독면을 본 고안의 보호두건(H)에 결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방독면 보호두건은 방독면의 돌출부위가 노출될 두건몸체(10)의 해당 부분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에 신축성이 좋은 합성고무재의 안면시트(11)를 봉착함으로써, 방독면을 상기 보호두건(H)에 결합하였을 때 방독면의 외부 노출부위에 두건몸체(10)가 신축성 있게 밀착되어 제품의 밀봉성이 향상되고, 장기간 사용 후에도 밀착성이 유지되며, 상기 구멍(2a)(3a)(4a)(5a)(6a) 가장자리부를 고무사로 재봉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공정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방독면의 마스크 본체(1)에 돌출 형성된 투시창(2), 전성부(3), 배기밸브(4), 정화통(5) 및 음료 취수구(6) 등의 돌출부위가 노출될 수 있도록 된 천 재질의 두부 보호용 보호두건(H)에 있어서, 상기 방독면의 돌출부위가 노출될 두건몸체(10) 상부일측에 마스크 본체(1) 크기 정도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위가 긴밀히 삽입 노출되는 노출구멍(2a)(3a)(4a)(5a)(6a)이 각각 형성된 탄성고무재의 안면시트(11)를 상기 개구부에 봉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보호두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시트(11)는 상기 배기밸브 노출구멍(4a)의 좌우측을 절개하여 개방부(12)를 형성하고, 이 개방부(12)의 상하단부에는 상기 배기밸브(4)를 외부로 돌출시킨 후 밀봉할 수 있는 매직 패스너(13)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보호두건.
KR2019960034579U 1996-10-19 1996-10-19 방독면 보호두건 KR2001424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579U KR200142446Y1 (ko) 1996-10-19 1996-10-19 방독면 보호두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579U KR200142446Y1 (ko) 1996-10-19 1996-10-19 방독면 보호두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301U true KR19980021301U (ko) 1998-07-15
KR200142446Y1 KR200142446Y1 (ko) 1999-06-01

Family

ID=19470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4579U KR200142446Y1 (ko) 1996-10-19 1996-10-19 방독면 보호두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44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24Y1 (ko) * 2011-12-15 2014-09-22 경기도 소방용 방화두건
KR101536264B1 (ko) * 2015-04-14 2015-07-13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KR101536265B1 (ko) * 2015-04-14 2015-07-13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024B1 (ko) * 2018-07-04 2019-03-04 국방과학연구소 헬멧형 방독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24Y1 (ko) * 2011-12-15 2014-09-22 경기도 소방용 방화두건
KR101536264B1 (ko) * 2015-04-14 2015-07-13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KR101536265B1 (ko) * 2015-04-14 2015-07-13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WO2016167532A1 (ko) * 2015-04-14 2016-10-20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WO2016167531A1 (ko) * 2015-04-14 2016-10-20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TWI583426B (zh) * 2015-04-14 2017-05-21 山凊股份有限公司 頭罩式防毒面具
TWI583427B (zh) * 2015-04-14 2017-05-21 山凊股份有限公司 頭罩式防毒面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2446Y1 (ko) 199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9254A (en) Protective respirator hood with inner and outer bibs
US8037547B2 (en) Protective hood
US6134716A (en) Disposable smoke mask with replaceable filter
US5653225A (en) Individual protective and breathing equipment for contaminated environments
US2821192A (en) Monro
GB2176404A (en) Respirator
US20140190476A1 (en) Seal for full face mask
JPH05177006A (ja) 呼吸用マスク
US4811728A (en) Respirator hood
KR200264920Y1 (ko) 방독면용 보호두건의 가스유입방지구조
NO144009B (no) Beskyttelseshjelm mot stoev.
KR200142446Y1 (ko) 방독면 보호두건
KR101954024B1 (ko) 헬멧형 방독면
KR101072529B1 (ko)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KR101070198B1 (ko) 화생방용 두건형 방독면
US5392465A (en) Mask for use in fire accidents
KR200221034Y1 (ko) 두건형 방독면의 오염가스 유입차단장치
KR101070194B1 (ko)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KR101070193B1 (ko) 다기능 두건형 방독면
KR101408839B1 (ko) 방독면
KR200190547Y1 (ko) 두건형 방독면의 오염가스 유입차단장치
JP3821674B2 (ja) 全面形面体
KR840001588Y1 (ko) 방 독 면
RU2794637C1 (ru) Маска респираторная
US11751615B1 (en) Second-skin respirator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