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916A -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 - Google Patents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916A
KR20190032916A KR1020170121343A KR20170121343A KR20190032916A KR 20190032916 A KR20190032916 A KR 20190032916A KR 1020170121343 A KR1020170121343 A KR 1020170121343A KR 20170121343 A KR20170121343 A KR 20170121343A KR 20190032916 A KR20190032916 A KR 20190032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pack
purifier
gas mask
us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0325B1 (ko
Inventor
진영배
Original Assignee
(주)한국유닉스
진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유닉스, 진영배 filed Critical (주)한국유닉스
Priority to KR1020170121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3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4/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which may be converted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and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F4/02Sacks or pack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독 유해가스로부터 인체 호흡기와 안면을 보호키 위한 방독면을 형성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어깨 등에 안착시켜 도보이동 등이 원활하도록 어깨끈이 형성되고, 내부에 피난용 구호식품 및 비상약 등을 넣을 수 있는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는 배낭부; 배낭부에 형성된 포켓부를 구비하고, 포켓부에 수용되어 각종 유해가스로부터 자신의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 정화통이 포함된 정화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방독면; 방독면에 사용자 머리와 목 부분에 밀착되게끔 하면서 본체 내부로 유해가스 유입을 방지하도록 신축성 기능을 겸비한 두건; 방독면의 일면에 장착되어 전면으로 빛을 발산하는 헤드라이트; 및 배낭부에 장착되어 정화통을 장착하기 직전의 평상시 상태에서는 흡입부를 막아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고정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방형 배낭의 내 외부 일 측편에 방독면을 수용하여 다양한 재난사고 발생 시에 재빨리 사용토록 함으로써, 각종 유해가스 등으로부터 자신의 호흡기와 얼굴을 보호함은 물론, 부피도 적고 가벼워 상시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방독면의 부가기능(附加技能)을 통해 위험지역을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일상생활 중에서 필요시마다 방독면의 신속 착용이 가능하면서도 식품과 의료용품 등이 담긴 생존가방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Backpack of bag-type having a gas mask}
본 발명은 방독면을 수용한 가방형 배낭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방형 배낭의 내부 또는 외부 일 측편에 방독면을 수용하여 전쟁 및 화재 등의 다양한 재난사고나 긴급 상황 발생 시에 재빨리 사용토록 함으로써, 각종 유해 가스나 연기 등으로부터 자신의 호흡기와 얼굴을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부피도 적고 무게가 가벼워 상시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방독면에 부가(附加)되어 있는 나침판과 헤드라이트 등을 통해 위험지역을 제때, 제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일상생활 중에서 필요시마다 방독면의 신속 착용이 가능하면서도 식품과 의료용품 등이 담긴 생존가방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끔 한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어깨나 등에 매는 가방이나 배낭은 물건을 담아서 등에 지거나 어깨에 걸칠 수 있도록 만든 주머니로서 직물지 가죽 피륙 등을 사용하여 만들며, 이 속에 갖가지 필요 물건들을 넣고 다닌다. 또한 방독면은 화학전이나 생물학전 또는 방사능전 등의 위급상황에서 발생되는 유독성 화학가스가 인체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안면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이를 착용하는 사람은 오염지역에서 안전지역으로 대피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방독면의 경우에는 휴대성이 낮아 항상 지참하기 어려웠던 반면, 늘 지참하고 있어야만 위급사항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 위급 시에는 신속하게 방독면을 쓰고 위험지역으로부터 탈출해야 할 뿐 아니라 음식이나 비상약 등도 함께 지참해야 안전한 피난이 가능하므로 가방에 방독면을 넣어 다니는 경우가 종종 있었지만 불편점이 이만저만 아니었고, 특히 방독면의 성능이 떨어져서 많은 국민들이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정이 이렇기에 국가적 위기가 지속되는 나라(시리아 등)에서는 가방과 성능 좋은 방독면을 효율적으로 결합해서 일상적인 가방으로 사용하면서 회재발생 등의 위급 시에 유독가스나 짙은 연기 등을 막아내도록 하는 방독면의 사용이 필요한데, 아직 이러한 부분의 개발이 많이 미흡한 실정이기도 하다.
일예로,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2711호에 따르면, ‘주입부(1)에 뚜껑(2)과 조임끈(3) 및 등판에 멜방(4)을 구성하고, 배면과 양 측면에 주머니(5)(5')(9)와 덮개(6)(6')(11)를 구성한 학생가방에 있어서, 양측면주머니(5)(5')와 덮개(6)(6')에 체결용 접착테이프(7)(7')(8)(8')를 구성하고, 배면주머니(9)를 일 측으로 착탈토록 접착테이프(10)(10')를 저면과 측면에 구성하고, 배면주머니(9)와 덮개(11)의 내면에 형광지(12)(13)를 부착한 다음, 배면주머니(9) 몸체 면에 투명 투시창(14)을 형성하여 여기에 정화통(15)과 내측으로 배기구(16)를 양측에 구성한 마스크(17)를 부착한 후 방수커버(18)를 씌워지게 조임끈(19)으로 조이도록 하여 비상시 방독면으로 착용케 함을 특징으로 한 방독면 겸용 책가방.’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독면 겸용 책가방은 단순한 기능만을 가지는 일반적인 책가방을 사용하여 방독면 기능을 수용하도록 하였기에 위급상황 시 방독면의 제 기능이 발휘되기 힘든 문제가 발생한다.
또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318363호에 따르면, ‘방독면(防毒面)을 구비하는 가방은, 방독면의 테두리 부분에 매직테이프(magic tape)를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매직테이프 부착부와, 상기 방독면의 돌출 부분인 정화통(淨化筒)이 관통(貫通)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가방에 형성되는 개구부(開口部)와, 상기 제1매직테이프 부착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가방에 형성되어 매직테이프가 부착되는 제2매직테이프 부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을 구비한 가방.’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독면을 구비한 가방은 단순히 매직테이프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이 또한 위급상황 시에 효과적인 탈출을 도와줄 수 있는 구성이나 기능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폐단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2711호 “방독면 겸용 책가방”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318363호 “방독면을 구비한 가방”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방형 배낭의 내부 또는 외부 일 측편에 방독면을 수용하여 전쟁 및 화재 등의 다양한 재난사고나 긴급 상황 발생 시에 재빨리 사용토록 함으로써, 각종 유해 가스나 연기 등으로부터 자신의 호흡기와 얼굴을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부피도 적고 무게가 가벼워 상시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방독면에 부가(附加)되어 있는 나침판과 헤드라이트 등을 통해 위험지역을 제때, 제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일상생활 중에서 필요시마다 방독면의 신속 착용이 가능하면서도 식품과 의료용품 등이 담긴 생존가방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끔 한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학가스 등의 유독 유해가스로부터 인체 호흡기와 안면을 보호키 위한 방독면을 형성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어깨 등에 안착시켜 도보이동 등이 원활하도록 어깨끈이 형성되고, 내부에 별도의 피난용 구호식품 및 비상약 등을 넣을 수 있는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는 배낭부; 상기 배낭부에 형성된 포켓부를 구비하고, 포켓부에 수용되어 각종의 유독 유해가스로부터 자신의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 정화통이 포함된 정화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방독면; 상기 방독면에 사용자의 머리와 목 부분에 밀착되게끔 하면서, 본체 내부로 유독 및 유해가스 등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신축성 기능을 겸비한 두건; 상기 방독면의 일면에 장착되어 전면으로 빛을 발산하는 헤드라이트; 및 상기 배낭부에 장착되어 정화통을 장착하기 직전의 평상시 상태에서는 흡입부를 막아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고정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독면은 포켓부 상에 수용되어 탈착이 가능하게끔 지퍼를 구비하고, 방독면이 외부로 노출된 외부형과 내부로 삽설된 내부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정화수단은 정화통이 고정된 상태로 흡입 시 공기 흡입 공간을 확보하는 흡입막과, 정화된 공기의 면밀한 흡입이 가능하게끔 코와 입 주변을 확고하게 감싸주는 밀집판과,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끔 배출막을 갖는 배출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정화수단의 정화통은 방독면의 흡입부에 면밀하면서도 빠른 장착이 가능하게끔 정화통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돌부와, 돌부를 삽설 고정시키면서 점점 더 좁아지는 형태의 유로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건은 외부로부터 화염 등에 의해 사용자 얼굴의 부상 방지 등을 위하여 단열 및 내열성 재질 등으로 형성된 보호두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캡은 사고 발생 시에 탈출의 방향을 알 수 있게끔 전면으로 나침판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방형 배낭의 내부 또는 외부 일 측편에 방독면을 수용하여 전쟁 및 화재 등의 다양한 재난사고나 긴급 상황 발생 시에 재빨리 사용토록 함으로써, 각종 유해 가스나 연기 등으로부터 자신의 호흡기와 얼굴을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부피도 적고 무게가 가벼워 상시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방독면에 부가(附加)되어 있는 나침판과 헤드라이트 등을 통해 위험지역을 제때, 제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일상생활 중에서 필요시마다 방독면의 신속 착용이 가능하면서도 식품과 의료용품 등이 담긴 생존가방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 내지 1f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 수용의 배낭을 나타내는 정면 예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 수용의 배낭을 나타내는 단면 예시도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 보호캡의 장착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및4d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 정화통의 장착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두건 및 보호두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정화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을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1f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 수용의 배낭을 나타내는 정면 예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 수용의 배낭을 나타내는 단면 예시도이며,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 보호캡의 장착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 및4d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 정화통의 장착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두건 및 보호두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정화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화학가스 등의 유독 및 유해가스 등으로부터 인체 호흡기와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방독면이 구비된 가방형 배낭에 관련되며, 배낭부(10) 방독면(20) 두건(30) 헤드라이트(40) 고정캡(50) 등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낭부(10)는 사용자의 어깨 등에 안착시켜 도보이동 등이 원활하도록 어깨끈(11)이 형성되고, 내부에 별도의 피난용 구호식품 및 비상약 등을 넣을 수 있는 수용공간부(12)를 형성한다.
배낭부(10)는 사용자의 등과 어깨가 맞닿는 안쪽부분에 어깨끈(11)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가방형 배낭을 어깨 및 등에 매고 도보이동과 달리기 등이 자유로워 활동성이 좋아지게 된다. 그리고 내부에 별도의 피난용 구호식품 및 비상약 등을 수용하는 수용공간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부(12)은 긴급 상황이나 재난사고 등으로부터 위험지역을 탈출하기 위하여 별도의 피난용 구호식품 및 비상약 등을 수용할 수도 있지만, 책가방 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하다가 화학가스 등의 유해가스가 발생할 경우에 자신의 인체 호흡기 등을 보호하기 위해서 후술할 방독면(20)을 바로 착용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20)은 상기 배낭부(10)에 형성된 포켓부(21)를 구성하고, 포켓부(21)에 수용되어 각종의 유독 유해가스로부터 자신의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 정화통(23)을 갖는 정화수단(22)을 구비한다. 방독면(20)의 본체(10)는 사용자의 얼굴 전면에 덧씌워지도록 마스크(mask) 형태로 형성되고, 포켓부(21)는 배낭부(10)의 사용자와 등이 맞닿는 안쪽부분이 아닌 바깥부분에 형성하여 포켓부(21) 상에 방독면(20)을 장착하게 된다. 방독면(20)은 착용 시 사용자의 얼굴에 덧씌워져 얼굴과 안면을 보호하면서 전면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렌즈부(28)가 형성되고, 공기의 흡기와 배기가 가능하도록 흡입부(29a)와 배출부(29b)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흡입부(29a)와 배출부(29b)는 정화통(23)을 갖는 정화수단(22)과 서로 연동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때 상기 방독면(20)은 포켓부(21) 상에 수용되어 탈착이 가능하게 지퍼(22)를 구비하고, 방독면(20)이 외부로 노출된 외부형(A)과 내부로 삽설된 내부형(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방독면(20)을 상기 배낭부(10)의 포켓부(21) 상에 장착할 때, 배낭부(10)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형(A)과 배낭부(10) 내부로 삽설되는 내부형(B)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외부형(A)과 내부형(B)을 통해 포켓부(21) 또한 외부 또는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형(A)과 내부형(B)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는데, 외부형(A)의 경우 방독면(20)이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지만 외부에 항상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긴급 상황 발생 시 보다 빠르게 착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고, 내부형(B)의 경우에는 외부형(A)보다는 방독면(20)의 착용시간이 2∼5초가량 더 오래 걸리고,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공간이 적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일반 배낭으로 보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정화수단(22)은, 정화통(23)이 고정된 상태로 흡입 시 공기 흡입 공간을 확보하는 흡입막(24)과, 정화된 공기의 면밀한 흡입이 가능하게끔 코와 입 주변을 확고하게 감싸주는 밀집판(25)과,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배출막(26)을 갖는 배출구(2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정화수단(22)은 상기 방독면(20)의 흡입부(29a)에 장착되어 내부에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게끔 정화통(23)을 구비하고, 정화된 공기의 흡입과 공기의 배출을 유도하게 구비한다. 정화수단(22)은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화학가스 등의 유독 유해가스를 정화하여 사용자가 정화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방독면(20)의 흡입부(29a)에 장착되는 정화통(23)을 구비하게 되고, 흡입과 배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정화수단(22)은 흡입부(29a)에 장착된 정화통(23)으로 공기를 흡입할 때 사용자의 코 부분에 위치한 흡입막(24)이 내측으로 유입되어 정화통(23)으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는 흡입하게 되고, 흡입된 공기는 재차 배출구(27)에 형성된 배출막(26)을 압박하면서 공간을 형성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 사용자의 코와 입을 밀집판(25)에 의해 막아주게 됨으로써 방독면(20) 내부에 화학가스 등의 유독 유해가스가 미세하게 유입되더라도 사용자를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화수단(22)의 정화통(23)은 방독면(20)의 흡입부(29a)에 면밀하면서도 빠른 장착이 가능하게끔 정화통(23)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돌부(23a)와, 돌부(23a)를 삽설 고정시키면서 점점 더 좁아지는 형태의 유로홈(23b)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정화통(23)은 방독면(20)의 흡입부(29a)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빠른 시간 내에 정화된 공기를 흡입과 배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긴급 또는 돌발 상황 등이 발생할 경우, 빠른 시간 내에 정화통(23)을 체결하여야만 사용자의 목숨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빠른 체결 수단을 필요로 한다. 이런 관점에서 정화통(23)의 흡입부(29a)로 근접하는 위치 부분에 형성된 돌부(23a)가 흡입부(29a)의 외측으로 형성된 유로홈(23b)에 수용되면서 정화통(23)을 빠르게 회전 결착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좀 더 설명하면, 긴급 상황 발생의 전후 시점에서 정화통(23)을 방독면의 흡입부(29a)에 빨리 장착해야 하는데, 이 때 정화통(23)의 돌부(23a)를 점점 좁아지는 유로홈(23b)에 접결 시킨 다음, 약 90° 내외의 회전을 통해 빠른 시간 안에 결착되도록 함으로써 유독 및 유해가스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정화통(23)의 결착 수단은 돌부(23a) 및 유로홈(23b) 외의 또 다른 구조로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정화통(23) 구조는, 내측면에 돌부(23a)가 형성되는 정화통하우징(23h)을 구비하되, 그 내부에 패킹(23g) 흡착재(23f) 필터하우징(23e) 헤파필터(23d)가 순차적으로 삽설되면서 이러한 구성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23c)으로 마감된다. 이러한 구성 가운데 헤파필터(23d)의 경우에는 공기 중의 방사성 미립자등을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이고, 흡착재(23f)는 화학가스 등의 유독 유해가스의 분자들이 고체 표면에 달라붙어 정화된 공기만을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덧붙여 정화수단(22)에는 밀집판(25)으로 연통되게끔 하면서 호스(H)를 갖는 산소통(23i)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산소통(23i)은 호스(H)를 통해 밀집판(25)으로 연통되는 구조로서, 산소통(23i)의 일 측편에 있는 누름버튼(23j)을 살짝 누르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산소가 밀집판(25)으로 유입되어 산소 호흡이 가능하게 된다. 또 산소통(23i)은 방독면(20) 하부에 별도의 보조주머니(미 도시)를 형성한 뒤, 넣고 다닐 경우에는 이동하면서 산소 공급이 필요할 때 누름버튼(23j)을 눌러 산소를 조금씩 흡입할 수 있지만, 이러한 산소통(23i)은 필수적 구성요소는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선택 부가할 수 있는 구성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두건(30)은 상기 방독면(20)에 사용자의 머리와 목 부분에 밀착되어 내부로 유해가스의 유입을 방지한다. 이러한 두건(30)은 방독면(30)의 후면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머리와 목 부분에 밀착되도록 하고, 방독면(20)의 내부로 유해가스의 유입을 방지하게끔 신축성을 겸비한다. 즉, 방독면(20)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와 목 부분을 감싸면서 밀착하도록 하여 화학가스 등의 유해가스가 사용자에게 재차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써, 두건(30)의 하부는 사용자의 목 부분을 감싸면서 유해가스 유입을 방지하게끔 고무 등으로 밴딩하여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두건(30)은 외부로부터 화염 등에 의해 사용자 얼굴의 부상 방지 등을 위하여 단열 및 내열성 재질 등으로 형성된 보호두건(3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건(30)의 외부에는 보호두건(31)을 더 형성하여 사용자의 얼굴과 머리 등을 외부의 화염 등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도록 단열 및 내열성 재질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호두건(31)에는 조임부(31a)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맞게끔 조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트(40)는 상기 방독면(20)의 일면에 장착되어 전면으로 빛을 발산한다. 헤드라이트(40)는 방독면(20)의 앞면 상부 부분에 장착되는데, 이는 사용자의 이마부분에 근접하여 형성한다. 헤드라이트(40)는 사고로 인한 단전(斷電) 및 빛 등이 없는 장소에서 사용자의 탈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러한 헤드라이트(40)에는 별도의 스위치(미 도시)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원할 때 탈출로를 밝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헤드라이트(40)에는 별도의 건전지 등이 삽설되거나 포켓부(21)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좋지만, 건전지가 미리 삽설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방독면(20)을 신속하게 착용하고 스위치를 온(on)시켜 헤드라이트(40)를 작동시키는 것이 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고정캡(50)은 상기 배낭부(10)에 장착되어 정화통(23)을 장착하기 직전의 평상시 상태에서 흡입부(29a)를 막아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캡(50)은, 배낭부(10)에 장착된 상태로 평상시에는 흡입부(29a)를 막아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한편, 실제로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고정캡(50)을 빼서 흡입부(29a)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캡(50)에는 재난사고 및 긴급 상황 발생 시에 탈출 방향을 알 수 있게끔 나침판(51)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고정캡(50)에는 재난사고나 긴급 상황 발생 시, 방독면 사용자가 탈출방향을 알 수 있도록 하고 길잡이 안내기능을 하는 나침판(51)이 형성된다. 좀 더 상술하면, 전술한 바처럼 흡입부(29a)에 정화통(23)을 장착하기 직전의 평상시에는 고정캡(50)이 흡입부(29a)를 막아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재난사고나 긴급 상황 발생 시에는 고정캡(50)을 탈착한 다음 정화통(23)을 흡입부(29a)에 장착시키게 되면, 방독면 사용자는 고정캡(50)에 장착되어 있는 나침판(51)을 보고 탈출을 시도하게 된다. 그리고 나침판(51)이 장착된 고정캡(50)의 경우, 별도의 고리(52)를 통하여 본체(10)와 연결되거나 사용자의 옷 등에 연결하여 보면서 탈출을 시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방형 배낭의 내부 또는 외부 일 측편에 방독면을 수용하여 전쟁 및 화재 등의 다양한 재난사고나 긴급 상황 발생 시에 재빨리 사용토록 함으로써, 각종 유해 가스나 연기 등으로부터 자신의 호흡기와 얼굴을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부피도 적고 무게가 가벼워 상시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방독면에 부가(附加)되어 있는 나침판과 헤드라이트 등을 통해 위험지역을 제때, 제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일상생활 중에서 필요시마다 방독면의 신속 착용이 가능하면서도 식품과 의료용품 등이 담긴 생존가방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배낭부 11: 어깨끈
12: 수용공간 20: 방독면
21: 포켓부 22: 정화수단
23: 정화통 23a: 돌부
23b: 유로 홈 23c: 캡
23d: 헤파필터 23e: 필터하우징
23f: 흡착재 23g: 패킹
23h: 정화통하우징 23i: 산소통
24: 흡입막 25: 밀집판
26: 배출막 27: 배출구
28: 렌즈부 29a: 흡입부
29b: 배출부 30: 두건
31: 보호두건 40: 라이트부
50: 고정캡 51: 나침판
52: 고리 A: 외부형
B: 내부형 H: 호스

Claims (6)

  1. 화학가스 등의 유독 유해가스로부터 인체 호흡기와 안면을 보호키 위한 방독면을 형성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어깨 등에 안착시켜 도보이동 등이 원활하도록 어깨끈(11)이 형성되고, 내부에 피난용 구호식품 및 비상약 등을 넣을 수 있는 수용공간부(12)를 형성하는 배낭부(10);
    상기 배낭부(10)에 형성된 포켓부(21)를 구비하고, 포켓부(21)에 수용되어 각종의 유독 유해가스로부터 자신의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 정화통(23)이 포함된 정화수단(22)을 구비하고 있는 방독면(20);
    상기 방독면(20)에 사용자의 머리와 목 부분에 밀착되게끔 하면서 본체 내부로 유독 및 유해가스 등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신축성 기능을 겸비한 두건(30);
    상기 방독면(20)의 일면에 장착되어 전면으로 빛을 발산하는 헤드라이트(40); 및
    상기 배낭부(10)에 장착되어 정화통(23)을 장착하기 직전의 평상시 상태에서는 흡입부(29a)를 막아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고정캡(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독면(20)은 포켓부(21) 상에 수용되어 탈착이 가능하게끔 지퍼(22)를 구비하고, 방독면(20)이 외부로 노출된 외부형(A)과 내부로 삽설된 내부형(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22)은 정화통(23)이 고정된 상태로 흡입 시 공기 흡입 공간을 확보하는 흡입막(24)과, 정화된 공기의 면밀한 흡입이 가능하게끔 코와 입 주변을 확고하게 감싸주는 밀집판(25)과,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끔 배출막(26)을 갖는 배출구(2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22)의 정화통(23)은 방독면(20)의 흡입부(29a)에 면밀하면서도 빠른 장착이 가능하게끔 정화통(23)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돌부(23a)와, 돌부(23a)를 삽설 고정시키면서 점점 더 좁아지는 형태의 유로홈(23b)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건(30)은 외부로부터 화염 등에 의해 사용자 얼굴의 부상 방지를 위하여 단열 및 내열성 재질 등으로 형성된 보호두건(3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50)은 사고 발생 시 탈출 방향을 알 수 있게 나침판(51)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
KR1020170121343A 2017-09-20 2017-09-20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 KR102050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343A KR102050325B1 (ko) 2017-09-20 2017-09-20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343A KR102050325B1 (ko) 2017-09-20 2017-09-20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916A true KR20190032916A (ko) 2019-03-28
KR102050325B1 KR102050325B1 (ko) 2019-12-02

Family

ID=6590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343A KR102050325B1 (ko) 2017-09-20 2017-09-20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32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1457U (ja) * 1995-08-07 1996-02-20 株式会社サンレディ 防災マスク
KR100318363B1 (ko) 1999-12-02 2001-12-24 이석규 근육이완용 운동기구
KR200318363Y1 (ko) * 2003-03-17 2003-06-27 박유종 방독면을 구비한 가방
KR100500602B1 (ko) * 2002-09-18 2005-07-14 박세현 휴대용 호흡기 겸용 방독면 및 그 사용방법
KR20100002711A (ko) 2008-06-30 2010-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임베디드 배선 기판,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그제조 방법
KR101536264B1 (ko) * 2015-04-14 2015-07-13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WO2016090377A1 (en) * 2014-12-05 2016-06-09 Dykes Jeffrey L Directional indicator for protective face mask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1457B2 (ja) * 1987-10-09 2000-03-15 三洋電機株式会社 送風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1457U (ja) * 1995-08-07 1996-02-20 株式会社サンレディ 防災マスク
KR100318363B1 (ko) 1999-12-02 2001-12-24 이석규 근육이완용 운동기구
KR100500602B1 (ko) * 2002-09-18 2005-07-14 박세현 휴대용 호흡기 겸용 방독면 및 그 사용방법
KR200318363Y1 (ko) * 2003-03-17 2003-06-27 박유종 방독면을 구비한 가방
KR20100002711A (ko) 2008-06-30 2010-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임베디드 배선 기판,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그제조 방법
WO2016090377A1 (en) * 2014-12-05 2016-06-09 Dykes Jeffrey L Directional indicator for protective face masks
KR101536264B1 (ko) * 2015-04-14 2015-07-13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325B1 (ko) 201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6304B2 (en) Personal containment system with sealed passthrough
US20030075174A1 (en) Respiratory hoods
US6134716A (en) Disposable smoke mask with replaceable filter
US6948191B2 (en) Personal protective suit with partial flow restriction
US20070113845A1 (en) Emergency hood and respirator device
JP2005511260A (ja) 呼吸用フード
JP2006289093A (ja) 多機能性マスク
US20160193485A1 (e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US7182081B2 (en) Protective breathing hood
JP2007275190A (ja) 電動ファン付き呼吸用保護具
KR102119841B1 (ko) 차세대 미래형 헬멧
KR101793207B1 (ko) 두건형 방독면의 파우치 구조
KR20190032916A (ko)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
KR101305359B1 (ko)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KR102040762B1 (ko) 방독면 수용의 구급가방
KR200184395Y1 (ko) 방독마스크
KR20220154586A (ko) 포켓용 실리콘 성형 방독면과 그 제조 방법
CN108853826B (zh) 一种手持式应急呼吸防护罐
KR101924440B1 (ko) 다목적 기능의 방독면
KR20220156611A (ko) 오염물질 및 미생물에 대한 개인 보호 및 격리 장치 그리고 보호 및 격리 장치용 필터링 그룹
US20030192536A1 (en) Personal containment system with isolated blower
KR20040070419A (ko) 방독면을 구비한 배낭
KR102080261B1 (ko) 유해가스 검출 방독면
KR101351339B1 (ko) 긴급대피 목적의 휴대용 호흡장치
KR102210435B1 (ko) 호흡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