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440B1 - 다목적 기능의 방독면 - Google Patents

다목적 기능의 방독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440B1
KR101924440B1 KR1020170117549A KR20170117549A KR101924440B1 KR 101924440 B1 KR101924440 B1 KR 101924440B1 KR 1020170117549 A KR1020170117549 A KR 1020170117549A KR 20170117549 A KR20170117549 A KR 20170117549A KR 101924440 B1 KR101924440 B1 KR 101924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urifier
suction
air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영배
Original Assignee
(주)한국유닉스
진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유닉스, 진영배 filed Critical (주)한국유닉스
Priority to KR1020170117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6Gas mask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2Assembling eyepieces, lenses or vision-correction means in or on gas-mas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33Gas mask canis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가스 등의 유독 유해가스로부터 인체 호흡기와 안면을 보호키 위한 방독면을 형성함에 있어서: 방독면 사용자의 얼굴에 덧씌워져 안면을 보호하면서 전면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렌즈부를 구비하고, 공기의 흡기와 배기가 가능하게끔 흡입부를 구비하며, 후면에 두건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지퍼에 의해 개폐 가능한 공간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면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머리와 목 부분에 밀착되게끔 하면서, 본체 내부로 유해가스 등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신축성 기능을 겸비한 두건; 상기 본체의 흡입부에 장착되어 방독면 내부로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도록 정화통을 구비하고, 정화된 공기 흡입과 공기 배출을 유도하도록 구비하는 정화수단; 상기 본체 일면에 장착되어 전면으로 빛을 발산하는 헤드라이트부; 및 상기 본체의 흡입부에 정화수단의 정화통을 장착하기 직전의 평상시 상태에서는 흡입부를 막아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고정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쟁 및 화재 등 다양한 재난사고 발생 시, 화학가스 각종 유독가스나 유해성 가스 및 숨 막히게 하는 연기 등으로부터 자신의 호흡기와 얼굴을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부피도 적고 무게가 가벼워 상시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방독면에 부가(附加)되어 있는 나침판과 헤드라이트 등을 통해 유독성 가스 등의 위험지역을 제때, 제대로 탈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목적 기능의 방독면{A respirator with multi-purpose functions}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겸비한 방독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쟁 및 화재 등 다양한 재난사고나 긴급 상황 발생 시, 화학가스 각종 유독가스나 유해성 가스 및 숨 막히게 하는 연기 등으로부터 자신의 호흡기와 얼굴을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부피도 적고 무게가 가벼워 상시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방독면에 부가(附加)되어 있는 나침판과 헤드라이트 등을 통해 유독성 가스 등의 위험지역을 제때, 제대로 탈출할 수 있는 도움기능과 안내기능 등이 구비되어 있는 다목적 기능의 방독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방독면은 화학전이나 생물학전 또는 방사능전의 위급상황에서 발생되는 유독성 화학 가스나 화재 등의 재난사고 및 긴급 상황 발생 시에 발생하는 유해성 가스 등이 인체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얼굴 안면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이를 착용하는 사람은 오염지역에서 안전지역으로 대피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일반적인 방독면의 경우에는 무겁고 부피도 커서 휴대성이 낮아 늘 지참하기 어려웠을 뿐 아니라, 그 방독면이 어디에 있는지조차 모르는 경우가 왕왕 있고, 더욱이 재난사고나 긴급 상황 발생 시에 방독면을 착용하기가 쉽지 않을뿐더러, 기능 또한 좋지 않아 위급사항 대처에 제대로 대응하기 힘든 경우가 종종 있었다. 또한, 방독면을 착용한 경우에는 위험지역으로부터 탈출하여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안전지대로 이동이 가능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안내와 도움기능이 부족해 재난사고 발생 시에 안타까운 일이 종종 벌어지곤 해서 이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기도 하다.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 제2017-0097470호에 따르면, ‘방독면 마스크; 상기 방독면 마스크의 양측면에 구비되고, 정화통이 결합되는 흡기유닛; 상기 방독면 마스크의 전면에 구비되고, 착용자의 호흡가스가 배출되는 배기유닛; 상기 배기유닛에 구비되고, 착용자의 들숨 시에는 전면에 밀착되고 날숨 시에는 전면에서 가장자리가 이탈되는 스위치; 및 상기 정화통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가 상기 배기유닛의 전면에 밀착될 때에만 구동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장치를 포함하는 방독면.’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독면은 위험지역으로부터 최대한 빠른 탈출을 감행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빠른 탈출이 어렵거나 가능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 한국 공개특허 제2017-0101633호에 따르면, ‘통 형상으로, 하면에 관통형성된 흡기구(110), 상면에 관통형성된 배기구(120), 내면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두께의 차폐막(130) 및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110)로 흡입된 기체를 정화시키는 정화부(140)를 포함하는 정화통(100); 원통 형상으로 내부공간(210)을 가지고, 상기 배기구(120)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220)이 형성되는 연결부(200);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각은 소정 영역이 관통된 개구부(310)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개구부(310)는 서로 겹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용필름(300); 및 상기 차폐용필름(300)을 지지하는 스페이서(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피폭 방지용 방독면 정화통.’을 제시한다.
하지만, 상기한 방사선 피폭 방지용 방독면 정화통의 경우에도 위험지역으로부터 최대한 빠른 탈출을 감행할 수는 있겠지만, 빠른 탈출의 확률이 아주 낮은 폐단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7-0097470호 “공기유입장치를 포함하는 방독면” 한국 공개특허 제2017-0101633호 “방사선 피폭 방지용 방독면 정화통”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쟁 및 화재 등 다양한 재난사고나 긴급 상황 발생 시, 화학가스 각종 유독가스나 유해성 가스 및 숨 막히게 하는 연기 등으로부터 자신의 호흡기와 얼굴을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부피도 적고 무게가 가벼워 상시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방독면에 부가(附加)되어 있는 나침판과 헤드라이트 등을 통해 유독성 가스 등의 위험지역을 제때, 제대로 탈출할 수 있는 도움기능과 안내기능 등이 구비되어 있는 다목적 기능 겸비의 방독면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학가스 등의 유독 유해가스로부터 인체 호흡기와 안면을 보호키 위한 방독면을 형성함에 있어서: 방독면 사용자의 얼굴에 덧씌워져 안면을 보호하면서 전면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렌즈부를 구비하고, 공기의 흡기와 배기가 가능하게끔 흡입부를 구비하며, 후면에 두건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지퍼에 의해 개폐 가능한 공간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면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머리와 목 부분에 밀착되게끔 하면서, 본체 내부로 유독 및 유해가스 등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신축성 기능을 겸비한 두건; 상기 본체의 흡입부에 장착되어 방독면 내부로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도록 정화통을 구비하고, 정화된 공기 흡입과 공기 배출을 유도하도록 구비하는 정화수단; 상기 본체 일면에 장착되어 전면으로 빛을 발산하는 헤드라이트부; 및 상기 본체의 흡입부에 정화수단의 정화통을 장착하기 직전의 평상시 상태에서는 흡입부를 막아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고정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두건은 외부로부터 화염 등에 의해 사용자 얼굴의 부상 방지 등을 위하여 단열 및 내열성 재질로 형성된 보호두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정화수단은 정화통이 고정된 상태로 흡입 시 공기의 흡입공간을 확보하는 흡입막과, 정화된 공기의 면밀한 흡입이 가능하게끔 코와 입 주변을 확고하게 감싸주는 밀집판과,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끔 배출막을 갖는 배출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정화수단의 정화통은 본체의 흡입부에 면밀하면서도 빠른 장착이 가능하게끔 정화통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돌부와, 돌부를 삽설 고정시키면서 점점 더 좁아지는 형태의 유로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캡은 사고 발생 시에 탈출의 방향을 알 수 있게끔 전면으로 나침판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성과 작용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전쟁 및 화재 등 다양한 재난사고나 긴급 상황 발생 시, 화학가스 각종 유독가스나 유해성 가스 및 숨 막히게 하는 연기 등으로부터 자신의 호흡기와 얼굴을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부피도 적고 무게가 가벼워 상시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방독면에 부가(附加)되어 있는 나침판과 헤드라이트 등을 통해 유독성 가스 등의 위험지역을 제때, 제대로 탈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기능의 방독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후면부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 캡의 고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및4d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 정화통의 고정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두건과 보호두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정화 수단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을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기능의 방독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후면부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며,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 캡의 고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 및4d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 정화통의 고정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두건과 보호두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정화 수단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화학가스 등의 유독 및 유해가스 등으로부터 인체 호흡기와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방독면에 관련되며, 본체(10) 두건(20) 정화수단(30) 헤드라이트부(40) 고정캡(50) 등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방독면 사용자의 얼굴에 덧씌워져 안면을 보호하면서 전면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렌즈부(11)를 구비하고, 공기의 흡기와 배기가 가능하도록 흡입부(12)를 구비한다. 본체(10)는 방독면 사용자의 얼굴 전면에 덧씌워지도록 마스크(mask) 형태로 형성되고, 위험 상황에서도 앞을 볼 수 있게끔 시야를 확보하는 렌즈부(11)가 형성된다. 렌즈부(11)는 화염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시야 확보)할 수 있도록 별도의 색감이 있는 것이 적합하고, 본체(10) 및 렌즈부(11)의 크기는 사람마다 얼굴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성인용 여성용 아동용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두건(20)은, 상기 본체(10)의 후면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머리와 목 부분에 밀착되도록 하고, 본체(10) 내부로 유독 및 유해가스 등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신축성을 겸비한다. 상술한 본체(10)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 부분과 목 부분을 감싸면서 밀착되게끔 하여 화학가스 등의 유독 유해가스가 방독면 사용자에게 유입되는 것을 일체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두건(20)의 하부는 사용자의 목 부분을 안전하게 감싸면서 화학가스 및 유해성 연기 등의 유독 유해가스가 방독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끔 고무 등으로 밴딩하여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후면부에 두건(20)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지퍼(13)에 의해 개폐 가능한 공간부(1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10) 후면부와 일체로 형성된 두건(20)은 재난사고 및 긴급 상황 등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외부로 꺼내놓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본체(10)의 후면부에 공간부(14)를 형성한 후, 평소에는 공간부(14) 내부에 두건(20)을 수용하여 보관토록 한다. 그리고 공간부(14)의 테두리부분에는 지퍼(13)를 형성하여 손쉽게 수용하면서도 손쉽게 개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두건(20)은 외부로부터 발생된 화염 등에 의해 사용자 얼굴의 부상 방지를 위하여 단열 및 내화성 재질로 형성된 보호두건(2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건(20)의 외부에는 보호두건(21)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얼굴 및 머리 등을 외부로부터 전해져 오는 화염 등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도록 단열재 및 내화성 재질로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보호두건(21)에는 조임부(21a)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맞게끔 조여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화수단(30)은, 상기 본체(10)의 흡입부(12)에 장착되어 방독면 내부로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도록 정화통(31)을 구비하고, 정화된 공기 흡입과 공기 배출을 유도하도록 구비한다. 정화수단(30)은 외부에서 발생된 화학가스 및 짙은 연기 등의 유해가스 등을 정화하여 방독면 사용자로 하여금 정화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체(10) 흡입부(12)에 장착되는 정화통(31)을 구비하게 되며, 흡입과 배출을 유도할 수 있게끔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정화수단(30)의 정화통(31)은 본체(10)의 흡입부(12)에 면밀하면서도 빠른 장착이 가능하게끔 정화통(31)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돌부(36)와, 돌부(36)를 삽설 고정시키면서 점점 더 좁아지는 형태의 유로홈(37)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정화통(31)은 본체(10)의 흡입부(12)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빠른 시간 내에 정화된 공기를 흡입과 배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긴급 또는 돌발 상황 등이 발생할 경우, 빠른 시간 내에 정화통(31)을 체결하여야만 사용자의 목숨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빠른 체결 수단을 필요로 한다. 이런 관점에서 정화통(31)의 흡입부(12)로 근접하는 위치 부분에 형성된 돌부(36)가 흡입부(12)의 외측으로 형성된 유로홈(37)에 수용되면서 정화통(31)을 빠르게 회전 결착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좀 더 설명하면, 긴급 상황 발생의 전후 시점에서 정화통(31)을 방독면의 흡입부(12)에 빨리 장착해야 하는데, 이 때 정화통(31)의 돌부(36)를 점점 좁아지는 유로홈(37)에 접결 시킨 다음, 약 90° 내외의 회전을 통해 빠른 시간 안에 결착되도록 함으로써 유독 및 유해가스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정화통(31)의 결착 수단은 돌부(36) 및 유로홈(37) 외의 또 다른 구조로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정화수단(30)은 정화통(31)이 고정된 상태에서 흡입할 때 공기의 흡입 공간을 확보하는 흡입막(32)과, 정화된 공기의 면밀한 흡입이 가능하게끔 코와 입 주변을 확고하게 감싸주는 밀집판(33)과,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끔 배출막(34)을 갖는 배출구(3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화수단(30)은 흡입부(12)에 장착된 정화통(31)으로 공기를 흡입할 경우, 사용자의 코 부분에 위치한 흡입막(32)이 내측으로 유입되어 정화통(31)으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방독면 사용자가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흡입된 공기는 재차 배출구(35)에 형성된 배출막(34)을 압박한 뒤 공간을 형성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방독면 사용자의 코와 입을 밀집판(33)에 의해 막아주게 됨으로써 본체(10)와 두건(20)에 의해 차단된 화학가스 등의 유해가스가 미세하게 재 유입되더라도 사용자를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화통(31) 구조는, 내측면에 돌부(36)가 형성되는 정화통하우징(31f)을 구비하되, 그 내부에 패킹(31e) 흡착재(31d) 필터하우징(31c) 헤파필터(31b)가 순차적으로 삽설되면서 이러한 구성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31a)으로 마감된다. 이러한 구성 가운데 헤파필터(31b)의 경우에는 공기 중의 방사성 미립자등을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이고, 흡착재(31d)는 화학가스 등의 유독 유해가스의 분자들이 고체 표면에 달라붙어 정화된 공기만을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덧붙여, 정화수단(30)에는 밀집판(33)으로 연통되게끔 하면서 호스(39)를 갖는 산소통(3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산소통(38)은 호스(39)를 통해 밀집판(33)으로 연통되는 구조로서, 산소통(38)의 일 측편에 있는 누름버튼(38a)을 살짝 누르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산소가 밀집판(33)으로 유입되어 산소 호흡이 가능하게 된다. 또 산소통(38)은 본체(10) 하부에 별도의 보조주머니(미 도시)를 형성한 뒤 넣고 다닐 경우에는 이동하면서 산소 공급이 필요할 때 누름버튼(38a)을 눌러 산소를 조금씩 흡입할 수 있지만, 이러한 산소통(38)은 필수적 구성요소는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선택 부가할 수 있는 구성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트부(40)는, 상기 본체(10) 일면에 장착되어 전면부로 빛을 발산한다. 헤드라이트부(40)는 본체(10) 앞면의 상부 부분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이마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헤드라이트부(40)는 정전사고 등으로 인한 전기 및 빛 등이 없는 장소에서 사용자의 탈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헤드라이트부(40)에는 별도의 스위치(미 도시)를 장착하고 사용자가 원할 때 스위치를 온(on)시켜 불을 밝힌 다음, 탈출경로를 찾아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캡(50)은, 상기 본체(10)의 흡입부(12)에 정화수단(30)의 정화통(31)을 장착하기 직전의 평상시 상태에서 흡입부(12)를 막아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캡(50)은, 본체(10)의 흡입부(12)에 장착되는 것으로 평상시에 본체(10)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한편, 실제로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고정캡(50)을 빼서 흡입부(12)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캡(50)에는 재난사고 및 긴급 상황 발생 시에 탈출 방향을 알 수 있게끔 나침판(51)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고정캡(50)에는 재난사고나 긴급 상황 발생 시, 방독면 사용자가 탈출방향을 알 수 있도록 하고 길잡이 안내기능을 하는 나침판(51)이 형성된다. 좀 더 상술하면, 전술한 바처럼 본체(10)의 흡입부(12)에 정화통(31)을 장착하기 직전의 평상시에는 고정캡(50)이 흡입부(12)를 막아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고, 재난사고나 긴급 상황 발생 시에는 고정캡(50)을 탈착한 다음 정화통(31)을 흡입부(12)에 장착시키게 되면, 방독면 사용자는 고정캡(50)에 장착되어 있는 나침판(51)을 보고 탈출을 시도하게 된다. 그리고 나침판(51)이 장착된 고정캡(50)의 경우, 별도의 고리(52)를 통하여 본체(10)와 연결되거나 사용자의 옷 등에 연결하여 보면서 탈출을 시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쟁 및 화재 등 다양한 재난사고나 긴급 상황 발생 시, 화학가스 각종 유독가스나 유해성 가스 및 숨 막히게 하는 연기 등으로부터 자신의 호흡기와 얼굴을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부피도 적고 무게가 가벼워 상시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방독면에 부가(附加)되어 있는 나침판과 헤드라이트 등을 통해 유독성 가스 등의 위험지역을 제때, 제대로 탈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렌즈부
12: 흡입부 13: 지퍼
14: 공간부 20: 두건
21: 보호두건 30: 정화수단
31: 정화통 31a: 캡
31b: 헤파필터 31c: 필터하우징
31d: 흡착재 31e: 패킹
31f: 정화통하우징 32: 흡입막
33: 밀집판 34: 배출막
35: 배출구 36: 돌부
37: 유로홈 38: 산소통
38a: 누름버튼 39: 호스
40: 헤드라이트부 50: 고정캡
51: 나침판 52: 고리

Claims (6)

  1. 화학가스 등의 유독 유해가스로부터 인체 호흡기와 안면을 보호키 위한 방독면을 형성함에 있어서:
    방독면 사용자의 얼굴에 덧씌워져 안면을 보호하면서 전면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렌즈부(11)를 구비하고, 공기의 흡기와 배기가 가능하게끔 흡입부(12)를 구비하며, 후면에 두건(20)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지퍼(13)에 의해 개폐 가능한 공간부(14)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후면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머리와 목 부분에 밀착되게끔 하면서, 본체(10) 내부로 유해가스 등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신축성 기능을 겸비한 두건(20);
    상기 본체(10)의 흡입부(12)에 장착되어 방독면 내부로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도록 정화통(31)을 구비하고, 정화된 공기 흡입과 공기 배출을 유도하도록 구비하는 정화수단(30);
    상기 본체(10) 일면에 장착되어 전면으로 빛을 발산하는 헤드라이트부(40); 및
    상기 본체(10)의 흡입부(12)에 정화수단(30)의 정화통(31)을 장착하기 직전의 평상시 상태에서는 흡입부(12)를 막아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고정캡(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기능의 방독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건(20)은 외부로부터 화염 등에 의해 방독면 사용자 얼굴의 부상 방지 등을 위하여 단열 및 내열성 재질로 형성된 보호두건(2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기능의 방독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30)의 정화통(31)은 본체(10)의 흡입부(12)에 면밀하면서도 빠른 장착이 가능하게끔 정화통(31)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돌부(36)와, 돌부(36)를 삽설 고정시키면서 점점 더 좁아지는 형태의 유로홈(37)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기능의 방독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30)은 정화통(31)이 고정된 상태로 흡입할 경우에 공기의 흡입 공간을 확보하는 흡입막(32)과, 정화된 공기의 면밀한 흡입이 가능하게끔 코와 입 주변을 확고하게 감싸주는 밀집판(33)과,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끔 배출막(34)을 갖는 배출구(3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기능의 방독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50)은 재난사고 및 긴급 상황 발생 시 방독면 사용자의 탈출 방향을 알 수 있게끔 나침판(51)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기능의 방독면
KR1020170117549A 2017-09-14 2017-09-14 다목적 기능의 방독면 KR101924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549A KR101924440B1 (ko) 2017-09-14 2017-09-14 다목적 기능의 방독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549A KR101924440B1 (ko) 2017-09-14 2017-09-14 다목적 기능의 방독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440B1 true KR101924440B1 (ko) 2018-12-03

Family

ID=6474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549A KR101924440B1 (ko) 2017-09-14 2017-09-14 다목적 기능의 방독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4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433Y1 (ko) * 2004-10-29 2005-01-15 주식회사 산청 정화통 보관용구
KR101408839B1 (ko) 2014-04-30 2014-06-20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433Y1 (ko) * 2004-10-29 2005-01-15 주식회사 산청 정화통 보관용구
KR101408839B1 (ko) 2014-04-30 2014-06-20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414B1 (ko) 화재대피용 방독마스크
JP4767841B2 (ja) 動力付き空気浄化レスピレータシステムおよび呼吸装置
JP5058968B2 (ja) 密封形フィルタを利用する携帯用空気浄化システム
US6796304B2 (en) Personal containment system with sealed passthrough
KR101388896B1 (ko) 호흡 보호 장치
JP4767942B2 (ja) 呼吸用保護具
US4365627A (en) Filter-type respirator canister
JP2008535570A (ja) 空気供給/空気浄化組合せシステム
US20030075174A1 (en) Respiratory hoods
KR101924440B1 (ko) 다목적 기능의 방독면
KR101832801B1 (ko) 헬멧형 방독면
KR101305359B1 (ko)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KR20190078974A (ko) 온도조절모듈을 포함하는 산소 마스크
KR102099708B1 (ko) 방독면
KR102001438B1 (ko) 방연마스크
KR200321106Y1 (ko) 휴대용 비상 호흡기
KR20170122646A (ko) 방독겸용 방연마스크
KR101641635B1 (ko) 가스 정화 장치
KR20140013788A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RU246309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рганов дыхания человека
US20030192536A1 (en) Personal containment system with isolated blower
KR101401569B1 (ko)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KR20210007130A (ko) 방독면용 정화통
KR102040762B1 (ko) 방독면 수용의 구급가방
KR102050325B1 (ko)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