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569B1 -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 Google Patents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569B1
KR101401569B1 KR1020130027336A KR20130027336A KR101401569B1 KR 101401569 B1 KR101401569 B1 KR 101401569B1 KR 1020130027336 A KR1020130027336 A KR 1020130027336A KR 20130027336 A KR20130027336 A KR 20130027336A KR 101401569 B1 KR101401569 B1 KR 101401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irator
respiratory
inlet
protective cover
lan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Priority to KR1020130027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4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gasproof sh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35Respirators and register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및 가스 누출사고 등의 사고발생시 안전한 대피를 위한 안전기구인 방독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탈출 및 안내를 위한 랜턴과 일체 형태로 보관되고,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여 화재 및 가스 누출사고 등의 사고발생시 유독가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는, 전방에 유입구가 형성된 호흡기몸체와, 상기 호흡기몸체 내에 구비되어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상기 호흡기몸체의 후방에 설치된 마우스 피스를 포함하여 유해가스가 호흡기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마우스 방독호흡기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방독호흡기의 전방에 탈부착 가능한 랜턴이 구비되고, 상기 호흡기몸체의 후방에 마우스 피스를 보호하는 보호용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호흡기몸체 전방의 유입구에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마개가 설치되고, 상기 보호용 커버와 마개를 연결하는 스티커가 부착되어 사용시 상기 스티커에 의하여 보호용 커버와 마개가 함께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For the separation of stickers with emergency escape respirator respiratory}
본 발명은 화재 및 가스 누출사고 등의 사고발생시 안전한 대피를 위한 안전기구인 방독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탈출 및 안내를 위한 랜턴과 일체 형태로 보관되고,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여 화재 및 가스 누출사고 등의 사고발생시 유독가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진/방독호흡기(마스크)는, 미세가 먼지 또는 유해가스가 많은 오염지역, 각종 위급상황, 공기가 오염될 수 있는 산업분야, 방사성 물질에 노출될 수 있는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 발생하는 유해성 오염물질이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눈과 호흡기를 포함하여 안면 전체를 보호하는 전면형 방진/방독용 호흡기(마스크)와, 호흡기만을 보호하는 반면형 방진/방독호흡기(마스크)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은 상기 반면형 방진/방독호흡기는, 전면형 방진/방독호흡기에 비하여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착용감이 좋기 때문에, 굳이 눈까지 보호할 필요가 없는 산업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유동인구가 많고 화재 등의 사고 위험이 많은 공공장소, 예컨대 극장이나 지하철 등에는 방독호흡기의 비치가 의무화되어 있고, 이에 따라 보관함을 비치하여 방독호흡기를 보관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이유 등에 의하여 첨부된 특허문헌들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진/방독용 호흡기(마스크)에 관한기술들이 제공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반면형 방진/방독용 호흡기는 밴드를 이용하여 방진/방독용 호흡기가 코와 입의 호흡기에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밴드는 보통 귀에 걸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귀걸이 형태와 머리에 두르는 헤어밴드 형태로 구분된다.
상기 귀걸이 형태의 경우 밀착력의 저하의 문제점이 있으며, 헤어밴드 형태의 경우 사용자의 머리에 헬멧 등과 같은 보호구에 의하여 방진/방독용 호흡기의 착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KR) 10-1176942호인 '마우스 피스를 구비한 호흡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을 이용하여 방진/방독호흡기를 착용(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방진/방독용 호흡기를 제공하였다.
일반적으로,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의 발생시 조명장치인 랜턴과 유독가스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진/방독호흡기를 모두 소지하여야 짧은 시간 안에 위험한 장소에서 무사히 탈출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의 발생시 긴장감과 주의 환경의 여건상 랜턴과 방진/방독호흡기를 동시에 챙기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위험한 장소에서 무사히 탈출하지 못하여 큰 상해 및 비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화염에 의한 사고보다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사고가 많다. 이는 화재발생시 조명시설이 파손되거나 전기가 차단되어 어둡고,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가스가 빠른 속도로 주위를 감싸게 됨으로써 빠른 시간 안에 위험한 현장에서 대피하지 못하게 되어 발생한다.
(KR) 10-1176942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화재 발생 및 유독가스 누출 등의 위험사고 발생시 위험한 현장에서 빠른 시간에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길 안내 및 유독가스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는 랜턴과 방진/방독호흡기(이하, '방독호흡기'라 칭함)를 제공하는 한편, 빠른 시간에 방독호흡기를 착용할 수 있도록 분리시 부착된 스티커에 의하여 보호용 커버의 분리시 마개도 함께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랜턴과 방독호흡기가 함께 보관 및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위급상황의 발생시 생겨나는 불안감과 긴장감 속에서 어느 하나를 누락하지 않고 동시에 소지(구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는, 전방에 유입구가 형성된 호흡기몸체와, 상기 호흡기몸체 내에 구비되어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상기 호흡기몸체의 후방에 설치된 마우스 피스를 포함하여 유해가스가 호흡기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마우스 방독호흡기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방독호흡기의 전방에 탈부착 가능한 랜턴이 구비되고, 상기 호흡기몸체의 후방에 마우스 피스를 보호하는 보호용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호흡기몸체 전방의 유입구에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마개가 설치되고, 상기 보호용 커버와 마개를 연결하는 스티커가 부착되어 사용시 상기 스티커에 의하여 보호용 커버와 마개가 함께 분리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우스 방독호흡기에는 또 다른 마우스 방독호흡기가 길이방향으로 탈부착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마우스 방독호흡기는, 전방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 부분에 조명용 랜턴 또는 다른 마우스 방독호흡기와의 탈부착을 위한 결합홈을 구비한 호흡기몸체와; 상기 호흡기몸체의 유입구 타측으로 설치되는 한편, 중앙부분에 유입구로 유입되어 필터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가 입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이동안내공이 구비되며, 사용자의 입으로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마우스 피스와; 사용자의 코를 통하여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막음부재와; 상기 호흡기몸체의 하측에 설치되며 마우스 피스와, 코막음부재를 보호하는 한편, 호흡기몸체의 결합홈과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보호용 커버와; 상기 호흡기몸체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유입구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와; 상기 보호용 커버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측단은 마개에 부착되는 스티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랜턴은, 보관대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삽입고정구가 내측으로 삽입 및 외부로 배출되는 관통홈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홈으로 삽입되는 삽입고정구에 의하여 전극판과 이에 접촉되어 전기회로가 연결되도록 하는 스위치용 전극볼이 작동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는, 항상 랜턴과 방독호흡기가 함께 결합되어 보관되고, 방독호흡기와 결합 및 분리된 상태에서 랜턴이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위험상황의 발생시 생겨나는 불안감과 긴장감 속에서도 동시에 소지하여 위험한 장소에서 빠른 시간 안에 대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방독호흡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호흡기몸체에서 분리되어야 하는 보호용 커버와 마개가 스티커와 연결되어 함께 호흡기몸체에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초긴장 속에서도 쉽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초긴장을 하는 경우 호흡기몸체에서 보호용 커버와 마개를 모두 분리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하나만을 분리하여 사용하고자 함으로써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나, 스티커에 의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가 보관대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의 사용을 위하여 호흡기몸체에서 보호용 커버와 마개가 스티커에 의하여 함께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의 랜턴과 마우스 방독호흡기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의 단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인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의 마우스 방독호흡기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인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의 랜턴에 대한 저면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의 마우스 방독호흡기에 대한 저면 분리 사시도.
도 10은 랜턴과 마우스 방독호흡기의 탈부착수단에 대한 상세 단면도.
도 11은 마우스 방독호흡기와 또 다른 마우스 방독호흡기의 탈부착수단에 대한 상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의 마우스 방독호흡기 사용상태도.
도 13은 마우스 방독호흡기에 내장된 필터의 구성.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화재 및 가스 누출사고 등의 사고발생시 안전한 대피를 할 수 있도록 조명을 제공하고 유독가스가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본 발명인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는 크게 조명을 제공하는 랜턴(10)과, 상기 랜턴(10)과 탈부착 가능하고 유독가스가 호흡기를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독호흡기(20)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이루어진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는 도 1과 같이 랜턴(10)과 방독호흡기(20)가 결합된 상태로 보관대(30)에 고정되고, 보관대(3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조명만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도 2와 같이 랜턴(10)과 방독호흡기(20)가 결합된 상태로 사용되고, 유독가스로부터 보호받고자 하는 경우 도 3과 같이 방독호흡기(20)가 랜턴(10)과 분리되어 사용된다. 또한, 상기 방독호흡기(20)는 복수개가 길이방향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랜턴(10)은 유독가스가 호흡기를 통하여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독호흡기(20)와 길이방향으로 탈부착이 이루어지며, 조명 및 알람 기능을 가지며, 보통 방독호흡기(20)와 동일 유사한 둘레의 길이를 가진다. 즉, 도 2와 같이 방독호흡기(20)와 결합되어 원통형의 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통형태의 기둥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도 6과 도 8과 도 10을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랜턴(10)은 방독호흡기(20)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랜턴몸체(11)와, 상기 랜턴몸체(11)의 일측에 스위치인 조명을 위한 조명버튼(12)과 소리를 이용한 알림을 위한 알람버튼(13)이 구비되고, 상기 랜턴몸체(1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보관대(3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고정구(31)에 의하여 전기회로가 연결 및 단락 되도록 하는 스위치 기능을 하도록 이루어진 전극판(14)과, 상기 전극판(14)에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하측에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15-1)로 탄성지지되는 스위치용 전극볼(15)이 랜턴몸체(11)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랜턴몸체(11)의 일측에 보관대(30)의 형성된 삽입고정구(31)가 내측으로 삽입 및 외부로 배출되도록 관통홈(16)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랜턴몸체(11)의 하측에는 방독호흡기(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탈부착수단인 탈부착용 삽입홈(11-1)과, 결합돌기(11-2)가 형성된다(도 8과, 도 10 참조).
이와 같이 이루어진 랜턴(10)은 도 1과 같이 단독 또는 복수의 방독호흡기(20)와 결합되어 보관대(30)에 설치되어 보관이 이루어지고, 비상시, 보관대(30)에서 분리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랜턴(10)이 보관대(30)에서 분리되는 경우, 보관대(30)에 형성된 삽입고정구(31)가 관통홈(1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탄성지지된 스위치용 전극볼(15)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전극판(14)과 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조명버튼(12)과 알람버튼(13)에 의하여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기회로가 연결되게 된다.
상기 마우스 방독호흡기(20)는 유독가스가 호흡기를 통하여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도 12과 같이 마우스 방독호흡기(20)에 구비되어 있는 마우스 피스(23)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으로 필터(22)가 구비된 호흡기몸체(21)를 고정(지지)하고, 코막음부재(24)를 이용하여 코를 통하여 유독가스가 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마우스 방독호흡기(20)를 도 3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마우스 방독호흡기(20)는, 전방에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21-1)가 형성되고, 원통과 같은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호흡기몸체(21)와, 상기 호흡기몸체(21)의 내측에 설치되어 유입구(21-1)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22)와, 상기 유입구(21-1)의 타측인 후방에 설치되어 입으로 호흡기몸체(21)를 지지하도록 하는 마우스 피스(23)와, 사용자의 코를 통하여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막음부재(24)와, 상기 호흡기몸체(21)의 하측에 결합 및 분리되며 마우스 피스(23)와 코막음부재(24)를 수용하도록 하여 보호하도록 하는 보호용 커버(25)와, 상기 호흡기몸체(21)의 유입구(21-1)에 설치되어 유입구(21-1)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26)와, 상기 보호용 커버(25)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측단은 마개(26)에 부착되는 스티커(27)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호흡기몸체(21)는 유입구(21-1)가 형성된 전방에 랜턴(10)의 랜턴몸체(11) 하측 또는 또 다른 방독호흡기(20)의 보호용 커버(25) 하측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탈부착수단인 탈부착용 삽입돌기부(21-2)와, 상기 삽입돌기부(21-2)에 결합홈(21-3)이 형성되고(도 9 참조), 상기 보호용 커버(25) 하측에는 유입구(21-1) 부분에 형성된 탈부착용 삽입돌기부(21-2)와, 상기 삽입돌기부(21-2)에 형성된 결합홈(21-3)과 대응되게 탈부착용 삽입홈(25-1)과, 결합돌기(25-2)가 형성된다(도 6과 도 11 참조).
상기 호흡기몸체(21)는 필터(22)를 수용하는 내부공간(21')가 형성되는 한편, 전방에 형성된 유입구(21-1)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염공기가 필터(22)를 통해 정화된 후 마우스 피스(23)의 이동안내공(23-1)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호흡기몸체(21)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손으로 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랜턴(10)과 결합시 랜턴(10)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원통형태인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둘레의 길이는 보통 15~25㎝로 이루어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22㎝이다. 이 둘레의 길이 긴 경우에는 수용되는 필터(22)의 크기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손으로 소지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둘레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손으로 소지하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수용되는 필터(22)가 작아져 정화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필터(22)는 유해가스와 같은 오염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서, 도 13과 같이 연기 및 먼지 제거를 하는 전처리 프리필터(Pre Filter)와, 일산화 탄소를 제거하는 일산화탄소 필터(Hopcalite Filter)와, 유해화학물질을 제거하는 활성탄 필터(Active Carbon Filter)와, 2차 연기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 프리필터(HEPA Filter)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22)는 약 5~8분 동안 유해물질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호흡기몸체(21)의 크기 및 중량이 커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화재 사망자 80%의 사망원인은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와 유독가스에 의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화재가 발생할 경우 보통 5분 안에 화재현장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러므로 화재현장에서 대피하는 사용(착용)자가 연기와 유독가스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시간인 약 5분 동안만 연기와 유독가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면 되며, 이는 필터(22)의 크기에 좌우된다.
상기 마우스 피스(23)는 도 12와 같이 사용자가 입으로 필터(22)가 구비된 호흡기몸체(21)를 착용(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7과 도 9와 같이 상기 마우스 피스(23)는 필터(22)가 구비된 호흡기몸체(21)의 후방(유입구(21-1)의 반대방향)인 하부에 일체 형태로 고정설치되며, 필터(22)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를 입안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이동안내공(23-1)과, 일측에 코막음부재(24)의 일부인 삽입부(24-1)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코막음부재용 삽입홀(23-2)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마우스 피스(23)는 사용(착용)자가 입 내측으로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치아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부(23a)와, 상기 외측부(23a)의 양측 끝단부분에 형성되어 치아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부(23b)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외측부(23a)는 치아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코막음부재(24)는 도 12와 같이 사용자의 코 외측에 설치되어, 코를 눌러(가압하여) 코를 통하여 오염된 공기 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보호용 커버(25)는 비 사용시 도 6과 같이 호흡기몸체(21)의 하측에 설치되어 수용되는 마우스 피스(23)와 코막음부재(24)를 보호하는 것으로, 하측에는 또 다른 마우스 방독호흡기(20)의 호흡기몸체(21)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탈부착수단인 탈부착용 삽입홈(25-1)과, 결합돌기(25-2)가 형성된다(도 6과 도 11 참조).
상기 마개(26)는 호흡기몸체(21)의 유입구(21-1)에 설치되어 유입구(21-1)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호흡기몸체(21) 내에 구비되어 있는 필터(22)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티커(27)는 사용자가 초긴장 속에서도 호흡기몸체(21)에서 보호용 커버(25)와 마개(26)를 모두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구성으로, 일단은 보호용 커버(25)에 부착되고 타측단은 마개(26)에 부착되어 도 4와 같이 호흡기몸체(21)에서 보호용 커버(25)와 마개(26)가 함께 분리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여 사용자가 더욱더 긴장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즉, 사용자가 초긴장 속에서 보호용 커버(25)와 마개(26)가 함께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호용 커버(25) 만을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마개(26)에 의하여 유입구(21-1) 차단된 상태가 되어 사용자의 호흡기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아 사용자는 불량으로 취급할 수가 있는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는, 도 1과 같이 랜턴(10)과 마우스 방독호흡기(20)가 결합되어 보관대(30)에 보관되고, 화재와 같은 사건 발생시 보관대(30)에서 결합된 랜턴(10)과 마우스 방독호흡기(20)가 분리되며, 보관대(30)에 분리되는 랜턴(10)은 삽입고정구(31)의 이탈로 스위치용 전극볼(15)이 이동하여 전극판(14)과 접촉되어 전기회로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보관대(30)에서 분리된 랜턴(10)과 마우스 방독호흡기(20)는 랜턴만을 사용하는 경우 도 2와 같이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유독가스와 같은 오염된 공기의 발생시 도 3과 같이 회전시켜 랜턴(10)과 마우스 방독호흡기(20) 분리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사용됨으로써 화재발생 등과 같은 비상 발생시 랜턴(10)과 마우스 방독호흡기(20)를 동시에 챙김으로써 빠르게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수 있다.
10 : 랜턴 11 : 랜턴몸체
11-1 : 탈부착용 삽입홈 11-2 : 결합돌기
12 : 조명버튼 13 : 알람버튼
14 : 전극판 15 : 스위치용 전극볼
16 : 관통홈
20 : 마우스 방독호흡기 21 : 호흡기몸체
21-1 : 유입구 21-2 : 삽입돌기부
21-3 : 결합홈 22 : 필터
23 : 마우스 피스 24 : 코막음부재
25 : 보호용 커버 25-1 : 탈부착용 삽입홈
25-2 : 결합돌기 26 : 마개
27 : 스티커

Claims (4)

  1. 전방에 유입구가 형성된 호흡기몸체와, 상기 호흡기몸체 내에 구비되어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상기 호흡기몸체의 후방에 설치된 마우스 피스를 포함하여 유해가스가 호흡기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마우스 방독호흡기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방독호흡기(20)의 전방에 탈부착 가능한 랜턴(10)이 구비되고,
    상기 호흡기몸체(21)의 후방에 마우스 피스(23)를 보호하는 보호용 커버(25)가 설치되고,
    상기 호흡기몸체(21) 전방의 유입구(21-1)에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마개(26)가 설치되고,
    상기 보호용 커버(25)와 마개(26)를 연결하는 스티커(27)가 부착되어 사용시 상기 스티커(27)에 의하여 보호용 커버(25)와 마개(26)가 함께 분리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방독호흡기(20)에는 또 다른 마우스 방독호흡기(20)가 길이방향으로 탈부착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방독호흡기(20)는,
    전방에 유입구(21-1)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22)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21-1) 부분에 조명용 랜턴(10) 또는 다른 마우스 방독호흡기(20)와의 탈부착을 위한 결합홈(21-3)을 구비한 호흡기몸체(21)와;
    상기 호흡기몸체(21)의 유입구(21-1) 타측으로 설치되는 한편, 중앙부분에 유입구(21-1)로 유입되어 필터(22)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가 입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이동안내공(23-1)이 구비되며, 사용자의 입으로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마우스 피스(23)와;
    사용자의 코를 통하여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막음부재(24)와;
    상기 호흡기몸체(21)의 하측에 설치되며 마우스 피스(23)와, 코막음부재(24)를 보호하는 한편, 호흡기몸체(21)의 결합홈(21-3)과 대응하는 결합돌기(25-2)가 형성된 보호용 커버(25)와;
    상기 호흡기몸체(21)의 유입구(21-1)에 설치되어 유입구(21-1)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26)와;
    상기 보호용 커버(25)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측단은 마개(26)에 부착되는 스티커(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랜턴(10)은, 보관대(30)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삽입고정구(31)가 내측으로 삽입 및 외부로 배출되는 관통홈(16)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홈(16)으로 삽입되는 삽입고정구(31)에 의하여 전극판(14)과 이에 접촉되어 전기회로가 연결되도록 하는 스위치용 전극볼(15)이 작동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KR1020130027336A 2013-03-14 2013-03-14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KR101401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336A KR101401569B1 (ko) 2013-03-14 2013-03-14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336A KR101401569B1 (ko) 2013-03-14 2013-03-14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569B1 true KR101401569B1 (ko) 2014-06-03

Family

ID=5113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336A KR101401569B1 (ko) 2013-03-14 2013-03-14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5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952B1 (ko) * 2019-05-02 2020-01-08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06Y1 (ko) 2003-04-18 2003-07-22 김인환 휴대용 비상 호흡기
KR100610884B1 (ko) 2005-03-28 2006-08-09 김희정 정화통에 플래시가 부착된 화재대피용 방독마스크
KR20120019069A (ko) * 2010-08-24 2012-03-06 백종태 질식 방지를 위한 휴대용 산소호흡기
KR101176942B1 (ko) 2011-12-22 2012-08-30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마우스 피스를 구비하는 호흡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06Y1 (ko) 2003-04-18 2003-07-22 김인환 휴대용 비상 호흡기
KR100610884B1 (ko) 2005-03-28 2006-08-09 김희정 정화통에 플래시가 부착된 화재대피용 방독마스크
KR20120019069A (ko) * 2010-08-24 2012-03-06 백종태 질식 방지를 위한 휴대용 산소호흡기
KR101176942B1 (ko) 2011-12-22 2012-08-30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마우스 피스를 구비하는 호흡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952B1 (ko) * 2019-05-02 2020-01-08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942B1 (ko) 마우스 피스를 구비하는 호흡기
KR100903119B1 (ko) 필터 교체형 방독마스크
JP2006289093A (ja) 多機能性マスク
KR20080073270A (ko) 화재대피용 방독마스크
KR101305359B1 (ko)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KR20130036653A (ko) 필터교체가 용이한 방진마스크
KR101401569B1 (ko) 분리용 스티커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KR100641710B1 (ko) 다기능성 마스크
KR101777464B1 (ko) 휴대용 마스크
KR101195175B1 (ko) 휴대용 마스크 장치
KR200321106Y1 (ko) 휴대용 비상 호흡기
KR101641635B1 (ko) 가스 정화 장치
KR200462395Y1 (ko) 방독면용 정화통 결합 안전장치
KR20140028880A (ko) 휴대용 방독면
KR20190009122A (ko) 긴급 대피용 마스크 패키지 및 그의 사용 방법
KR101290487B1 (ko) 코용 공기여과기
US10987527B1 (en) Nasal air filtration device
KR20170122646A (ko) 방독겸용 방연마스크
KR20210116358A (ko) 에어커튼 기능을 갖는 마스크장치
KR102398355B1 (ko) 사용의 편리성 및 탁월한 여과기능을 겸비한 방진 및 방독마스크
KR20210136299A (ko) 실용성을 향상시킨 마스크
KR100452167B1 (ko) 개인휴대용 화재안전 방독가스 마스크
RU246309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рганов дыхания человека
KR101924440B1 (ko) 다목적 기능의 방독면
KR200460610Y1 (ko) 방독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