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2063U -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 Google Patents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2063U
KR19980022063U KR2019960035397U KR19960035397U KR19980022063U KR 19980022063 U KR19980022063 U KR 19980022063U KR 2019960035397 U KR2019960035397 U KR 2019960035397U KR 19960035397 U KR19960035397 U KR 19960035397U KR 19980022063 U KR19980022063 U KR 199800220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gas mask
opening
beverage
closing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2447Y1 (ko
Inventor
이건
Original Assignee
이건
삼공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 삼공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건
Priority to KR2019960035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447Y1/ko
Publication of KR199800220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0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4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독면 착용자가 수통에 담긴 물이나 기타 음료를 빨아 마실수 있도록 사용되는 방독면의 취수용 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 방독면의 위수용 빨대는 고무 또는 합성고무제 빨대의 단부가 그대로 개방되어 있어 각종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므로, 비위생적인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음료 취수구의 연결관에 연결 설치되는 취수용 빨대의 음료 유출구측 단부에 압착식 개폐막을 구비하여, 그 개폐막이 구비된 음료 유출구측 단부를 방독면 착용자의 치아나 입술로 물어 압착하는 것에 의해 개폐막을 개방시켜 음료를 취수할 수 있게 하고, 이와 같은 유출구측 단부의 압착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개방된 개폐막이 자동적으로 폐쇄되어 빨대의 음료 유출단부를 차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빨대의 유출구를 통해 각종 먼지나 이물질 등이 내부로 유입됨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방독면의 착용시 각종 음료를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취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본 고안은 방독면을 착용한 상태에서 수통과 연결된 취수구를 통해 물이나 기타 음료를 취수할 수 있게 하는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 취수구와 연결되는 빨대의 단부에 사용자가 입에 물면 개방되는 개폐막을 구비함으로써, 방독면의 착용상태에서 수통에 담긴 물이나 음료 등을 보다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취수할 수 있게 한 방독면의 취수용 빨대에 관한 것이다.
방독면 화생방전과 같은 위급상황의 발발시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게 되는 각종 유독가스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으로서, 여러 종류 및 형태의 방독면들이 제안 사용되고 있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음료취수용 빨대가 설치되는 방독면의 일례를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종래 취수용 빨대의 구성 및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부에 착용되는 마스크본체(1)의 상부 좌.우측에 투시창(2)(2)이 배치되어 있고, 그 투시창(2)(2)의 하부 즉, 마스크본체(1)의 중앙부 상.하측에는 방독면의 착용상태에서 외부로의 음성전달을 원활히 하기 위한 전성판(傳聲板)(3)과 호흡시의 배기를 위한 배기밸브(4)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그 전성판(3)의 좌.우양측에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통(5) 및 방독면 착용자가 휴대한 수통과 연결되는 음료 취수구(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은 착용자의 코와 입부분을 감싸도록 마스크본체(1)의 안쪽 중앙부에 설치되는 코틀막을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방독면의 음료 취수구(6)는 방독면 착용자가 입에 물고 빨수 있는 빨대(8)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빨대 연결관(6a)과, 착용자가 휴대하는 수통(도시되지 않음)과 취수관(H)을 통해 연결되는 취수관 연결구(6b)가 내.외측에 각각 형성된 원통형 취수구 몸체로 구성되고, 이와 같은 취수구(6)가 상기 마스크본체(1)의 일측 즉, 상기 정화통 체결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취수구 체결부(1a)에 삽입 고정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음료 취수구(6)는 상기 빨대 연결관(6a)이 마스크본체(1) 및 코틀막(7)을 차례로 관통하여 그 코틀막(7)의 내부 일측으로 노출되어 있고, 이와 같은 연결관(6a)의 단부에 중공 호스 형태로 된 고무 또 합성고무제 빨대(8)의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빨대(8)는 통상, 소정길이를 가지는 호스의 자유단부 즉, 착용자가 입에 물고 빠는 음료 유출구측이 내측방향으로 만곡되어 있어 방독면 착용자가 용이하게 입에 물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8)는 소정 구경을 가지는 원통형 고무호스가 사용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입에 물고 빠는 빨대(8)의 유출구측 단부(8a)가 상시 개방된 상태로 있게 되며, 이와 같이 개방된 유출구를 통해 각종 이물질이 침투됨으로써 빨대의 내부가 쉽게 오염되는 등의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빨대의 단부를 스프링으로 달아 매어 빨대의 중간부가 절첩되게 한 음료 취수용 빨대가 알려져 있으나, 이와 같은 취수용 빨대에는 상시 스프링의 탄성이 작용하게 되므로, 착용자의 입을 사용하여 절첩된 빨대를 당겨 펴기가 까다롭고 불편하며, 음료의 흡인에 따른 취수가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탄성이 저하될 경우에는 고무 호스제 빨대가 가지는 자체 탄성에 의해 접혀진 부분이 펼쳐지게 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 및 그에 따른 빨대 내부의 오염 우려를 완벽하게 배제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방독면을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빨대의 절첩상태가 굳어지게 됨으로써, 이를 펼쳐 사용하기가 더욱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가 가지는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빨대의 유출구를 통해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취수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방독면의 착용상태에서 보다 간편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료 취수용 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취수용 빨대 및 취수구의 설치상태를 보이기 위한 방독면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취수용 빨대 구성 및 설치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취수용 빨대의 일례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취수용 빨대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취수용 빨대의 작용을 보인 것으로,
(가)는 빨대의 유출구가 닫힌 미사용 상태의 정면도.
(나)는 빨대의 유출구가 개방된 취수시의 정면도.
도 7은 종래의 취수용 빨대가 설치되는 방독면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종래 취수용 빨대의 구성및 설치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마스크본체2 ; 투시창
3 ; 전성판4 ; 배기밸브
5 ; 정화통6 ; 음료 취수구
6a ; 빨대 연결구10 ; 빨대
10b ; 삽입공간부10c ; 걸림홈
11 ; 개폐막11a ; 지지부
11b ; 판막12 ; 절개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방독면 음료 취수구의 연결관에 연결 설치되는 취수용 빨대의 음료 유출구측 단부에 압착식 개폐막을 구비하여, 빨대의 음료 유출구측 단부를 방독면 착용자의 치아 또는 입술로 물어 압착하는 것에 의해 개폐막이 개방되어 음료를 취수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은 유출구측 단부의 압착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개방된 개폐막이 자동적으로 폐쇄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가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취수용 빨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방독면의 전체 구성을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빨대가 구비된 취수구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른 빨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및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면부에 착용하는 방독면 마스크본체(1)의 일측에 방독면 착용자가 휴대한 수통과 연결되는 음료 취수구(6)가 구비되고, 그 취수구(6)의 내측에 형성된 연결관(6a)에는 코틀막(7)의 내부 일측에 노출되어 착용자가 입으로 물고 취수할 수 있는 고무 또는 합성고무제 빨대(10)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본 고안은 음료가 유출되는 빨대(10)의 유출구측 단부에 방독면 착용자가 그 유출구 단부를 입에 물고 압착함에 따라 개방되고 그 압착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폐쇄되는 개폐막(11)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빨대(10)는 원통형 호스제 몸체의 중간부가 ㄱ가 형으로 절곡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음료 취수구(6)의 연결관(6a)에 연결되고, 그 반대측 단부 즉, 유출구측 단부에 상기 개폐막(11)이 설치된다.
상기 개폐막(11)은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지지부(11a)를 가진 고무제 몸체의 전면에 상기 원통형 지지부(11a)의 일단을 폐쇄하는 원판상 판막(11b)이 구비되어 있고, 이와같은 판막(11b)의 중간부에는 그 판막(11b)을 양분하는 형태의 일직선상 절개부(12)가 판막(11b)의 내.외면에 걸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개폐막(11)이 설치되는 빨대(10)의 음료 유출구측 단부에는 통상의 원통형 유출구(10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유출구(10a)의 내측에 상기 개폐막(11)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 공간부(10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개폐막(11)을 간단히 삽입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된 빨대(10)의 유출구측 단부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치아나 입술 부분으로 상기 빨대(10)의 유출측단부를 보다 용이하게 물어 압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환상 걸림홈(10c)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실시례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개폐막(11)이 상기 빨대(10)와 별개로 형성되어 빨대(10)의 단부에 조립 결합되고, 그 개폐막(11)에 형성된 절개부가 일직선상 절개부로 된 것을 일례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개폐막(11)은 빨대(10)의 단부를 압착함에 따라 개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빨대(1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절개부(1)의 형상 또한 빨대(10)의 단부를 압착하는 것에 의해 개방될 수 있고, 그 압착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폐쇄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에 의한 빨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이와 같은 실시례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개폐막(11)이 상기 빨대(10)의 유출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서, 그 일체형 개폐막(11)의 중간부에 상기와 유사한 수직 절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취수용 빨대(10)의 사용방법과 그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도 3, 도 4 및 도 6의 (가)는 본 고안에 의한 빨대(10)의 개폐막(11)이 닫힌 평상의 상태 즉, 음료를 취수하지 않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때에는 상기 개폐막(11)의 판막(11b)이 상기 음료 유출구측 단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그 절개부(12)가 일자형으로 닫혀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절개부(12)가 닫힌 상태에서는 빨대(10)의 음료 유출구가 완전히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빨대(10)의 내부로 통하는 유출구부를 완전히 차단하여 각종 이물질 등이 유입될 우려를 완벽하게 배재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방독면을 착용하게 되면, 상기 빨대(10)의 유출구측 단부가 착용자의 입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방독면의 착용자가 음료를 취수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입으로 빨대(10)의 유출구 단부를 물고 치아 즉, 아래. 위 앞니나 또는 입술로 상기 압착홈(10c) 부분을 상. 하로 눌러 압착하게 되면, 상기 도 5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빨대(10)의 단부 및 개폐막(11)의 판막(11b) 부분이 상하에서 압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일자형 절개부(12) 부분이 양측으로 벌어 지면서 빨대(10)의 유출측 단부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유출단부의 개방상태에서 방독면 착용자가 빨대를 물고 흡입하면 수통에 담긴 음료를 빨아 올리게 됨으로써 소정의 음료를 취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방독면 착용자가 수통에 담긴 물이나 기타 음료를 빨아 마실수 있도록 사용되는 방독면의 취수용 빨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음료 취수구의 연결관에 연결 설치되는 취수용 빨대의 음료 유출구측 단부에 압착식 개폐막을 구비하여, 그 개폐막이 구비된 음료 유출구측 단부를 방독면 착용자의 치아나 입술로 물어 압착하는 것에 의해 개폐막을 개방시켜 음료를 취수할 수 있게 하고, 이와 같은 유출구측 단부의 압착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개방된 개폐막이 자동적으로 폐쇄되어 빨대의 음료 유출단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빨대의 유출구를 통해 각종 먼지나 이물질 등이 내부로 유입됨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방독면의 착용시 각종 음료를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취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안면부에 착용하는 방독면 마스크본체의 일측에 방독면 착용자가 휴대한 수통과 연결되는 음료 취수구가 구비되고, 그 취수구의 내측에 형성된 연결관에는 고무 또는 합성고무제 빨대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빨대의 음료 유출구측 단부에 방독면 착용자가 그 유출구 단부를 입에 물고 압착함에 따라 개방되고 그 압착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폐쇄되는 개폐막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는 그 유출구측 단부의 내측에 삽입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삽입 공간부내에 상기 개폐막이 삽입 고정되는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는 유출구측 단부의 외주면에 사용자의 치아나 입술부분으로 빨대의 음료 유출구 단부를 보다 용이하게 물어 압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환상 걸림홈이 형성된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막은 원통형 지지부를 가진 고무제 몸체의 전면에 상기 원통형 지지부의 일단을 폐쇄하는 원판상 판막이 구비되고, 그 판막의 중간부에 상기 음료 유출구 단부의 압착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절개부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막이 빨대의 음료 유출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개폐막의 중간부에 상기 음료 유출단부의 압착여부에 따라 개페되는 수직 절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KR2019960035397U 1996-10-25 1996-10-25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KR2001424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397U KR200142447Y1 (ko) 1996-10-25 1996-10-25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397U KR200142447Y1 (ko) 1996-10-25 1996-10-25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063U true KR19980022063U (ko) 1998-07-15
KR200142447Y1 KR200142447Y1 (ko) 1999-06-01

Family

ID=19470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397U KR200142447Y1 (ko) 1996-10-25 1996-10-25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44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776B1 (ko) * 2014-07-11 2015-01-05 김종기 방독면용 취수유닛
KR102119841B1 (ko) * 2019-04-17 2020-06-0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세대 미래형 헬멧
KR20210114146A (ko) * 2020-03-10 2021-09-2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750B1 (ko) * 2018-09-27 2019-07-17 주식회사 한솔글로벌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776B1 (ko) * 2014-07-11 2015-01-05 김종기 방독면용 취수유닛
KR102119841B1 (ko) * 2019-04-17 2020-06-0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세대 미래형 헬멧
KR20210114146A (ko) * 2020-03-10 2021-09-2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2447Y1 (ko) 199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9114A (en) Mouth to mouth resuscitation device
US11154101B2 (en) Protective mask with no-touch access flap
JP3299268B2 (ja) 幼児に対する麻酔用マスク
US5771885A (en) Exercise filter
US4610246A (en) Snorkel valve assembly
US4653493A (en) Ventilator unit exhalation contamination control device
US7451764B2 (en) Nasal mask
FR2543836A1 (fr) Ensemble de masque respiratoire
BR0213882A (pt) Máscara facial de filtragem, e, válvula de exalação
US4535765A (en) Lifesaving device
KR102177023B1 (ko) 끈이 없고 입을 감싸면서 코에 삽입하여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US5941703A (en) Unidirectional valve for preventing back flow in a dental saliva ejector
KR200142447Y1 (ko)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KR102093517B1 (ko)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US4537189A (en) Breathing device
CA2168719C (en) Oral suction tip
KR200179830Y1 (ko) 일회용 방진마스크
KR200434575Y1 (ko) 코 마스크
CA2162108A1 (en) One-way valve with bacterial filter apparatus
US4608975A (e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JP3236189U (ja) マスクアセンブリ
KR200335505Y1 (ko) 방독면 전성배기유닛
JPH11512963A (ja) 換気回路に適用可能な閉回路型の気管支吸引装置
KR20050013690A (ko) 방독면의 취수구 결합구조
CN214317091U (zh) 一种便于喝水的医用防护口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