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146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146A
KR20210114146A KR1020200029424A KR20200029424A KR20210114146A KR 20210114146 A KR20210114146 A KR 20210114146A KR 1020200029424 A KR1020200029424 A KR 1020200029424A KR 20200029424 A KR20200029424 A KR 20200029424A KR 20210114146 A KR20210114146 A KR 20210114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mask
door
hole
contac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1491B1 (ko
Inventor
김응삼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9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491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6Storage or supply of water for drinking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마스크는 빨대가 삽입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마스크본체, 관통홀과 연통하는 삽입홀와, 삽입홀을 개폐하는 빨대도어를 갖고, 마스크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는 빨대연결장치로서, 빨대도어는 관통홀로의 빨대 삽입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빨대삽입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빨대삽입이 가능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병원균 또는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코나 입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막아주도록 안면에 착용하는 것으로, 코와 입을 막아주는 덮개부분과, 덮개부분에 연결되어 귀에 걸 수 있도록 한 걸이끈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의 마스크를 쓴 상태에서 음료나 약을 먹기 위해서는 잠시 마스클 벗고 다시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짧은 탈착 시간에 외부 공기에 존재하는 병원균 또는 미세먼지등의 초미세입자에 노출될 수 있다. 식사 이후 take-out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 착용한 마스크를 손으로 올려 마스크의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병원에 있는 환자들의 경우, 이 탈착 순간에 병원체 감염에 대한 불안감이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구조를 개선한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위생상태를 향상시킨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착용한 상태에서 음료 또는 약물의 섭취가 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마스크는 빨대가 삽입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마스크본체; 상기 관통홀과 연통하는 삽입홀와, 상기 삽입홀을 개폐하는 빨대도어를 갖고, 상기 마스크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는 빨대연결장치로서, 상기 빨대도어는 상기 관통홀로의 빨대 삽입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빨대삽입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빨대도어는, 상기 삽입홀을 닫는 제 1 위치와, 상기 빨대의 삽입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삽입홀을 개방하는 제 2 위치를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빨대도어가 상기 제 1, 2 위치를 동작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장치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에 대한 상기 빨대도어의 상기 제 1, 2 위치간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힌지로서, 상기 빨대가 제거되면, 상기 빨대도어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로 탄성복귀하도록 구성되는 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빨대도어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장치본체의 외측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빨대도어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빨대삽입장치는, 상기 마스크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빨대삽입장치는, 상기 마스크본체의 후면에 위치한 제 1 접촉부재; 상기 마스크본체의 전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접촉부재로서, 상기 제 1 접촉부재와 자성에 의해 상호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 2 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접촉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재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빨대연결장치는 상기 마스크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마스크는 빨대가 삽입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본체에 장착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과 연통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을 개폐하는 빨대도어를 갖고, 상기 마스크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는 빨대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빨대도어는, 상기 삽입홀을 닫는 제 1 위치와, 상기 관통홀로의 빨대 삽입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삽입홀을 개방하는 제 2 위치;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에 대한 상기 빨대도어의 상기 제 1, 2 위치간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힌지로서, 상기 빨대가 제거되면, 상기 빨대도어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로 탄성복귀하도록 구성되는 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빨대도어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장치본체의 외측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빨대도어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빨대삽입장치는, 상기 마스크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빨대삽입장치는, 상기 마스크본체의 후면에 위치한 제 1 접촉부재; 상기 마스크본체의 전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접촉부재로서, 상기 제 1 접촉부재와 자성에 의해 상호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 2 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접촉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재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스크 착용 이후에도 마스크 탈착 없이도 빨대를 이용한 음료 흡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스크 착용 상태에서도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한 가운데서도 구강 경로의 약물 투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빨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빨대 입구가 기계적으로 막혀 있어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원으로부터 마스크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음료나 약물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마스크의 입 부근 부위에 빨대가 들어갈 수 있는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미세먼지, 바이러스, 및 세균에 의한 오염 치 감염 위험도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일부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빨대가 삽입될 때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도.
도 5,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빨대삽입유무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일부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분해사시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1)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빨대(S)를 통해 음료 또는 약물을 섭취할 수 있다. 최근에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를 비롯하여 바이러스로부터 호흡기관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람들의 마스크착용이 잦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에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음료 혹은 약물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마스크 입 부근에 빨대용 장치를 부착함으로써 마스크 탈착의 시간을 줄임으로써 감염 위험도를 낮추고자 한다.
마스크(1)는 마스크본체(10)와, 빨대삽입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본체(10)는 코와 입을 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마스크본체(10)의 후면(10b, 도 5, 6 참고)은 사용자의 코와 입과 마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스크본체(10)는 한 쌍의 걸이끈(14)이 양쪽에 연결되어 양쪽 귀에 각각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스크(1)를 착용하게 되면, 마스크본체(10)는 사용자의 코와 입과 마주하게 되고, 걸이끈(14)에 의해 얼굴에 고정이 되므로, 사용자의 코와 입이 밀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마스크본체(10)는 빨대(S)가 관통할 수 있도록 그 몸체상에 형성되는 관통홀(12, 도 2 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2)은 이후 설명하는 빨대삽입장치(20)에 의해 덮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빨대삽입장치(20)는 빨대(S)가 삽입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빨대삽입장치(20)는 마스크(1)를 착용한 상태에서 빨대(S)가 마스크(1)의 후방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빨대삽입장치(20)는 빨대(S)의 삽입동작과 연동하여 마스크 내부가 밀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빨대삽입장치(20)는 그 내부가 선택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빨대삽입장치(20)는 마스크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7, 8에서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빨대삽입장치(20)는 마스크본체(1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일부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빨대가 삽입될 때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도, 도 5,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빨대삽입유무에 따른 단면도이다.
빨대삽입장치(20)는 장치본체(30)와 빨대도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본체(30)는 마스크본체(10)의 전면(10a)에 배치될 수 있다.
장치본체(30)는 관통홀(12)과 연통하는 삽입홀(32)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장치본체(30)는 그 일측에 관통홀(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연결홀(34)과, 그 타측에 관통홀(12)과 연통하는 삽입홀(3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홀(32)은 장치본체(30)의 전방에 배치되어, 마스크본체(10)보다 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장치본체(30)는 연결홀(34)이 마스크본체(10)의 관통홀(12)과 대응되도록 마스크본체(10)에 장착될 수 있다. 장치본체(30)는 그 내부에 일측은 관통홀(12)과 연결되고, 타측은 연결홀(34)과 연결되며, 빨대(S)가 가로질러 지날 수 있는 내부공간(36)을 형성할 수 있다. 장치본체(30)는 대략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장치본체(3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빨대(S)가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빨대도어(40)는 장치본체(30)에 형성되는 삽입홀(32)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빨대도어(40)는 삽입홀(32)을 닫는 제 1 위치(41)와, 삽입홀(32)을 개방하는 제 2 위치(42, 도 4 참고)를 동작할 수 있다. 빨대도어(40)는 빨대(S)의 삽입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빨대도어(40)는 삽입홀(32)이 닫힌 제 1 위치(41)에서, 삽입되는 빨대(S)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홀(32)을 개방하는 제 2 위치(42)로 동작할 수 있다. 빨대도어(40)는 내부공간(36, 도 5, 6 참고)을 통해 제 1, 2 위치(41, 42)를 동작할 수 있다. 빨대도어(40)는 장치본체(30)의 내부공간(36)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원판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빨대도어(40)는 장치본체(30)에 마련되어 관통된 공간을 가로막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마스크(1)는 힌지(44)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44)는 장치본체(30)와, 빨대도어(40)를 연결하며, 빨대도어(40)가 장치본체(30)에 대해 제 1, 2 위치를 동작하도록 빨대도어(40)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44)는 빨대도어(40)가 탄성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44)는 빨대(S)가 제거되면 빨대도어(40)가 제 2 위치(42)에서 제 1 위치(41)로 탄성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힌지(44)는 빨대도어(40)가 제 2 위치(42)에서 제 1 위치(41)로 탄성복귀하도록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44)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빨대도어(40)를 제 1 위치(41)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들숨에 의한 압력에 의해 빨대도어(40)가 삽입홀(32)을 개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빨대삽입장치(20)는 스토퍼(50, 도 5, 6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빨대도어(40)는 삽입홀(32)을 닫는 제 1 위치(41)와, 빨대(S)에 의해 가압되어 내부공간(36)으로 이동하여 삽입홀(32)을 개방하는 제 2 위치(42)를 동작할 수 있다. 스토퍼(50)는 빨대도어(40)가 제 1 위치(41)로부터 장치본체(3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50)는 삽입홀(32)과 인접하게 장치본체(30)의 전면(10a)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위치(41)의 빨대도어(4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50)는 장치본체(3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되, 빨대도어(40)의 전면(10a)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토퍼(50)가 형성하는 내경은 장치본체(30)의 내부공간(36)을 형성하는 내주면의 내경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스토퍼(50)는 빨대도어(40)가 장치본체(30)의 외측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50)는 마스크본체(10)로부터의 날숨에 의한 압력에 의해 빨대도어(40)가 장치본체(30)의 외측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마스크(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빨대(S)가 삽입되기 전에 빨대도어(40)는 제 1 위치(41)에 위치하여 삽입홀(32)을 폐쇄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빨대도어(40)는 스토퍼(50)에 의해 장치본체(30)의 외측방향으로의 동작이 제한되며, 힌지(44)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위치(41)를 유지할 수 있다.
빨대도어(40)가 제 1 위치(41)에 있는 경우, 마스크본체(10)의 관통홀(12) 또는 장치본체(30)의 내부공간(36)은 빨대도어(4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빨대도어(40)는 제 1 위치(41)에 위치하여 마스크본체(10)의 후방과, 빨대삽입장치(20)의 내부공간(36)을 밀폐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빨대(S)가 삽입되면, 빨대도어(40)는 빨대(S)에 의해 가압되어 제 1 위치(41)에서 제 2 위치(42)로 이동할 수 있다. 빨대(S)는 삽입홀(32)을 지나 관통홀(12)을 통해 마스크본체(10)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사용자는 마스크(1)를 착용한 상태에서 빨대(S)를 통해 음료나 약물을 섭취할 수 있다.
이후 빨대(S)가 제거되면, 빨대도어(40)는 힌지(44)에 의해 탄성복귀되어 제 2 위치(42)에서 제 1 위치(41)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시 마스크본체(10)의 내부는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빨대삽입장치(120)는 마스크본체(1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빨대삽입장치(120)는 마스크본체(1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성됨으로서, 빨대삽입장치(120) 또는 마스크본체(10)의 교체 또는 유지보수가 가능할 수 있다.
빨대삽입장치(120)는 제 1 접촉부재(1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접촉부재(161)는 마스크본체(10)의 후면(10b)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접촉부재(161)는 관통홀(1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접촉부재(161)는 관통홀(12)에 간섭되지 않도록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접촉부재(161)는 그 내측에 관통홀(12)에 대응되는 크기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빨대삽입장치(120)는 제 2 접촉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접촉부재(162)는 장치본체(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접촉부재(162)는 관통홀(12)과 마주하는 장치본체(30)의 일측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접촉부재(162)는 제 1 접촉부재(161)와 같이, 관통홀(12)에 간섭되지 않도록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접촉부재(162)는 그 내측에 관통홀(12)과 연결홀(34)에 대응되는 크기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2 접촉부재(161, 162)는 자성에 의해 상호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제 1, 2 접촉부재(161, 162)는 마스크본체(10)를 사이에 두고 자성에 의한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 제 1, 2 접촉부재(161, 162) 중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재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접촉부재(161, 162)는 마스크본체(10)를 사이에 두고 마스크본체(10)의 후면(10b)과 전면(10a)에 각각 밀착되도록 구성됨으로서, 마스크본체(10)와 빨대삽입장치(20)가 상호간에 밀착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2 접촉부재(161, 162)간의 인력을 통해 빨대삽입장치(120)를 분리가능하게 마스크본체(1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마스크 10 : 마스크본체
12 : 관통홀 14 : 걸이끈
20 : 빨대삽입장치 30 : 장치본체
32 : 삽입홀 34 : 연결홀
36 : 내부공간 40 : 빨대도어
41 : 제 1 위치 42 : 제 2 위치
44 : 힌지 50 : 스토퍼
161 : 제 1 접촉부재 162 : 제 2 접촉부재

Claims (17)

  1. 빨대가 삽입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마스크본체;
    상기 관통홀과 연통하는 삽입홀와, 상기 삽입홀을 개폐하는 빨대도어를 갖고, 상기 마스크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는 빨대연결장치로서, 상기 빨대도어는 상기 관통홀로의 빨대 삽입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빨대삽입장치;를 포함하는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도어는,
    상기 삽입홀을 닫는 제 1 위치와, 상기 빨대의 삽입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삽입홀을 개방하는 제 2 위치를 동작하는 마스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도어가 상기 제 1, 2 위치를 동작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장치본체;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대한 상기 빨대도어의 상기 제 1, 2 위치간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힌지로서, 상기 빨대가 제거되면, 상기 빨대도어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로 탄성복귀하도록 구성되는 힌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도어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장치본체의 외측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빨대도어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마스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삽입장치는,
    상기 마스크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마스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삽입장치는,
    상기 마스크본체의 후면에 위치한 제 1 접촉부재;
    상기 마스크본체의 전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접촉부재로서, 상기 제 1 접촉부재와 자성에 의해 상호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 2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접촉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재는 자석을 포함하는 마스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연결장치는 상기 마스크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마스크.
  11. 빨대가 삽입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본체에 장착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과 연통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을 개폐하는 빨대도어를 갖고, 상기 마스크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는 빨대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빨대도어는,
    상기 삽입홀을 닫는 제 1 위치와,
    상기 관통홀로의 빨대 삽입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삽입홀을 개방하는 제 2 위치;를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마스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대한 상기 빨대도어의 상기 제 1, 2 위치간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힌지로서, 상기 빨대가 제거되면, 상기 빨대도어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로 탄성복귀하도록 구성되는 힌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도어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장치본체의 외측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빨대도어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마스크.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삽입장치는,
    상기 마스크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마스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삽입장치는,
    상기 마스크본체의 후면에 위치한 제 1 접촉부재;
    상기 마스크본체의 전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접촉부재로서, 상기 제 1 접촉부재와 자성에 의해 상호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 2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접촉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재는 자석을 포함하는 마스크.
KR1020200029424A 2020-03-10 2020-03-10 마스크 KR102401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424A KR102401491B1 (ko) 2020-03-10 2020-03-10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424A KR102401491B1 (ko) 2020-03-10 2020-03-10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146A true KR20210114146A (ko) 2021-09-23
KR102401491B1 KR102401491B1 (ko) 2022-05-23

Family

ID=7792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424A KR102401491B1 (ko) 2020-03-10 2020-03-10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4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063U (ko) * 1996-10-25 1998-07-15 이건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KR20140145758A (ko) * 2013-06-14 2014-12-24 김정섭 마스크
KR20180092363A (ko) * 2017-02-09 2018-08-20 목상수 마스크 탈부착용 공기 청정기 및 그를 구비한 마스크
KR101956499B1 (ko) * 2017-12-28 2019-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차량의 통합형 혼유 방지 장치
KR101960750B1 (ko) * 2018-09-27 2019-07-17 주식회사 한솔글로벌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
TWM585634U (zh) * 2019-06-28 2019-11-01 華新醫材股份有限公司 吸食防護口罩及其閥結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063U (ko) * 1996-10-25 1998-07-15 이건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KR20140145758A (ko) * 2013-06-14 2014-12-24 김정섭 마스크
KR20180092363A (ko) * 2017-02-09 2018-08-20 목상수 마스크 탈부착용 공기 청정기 및 그를 구비한 마스크
KR101956499B1 (ko) * 2017-12-28 2019-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차량의 통합형 혼유 방지 장치
KR101960750B1 (ko) * 2018-09-27 2019-07-17 주식회사 한솔글로벌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
TWM585634U (zh) * 2019-06-28 2019-11-01 華新醫材股份有限公司 吸食防護口罩及其閥結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491B1 (ko) 202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30981A1 (en) Anti-microbial, disinfection chamber respiratory face mask/shield
KR102188526B1 (ko) 공기청정용 안면마스크
JP3246945B2 (ja) エアゾール吸入装置
KR102220441B1 (ko) 음압 격리 병실
WO2023204532A1 (ko) 비밀폐형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차단장치
US20210368877A1 (en) Personal Air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or Blocking Exposure to Airborne Pathogens
US4886057A (en) Assisted breathing interface device
WO2021247716A2 (en) Personal air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or blocking exposure to airborne pathogens
KR102401491B1 (ko) 마스크
US20090105674A1 (en) Snivel aspirator
US202203702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ning Eustachian Tubes
CN108936879A (zh) 一种医疗护理用防护装置
KR102307556B1 (ko) 방역 위생 마스크
CN214860694U (zh) 鼻套及防疫过滤器
KR20220018718A (ko) 비말 감염 예방용 플라스틱 마스크
JP2023518467A (ja) 持続的気道陽圧(cpap)装置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呼吸マスクアセンブリ
KR20220036726A (ko) 마스크를 걸기 위한 마스크 걸이
JP7076164B1 (ja) フェイスシールド
KR20000011194U (ko) 위생마스크
KR20230169809A (ko) 비밀폐형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차단장치
KR102629164B1 (ko) 마스크 프레임
JP3015892U (ja) 保安用マスク
US20230309975A1 (en) Tongue depressor and oral/nasal swab mounted shield, method of use,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15053361A1 (ja) 経口粉末の吸入補助器具
CN212756647U (zh) 一种带吸痰装置的医用防喷溅面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