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750B1 -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750B1
KR101960750B1 KR1020180114814A KR20180114814A KR101960750B1 KR 101960750 B1 KR101960750 B1 KR 101960750B1 KR 1020180114814 A KR1020180114814 A KR 1020180114814A KR 20180114814 A KR20180114814 A KR 20180114814A KR 101960750 B1 KR101960750 B1 KR 101960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nipple
infant
body fram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글로벌
Priority to KR102018011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001Baby-comfort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의 호흡기를 감쌀 수 있도록 섬유재질, 종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장착홀부가 형성되는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본체 양단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아의 귀에 걸려 상기 마스크본체가 유아의 얼굴에 밀착되게 하는 걸이부재; 상기 장착홀부에 설치되고,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마스크본체 내측으로 연장되는 젖꼭지부재; 상기 본체프레임과 대향되게 상기 마스크본체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마스크본체를 변형시키면서 상기 본체프레임에 걸림결합되며, 상기 젖꼭지부재가 통과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걸이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마스크본체가 유아의 얼굴에 밀착되게 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 {MULTI-FUNCTIONAL MASK COMBINED WITH IMITATION NIPPLE}
본 발명은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먼저 농도가 높은 날 야외에 있는 유아의 코와 입을 가릴 수 있어 미세 먼지 등의 유해물질이 유아의 호흡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아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공갈젖꼭지를 물을 수 있으며, 유아가 공갈젖꼭지를 문 상태에서 우유를 음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아기는 태어나면서부터 생존을 위해 '빨기 반응'을 가지고 태어나 습관적으로 손가락을 빨거나 무엇이든지 입에 넣고 있기를 즐기게 된다.
아기의 빨기 반응은 모유나 분유를 먹기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아기들이 입으로 규칙적인 리듬을 발생시킴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위와 같은 아기의 빨기 반응은 생후 6개월까지 강하게 작용하다가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되는데, 모유 수유가 자리 잡는 생후 3~4주쯤에는 아기들이 손가락을 빠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조의 공갈 젖꼭지를 물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갈 젖꼭지는 베이스판의 후면에 고리형태의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베이스판의 전면에 연질의 젖꼭지부가 부착되어서 구성된다. 공갈 젖꼭지의 베이스판과 손잡이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고, 공갈 젖꼭지의 젖꼭지부는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다.
아기는 상기와 같은 공갈 젖꼭지의 손잡이부를 손으로 쥐고, 젖꼭지부를 입에 물고 빨면서 가지고 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갈 젖꼭지는 불안정한 아기의 손에 의존하여 파지되므로, 아기가 손에서 자주 떨어뜨리게 되고 그로 인해 각종 세균으로 오염될 소지가 크며 저항력이 약한 아기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아기가 공갈 젖꼭지를 손에서 쉽게 떨어뜨리지 않도록 공갈 젖꼭지에 인형을 결합한 상품이 출시되고 있는데, 이 역시도 아기의 손에 의해 파지되므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스크형 공갈 젖꼭지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마스크형 공갈 젖꼭지는, 베이스판의 전면 중앙부에 연질의 젖꼭지부를 돌출 형성하고 베이스판의 후면에 손잡이부를 형성하며 베이스판의 외주연을 따라 고리홈을 형성하여서 공갈 젖꼭지를 구성하고, 양측에 귀걸이 끈이 구비된 마스크 본체의 중앙부에 체결홈을 형성하고 체결홈 둘레를 따라 베이스판의 고리홈에 대응되는 고정단추를 부착하여서 마스크를 구성하며, 마스크의 체결홈에 공갈 젖꼭지를 끼운 후 고정단추를 베이스판의 고리홈에 끼워서 결합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45442호(2012년 05월 15일 공고, 발명의 명칭 : 마스크형 공갈 젖꼭지)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마스크형 공갈 젖꼭지는, 이동 중에 유아가 공복감에 의해 울 때에는 마스크 및 공갈 젖꼭지를 유아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별도의 젖병을 물여야 하므로 미세 먼지 등의 유해물질이 유아의 호흡기로 투입되면서 우유를 음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미세먼저 농도가 높은 날 야외에 있는 유아의 코와 입을 가릴 수 있어 미세 먼지 등의 유해물질이 유아의 호흡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아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공갈젖꼭지를 물을 수 있으며, 유아가 공갈젖꼭지를 문 상태에서 우유를 음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아의 호흡기를 감쌀 수 있도록 섬유재질, 종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장착홀부가 형성되는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본체 양단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아의 귀에 걸려 상기 마스크본체가 유아의 얼굴에 밀착되게 하는 걸이부재; 상기 장착홀부에 설치되고,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마스크본체 내측으로 연장되는 젖꼭지부재; 상기 본체프레임과 대향되게 상기 마스크본체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마스크본체를 변형시키면서 상기 본체프레임에 걸림결합되며, 상기 젖꼭지부재가 통과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걸이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마스크본체가 유아의 얼굴에 밀착되게 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스크본체 상단 테두리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유압의 콧등 측으로 가압하면 유압의 콧등 모양으로 굴곡되고, 굴곡된 형상을 유지하여 상기 마스크본체와 얼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와이어; 및 상기 본체프레임에 구비되고, 젖병으로부터 연장되는 빨대부재를 상기 젖꼭지부재 내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빨대부재가 상기 젖꼭지부재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길이조절부는,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상기 걸이부재의 하단이 통과되고, 상기 걸이부재의 단면적과 비교하여 좁게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재의 하단이 억지끼움되는 고정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는,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유아가 공갈젖꼭지를 입에 물 수 있으므로 미세 먼지 등의 유해 물질이 유아의 호흡기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아가 공갈젖꼭지를 물어 울거나 보채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야외 활동 중에 유아가 잠들기를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는, 유아의 귀에 걸리는 걸이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가 구비되므로 신생아부터 약 생후20개월까지의 유아가 착용할 수 있고, 마스크를 착용한 유아의 얼굴과 마스크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여 마스크와 얼굴 사이의 간격으로 유해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는, 마스크본체 상단에 마스크본체의 테두리 형상을 유지시키는 고정와이어가 구비되므로 유아가 마스크를 착용한 후에 콧등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고정와이어를 콧등 측으로 가압하여 마스크본체 상단을 유아의 코와 볼에 밀착되게 형상을 변형시키면서 코의 양옆에 형성되는 홈부를 통해 마스크와 얼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는, 젖꼭지부재 내부로 우유병으로부터 연장되는 빨대부재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착탈부가 구비되므로 야외활동 중인 유아가 공복감에 의해 울 때에는 우유병으로부터 연장되는 빨대부재를 본체프레임에 삽입하면 착탈부의 작동에 의해 빨대부재가 젖꼭지부재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유아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우유를 음용할 수 있어 유아의 호흡기로 유해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우유를 음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의 정면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의 분해 상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의 분해 상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의 배면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의 정면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갈접꼭지 겸용 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의 정면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의 분해 상태 사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는, 유아의 호흡기를 감쌀 수 있도록 섬유재질, 종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장착홀부(14)가 형성되는 마스크본체(10)와, 마스크본체(10) 양단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아의 귀에 걸려 마스크본체(10)가 유아의 얼굴에 밀착되게 하는 걸이부재(12)와, 장착홀부(14)에 설치되고, 손잡이부(32)가 구비되는 본체프레임(30)과, 본체프레임(30)에 설치되고, 마스크본체(10) 내측으로 연장되는 젖꼭지부재(34)와, 본체프레임(30)과 대향되게 마스크본체(10)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마스크본체(10)를 변형시키면서 본체프레임(30)에 걸림결합되며, 젖꼭지부재(34)가 통과되는 고정프레임(50)을 포함한다.
따라서 마스크본체(10) 중앙부에 형성되는 장착홀부(14)에 본체프레임(30)으로부터 돌출되는 젖꼭지부재(34)를 삽입하고, 마스크본체(10)의 반대 측에 고정프레임(50)을 설치하면 마스크본체(10) 내벽으로부터 유아의 입 방향으로 젖꼭지부재(34)가 돌출된 상태로 결합된다.
본체프레임(30)의 양측 단부에는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홀부(36)가 형성되고, 연결홀부(36)에 대향되는 고정프레임(50)의 양단부에는 연결홀부(36)에 착탈되는 후크부재(54)가 형성된다.
또한, 고정프레임(50)의 중앙부에는 젖꼭지부재(34)가 통과되는 통과홀부(52)가 형성되므로 마스크본체(10)의 전면으로부터 젖꼭지부재(34)를 장착홀부(14)에 삽입하여 본체프레임(30)을 마스크본체(10)의 전면에 밀착시키고, 마스크본체(10)의 배면에 고정프레임(50)을 밀착시키는데, 이때, 젖꼭지부재(34)는 통과홀부(52)에 삽입하여 고정프레임(50)을 통과하여 젖꼭지부재(34)가 마스크본체(10)의 배면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고정프레임(50)을 마스크본체(10) 배면에 밀착시키면 후크부재(54)가 연결홈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사용자가 고정프레임(50)과 본체프레임(30)을 중앙 측으로 가압하면 후크부재(54)가 마스크본체(10)를 변형시키면서 연결홀부(36)에 걸림결합되어 본체프레임(30)과 고정프레임(50)이 마스크본체(10)의 전면 및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의 분해 상태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의 배면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의 정면 사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는, 걸이부재(12)의 길이를 조절하여 마스크본체(10)가 유아의 얼굴에 밀착되게 하는 길이조절부(16)와, 마스크본체(10) 상단 테두리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유압의 콧등 측으로 가압하면 유압의 콧등 모양으로 굴곡되고, 굴곡된 형상을 유지하여 마스크본체(10)와 얼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와이어(17)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유아의 얼굴에 마스크본체(10)를 착용시킨 후에 길이조절부(16)를 조작하면 마스크본체(10)가 유아의 얼굴에 밀착되면서 마스크본체(10)와 얼굴 사이에 간격을 좁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길이조절부(16)는,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걸이부재(12)의 하단이 통과되고, 걸이부재(12)의 단면적과 비교하여 좁게 형성되며, 걸이부재(12)의 하단이 억지끼움되는 고정홀부재(18)를 포함한다.
고정홀부재(18)는 마스크본체(10)와 같이 섬유재질로 이루어지고,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는 걸이부재(12)의 직경보다 좁은 단면적의 홀부로 이루어지므로 걸이부재(12)를 고정홀부재(18)에 압입시키면 걸이부재(12)가 마찰되면서 고정홀부재(18)로 슬라이딩되지 않고 걸리부재가 고정된다.
유아의 얼굴에 마스크본체(10)를 안착시키고, 걸이부재(12)를 귀에 걸은 후에 자유단으로 배치되는 걸이부재(12)의 하단을 고정홀부재(18) 외측으로 당기면 걸이부재(12)의 억지끼움 상태가 유지되면서 걸이부재(12)가 당겨지므로 귀에 걸린 걸이부재(12)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마스크본체(10)를 유아의 얼굴에 밀착시키면서 마스크본체(10)와 얼굴 사이의 간격을 좁히게 된다.
이후에, 마스크본체(10) 상단 테두리에 설치되는 고정와이어(17)를 유아 콧등에 밀착되게 가압하면 고정와이어(17)가 콧등 모양으로 변형되면서 마스크본체(10)의 상단이 유아의 콧등에 밀착되게 변형되고, 변형된 형상을 유지하면서 마스크본체(10)와 유아 얼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는, 본체프레임(30)에 구비되고, 젖병으로부터 연장되는 빨대부재(80)를 젖꼭지부재(34) 내측으로 삽입하고, 빨대부재(80)가 젖꼭지부재(34)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부(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야외에서 유아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공복감에 울면 사용자는 별도의 우유병으로부터 연장되는 빨대부재(80)를 본체프레임(3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착탈부(70)에 연결시켜 빨대부재(80)를 젖꼭지부재(34) 내부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설치한다.
상기한 봐와 같이 우유병으로부터 연장되는 빨대부재(80)를 젖꼭지부재(34) 내부와 연결하면 유아가 젖꼭지부재(34)를 빨 때에 우유병으로부터 우유가 빨대부재(80)를 따라 젖꼭지부재(34) 내부로 공급되어 유아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우유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착탈부(70)는, 본체프레임(30)의 전면으로부터 배면까지 형성되고, 젖꼭지부재(34)의 내부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형성되는 삽입홀부(72)와, 삽입홈부의 내벽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작동공간부(74)와, 작동공간부(74)로부터 삽입홀부(72) 내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 개가 서로 대향되게 출몰되면서 삽입홈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걸림후크(76)와, 걸림후크(76)와 작동공간부(74) 내벽 사이에 개재되고, 작동후크를 삽입홀부(72)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76a)와, 걸림후크(76)의 배면에 연결되어 삽입홀부(72) 외곽에 형성되는 해제통로(78a)를 따라 원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해제와이어(77)와, 복수 개의 해제와이어(77)가 연결되고, 본체프레임(30) 외측으로 노출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재(77a)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빨대부재(80)를 삽입홈부 내측으로 가압하면 걸림후크(76) 상면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빨대부재(80)의 단부가 가압하면서 걸림후크(76)를 작동공간부(74) 내측 방향으로 후퇴시키므로 삽입홀부(72)가 개방되면서 빨대부재(80)가 본체프레임(30)을 통과하여 젖꼭지부재(34) 내부까지 삽입된다.
빨대부재(80)의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부재(76a)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후크(76)가 삽입홀부(72) 내측 방향으로 전진되면서 빨대부재(80) 둘레면에 형성되는 착탈홈부(82)에 삽입되면서 빨대부재(80)를 고정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걸림후크(76)는 삽입홀부(72) 둘레를 따라 4개가 설치되며, 걸림후크(76)의 단부는 삼각모양으로 형성되어 4개의 걸림후크(76)가 삽입홀부(72)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면 4개의 삼각모양 걸림후크(76)가 모아지면서 삽입홀부(72)를 폐쇄하게 된다.
삽입홈부의 외측 입구부에는 실링부재(72a)가 설치되어 삽입되는 빨대부재(80)의 둘레면에 밀착되면서 빨대부재(80)가 삽입되는 본체프레임(30)의 내측 공간 및 젖꼭지부재(34)의 내부 공간에 진공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유아가 빠는 힘에 의해 우유병으로부터 우유가 빨대부재(80)를 따라 젖꼭지부재(34)까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빨대부재(80)의 둘레면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마개부재(84)가 설치되므로 빨대부재(80)를 삽입홀부(72)에 삽입한 후에 마개부재(84)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삽입홀부(72) 입구에 밀착시키면 실링부재(72a)와 마개부재(84)가 밀착되면서 빨대부재(80)와 삽입홀부(72) 사이의 간격을 밀폐시키면서 삽입홀부(72)의 내측 공간 및 젖꼭지부재(34)의 내부 공간에 보다 더 효과적으로 진공이 형성되면서 우유가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빨대부재(80)를 삽입홀부(72)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레버부재(77a)를 슬라이딩시키면 해제와이어(77)를 당기는 장력이 발생되어 각각의 걸림후크(76)가 동시에 후퇴하게 되어 착탈홈부(82)로부터 분리되고, 이때, 해제통로(78a)를 따라 당겨지는 해제와이어(77)는 해제통로(78a)에 설치되는 가이드링부재(78)를 통과하여 레버부재(77a) 측으로 연장방향의 굴곡되어 4개의 해제와이어(77)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레버부재(77a)에 연결된다.
따라서 레버부재(77a)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4개의 해제와이어(77)가 모두 당겨지면서 4개의 걸림후크(76)를 후퇴시키게 된다.
이로써, 미세먼저 농도가 높은 날 야외에 있는 유아의 코와 입을 가릴 수 있어 미세 먼지 등의 유해물질이 유아의 호흡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아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공갈젖꼭지를 물을 수 있으며, 유아가 공갈젖꼭지를 문 상태에서 우유를 음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마스크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마스크본체 12 : 걸이부재
14 : 장착홀부 16 : 길이조절부
17 : 고정와이어 18 : 고정홀부재
30 : 본체프레임 32 : 손잡이부
34 : 젖꼭지부재 36 : 연결홀부
50 : 고정프레임 52 : 통과홀부
54 : 후크부재 70 : 착탈부
72 : 삽입홀부 72a : 실링부재
74 : 작동공간부 76 : 걸림후크
76a : 탄성부재 77 : 해제와이어
77a : 레버부재 78 : 가이드링부재
78a : 해제통로 79 : 가이드홀부
80 : 빨대부재 82 : 착탈홈부
84 : 마개부재

Claims (3)

  1. 유아의 호흡기를 감쌀 수 있도록 섬유재질, 종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장착홀부가 형성되는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본체 양단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아의 귀에 걸려 상기 마스크본체가 유아의 얼굴에 밀착되게 하는 걸이부재;
    상기 장착홀부에 설치되고,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마스크본체 내측으로 연장되는 젖꼭지부재;
    상기 본체프레임과 대향되게 상기 마스크본체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마스크본체를 변형시키면서 상기 본체프레임에 걸림결합되며, 상기 젖꼭지부재가 통과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걸이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마스크본체가 유아의 얼굴에 밀착되게 하는 길이조절부;
    상기 마스크본체 상단 테두리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유압의 콧등 측으로 가압하면 유압의 콧등 모양으로 굴곡되고, 굴곡된 형상을 유지하여 상기 마스크본체와 얼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와이어; 및
    상기 본체프레임에 구비되고, 젖병으로부터 연장되는 빨대부재를 상기 젖꼭지부재 내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빨대부재가 상기 젖꼭지부재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배면까지 형성되고, 상기 젖꼭지부재의 내부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형성되는 삽입홀부;
    상기 삽입홀부의 내벽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작동공간부;
    상기 작동공간부로부터 상기 삽입홀부 내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 개가 서로 대향되게 출몰되면서 상기 삽입홀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걸림후크;
    상기 걸림후크와 상기 작동공간부 내벽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작동후크를 상기 삽입홀부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상기 걸림후크의 배면에 연결되어 상기 삽입홀부 외곽에 형성되는 해제통로를 따라 원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해제와이어; 및
    복수 개의 상기 해제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본체프레임 외측으로 노출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상기 걸이부재의 하단이 통과되고, 상기 걸이부재의 단면적과 비교하여 좁게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재의 하단이 억지끼움되는 고정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
KR1020180114814A 2018-09-27 2018-09-27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 KR101960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814A KR101960750B1 (ko) 2018-09-27 2018-09-27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814A KR101960750B1 (ko) 2018-09-27 2018-09-27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750B1 true KR101960750B1 (ko) 2019-07-17

Family

ID=6751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814A KR101960750B1 (ko) 2018-09-27 2018-09-27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75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534B1 (ko) 2020-09-04 2021-03-30 황소영 미세먼지 및 비말 차단 기능을 갖는 공갈 젖꼭지
KR20210076478A (ko) * 2019-12-16 2021-06-2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이 울음소리 상쇄 장치
KR200494325Y1 (ko) * 2020-10-16 2021-09-14 구예영 공갈젖꼭지 사용이 가능한 마스크
KR20210114146A (ko) * 2020-03-10 2021-09-2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마스크
KR20220057277A (ko) 2020-10-29 2022-05-09 주식회사 오뉴오니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
IT202100004958A1 (it) * 2021-03-03 2022-09-03 Xenerj S R L Mascherina per bambini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447Y1 (ko) * 1996-10-25 1999-06-01 이건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US20110240587A1 (en) * 2003-09-23 2011-10-06 Cohn William E Baby nipple assembly for use with flexible drink pouches
KR20110125016A (ko) * 2010-05-12 2011-11-18 김규동 공갈 마스크
KR101145442B1 (ko) * 2011-11-08 2012-05-15 도미숙 마스크형 공갈 젖꼭지
US20120261374A1 (en) * 2010-07-30 2012-10-18 Rolesha Brown Baby Nipple Device
KR101492204B1 (ko) * 2013-06-14 2015-02-11 김정섭 마스크
KR200482371Y1 (ko) * 2016-06-21 2017-01-16 정현영 유아용 마스크
JP2017080024A (ja) * 2015-10-27 2017-05-18 品川フアーネス株式会社 防塵マスク
KR101752226B1 (ko) * 2014-07-30 2017-06-30 이승찬 숨쉬기 용이한 기능성 마스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447Y1 (ko) * 1996-10-25 1999-06-01 이건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US20110240587A1 (en) * 2003-09-23 2011-10-06 Cohn William E Baby nipple assembly for use with flexible drink pouches
KR20110125016A (ko) * 2010-05-12 2011-11-18 김규동 공갈 마스크
US20120261374A1 (en) * 2010-07-30 2012-10-18 Rolesha Brown Baby Nipple Device
KR101145442B1 (ko) * 2011-11-08 2012-05-15 도미숙 마스크형 공갈 젖꼭지
KR101492204B1 (ko) * 2013-06-14 2015-02-11 김정섭 마스크
KR101752226B1 (ko) * 2014-07-30 2017-06-30 이승찬 숨쉬기 용이한 기능성 마스크
JP2017080024A (ja) * 2015-10-27 2017-05-18 品川フアーネス株式会社 防塵マスク
KR200482371Y1 (ko) * 2016-06-21 2017-01-16 정현영 유아용 마스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478A (ko) * 2019-12-16 2021-06-2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이 울음소리 상쇄 장치
KR102286220B1 (ko) 2019-12-16 2021-08-0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이 울음소리 상쇄 장치
KR20210114146A (ko) * 2020-03-10 2021-09-2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마스크
KR102401491B1 (ko) * 2020-03-10 2022-05-2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마스크
KR102233534B1 (ko) 2020-09-04 2021-03-30 황소영 미세먼지 및 비말 차단 기능을 갖는 공갈 젖꼭지
KR200494325Y1 (ko) * 2020-10-16 2021-09-14 구예영 공갈젖꼭지 사용이 가능한 마스크
KR20220057277A (ko) 2020-10-29 2022-05-09 주식회사 오뉴오니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
KR102485954B1 (ko) * 2020-10-29 2023-01-09 주식회사 오뉴오니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
IT202100004958A1 (it) * 2021-03-03 2022-09-03 Xenerj S R L Mascherina per bambini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750B1 (ko)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
US5441046A (en) Quick release mechanism for nasal and/or oral gas delivery mask
US4985968A (en) Fastener means for pacifiers, toys, badges and like articles
JP5007866B2 (ja) 乳房シールドを支持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デバイス
KR200482371Y1 (ko) 유아용 마스크
US4896666A (en) Face mask assembly and pacifier
US20080215092A1 (en) Pacifier Coupling System
US5868131A (en) Baby's breathing aid
US20100234887A1 (en) Pacifier Coupling System
US20120016416A1 (en) Teething Glove
KR101145442B1 (ko) 마스크형 공갈 젖꼭지
US6076526A (en) Mouth breathing preventer
US9272109B2 (en) Cushion coupling assembly
US5515870A (en) Thumb and finger sucking prevention device
KR200476793Y1 (ko) 젖병용 젖꼭지
US20030037363A1 (en) Res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its use to assist in breast feeding
US20200352828A1 (en) Apparatus Useful for Infant Teething and Suckling
JP3403599B2 (ja) 子守り帯
US5827527A (en) Medicated candy product
US20160316826A1 (en) Hands-free bra tool kit system
CN218045894U (zh) 奶嘴辅助器和带有奶嘴辅助器的奶嘴
US11426331B2 (en) Pacifier for infants
KR101403023B1 (ko) 산모용 모유 수유복
JP6943375B2 (ja) 医療用マスク
US11446213B2 (en) Teething growth device having wrist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