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204B1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204B1
KR101492204B1 KR20130068290A KR20130068290A KR101492204B1 KR 101492204 B1 KR101492204 B1 KR 101492204B1 KR 20130068290 A KR20130068290 A KR 20130068290A KR 20130068290 A KR20130068290 A KR 20130068290A KR 101492204 B1 KR101492204 B1 KR 101492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ask
lid
whist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8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758A (ko
Inventor
김정섭
Original Assignee
김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섭 filed Critical 김정섭
Priority to KR20130068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204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6Adaptations for consuming refreshments without unmask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62B7/04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and lung-controlled oxygen or ai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24Reducing drag or turbulence in air or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마스크의 덮개부 일부분에 실리콘 재질의 밀착패드를 형성하여 착용시 밀착력을 높여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입부분에 개구부와 개폐조절부를 형성하여 호루라기나 음료의 빨대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이 간편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양끝에 걸이끈이 각각 형성되고 사람의 코와 입을 가려져 덮을 수 있도록 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 일정부분에 형성되어 안면부와 밀착되도록 한 밀착패드와, 상기 덮개부의 중앙 입부분에 형성되는 개구부와,상기 개구부가 외력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한 개폐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마스크의 덮개부 일부분에 실리콘 재질의 밀착패드를 형성하여 착용시 밀착력을 높여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입부분에 개구부와 개폐조절부를 형성하여 호루라기나 음료의 빨대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이 간편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병원균 또는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코나 입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막아주도록 안면에 착용하는 것으로, 코와 입을 막아주는 덮개부분과 귀에 걸 수 있도록 한 걸이끈으로 구성되어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마스크는 음료를 섭취하거나 대화시에 마스크 전체를 걷어내거나 일부분을 들어올리는 동작을 해야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이 과정에서 이물질이 마스크 내측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로에서 교통정리를 하는 교통경찰의 경우 마스크를 착용하고 호루라기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감기가 유행하는 겨울철이나 자동차의 배기가스 도로에서 발생하는 분진 등에 의해서 교통경찰의 건강상태가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특허 제10-1995-0009321호(귀덮개와 입부분 개폐수단을 구비한 마스크)는 마스크의 전면부 중앙 입부분에 해당되는 곳에 개방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개방통공 주변에 접착수단(벨크로 테이프)을 마련하여 접착수단에 의해 입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한 개폐수단과, 마스크의 전면부 양측에 측면부를 연설하고 측면부 단부에는 귀덮개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귀를 감싸면서 걸리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접착수단과 개폐수단은 벨크로 테이프의 접착원리로 작동되기 때문에 사용시에 일일이 손으로 떼었다 붙이는 과정을 반복하기에 사용이 불편하고, 귀덮개를 착용자의 귀를 감싸면서 걸리도록 한 구성은 착용이 번거롭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스크의 형태가 아닐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② 실용신안 제20-0252787호(마스크)에는 사람의 코와 입을 덮는 덮개의 중심부에 개구가 형성되는 덮개부, 덮개부의 외측에 밴드나 끈이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개구의 외측에 부착되는 플렉시블 관의 외측면에 호루라기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는 플렉시블부로 이루어진 기술이다. 그러나 호루라기를 불거나 빨대를 통해 음료를 흡입하기 위해서는 삽입공에 완전히 밀착되어 공기가 통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호루라기의 입구부분과 빨대의 모양과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호루라기와 빨대를 병행하면서 사용하기 어렵고 사용과정에서 플랙시블 관 내부로 침이나 음료가 유입될 뿐만 아니라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끼워진 호루라기를 입에서 잠시 뗄 경우 호루라기가 빠지거나, 마스크가 흘러내려 호루라기가 사용자의 입부분에 위치하지 않고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므로 사용자는 직접 손으로 호루라기를 잡고 입부분에 다시 가져간 다음 입으로 물어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마스크의 덮개부 일부분에 밀착패드를 형성하여 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과 밀착되도록 하여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입부분에 개구부와 개폐조절부가 형성되어 마스크 착용시에도 호루라기 사용 또는 빨대를 통해 음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는 마스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양끝에 걸이끈이 각각 형성되고 사람의 코와 입을 가려져 덮을 수 있도록 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 일정부분에 형성되어 사람의 안면부와 밀착되도록 한 밀착패드와, 상기 덮개부의 중앙 입부분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가 외력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한 개폐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착패드는 실리콘으로 구비되고 착용시 볼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밀착패드는 실리콘으로 구비되고 착용시 코를 기준으로 아랫부분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착패드는 중앙에 콧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조절부는 개구부에 탄성력을 가지는 차단막이 서로 맞닿게 형성하여 평상시에는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호루라기 사용시 차단막이 내측으로 휘어져 개방되면서 호루라기가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스크의 덮개부 일부분에 밀착패드를 형성하여 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과 밀착되도록 하여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입부분에 개구부와 개폐조절부가 형성되어 마스크 착용시에도 호루라기 사용 또는 빨대를 통해 음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평상시 개폐조절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호루라기 삽입시 개폐조절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개폐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패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마스크는 양끝에 걸이끈(11)이 각각 형성되고 사람의 코와 입을 가려져 덮을 수 있도록 한 덮개부(10)와, 상기 덮개부(10) 일정부분에 형성되어 사람의 안면부와 밀착되도록 한 밀착패드(20)와, 상기 덮개부(10)의 중앙 입부분에 형성되는 개구부(30)와, 상기 개구부(30)가 외력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한 개폐조절부(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통상적으로 마스크는 착용한 상태에서 호루라기(H)나 빨대 등을 사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마스크 중앙에 개구부를 형성하였지만 개구부와 호루라기(H)의 크기가 서로 정확하게 일치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는바, 개구부의 공간을 통해 병원균, 먼지,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마스크가 흘러내려 개구부가 사용자의 입부분에 위치하지 않아 일일이 손으로 위치를 잡아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덮개부(10)에 형성된 개구부(30)와 개폐조절부(40)를 통해 호루라기(H)나 빨대 등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개폐조절부(40)에 의해 평상시에는 닫혀있는 상태로 두어 이물질의 유입을 막고 사용시에는 외력에 의해 열린 상태로 호루라기(H)나 빨대 등을 지지하면서 안정된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고, 덮개부(10)에 형성된 밀착패드(20)를 통해 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마스크의 착용을 올바르게 하고, 개구부(30)가 항상 사용자의 입부분에 위치하도록 하여 호루라기(H)나 빨대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덮개부(10)는 병원균, 먼지, 기타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재질이 천으로 되어 있으며 덮개부(10)의 양끝에는 귀에 걸어 얼굴에 고정되도록 한 걸이끈(11)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에 맞게 걸이끈(11)의 길이를 조정하여 귀에 걸어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밀착패드(20)는 덮개부(10)의 일정부분에 형성되는데 재질은 실리콘으로 구비하여 덮개부(10)내측에 봉제 또는 접착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실리콘 특유의 피부와 접착하려는 성질에 의해 마스크 착용시 밀착패드(20)가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한 상태로 밀착되어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마스크의 들뜸 현상을 막아주어 틈새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밀착패드(20)는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시 양쪽 볼부분에 위치하도록 하여 착용시 밀착패드(20)가 볼부분만 잡아주어 전체적으로 마스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패드(20)가 착용시 코를 기준으로 아랫부분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할 경우 밀착패드(20)의 접촉면적이 늘어나게 되므로 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밀착패드(20)의 중앙에는 코로 숨 쉬는 부분을 좀더 확보하고자 콧날부(21)를 아래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구부(30)는 덮개부(10)의 중앙 입부분에 장방형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호루라기(H)의 입구부분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마스크 내측으로 호루라기(H)의 입구부분이 여유있게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개구부(30)에 개폐조절부(40)를 형성하여 개구부(30)의 개폐상태를 조절하여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을 막고 호루라기(H)나 빨대 등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개폐조절부(40)는 밀착패드(20)와 동일한 실리콘으로 구비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개구부(30) 내측에 탄성력을 가지는 차단막(41)이 서로 맞닿게 형성하여 차단된 상태를 이룬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호루라기(H)의 입구부분을 개구부(30) 내측으로 밀어넣게 되면 차단막(41)이 호루라기(H)에 의해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마스크 안쪽으로 삽입되어 사용자는 별도의 개폐동작을 하지 않고 개폐가 용이하여 호루라기(H) 사용이 간편하고, 상기 차단막(41)의 탄성력 의해 호루라기(H)를 입으로 물고 있거나 손으로 잡고 있지 않아도 고정해줄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개폐조절부(40)는 도 3 내지 4와 같이 덮개부(10)의 절개된 부분보다 크게 형성하여 덮개부(10)의 내측에서 접착하여 코팅하거나 봉제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고, 도 5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10)의 절개된 부분과 동일한 크기로 구비하여 테두리를 봉제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조절부(40)의 차단막(41)은 적어도 두 군데 이상 형성하여 호루라기(H)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밀착패드(20)에 의해 마스크가 흘러내리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마스크가 들뜨지 않고 올바른 착용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마스크의 덮개부(10) 중앙 입부분에 개구부(30)를 형성하여 마스크 착용시에도 호루라기(H)나 음료의 빨대사용이 용이하고, 상기 개구부(30)에는 외력에 의해 자동개폐될 수 있도록 한 개폐조절부(40)를 형성하여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개폐동작이 간편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H : 호루라기 10 : 덮개부
11 : 걸이끈 20 : 밀착패드
21 : 콧날부 30 : 개구부
40 : 개폐조절부 41 : 차단막

Claims (5)

  1. 양끝에 걸이끈(11)이 각각 형성되고 사람의 코와 입을 가려져 덮을 수 있도록 한 덮개부(10)와,
    상기 덮개부(10) 일정부분에 형성되어 사람의 안면부와 밀착되도록 한 밀착패드(20)와,
    상기 덮개부(10)의 중앙 입부분에 형성되는 개구부(30)와,
    상기 개구부(30)가 외력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한 개폐조절부(4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조절부(40)는 실리콘 재질로 구비되는 한편,
    덮개부(10) 내측에 접착되거나 덮개부(10)에 연이어 봉제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차단막(41)이 서로 맞닿게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호루라기(H) 사용시 차단막(41)이 내측으로 휘어져 개방되면서 호루라기(H)가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패드(20)는 실리콘으로 구비되고 착용시 볼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패드(20)는 실리콘으로 구비되고 착용시 코를 기준으로 아랫부분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패드(20)는 중앙에 콧날부(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삭제
KR20130068290A 2013-06-14 2013-06-14 마스크 KR101492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290A KR101492204B1 (ko) 2013-06-14 2013-06-14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290A KR101492204B1 (ko) 2013-06-14 2013-06-14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758A KR20140145758A (ko) 2014-12-24
KR101492204B1 true KR101492204B1 (ko) 2015-02-11

Family

ID=5259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8290A KR101492204B1 (ko) 2013-06-14 2013-06-14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204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750B1 (ko) * 2018-09-27 2019-07-17 주식회사 한솔글로벌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
KR102030672B1 (ko) 2019-05-27 2019-10-10 박일규 알약 분쇄장치
KR102092784B1 (ko) 2019-06-18 2020-03-24 박혜진 마스크
KR102307556B1 (ko) 2020-09-29 2021-09-29 송원남 방역 위생 마스크
KR20210128698A (ko) 2020-04-17 2021-10-27 김세란 개폐부재를 갖는 마스크
KR20220000525U (ko) 2020-08-26 2022-03-07 정재원 마스크용 음료 흡입구 조립 세트
KR20220073071A (ko) 2020-11-26 2022-06-03 유동하 착용 끈에 쿠션 패드가 구비된 마스크
USD958322S1 (en) 2020-07-21 2022-07-19 Sallc Inc. Face covering
KR20230050615A (ko) 2021-10-08 2023-04-17 진성복 빨대 수용이 가능한 마스크
KR20230050616A (ko) 2021-10-08 2023-04-17 진성복 기능성 마스크
KR20230050614A (ko) 2021-10-08 2023-04-17 진성복 빨대 수용이 가능한 마스크
KR20230056952A (ko)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네오팩토리 스티커 부착형 빨대 음용부를 갖는 마스크
KR20230121380A (ko) 2022-02-11 2023-08-18 한귀남 It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0459A (zh) * 2017-03-10 2017-05-31 宝鸡市交通信息工程研究所 具有安全警示功能的电动助吸防雾霾口罩
KR102091347B1 (ko) * 2019-04-12 2020-03-19 이의용 필터 교환형 미세 먼지 마스크
CN110169614A (zh) * 2019-06-28 2019-08-27 华新医材股份有限公司 吸食防护口罩及其阀结构
KR102401491B1 (ko) * 2020-03-10 2022-05-2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마스크
IT202000001924U1 (it) * 2020-04-27 2021-10-27 Matteo Bottin Dispositivo perfezionato di protezione delle vie respiratorie
IT202000016180A1 (it) * 2020-07-03 2022-01-03 Messina Giovanni Mascherina protettiva per uso con strumenti musicali
KR102390529B1 (ko) * 2020-09-28 2022-04-25 최해용 빨대용 마스크
KR20220131686A (ko) 2021-03-22 2022-09-29 김형석 지퍼식 개폐구를 구비한 리필형 미세먼지 마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1131A (ko) * 1994-05-02 1995-12-18 이성만 귀덮개와 개방구조를 구비한 마스크
JP2006198305A (ja) * 2005-01-24 2006-08-03 Kunitada Takahashi マスク
JP2011045661A (ja) * 2009-08-28 2011-03-10 Atsuo Nozaki マスク
JP5143970B1 (ja) * 2012-07-03 2013-02-13 株式会社ビー・エヌ マス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1131A (ko) * 1994-05-02 1995-12-18 이성만 귀덮개와 개방구조를 구비한 마스크
JP2006198305A (ja) * 2005-01-24 2006-08-03 Kunitada Takahashi マスク
JP2011045661A (ja) * 2009-08-28 2011-03-10 Atsuo Nozaki マスク
JP5143970B1 (ja) * 2012-07-03 2013-02-13 株式会社ビー・エヌ マスク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750B1 (ko) * 2018-09-27 2019-07-17 주식회사 한솔글로벌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
KR102030672B1 (ko) 2019-05-27 2019-10-10 박일규 알약 분쇄장치
KR102092784B1 (ko) 2019-06-18 2020-03-24 박혜진 마스크
KR20210128698A (ko) 2020-04-17 2021-10-27 김세란 개폐부재를 갖는 마스크
USD958322S1 (en) 2020-07-21 2022-07-19 Sallc Inc. Face covering
KR20220000525U (ko) 2020-08-26 2022-03-07 정재원 마스크용 음료 흡입구 조립 세트
KR102307556B1 (ko) 2020-09-29 2021-09-29 송원남 방역 위생 마스크
KR20220073071A (ko) 2020-11-26 2022-06-03 유동하 착용 끈에 쿠션 패드가 구비된 마스크
KR20230050615A (ko) 2021-10-08 2023-04-17 진성복 빨대 수용이 가능한 마스크
KR20230050616A (ko) 2021-10-08 2023-04-17 진성복 기능성 마스크
KR20230050614A (ko) 2021-10-08 2023-04-17 진성복 빨대 수용이 가능한 마스크
KR20230056952A (ko)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네오팩토리 스티커 부착형 빨대 음용부를 갖는 마스크
KR20230121380A (ko) 2022-02-11 2023-08-18 한귀남 It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758A (ko)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204B1 (ko) 마스크
KR101140281B1 (ko) 코, 입 분리형 마스크
KR200485363Y1 (ko) 걸이 밴드 길이 조절구가 구비된 호흡기용 보건 마스크
US20170113076A1 (en) Clothing with built-in respiratory filter
KR100920512B1 (ko) 다기능 마스크
US20150034098A1 (en) Air filtration mask with opening front cover
KR200485969Y1 (ko) 안면 밀착형 마스크
US6076526A (en) Mouth breathing preventer
WO2015035101A2 (en) Facemask with filter insert for protection against airborne pathogens
KR101578506B1 (ko) 마스크
US11738217B2 (en) Head encapsulation unit
JP2001161843A (ja) マスク
KR20110003477U (ko) 마스크
EP1543737A3 (en) Facemask-inbuilt medical hood structure
KR102307556B1 (ko) 방역 위생 마스크
KR200493803Y1 (ko) 탈부착 가능한 프레임 마스크
KR102248632B1 (ko) 코 호흡기
US20220134141A1 (en) Sealable face mask
JP3228819U (ja) マスク用取り付け排気弁
KR102052410B1 (ko) 미세먼지 및 자외선 차단 겸용 코 마스크
KR200492417Y1 (ko) 마스크
JP3046342U (ja) 睡眠時の鼻呼吸用マスク
KR200442276Y1 (ko) 귀 가리개가 부착된 안면 햇볕가리개
CN212233183U (zh) 一种新型口罩
WO2011038580A1 (zh) 面部防护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