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277A -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 - Google Patents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277A
KR20220057277A KR1020200142368A KR20200142368A KR20220057277A KR 20220057277 A KR20220057277 A KR 20220057277A KR 1020200142368 A KR1020200142368 A KR 1020200142368A KR 20200142368 A KR20200142368 A KR 20200142368A KR 20220057277 A KR20220057277 A KR 20220057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pacifier
mask
filter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5954B1 (ko
Inventor
김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뉴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뉴오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뉴오니
Priority to KR1020200142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954B1/ko
Priority to PCT/KR2021/013534 priority patent/WO2022092601A1/ko
Publication of KR20220057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25Teats hav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5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아가 호흡시 비말, 미세먼지, 바이러스와 같은 오염물질이 영아의 들숨에 편승하여 영아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는 영아의 안면에 장착되는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에 상기 영아의 호흡기를 외기로부터 차단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영아가 호흡시 들숨에 편승되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필터유닛과; 상기 마스크본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영아가 입으로 물 수 있도록 상기 영아의 구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영아의 윗잇몸과 아랫잇몸이 고르게 배열될 수 있도록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의 상단과 하단이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물림부재를 갖는 공갈젖꼭지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Apparatus for mask with immitation nipple}
본 발명은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아가 호흡시 비말, 미세먼지, 바이러스와 같은 오염물질이 영아의 들숨에 편승하여 영아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천으로 된 본체 양단에 천, 고무줄로 된 끈은 연결하여 안면에 착용하는 것으로 호흡시 비말, 미세먼지, 바이러스와 같은 오염물질이 들숨에 편승하여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물품이다.
최근 미세먼지와 바이러스의 위험도가 증가함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한 마스크의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생후 2~3년 내의 영아의 경우에는 호흡기를 보호함에 있어 보호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영아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마스크를 착용 시 불편하게 생각하여 보호자의 관리감독이 소홀할 때 마스크를 벗어 호흡기가 오염물질에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영아의 호흡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영아가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된 마스크가 필요하나, 현재 시판되는 마스크 중에서는 영아의 착용에 대한 거부감이 경감된 마스크가 부재상태인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 10-1960750 호에는 영아의 귀에 걸어 호흡기를 감싸도록 착용 가능한 마스크와, 마스크에 설치되어 영아가 구강으로 빨 수 있도록 된 젖꼭지부재를 갖는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 10-2011-0125016 호에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구비되는 젖꼭지부를 통해 마스크를 쓰지 않으려나 아기나 유아 등에게 마스크 착용을 유도하기 위한 "공갈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공갈젖꼭지라 함은 노리개젖꼭지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출생 후 약 2~3년 이내 어머니의 젖꼭지를 물고 자라는 구강기 시기의 영아가 입에 넣고 물거나 빨 수 있도록 투명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젖꼭지 형상의 용품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공갈젖꼭지는 구강기의 영아가 입, 입술, 혀, 잇몸과 같은 구강 주위의 자극으로부터 쾌감을 느끼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영아가 입으로 규칙적인 리듬을 발생시킴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게 하여 그 중요도가 높다.
이러한 공갈젖꼭지를 마스크에 장착시킴으로써 영아가 갖는 마스크에 대한 거부감을 경감시켜 영아가 장시간 마스크를 착용하게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갈젖꼭지가 장착된 마스크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시간과 비례하여 영아의 잇몸 또는 유치에 의해 물리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공갈젖꼭지가 장착된 마스크는 공갈젖꼭지의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영아가 공갈젖꼭지를 물거나 빨 때 영아의 윗잇몸과 아랫잇몸이 불균형하게 공갈젖꼭지에 접촉되게 된다. 이로인해 생후 6개월 이후부터 영아의 유치가 자라는데 윗니와 아랫니가 상호 평행하지 않고 틀어지게 자랄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960750 호 :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125016 호 : 공갈 마스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아의 마스크 착용에 대한 거부감을 경감시켜 영아의 마스크 착용을 유도하고, 영아가 공기 또는 비말을 통한 감염의 위험에 노출되는 위험을 경감할 수 있는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아가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영아의 유치가 고르게 자라도록 영아의 윗잇몸과 아랫잇몸을 평행하게 배열하는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는 영아의 안면에 장착되는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에 상기 영아의 호흡기를 외기로부터 차단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영아가 호흡시 들숨에 편승되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필터유닛과; 상기 마스크본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영아가 입으로 물 수 있도록 상기 영아의 구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영아의 윗잇몸과 아랫잇몸이 고르게 배열될 수 있도록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의 상단과 하단이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물림부재를 갖는 공갈젖꼭지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스크본체는 상기 마스크본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영아의 호흡기를 가리도록 상기 영아의 안면에 장착되며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가림막과, 상기 가림막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가림막을 상기 영아의 안면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영아의 귀에 걸 수 있는 한 쌍의 걸림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가림막의 관통공을 차단하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림막의 관통공을 차단하도록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림막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필터가 수용되어 필터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수 있도록 필터수용홈이 인입 형성되며 공기가 상기 필터수용홈에 장착된 상기 필터를 통해 소통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수용홈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호흡구가 관통 형성된 삼킴방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물림부재는 일측이 상기 삼킴방지판의 타면에 고정되어 상기 영아의 구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종단부로부터 상기 연장부보다 더 큰 너비로 연장형성되는 꼭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의 상단과 하단이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림막은 상기 영아가 성장함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영아의 얼굴형상에 맞춰 재단할 수 있도록 절취선이 표시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림막은 두께방향의 일측부에 상기 영아의 안면이 장착되는 일측에 상기 영아의 호흡기가 수용되면서 가장자리가 상기 영아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오목부가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상기 걸림고리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쌍의 걸림고리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공갈젖꼭지유닛은 상기 영아의 윗잇몸과 아랫잇몸이 접촉되는 상기 물림부재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상기 영아의 윗잇몸과 아랫잇몸을 자극하도록 돌출 형성된 잇몸자극돌기를 더 구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림막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영아의 안면에 상기 가림막이 밀착됨에 의해 상기 영아의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피부보호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림막은 상기 영아의 구강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영아의 타액이 배출될 수 있는 타액배출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타액배출공에 설치되어 상기 영아의 타액은 배출시키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은 차단할 수 있는 타액배출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는 마스크에 영아가 물거나 빨 수 있도록 물림부재를 구비하는 공갈젖꼭지유닛이 장착되어 영아의 마스크 착용에 대한 거부감을 경감시킴으로써 영아가 공기 또는 비말을 통해 감염될 수 있는 위험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는 영아가 물거나 빨 수 있도록 된 물림부재가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의 상단과 하단이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어 영아가 물었을때 윗잇몸과 아랫잇몸이 상호 평행하게 배열됨으로써 유치가 틀어지지 않고 고르게 자라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가 영아의 안면에 착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의 가림막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의 공갈젖꼭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내지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는 영아의 안면에 장착되는 마스크본체(10)와, 상기 마스크본체(10)에 상기 영아의 호흡기를 외기로부터 차단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영아가 호흡시 들숨에 편승되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필터유닛(50)과, 상기 마스크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영아가 입으로 물 수 있는 물림부재(35)를 갖는 공갈젖꼭지유닛(30)을 구비한다.
상기 마스크본체(10)는 상기 영아의 호흡기를 가리도록 상기 영아의 안면에 장착되며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가림막(11)과, 상기 가림막(11)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가림막을 상기 영아의 안면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영아의 귀에 걸 수 있는 한 쌍의 걸림고리(19)를 구비한다.
상기 가림막(11)은 소정 두께를 가지며 상기 영아의 안면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막(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림막(11)은 실리콘, 고무, 비닐 등과 같은 가요성 및 차폐성을 갖는 소재로 제작된다. 상기 가림막(11)은 상기 영아의 안면이 수용되는 두께방향의 일측부에 상기 영아의 호흡기가 수용되면서 가장자리가 상기 영아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오목부(12a,14a,15a)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림막(11)은 상부에 상기 영아의 코와 대응되는 형상의 코 가림부(12)와, 상기 코 가림부(12)의 하부에 관통공(13)이 관통형성된 입 가림부(14)와, 상기 입 가림부(14)의 하부에 상기 영아의 턱과 대응되는 형상의 턱 가림부(15)로 구분된다. 상기 코 가림부(12), 상기 입 가림부(14), 상기 턱 가림부(15)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코 가림부(12)는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진행될 수록 넓어지되, 두께 방향의 일측부가 오목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영아의 콧등이 수용될 수 있는 코 수용부(12a)가 마련된다.
상기 입 가림부(14)는 상기 코 가림부(12)의 하부로부터 상기 코 가림부(12)의 폭 보다 넓은 폭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영아의 입과, 뺨이 수용될 수 있도록 두께 방향의 일측부가 오목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영아의 입과, 뺨이 수용될 수 있는 입 수용부(14a)가 마련된다. 입 가림부(14)의 내측에는 원형의 관통공(13)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입 가림부(14)의 너비 방향을 따르는 양 측부에는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사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한쌍의 걸림고리결합부(16)가 마련된다. 각 걸림고리결합부(16)에는 후술할 걸림고리(19)가 매듭 결합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걸림고리결합공(16a)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걸림고리(19)는 신축성을 갖는 섬유, 고무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걸림고리(19)는 각 걸림고리결합부(16)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귀에 걸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일측과 타측이 각 걸림고리결합부(16)에 매듭 결합되는 일체의 밴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영아의 머리에 감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턱 가림부(15)는 상기 입 가림부(14)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연장방향의 종단부가 두께방향의 일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영아의 턱이 수용될 수 있는 턱 수용부(15a)가 마련된다.
상기 공갈젖꼭지유닛(30)은 상기 가림막(11)에 결합되는 삼킴방지판(31)과, 상기 삼킴방지판에 설치되어 상기 영아가 입으로 물 수 있는 물림부재(36)를 포함한다.
상기 삼킴방지판(31)은 상기 가림막(11)의 관통공(13)에 장착되어 상기 관통공(13)을 차단할 수 있는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삼킴방지판(31)은 상기 가림막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필터유닛(5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삼킴방지판(31)의 두께방향을 따라 필터수용홈(32)이 인입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삼킴방지판(31)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사방향의 측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삼킴방지판(31)은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사방향의 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가림막(11)이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끼움홈(33)이 인입 형성된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삼킴방지판(31)이 상기 가림막(11)의 관통공(13)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림막(11)이 삼킴방지판(31)의 끼움홈(33)에 끼워짐으로써 삼킴방지판(31)과 가림막(11)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결합부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어떤 결합구조를 갖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삼킴방지판(31)의 상기 필터수용홈(32)의 내측에는 공기가 상기 필터수용홈(32)에 장착된 상기 필터유닛(50)을 통해 소통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호흡구(34a,34b)가 관통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삼킴방지판(31)은 상기 필터수용홈(32)의 내측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 1개의 호흡구(34a,34b)가 관통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필터유닛(50)은 상기 필터수용홈(32)에 수용되어 후술할 필터고정수단(60)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유닛(50)은 공기가 소통되되 비말, 먼지, 분진과 같은 오염물질이 걸러지도록 크기의 미세통공이 형성된 가요성 원단 또는 부직포가 적용된 것이다. 이와 다르게 상기 필터유닛(50)은 서로 다른 종류의 가요성 원단들이 겹쳐지게 구성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유닛(50)은 상기 필터수용홈(32)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수용홈(3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유닛(50)은 원형으로 재단된 것이 적용된다. 이와 다르게 상기 필터유닛(50)은 상기 가림막(11)에 장착될 수 있는 다른 결합구성을 갖는 별도의 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고정수단(60)은 상기 필터유닛(50)이 상기 필터수용홈(32)에 밀착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고정수단(60)은 상기 필터수용홈(3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필터고정수단(60)은 상기 필터유닛(5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노출공(61)이 관통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필터고정수단(60)은 상기 필터수용홈(32)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게 두께방향을 따라 철(凸) 형상을 갖도록 결합돌기(62)가 형성된다. 결합돌기(62)는 판상의 필터고정수단(60)을 가압성형하여 절곡시킴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62)가 상기 필터수용홈(32)에 억지끼움 됨으로써 필토고정수단(6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고정수단(60)은 상기 삼킴방지판(31)의 필터수용홈(32)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삼킴방지판(31)과 결합된다. 상기 필터고정수단(60)은 본 실시예와 같이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필터고정수단(60)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사방향의 외측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삼킴방지판(31)의 상기 필터수용홈(32)의 내주면에 상기 필터고정수단(60)이의 나사선과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 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삼킴방지판(31)의 상기 필터수용홈(32)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필터유닛(50)의 가장자리가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물림부재(36)는 일측이 상기 삼킴방지판(31)의 상기 영아의 구강을 향하는 타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영아의 구강을 향하도록 연장된 것이다. 상기 물림부재(36)는 상기 영아의 물거나 빠는 동작에 의해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고무,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림부재(36)와 상기 삼킴방지판(31)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림부재(36)는 일측이 상기 삼킴방지판(31)의 타면에 고정되어 상기 영아의 구강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연장부(37)와, 상기 연장부(37)의 종단부로부터 상기 연장부(37)보다 더 큰 너비로 연장형성되는 꼭지부(39)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37)와 상기 꼭지부(39)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37) 및 상기 꼭지부(39)는 내측에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영아가 물거나 빠는 동작 시 형상이 탄력적으로 변형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림부재(36)의 상기 연장부(37)는 상기 영아가 물거나 빠는 동작 시 상기 영아의 윗잇몸과 아랫잇몸이 고르게 배열되어 상기 영아의 유치가 틀어지지 않게 자라도록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의 상단과 하단이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37)는 상기 영아가 상기 영아의 입술이 상기 삼킴방지판(31)에 맞닿도록 물었을때 상기 꼭지부(39)가 상기 영아의 혀에 위치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꼭지부(39)는 적당한 직경의 원형단면을 갖는 구 또는 반구 형상으로 연장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꼭지부(39)는 상부가 볼록하고 하부가 평평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는 상기 영아가 상기 물림부재(35)를 구강에 넣은 상태에서 상기 가림막(11)이 상기 영아의 코와 입과 턱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상기 걸림고리(19)를 상기 영아의 머리 또는 귀에 걸어 상기 가림막(11)을 상기 영아의 안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영아가 상기 물림부재(35)를 물거나 빨아 구강을 통한 자극을 얻게 되어 마스크착용에 대한 거부감을 경감함으로써 상기 영아가 공기 또는 비말을 통한 감염에 노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아가 상기 물림부재(35)를 물거나 빨게 되는데, 상기 물림부재(35)의 상기 연장부(37)의 상부와 하부가 평평한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영아의 윗잇몸과 아랫잇몸이 평행하게 정렬되게 된다. 이로인해 상기 영아가 성장함에 따라 자라나는 유치가 어긋나지 않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영아가 호흡함에 따라 상기 영아의 들숨에 편승하는 오염물질이 상기 필터유닛(50)에 의해 상기 영아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됨은 물론이며, 비말로 인한 바이러스로 인해 오염된 상기 필터유닛(50)이 상기 영아의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영아의 피부나 구강접촉을 통해 상기 영아가 오염물질을 섭취하거나 세균이 전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고정수단(60)을 상기 삼킴방지판(31)으로부터 해체하여 오염된 상기 필터유닛(50)을 새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막(11), 상기 걸림고리(19), 상기 공갈젖꼭지 유닛(30)을 분리하여 교체 또는 살균세척을 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공갈젖꼭지 유닛(30)은 상기 가림막(30)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구성을 통해 상기 영아의 성장에 상기 물림부재(35)를 사이즈가 다른 것으로 교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는 가림막(11) 외에 제1 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림막(11)은 상기 영아가 성장함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영아의 얼굴형상에 맞춰 재단할 수 있도록 절취선(12b,15b)이 표시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절취선(12b,15b)은 상기 영아가 성장함에 따라 변화하는 코에 상기 가림막(11)을 재단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코 절취선(12b)과, 변화하는 턱의 형상에 맞춰 재단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턱 절취선(15b)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림막(11)의 코 가림부(12)에 코 형상을 따라 코 절취선(12b)이 표시되고, 상기 턱 가림부(15)에 턱 형상을 따라 턱 절취선(15b)이 형성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는 상기 영아가 성장함에 따라 상기 영아의 안면으로부터 젖살이 빠지며 두드러지는 코와 턱에 상기 가림막(11)을 용이하게 맞추어 상기 영아의 안면과 상기 가림막(11)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상기 필터유닛(50)에 의해 걸러지지 않은 오염물질이 상기 영아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발휘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의 공갈젖꼭지유닛(3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는 공갈젖꼭지유닛(30) 외의 다른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의 상기 공갈젖꼭지유닛(30)은 상기 영아의 윗잇몸과 아랫잇몸이 접촉되는 상기 물림부재(35)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상기 영아의 윗잇몸과 아랫잇몸을 자극하도록 돌출 형성된 잇몸자극돌기(38)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잇몸자극돌기(38)는 상기 물림부재(35)의 상기 연장부(37)에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상기 잇몸자극돌기(38)는 상기 연장부(37)의 상면 및 하면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잇몸자극돌기(38)는 진행될수록 좁아지는 직경을 갖는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잇몸자극돌기(38)는 상기 연장부(37) 또는 상기 꼭지부(39)의 표면으로부터 다각형의 요철 형태로 돌출 형성된 것이 적용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잇몸자극 돌기(38)는 상기 연장부(35)가 아닌 상기 꼭지부(39)에 돌출 형성 될 수도 있으며, 상기 연장부(35) 및 상기 꼭지부(39) 모두의 표면에 돌출 형성 된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는 상기 영아가 상기 물림부재(35)를 물거나 빨때 상기 영아의 잇몸 또는 혀가 상기 잇몸자극 돌기(38)에 의해 자극됨에 따라 상기 영아가 구강기에 성장하는 동안 다양한 자극을 겪게 함으로써 상기 영아의 지능개발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는 피부보호유닛(70) 외의 다른 구성요소가 제1 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는 상기 가림막(11)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영아의 안면에 상기 가림막(11)이 밀착됨에 의해 상기 영아의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피부보호유닛(70)을 더 구비한다.
상기 피부보호유닛(70)은 상기 가림막(11)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피부보호유닛(70)은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가요성 소재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피부보호유닛(70)은 베이비파우더 또는 로션과 같이 상기 영아의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약재가 함침될 수 있도록 미세통공이 형성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피부보호유닛(70)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 피부보호유닛(70)은 상기 가림막(11)의 테두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외측면으로부터 삽입홈(71)이 인입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71)은 인입방향을 따라 진행될수록 넓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림막(11)은 테두리부에 상기 피부보호유닛(70)의 상기 삽입홈(7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진행될수록 넓어지는 단면적을 갖는 테두리고정돌기(18)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가림막(11)은 상기 테두리고정돌기(18)가 상기 피부보호유닛(70)의 상기 삽입홈(71)에 끼워짐으로써 이탈이 차단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는 상기 피부보호유닛(70)에 의해 상기 가림막(11)이 상기 영아의 피부로부터 미끄러져 상기 영아의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미세통공이 형성된 상기 피부보호유닛(70)은 상기 피부보호유닛(70)에 베이비파우더 또는 로션과 같은 약재를 함침시켜 상기 영아의 안면과 상기 가림막(11) 또는 상기 피부보호유닛(70)이 밀착하는 상기 영아의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약재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는 가림막(11) 및 타액배출유닛(80) 외의 다른 구성요소가 제1 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는 상기 가림막(11)의 상기 영아의 구강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영아의 타액은 배출시키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은 차단할 수 있는 타액배출유닛(80)을 더 구비한다.
상기 가림막(11)은 상기 영아의 구강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영아의 타액이 배출될 수 있는 타액배출공(17)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타액배출유닛(80)은 상기 타액배출공(17)에 설치된다. 상기 타액배출유닛(80)은 상기 타액이 자중에 의해 열릴 수 있는 체크밸브가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타액배출유닛(80)은 일측이 상기 가림막(11)의 외부에 노출되는 일면에서 상기 타액배출공(17)과 인접한 위치에 부착되는 부착부(81)와, 타측이 상기 타액배출공(17)을 덮도록 설치되는 접힘부(82)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부(81)와 상기 접힘부(82)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접힘부(82)가 상기 타액의 자중에 의해 접히기 용이하도록 상기 부착부(81)와 상기 접힘부(82)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상기 부착부(81) 및 상기 접힘부(82)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게 하도록 접힘홈(83)이 인입 형성된다.
상기 타액배출유닛(80)은 상기 타액에 의해 젖어 찢어지거나 외력에 의해 구겨지지 않으면서 상기 타액의 자중에 의해 접힐 수 있도록 방수코팅처리된 종이가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는 상기 영아의 타액이 상기 가림막(11)과 상기 영아의 안면 사이에 고여 미생물이 번식하거나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게 하며 보호자가 상기 타액배출유닛(80)을 통해 배출되는 타액을 닦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더욱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 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마스크본체 11 : 가림막
19 : 걸림고리 30 : 공갈젖꼭지유닛
31 : 삼킴방지판 35 : 물림부재
37 : 연장부 39 : 꼭지부
50 : 필터유닛 60 : 필터고정수단
70 : 피부보호유닛 80 : 타액배출유닛

Claims (8)

  1. 영아의 안면에 장착되는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에 상기 영아의 호흡기를 외기로부터 차단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영아가 호흡시 들숨에 편승되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필터유닛과;
    상기 마스크본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영아가 입으로 물 수 있도록 상기 영아의 구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영아의 윗잇몸과 아랫잇몸이 고르게 배열될 수 있도록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의 상단과 하단이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물림부재를 갖는 공갈젖꼭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는 상기 영아의 호흡기를 가리도록 상기 영아의 안면에 장착되며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가림막과, 상기 가림막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가림막을 상기 영아의 안면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영아의 귀에 걸 수 있는 한 쌍의 걸림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가림막의 관통공을 차단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갈젖꼭지유닛은
    상기 가림막의 관통공을 차단하도록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림막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필터가 수용되어 필터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수 있도록 필터수용홈이 인입 형성되며 공기가 상기 필터수용홈에 장착된 상기 필터를 통해 소통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수용홈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호흡구가 관통 형성된 삼킴방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물림부재는 일측이 상기 삼킴방지판의 타면에 고정되어 상기 영아의 구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종단부로부터 상기 연장부보다 더 큰 너비로 연장형성되는 꼭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의 상단과 하단이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상기 영아가 성장함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영아의 얼굴형상에 맞춰 재단할 수 있도록 절취선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두께방향의 일측부에 상기 영아의 안면이 장착되는 일측에 상기 영아의 호흡기가 수용되면서 가장자리가 상기 영아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오목부가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상기 걸림고리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쌍의 걸림고리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갈젖꼭지유닛은 상기 영아의 윗잇몸과 아랫잇몸이 접촉되는 상기 물림부재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상기 영아의 윗잇몸과 아랫잇몸을 자극하도록 돌출 형성된 잇몸자극돌기를 더 구비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영아의 안면에 상기 가림막이 밀착됨에 의해 상기 영아의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피부보호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상기 영아의 구강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영아의 타액이 배출될 수 있는 타액배출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타액배출공에 설치되어 상기 영아의 타액은 배출시키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은 차단할 수 있는 타액배출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
KR1020200142368A 2020-10-29 2020-10-29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 KR102485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368A KR102485954B1 (ko) 2020-10-29 2020-10-29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
PCT/KR2021/013534 WO2022092601A1 (ko) 2020-10-29 2021-10-19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368A KR102485954B1 (ko) 2020-10-29 2020-10-29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277A true KR20220057277A (ko) 2022-05-09
KR102485954B1 KR102485954B1 (ko) 2023-01-09

Family

ID=81382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368A KR102485954B1 (ko) 2020-10-29 2020-10-29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5954B1 (ko)
WO (1) WO202209260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5490A (ko) * 2009-09-04 2011-03-10 김종원 기능성 마스크
KR20110125016A (ko) 2010-05-12 2011-11-18 김규동 공갈 마스크
KR101578506B1 (ko) * 2014-11-11 2015-12-18 주식회사 휴먼퍼스트 마스크
KR101653608B1 (ko) * 2016-04-15 2016-09-09 주식회사 고스디자인 반려동물용 황사 방지 마스크
JP2018122050A (ja) * 2017-02-03 2018-08-09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おしゃぶり
KR101960750B1 (ko) 2018-09-27 2019-07-17 주식회사 한솔글로벌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4417A (ja) * 2001-02-27 2003-01-28 Taiji Nishimura おしゃぶり
JP2003284762A (ja) * 2002-03-28 2003-10-07 Koshin Baby Co Ltd おしゃぶり
US7134432B2 (en) * 2004-05-25 2006-11-14 Thomas Olsen Infant breathing aid apparatus
KR101145442B1 (ko) * 2011-11-08 2012-05-15 도미숙 마스크형 공갈 젖꼭지
KR200482371Y1 (ko) * 2016-06-21 2017-01-16 정현영 유아용 마스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5490A (ko) * 2009-09-04 2011-03-10 김종원 기능성 마스크
KR20110125016A (ko) 2010-05-12 2011-11-18 김규동 공갈 마스크
KR101578506B1 (ko) * 2014-11-11 2015-12-18 주식회사 휴먼퍼스트 마스크
KR101653608B1 (ko) * 2016-04-15 2016-09-09 주식회사 고스디자인 반려동물용 황사 방지 마스크
JP2018122050A (ja) * 2017-02-03 2018-08-09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おしゃぶり
KR101960750B1 (ko) 2018-09-27 2019-07-17 주식회사 한솔글로벌 공갈젖꼭지 겸용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2601A1 (ko) 2022-05-05
KR102485954B1 (ko) 202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608B1 (ko) 반려동물용 황사 방지 마스크
US4406283A (en) Oxygen cannulae for continuous administration of oxygen, and its associated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same onto the head of a patient
EP3369451B1 (en) Frameless respiratory mask
WO2021221382A1 (ko) 끈이 없고 입을 감싸면서 코에 삽입하여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KR101969677B1 (ko) 비강확장기를 갖는 코마스크
KR20170003790U (ko) 다기능 마스크
KR102485954B1 (ko) 공갈젖꼭지 장착형 마스크
WO2017119705A1 (ko) 치과용 구강치료 보조기구
US20160242872A1 (en) Oral insert
KR200494325Y1 (ko) 공갈젖꼭지 사용이 가능한 마스크
KR102469328B1 (ko) 들숨 날숨 구분형 마스크
KR20220048600A (ko) 마스크 가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어셈블리
KR20210133018A (ko) 마스크용 가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
KR20220036726A (ko) 마스크를 걸기 위한 마스크 걸이
KR20220034573A (ko) 필터 교체형 투명 마스크
KR20170060464A (ko) 콧속내장필터를 포함하는 마스크
KR20210133807A (ko) 끈이 없고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JP3230086U (ja) おしゃぶり一体型フェイスシールド
KR102233534B1 (ko) 미세먼지 및 비말 차단 기능을 갖는 공갈 젖꼭지
KR102278379B1 (ko) 호흡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시스템
EP4008408A1 (en) Breathing guide apparatus and mask system including the same
CN217041038U (zh) 便于拆卸的硅胶鼻胃管固定装置
KR102445480B1 (ko) 코 마스크
CN212914250U (zh) 一种防侧漏口鼻罩
TWI707708B (zh) 口罩配戴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