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927Y1 -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927Y1
KR200331927Y1 KR20-2003-0026647U KR20030026647U KR200331927Y1 KR 200331927 Y1 KR200331927 Y1 KR 200331927Y1 KR 20030026647 U KR20030026647 U KR 20030026647U KR 200331927 Y1 KR200331927 Y1 KR 200331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elevator control
elevator
case
inver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룡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6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9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9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인버터부 및 제어부를 각각 별도의 케이스 내에 취부한 후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설치 환경에 따라 각각의 케이스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켜 배치하므로서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설치를 매우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구성하는 인버터부와 제어부는 각각 인버터부 케이스와 제어부 케이스 내에 분리된 상태로 취부된 후,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설치 환경에 따라 상기 인버터부 케이스 및 제어부 케이스가 상하방향이나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 등으로 변형된 상태로 배치되어 설치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ELEVATOR CONTROL PANEL STRUCTURE}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인버터부 및 제어부를 각각 분리된 상태로 케이스 내에 취부하여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설치 장소에 따라 한 쌍의 케이스를 변형된 상태로 조립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고층 건물에서는 다수의 승객이 용이하게 수직방향으로 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되는데,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대략 그 내부에 다수의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이동함에 의해 상기 탑승객을 상ㆍ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동력에 의해 동작되는 권상기 등이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객의 호출입력버튼 및 목적층입력버튼 조작에 따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기계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부를 제어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운행시키는 엘리베이터 제어반 등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승강장에 위치한 임의의 승객이 호출입력버튼의 조작을 행하게 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이 상기 호출입력버튼의 신호를 분석한 후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부를 제어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킴과 더불어,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승객이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설치된 목적층입력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이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부를 제어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승강장의 호출입력버튼이나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목적층입력버튼의 조작에 따른 각종 신호나 기타 다양한 종류의 센서 및 안전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들을 입력받아 이를 분석한 후 처리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은 크게 인버터와 변압기 등으로 이루어진 인버터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PC보드(BOARD)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부로 나뉘어진다.
이때, 도 1a는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경우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b는 종래의 기계실이 구비된 경우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종래의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구성하는데 있어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버터부 및 제어부를 하나의 케이스(10) 내에 일체로 취부하여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구성하게 된다.
특히,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경우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는 상기 인버터부 및 제어부가 상ㆍ하로 적재되어 일체로 구성된 후, 일정 공간의 승강로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반을 구성하는 인버터부 및 제어부가 단일 형태의 케이스 내에 일체로 취부된 구조이므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경우에는 건물 구조에 따라다양한 공간을 갖는 승강로 내에 동일한 구조의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한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와 기계실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설치되는 각각의 엘리베이터 제어반이 상이한 구조를 갖게 되므로,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별도의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제작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는 상기 인버터부 및 제어부가 단일 형태의 케이스 내에 일체로 구성된 구조이므로, 그 하중 및 부피가 증대되어 운반 및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인버터부 및 제어부를 각각 별도의 케이스 내에 취부한 후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설치 환경에 따라 각각의 케이스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켜 배치하므로서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설치를 매우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구성하는 인버터부와 제어부는 각각 인버터부 케이스와 제어부 케이스 내에 분리된 상태로 취부된 후,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설치 환경에 따라 상기 인버터부 케이스 및 제어부 케이스가 상하방향이나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 등으로 변형된 상태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버터부 케이스 및 제어부 케이스는 상호 동일한 크기를갖는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설치 환경에 따라 인버터부 케이스 및 제어부 케이스를 상하방향으로 적재하거나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배치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켜 설치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a는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경우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b는 종래의 기계실이 구비된 경우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인버터부 및 제어부가 각각 분리된 상태로 케이스 내에 취부된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케이스, 20: 인버터부 케이스,
22: 인버터부, 30: 제어부 케이스,
32: 제어부.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승강장의 호출입력버튼 조작이나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목적층입력버튼의 조작에 따른 각종 신호와 기타 다양한 종류의 센서 및 안전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들을 입력받아 이를 분석한 후 처리하도록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나 기계실 등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인버터와 변압기 등으로 이루어진 인버터부(22) 및, M32 보드(Board)와 TCB 보드(Board) 등을 비롯한 각종 PC 보드(Board)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부(32)로 분류된다.
여기에서, 본 고안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은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는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케이스(20,30)가 구비된 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인버터부(22) 및 제어부(32)는 각각 상기 인버터부 케이스(20) 및 제어부 케이스(30)의 내부에 분리되어 취부된 구조를 갖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작용에 대해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상기 인버터부 케이스(20) 및 제어부 케이스(30)를 통하여 인버터부(22) 및 제어부(32)를 상호 분리된 상태로 각각의 케이스(20,30) 내부에 취부한 엘리베이터 제어반은 건물의 구조 및 엘리베이터 제어반이 설치되는 장소, 환경 등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케이스(20,30)를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여 배치할 수가 있게 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인버터부 케이스(20) 및 제어부 케이스(30)를 상하방향으로 조립 배치한 후 협소한 승강로의 내부에 엘리베이터 제어반이 설치되도록 할 수가 있으며,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인버터부 케이스(20) 및 제어부 케이스(30)를 엘리베이터 기계실 등의 설치 공간에 따라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다양하게 변형시켜 조립 배치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크기 및 형태 등이 건축물의 구조에 따라 제약받는 것이 해소됨은 물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협소한 공간 내에도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제어반이 설치되는 장소의 공간에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크기 및 형태 등을 현장에 맞춰 별도로 제작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제어반이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른 운반시의 불편함 등을 해소할 수가 있게 되어,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제작시에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제작 및 설치 등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인버터부 및 제어부로 분리된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켜 조립 배치할 수가 있게 되어, 건축물의 구조에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크기가 제약받는 것을 해소할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매우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 기존의 엘리베이터 제어반에 있어서 인버터부 및 제어부가 서로 상반된 면에 취부되어 있음에 따라 유지보수 작업 등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구성하는 인버터부와 제어부는 각각 인버터부 케이스와 제어부 케이스 내에 분리된 상태로 취부된 후,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설치 환경에 따라 상기 인버터부 케이스 및 제어부 케이스가 상하방향이나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 등으로 변형된 상태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 케이스 및 제어부 케이스는 상호 동일한 크기를 갖는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
KR20-2003-0026647U 2003-08-19 2003-08-19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 KR200331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647U KR200331927Y1 (ko) 2003-08-19 2003-08-19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647U KR200331927Y1 (ko) 2003-08-19 2003-08-19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927Y1 true KR200331927Y1 (ko) 2003-11-01

Family

ID=4941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647U KR200331927Y1 (ko) 2003-08-19 2003-08-19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9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6412B2 (en) Elevator door frame with electronics housing
US20170144862A1 (en) Removable car operating panel
KR102060193B1 (ko) 엘리베이터 캐빈
KR200331927Y1 (ko)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
KR20120127740A (ko) 승강실 지붕에 결합된 승강실 전기시스템을 갖는 승강기 조립체
US20020139619A1 (en) Hoistwayless elevator system
JP2009215009A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の天井意匠改良方法
JPH11322210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316157B2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
KR10063968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221184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
JPH038688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装置
JP4189382B2 (ja) 取外し可能なカバーを備えた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ための屋上用制御ユニット
JP2000226173A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
JP7148480B2 (ja) 操作盤、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ー
CN217867618U (zh) 一种电梯厅门可调节连接结构
EP1422184A2 (en) Machine-room-less elevator
JPH08119546A (ja) エレベータの配線接続箱
JPH10101279A (ja) エレベータかご装置
JP2005047679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20000008132U (ko) 홈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측판 고정장치
JP2007290810A (ja) エレベーター用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JPH11263560A (ja) エレベーターの機械室
WO2019176105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天井装置
JP2005145609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