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193B1 - 엘리베이터 캐빈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캐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193B1
KR102060193B1 KR1020190034273A KR20190034273A KR102060193B1 KR 102060193 B1 KR102060193 B1 KR 102060193B1 KR 1020190034273 A KR1020190034273 A KR 1020190034273A KR 20190034273 A KR20190034273 A KR 20190034273A KR 102060193 B1 KR102060193 B1 KR 102060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
fixing means
fixing
elevator ca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철
Original Assignee
(주)현대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기업 filed Critical (주)현대기업
Priority to KR1020190034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53Fixation of 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엘리베이터 캐빈의 측판에 장식, 안내 등을 위한 플레이트를 설치 및 교체시, 캐빈의 측판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고정수단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캐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엘리베이터 캐빈은 측판; 상기 측판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측판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캐빈{Elevator cabi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캐빈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 건물에서 모터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객, 화물 등을 원하는 위치로 운송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승객이나 화물을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닥 패널, 4면의 벽 패널 및 천장 패널로 이루어진 육면체로 마련되는 박스 형상의 캐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최근에는, 엘리베이터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엘리베이터 캐빈의 내벽면의 장식을 위해 디자인적인 요소가 가미된 패널이 설치되는 경우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나사못을 이용하여 다수 개의 고정장치를 패널에 고정하고, 각 고정장치와 패널 사이에 장식판재를 끼워 고정시킨 후, 다시 고정장치 위에 커버를 덮는 방법으로 엘리베이터 캐빈의 내벽면에 패널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일련의 과정이 공간이 협소한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수행해야 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 및 인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장식판재를 교체하는 경우, 커버를 분리한 다음 일일이 다수 개의 나사못을 제거해야 하므로 교체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우며, 나사못이 관통된 엘리베이터 패널 부분이 헐거워저 나사못을 다시 체결할 때 고정력이 저하되어 내구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엘리베이터 캐빈의 측판에 장식, 안내 등을 위한 플레이트를 설치 및 교체시, 캐빈의 측판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고정수단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캐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엘리베이터 캐빈은 측판; 상기 측판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측판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일부와 접촉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측판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측판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기 측판과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기 측판과 마주보는 면에서 상기 측판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에서 상기 측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움 결합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은 상기 제2 돌출부의 상기 측판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측판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일부에서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 제2 돌출부의 상기 측판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곡률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적어도 2개가 상기 플레이트에 배치되며, 나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 또는 상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른 하나는 상기 플레이트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외면과 상기 고정수단의 외면이 일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단차부와 면접촉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측판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캐빈의 측판에 장식, 안내 등을 위한 플레이트를 설치할 때, 캐빈의 측판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고정수단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캐빈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캐빈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캐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캐빈의 측판에 고정수단을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캐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캐빈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캐빈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캐빈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캐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캐빈은 측판(100)과, 플레이트(200)와, 고정수단(300,400,500,60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엘리베이터 캐빈은 측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측판(100)은 엘리베이터 캐빈의 내벽을 이루는 여러 판 중 하나일 수 있다. 측판(100)에는 플레이트(20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 캐빈의 내벽을 이루는 측판(100)들 중 배면에 배치되는 측판(100)에 플레이트(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배면은 엘리베이터 도어가 오픈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바로 보이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배면에 플레이트(200)가 배치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캐빈의 내벽의 3면을 따라 배치되는 핸드레일과 엘리베이터 캐빈의 내벽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플레이트(2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측판(100)에는 플레이트(200)를 고정하기 위한 홀(110, 120, 130, 140)이 형성될 수 있다. 홀(110, 120, 130, 140)은 측판(100)에 플레이트(20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300, 400, 500, 600)과의 끼움 결합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110, 120, 130, 140)은 측판(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측 홀(110)과, 측판(100)의 상부에 형성되고, 하측 홀(110)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상측 홀(120)과, 도 3을 기준으로 측판(100)의 좌측 단부에 형성되는 좌측 홀(130)과, 측판(100)의 우측 단부에 형성되는 우측 홀(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좌측 홀(130)과 우측 홀(140)은 수평방향으로 오버랩 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하측 및 상측 홀(110, 120)은 단수로 마련되고, 좌측 및 우측 홀(130, 140)은 복수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단수개 또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하측 홀(110)은 이후 서술할 하측 고정수단(300)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측 홀(120)은 이후 서술할 상측 고정수단(400)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좌측 홀(130)은 이후 서술할 좌측 고정수단(500)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우측 홀(140)은 이후 서술할 우측 고정수단(600)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홀(110, 120, 130, 140)은 제1 영역(111, 121, 131, 141)과 제2 영역(112, 122, 132, 1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영역(111, 121, 131, 141)은 후술 할 제2 돌출부(322, 422, 522, 62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돌출부(322,422,522,622)의 측판(100)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대략의 원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각형상, 다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112, 122, 132, 142)은 측판(100)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일부에서 곡률을 가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측 및 상측 홀(110, 120)의 경우, 하측 및 상측 홀(110, 120)의 제1 영역(111, 12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112, 122)의 끝단은 일부가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이때, 후술 할 하측 및 상측 고정수단(300, 400)의 제1 돌출부(321, 421)의 측판(100)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하측 및 상측 홀(110, 120)의 제2 영역(112, 122)의 곡률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 및 우측 홀(130, 140)의 경우, 좌측 및 우측 홀(130, 120)의 제1 영역(131, 141)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132, 142)의 끝단은 일부가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이때, 후술 할 좌측 및 우측 고정수단(500, 460)의 제1 돌출부(521, 621)의 측판(100)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좌측 및 우측 홀(130, 140)의 제2 영역(132, 142)의 곡률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112, 122, 132, 142)의 폭은 제1 영역(111, 121, 131, 141)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111, 121, 131, 141)의 폭은, 대략의 원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측판(100)의 길이방향의 직경을 의미하고, 사각 형상 또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중심부의 측판(100)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제2 영역(112, 122, 132, 142)의 폭이란, 중심부에서 측정한 길이로서 측판(100)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하측 및 상측 홀(110, 120)의 제2 영역(112, 122)은 하측 및 상측 홀(110, 120)의 제1 영역(111, 12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측 및 상측 홀(110, 120)의 제1 영역(111, 121)에 제2 돌출부(322, 422)가 관통된 상태에서, 하측 및 상측 고정수단(300, 40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 시키면 하측 및 상측 고정수단(300, 400)이 측판(1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끼움 결합에 의하여 플레이트(200)의 하부 및 상부가 측판(100)에 고정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홀(130, 140)의 제2 영역(132, 142)은 좌측 및 우측 홀(130, 140)의 제1 영역(131, 141)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홀(130, 140)의 제1 영역(131, 141)에 제2 돌출부(522, 622)가 관통된 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 고정수단(500, 60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 시키면 좌측 및 우측 고정수단(500, 600)이 측판(1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끼움 결합에 의하여 플레이트(200)의 좌측 및 우측 단부가 측판(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수직방향은 측판(10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엘리베이터 캐빈은 플레이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00)는 측판(100)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00)는 고정수단(300, 400, 500, 600)에 의해 측판(100)에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200)는 엘리베이터 캐빈 내벽면을 이루는 복수의 측판(1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00)는 표면에 다양한 색채, 무늬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플레이트(200)는 대략 사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아크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20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대표적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투명하고,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여 설치 또는 이동 중에 파손 염려가 적고, 외부 충격에 잘 견디는 효과가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캐빈은 고정수단(300, 400, 500, 60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수단(300, 400, 500, 600)의 일부는 플레이트(200)의 외면에 배치되고, 일부는 측판(10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수단(300, 400, 500, 600)은 플레이트(200)를 측판(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수단(300, 400, 500, 600)은 플레이트(200)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수단(300, 400, 500, 600)은, 도 3을 기준으로, 하측 고정수단(300), 상측 고정수단(400), 좌측 고정수단(500), 우측 고정수단(6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및 상측 고정수단(300, 400)은 플레이트(200)의 하단 및 상단을 고정하고, 좌측 및 우측 고정수단(500, 600)은 플레이트(200)의 좌측단 및 우측단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수단(300, 400, 500, 600)은 플레이트(200)의 일부와 접촉되는 고정부(330, 430, 530, 6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30, 430, 530, 630)는 플레이트(200)의 일부와 접촉되어, 플레이트(200)가 측판(1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측 및 상측 고정수단(300, 400)은 플레이트(200)의 하단 및 상단과 접촉되고, 좌측 및 우측 고정수단(500, 600)은 플레이트의 좌측단 및 우측단과 접촉되어 플레이트(200)가 측판(1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수단(300, 400, 500, 600)은 플레이트(200)의 외측면 중 일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200)를 측판(10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수단(300, 400, 500, 600)은 적어도 2개가 플레이트(200)에 배치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하나는 플레이트(200)의 하면 또는 상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플레이트(20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플레이트(200)의 하단을 고정하는 하측 고정수단(300)과, 플레이트(200)의 좌측 또는 우측을 고정하는 좌측 또는 우측 고정수단(500, 600)이 배치되어 플레이트(200)가 측판(100)에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200)의 하단을 고정하는 하측 고정수단(300)을 먼저 설치함으로써, 플레이트(200)의 하단면을 지지하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고정수단(300, 400, 500, 600)은 측판(100)과 결합되는 결합부(310, 410, 510, 61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10, 410, 510, 610)는 고정부(330, 430, 530, 630)에서 측판(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310, 410, 510, 610)는 측판(1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판(100)의 홀(110, 120, 130, 14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10, 410, 510, 610)는 측판(100)과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320, 420, 520, 62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20, 420, 520, 620)는 결합부(310, 410, 510, 610)의 측판(100)과 마주보는 면에서 측판(100)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출부(321, 421, 521, 62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20, 420, 520, 620)는 제1 돌출부(321, 421, 521, 621)에서 측판(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322, 422, 522, 6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부(322, 422, 522, 622)의 직경은 제1 영역(111, 121, 131, 141)의 형상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돌출부(322, 422, 522, 622)의 측판(100)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제1 영역(111, 121, 131, 141)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측 및 상측 고정수단(300, 400)의 수평방향으로의 너비는 플레이트(200)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측판(100)의 하측 및 상측 홀(110, 120)은 측판(100)의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편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측 및 상측 고정수단(300, 400)이 하측 및 상측 홀(110, 120)에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에 의해 끼움 결합되었을 때, 하측 및 상측 고정수단(300, 400)이 플레이트(200)의 단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고정수단(500, 600)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는 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좌측 및 우측 고정수단(500, 600)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는 측판(100)의 길이방향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측판(100)에 플레이트(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엘리베이터 사용자의 시야에 보이지 않아 엘리베이터 캐빈 내부의 미감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하측, 상측, 좌측 및 우측 고정수단(300, 400, 500, 600)이 모두 측판(100)에 결합되어 플레이트(200)를 측판(100)에 설치된 경우, 엘리베이터 캐빈의 측판에 플레이트의 고정을 위한 홀, 홈 등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감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고정수단(300, 400, 500, 600) 각각은 맞물릴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캐빈의 측판에 고정수단을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측판(100)에 플레이트(200)를 사람 또는 기구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하측 고정수단(300)이 플레이트(200)의 하단부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측판(100)의 하측 홀(110)의 제1 영역(111)에 하측 고정수단(300)의 제2 돌출부(322)가 관통된 상태에서, 하측 고정수단(30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하측 홀(110)의 제2 영역(112)에 제1 돌출부(321)가 끼움 결합된다. 이때, 하측 고정수단(300)은 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에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측 고정수단(300)을 먼저 결합시킴으로써, 플레이트(200)가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측판(100)에 플레이트(200)을 결합하는 작업의 편이성을 높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레이트(200)의 하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측 고정수단(400)이 플레이트(200)의 상단부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측판(100)의 상측 홀(120)의 제1 영역(121)에 상측 고정수단(400)의 제2 돌출부(422)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측 고정수단(40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측 홀(120)의 제2 영역(122)에 제1 돌출부(421)가 끼움 결합된다. 이때, 상측 고정수단(400)은 하측 고정수단(300)과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수평이동 할 수 있으며,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이동될 경우에는 하측 및 상측 홀(110, 120)의 제2 영역(112, 122)이 측판(100)의 길이방향으로 오버랩되고, 반대방향으로 수평이동될 경우에는 하측 및 상측 홀(110, 120)의 제2 영역(112, 122)이 오버랩되지 않는다.
도 7 및 도8을 참조하면, 플레이트(200)의 하부 및 상부가 고정된 측판(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 고정수단(500, 600)이 플레이트(200)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를 고정시킨다. 도면에서는 플레이트(200)의 우측 단부를 먼저 고정시키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좌측 단부를 먼저 고정시켜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 측판(100)의 우측 홀(140)의 제1 영역(141)에 우측 고정수단(600)의 제2 돌출부(622)가 관통된 상태에서, 우측 고정수단(600)을 수직 하강 시키면 우측 고정수단(600)의 제1 돌출부(621)이 우측 홀(140)의 제2 영역(142)에 끼움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측판(100)의 좌측 홀(130)의 제1 영역(131)에 좌측 고정수단(500)의 제2 돌출부(522)가 관통된 상태에서, 좌측 고정수단(500)을 수직 하강 시키면 좌측 고정수단(500)의 제1 돌출부(521)이 좌측 홀(130)의 제2 영역(132)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좌측 및 우측 고정수단(500, 600)을 동일한 방향으로 수직이동 된다. 즉, 측판(100)의 좌측 및 우측 홀(130, 140)의 제1 영역(131, 141)에서 연장되는 제2 영역(132, 142)의 연장방향이 동일하다. 더욱 상세히, 좌측 및 우측 홀(130, 140)의 제2 영역(132, 142)은 좌측 및 우측 홀(130, 140)의 제1 영역(131, 141)에서 측판(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아래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캐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는 고정수단(300, 400, 500, 600)으로 측판(100)에 배치되는 플레이트(200)를 고정함으로써, 측판(100)을 엘리베이터 캐빈의 내벽 또는 인접한 다른 측판(100)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간편하게 조립,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캐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캐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캐빈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캐빈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캐빈과 플레이트(200) 및 고정수단(300,400,500,600)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해설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플레이트(200)가 고정수단(300, 400, 500, 600)에 의해 측판(100)에 고정됐을 때, 측판(100)에 배치되는 플레이트(200)의 외면과 플레이트(20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300, 400, 500, 600)의 외면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200)의 외측면은 고정수단(300, 400, 500, 600)의 고정부(330, 430, 530, 630)와 접촉되는 부분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200)에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의 단차부와 고정수단(300, 400, 500, 600)의 고정부(330, 430, 530, 630)는 상호 면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레이트(200)의 외면과 고정수단(300, 400, 500, 600)의 외면이 일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캐빈 내부로 들어왔을 때, 장식이나 안내를 위한 플레이트(200)의 외면과 고정수단(300, 400, 500, 600)의 외면 사이에 단차 또는 이격 영역이 없어 미감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측판 200: 플레이트
300: 하측 고정수단 400: 상측 고정수단
500: 좌측 고정수단 500: 우측 고정수단

Claims (10)

  1. 측판;
    상기 측판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측판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일부와 접촉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측판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측판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기 측판과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기 측판과 마주보는 면에서 상기 측판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에서 상기 측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움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은 상기 제2 돌출부의 상기 측판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측판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일부에서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의 상기 측판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곡률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캐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적어도 2개가 상기 플레이트에 배치되며,
    하나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 또는 상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플레이트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캐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외면과 상기 고정수단의 외면이 일치되는 엘리베이터 캐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단차부와 면접촉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측판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캐빈.
KR1020190034273A 2019-03-26 2019-03-26 엘리베이터 캐빈 KR102060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273A KR102060193B1 (ko) 2019-03-26 2019-03-26 엘리베이터 캐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273A KR102060193B1 (ko) 2019-03-26 2019-03-26 엘리베이터 캐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193B1 true KR102060193B1 (ko) 2019-12-27

Family

ID=6906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273A KR102060193B1 (ko) 2019-03-26 2019-03-26 엘리베이터 캐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1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924B1 (ko) 2021-06-18 2021-11-01 주식회사 도일인텍 장식판이 결합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체
KR102331092B1 (ko) * 2021-06-04 2021-12-01 주식회사 도일인텍 엘리베이터 장식판 고정장치
KR20230163279A (ko) 2022-05-23 2023-11-30 박윤규 엘리베이터 카의 내장인테리어 판넬 결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583Y1 (ko) * 2002-02-04 2002-05-03 송병현 조립식 실내 벽면 장식구
US20020195297A1 (en) * 2000-05-22 2002-12-26 Sanchez Emilio A. Embossed panels with decorative laminate for elevator cars
KR20150106785A (ko) * 2014-03-12 2015-09-22 박윤규 엘리베이터용 의장 패널 및 그의 고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5297A1 (en) * 2000-05-22 2002-12-26 Sanchez Emilio A. Embossed panels with decorative laminate for elevator cars
KR200273583Y1 (ko) * 2002-02-04 2002-05-03 송병현 조립식 실내 벽면 장식구
KR20150106785A (ko) * 2014-03-12 2015-09-22 박윤규 엘리베이터용 의장 패널 및 그의 고정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092B1 (ko) * 2021-06-04 2021-12-01 주식회사 도일인텍 엘리베이터 장식판 고정장치
KR102318924B1 (ko) 2021-06-18 2021-11-01 주식회사 도일인텍 장식판이 결합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체
KR20230163279A (ko) 2022-05-23 2023-11-30 박윤규 엘리베이터 카의 내장인테리어 판넬 결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193B1 (ko) 엘리베이터 캐빈
KR102156232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US20060175148A1 (en) Elevator car
KR101618471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마감재 조립체 및 그 설치방법
US7469773B2 (en) Assistant ceiling device for shielding escape hatch of an elevator
CN105668387A (zh) 小井道电梯轿壁的连接结构
CN203834838U (zh) 护栏
KR20120124543A (ko) 패널 조립구조
JP2007224499A (ja) 通気・採光用床構造
KR100731313B1 (ko)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EP1657206A3 (en) Elevator car with simplified assembly
JP6419049B2 (ja) エレベータ
KR200201254Y1 (ko) 건축용 패널
JP6057874B2 (ja) エレベータかご内装置ユニット
KR20150106785A (ko) 엘리베이터용 의장 패널 및 그의 고정 방법
KR200329067Y1 (ko) 엘리베이터의 노출형 홀 랜턴
KR102344870B1 (ko) 엘리베이터 카월 장식판 고정장치
KR101140266B1 (ko) 천장의 경량틀 조립체
KR102609271B1 (ko) 벽체 구조
KR102031114B1 (ko) 조립식 결합구조를 갖는 천정패널
KR200331927Y1 (ko)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구조
KR100714078B1 (ko) 승강기 탈출문 차폐용 조천정 장치
JP2006265937A (ja) 手摺付き階段
JP2004307172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室
KR200354386Y1 (ko) 바닥 시공재 지지용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