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850Y1 - 비상문 개폐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문 개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850Y1
KR200326850Y1 KR20-2003-0020838U KR20030020838U KR200326850Y1 KR 200326850 Y1 KR200326850 Y1 KR 200326850Y1 KR 20030020838 U KR20030020838 U KR 20030020838U KR 200326850 Y1 KR200326850 Y1 KR 2003268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opening
emergency door
do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8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웰
Priority to KR20-2003-00208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8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8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8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많은 사람들이 상주 내지는 출입하는 빌딩, 공연장, 극장등에 구비된 비상문의 도어록 장치가 화재 또는 기타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갑자기 발생되는 비상상황에 대하여 신속하고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비상문 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화재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화재 수신기의 오작동으로 화재발생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관리실에서 이를 감지하여 강제로 비상문이 열리도록 하는 비상문 개폐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비상문의 도어록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여 열리지 않을 때에는 영상 및 음향으로 표시하여 다른 비상문으로의 피신을 유도하는 비상문 개폐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비상문 개폐시스템{OPEN/CLOSE SYSTEM OF EXIT DOOR}
본 고안은 비상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많은 사람들이 상주 내지는 출입하는 빌딩, 공연장, 극장등에 구비된 비상문의 도어록 장치가 화재 또는 기타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갑자기 발생되는 비상상황에 대하여 신속하고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비상문 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공연장, 극장등에는 출입문 외에 화재나 기타 비상사태 발생시 빌딩의 상주자 또는 관람자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외부로 대피할 수 있는 비상문이 구비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비된 비상문은 평상시에 거의 이용하는 일이 없게 되므로 외부의 침입 내지는 도난사고, 어린아이들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항상 잠겨 놓은 상태로 관리를 하게 되고, 이때 관리는 별도의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개폐관리하게 되는 실정이다.
그래서 막상 화재나 기타 비상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하지 않으면 비상문의 잠금장치를 열(open)수가 없어 뜻하지 않은 사고를 당하는 것이 다반사였다. 그래서 최근에는 선출원된 등록실용신안 제 029454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비상구 또는 비상문을 보다 효율적이면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비상문 관리 장치가 개발되어 화재 및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화재 수신기와 연동하여 비상문 관리 장치가 자동으로 비상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가 발생하였는데도 화재 수신기의 고장으로 화재발생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비상문 관리 장치가 동작하지 않음과 함께, 상기 비상문 관리 장치는 사람이 직접적으로 비상구나 비상문을 개폐하는 것이 아니라, 비상문 관리 장치가 직접 개폐 제어하도록 되어, 화재발생등과 같은 비상 상황시 간혹 비상문의 시건장치에 이상이나 오류가 발생하여 열리지 않았을 경우 해당 비상문 또는 비상구로의 피신을 요하던 사람들에게 더 큰 재난을 야기할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화재 수신기의 오작동으로 화재발생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관리실에서 이를 감지하여 강제로 비상문이 열리도록 하는 비상문 개폐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비상문의 도어록장치에 고장이 발생하여 열리지 않을 때에는 영상 및 음향으로 표시하여 다른 비상문으로의 피신을 유도하는 비상문 개폐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 비상문 개폐시스템의 도어록 장치의 설치상태도
도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간략구성을 보이기 위한 정면측 사시도
도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간략구성을 보이기 위한 배면측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개폐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이는 블럭도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개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비상문 200 도어록 장치
210 통신수단 230 전원공급부
240 제어부 250 리밋 S/W
260 모터 300 통신망
400 화재수신기 500 관리자 단말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좌우 또는 상하이동을 하여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걸림홈이 구성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모터의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모터 및 제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구비된 도어록 장치를 포함하는 비상문 개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장치의 잠금 및 해정을 제어하기 위한 관리자측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장치는 외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된 통신수단과, 상기 비상문의 열림 및 잠금상태를 감지하는 비상문 상태감지수단과, 상기 비상문 개폐장치의 에러발생시 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외부로부터 개폐요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터에 상기 개폐요구신호에 대응되는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상문 상태감지수단으로부터 소정 설정시간내에 열림완료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수단에 에러발생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비상문 개폐시스템에서, 상기 개폐요구신호는 화재 수신기로부터 출력되는 화재발생신호이거나, 관리자측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강제개폐신호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비상문 개폐시스템에서, 상기 비상문 상태감지수단은 도어록 장치가 잠금해제된 상태에서 비상문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오프너가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돌출되어 구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및 침강에 의해 접촉하여 온/오프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비상문 개폐시스템에서, 상기 비상문 상태감지수단은 도어록 장치가 잠금해제된 상태에서 비상문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오프너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걸림부의 이동에 의해 접촉하여 온/오프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비상문 개폐시스템에서, 상기 표시수단은 섬광을 점멸하는램프와, 경고음을 발생하는 부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비상문 개폐시스템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정전 발생시 상기 모터 및 제어부에 비상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개폐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개폐시스템의 도어록 장치의 설치상태도로써, 빌딩, 공연장, 극장등의 비상문(100)에 설치되어 잠금 및 해정하는 도어록 장치(200)와, 상기 도어록 장치(200)가 외부와 통신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망(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간략구성을 보이기 위한 도면으로, 모터(260)의 정,역회전에 의해 좌우이동을 하여 고정부(200')의 걸림홈(280')에 삽입됨으로 잠금동작을 수행하는 걸림부(280)가 상기 도어록 장치(200)내에 구비된다. 본 고안에서는 모터(260)의 정,역회전에 의해 좌우이동을 하여 잠금 및 해정동작을 수행함을 일 실시예로 하나, 상하이동을 하여 상기 잠금 및 해정동작을 수행함도 충분히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개폐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이는 블럭도로써, 상기와 같은 도어록 장치(200)는 빌딩, 공연장, 극장등의 다수개 비상문(100, 100a.……100n)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상기 각각의 비상문(100, 100a.……100n)에 구성된 도어록 장치(200)는 통신망(300)을 통하여 관리자단말기(500) 및 화재 수신기(400)와 연결된다.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느 한 비상문 개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상기 도어록 장치(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300)을 통해 상기 화재 수신기(400) 및 관리자 단말기(5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수단(210)과,
상기 통신수단(210)을 통해 화재 수신기(400)의 화재발생신호와 관리자 단말기(500)의 강제개폐신호가 입력되면 모터(260)에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비상문 상태감지수단(250, 251)으로부터 소정 설정시간내에 완료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후술하는 표시수단(270,290) 및 관리자 단말기(500)에 에러신호를 출력하며, 비상상황시 정전이 되면 배터리(220)의 전원을 입력하고 상기 모터(260)에 상기 배터리(220)의 전원이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500)는 통신망(300)을 통해 상기 도어록 장치(200)와 통신가능하도록 통신수단(5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500)는 통상의 건물 관리실에 구성되므로, 상기 통신망(300)은 건물의 내부 전화단자함을 이용한 케이블이나 화재발생시 상기 케이블의 단선을 감안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달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수단(270,290)은 상기 제어부(240)로부터 에러신호가 입력되면 섬광을 발생하며 점멸하는 램프(270)와, 제어부(240)로부터 에러신호가 입력되면 경고음, 이를테면 미리 저장된 다른곳으로의 대피 유도 메세지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290)로 구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비상문개폐완료감지수단(250)은 도어록 장치(200)의 잠금해제 상태일때, 자동으로 비상문(100)을 오픈시키는 오프너(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고정부(200')와 접촉하여 돌출 및 침강하는 돌출부(251)와, 상기 돌출부(251)의 돌출 및 침강시에 그 위치를 감지하여 온/오프 신호를 발생하는 리밋 스위치(250)로 구성되고, 상기 오프너가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걸림부(280)의 이동에 의해 온/오프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미도시)로 구성함도 충분히 가능하며, 본 고안에서는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오프너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일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개폐시스템은 다수개의 비상문이 설치된 기 완공된 건물의 비상문에 설치될 때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유선통신과 같은 경우에는 내부 전화단자함을 이용한 전화선 통신이거나 전력선 통신은 건물이 완공된 후 적용이 가능하고, 무선통신은 건물의 완공후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미도시)의 설치위치를 선정하여 설치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수신기(400)는 이를 감지하여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화재발생신호는 통신망(300)을 경유하여 도어록 장치(200)의 통신수단(210)을 통해 제어부(240)로 입력된다. 상기 화재 수신기(400)에 의한 화재발생신호를 입력한 제어부(200)는 모터(260)를 구동하여 걸림부(251)를 이동, 도어록 장치(200)의 잠금상태를 해정하게 되고, 오프너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비상문(100)을 열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비상문(100)이 열림에 따라, 고정부(200')에 의해 침강된돌출부(251)가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251)에 의해 리밋 스위치(250)는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리밋 스위치(250)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비상문(100)의 열림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251)의 돌출 및 침강에 의해 온/오프 신호를 발생하는 리밋 스위치(250)는 돌출할때 온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하고, 제어부(200)는 상기 리밋 스위치(250)에서 온 신호가 출력되면 비상문(100)의 열림상태로 판단하도록 설정함이 가능하고, 또한 이와 반대로 설정하여 구성함도 충분히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비상문(100)의 열림상태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500)에 출력하고,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비상문(100)의 열림상태를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화재수신기(400)의 고장으로 인해, 화재 발생시에 화재수신기(400)로부터 화재발생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이를 감지하게 되고, 관리자 단말기(500)를 조작하여 강제열림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제어부(240)는 모터(260)를 구동하여 걸림부(251)를 이동, 도어록 장치(200)의 잠금상태를 해정하게 되고, 오프너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비상문(100)을 열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화재 수신기(400) 및 관리자 단말기(5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도, 도어록 장치(200)의 자체결함으로 인해 비상문(100)이 열리지 않을 경우, 즉 모터(260)의 고장으로 비상문(100)이 열리지 않으면 제어부(240)는 모터(260)에 구동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시간을 카운트하고, 소정 설정시간 후에도 상기 리밋 스위치(250)로부터 온 또는 오프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에러신호를 관리자 단말기(500) 및 표시수단(270,290)에 출력하게 된다. 표시수단(270,290)은 상기 에러신호를 입력하여 섬광을 점멸하거나, 미리 저장된 다른곳으로의 대피유도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하고, 관리자 단말기(500)는 복수개의 비상문(100, 100a.……100n)중 상기 에러신호가 입력된 비상문(100)을 관리자에게 인지하도록 표시하여 줌으로써 후속 조치를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화재등으로 인한 정전발생시에 제어부(240)는 전원 공급부(230)로부터 전원이 입력되지 않으면, 즉시 배터리(220)의 전원을 입력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건물에 구비된 복수의 비상문들이 화재수신기와 연동되어 잠금해제되도록 하며, 관리자에 의해서도 일괄적 또는 개별적으로 각각의 비상문이 잠금해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상문 개방에 대한 신뢰성 높은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며, 도어록 장치의 자체결함으로 인해 화재 발생시에 비상문이 열리지 않을 경우에는 표시수단을 이용하여 이를 알리어 다른 곳으로의 대피를유도하고, 관리자에게 이를 통보하여 후속 조치를 유도하게 함으로써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6)

  1. 모터와, 상기 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좌우 또는 상하이동을 하여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걸림홈이 구성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모터의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모터 및 제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구비된 도어록 장치를 포함하는 비상문 개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장치의 잠금 및 해정을 제어하기 위한 관리자측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 장치는 외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된 통신수단과, 상기 비상문의 열림 및 잠금상태를 감지하는 비상문 상태감지수단과, 상기 도어록 장치의 에러발생시 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외부로부터 개폐요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터에 상기 개폐요구신호에 대응되는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상문 상태감지수단으로부터 소정 설정시간내에 열림완료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수단에 에러발생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개폐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요구신호는 화재 수신기로부터 출력되는 화재발생신호이거나, 관리자측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강제개폐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개폐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 상태감지수단은 상기 고정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구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및 침강에 의해 온/오프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개폐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 상태감지수단은 도어록 장치가 잠금해제된 상태에서 비상문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오프너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걸림부의 이동에 의해 접촉하여 온/오프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개폐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정전 발생시 상기 모터 및 제어부에 비상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개폐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섬광을 점멸하는 램프와, 경고음을 발생하는 부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개폐시스템.
KR20-2003-0020838U 2003-06-30 2003-06-30 비상문 개폐시스템 KR2003268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838U KR200326850Y1 (ko) 2003-06-30 2003-06-30 비상문 개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838U KR200326850Y1 (ko) 2003-06-30 2003-06-30 비상문 개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850Y1 true KR200326850Y1 (ko) 2003-09-13

Family

ID=4933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838U KR200326850Y1 (ko) 2003-06-30 2003-06-30 비상문 개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8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151B1 (ko) 2007-04-25 2008-09-24 대구보건대학산학협력단 비상문 경보기의 연동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151B1 (ko) 2007-04-25 2008-09-24 대구보건대학산학협력단 비상문 경보기의 연동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96412B (zh) 用于电动闩锁备用把手定位的客户辅助方法
US4108281A (en) Elevator door tampering protection system
JP2001336326A (ja) 自動解錠機能を備えたドア開放装置及びドア開放システム
KR200326850Y1 (ko) 비상문 개폐시스템
US68472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te unlocking of an access door of a building with an elevator
KR100256174B1 (ko) 자동차의 보안 및 안전 시스템
KR100273873B1 (ko) 다목적 경보장치
KR100437097B1 (ko)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
JP2000159456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KR101755275B1 (ko) 상황 알림기능을 갖는 비상문 잠금 시스템
KR200296652Y1 (ko) 비상문 개폐 장치
KR20110020367A (ko) 해정 수단을 갖는 비상문
JP2000265720A (ja) 車両盗難犯閉じ込め装置
KR200287459Y1 (ko) 보안 겸용의 비상문
JP2009102904A (ja) 建築用開閉体における防犯装置
JPH0374313B2 (ko)
KR200295518Y1 (ko) 전자 도어 록킹 장치
KR20060017960A (ko) 부속장치를 일체화한 자동문 작동기
JPH09112106A (ja) 遠隔操作式チャイルドロック装置
KR200248858Y1 (ko)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
KR100329171B1 (ko) 도어잠금장치
JP3041628B2 (ja) ロビーインターホン及びこれを用いた集合住宅用監視通話システム
JP3154099B2 (ja) アダプタを用いた警備システム
KR20030087843A (ko) 보안 겸용의 비상문
JPH11107595A (ja) 窓枠ユニット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窓ロック自動開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