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3873B1 - 다목적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3873B1
KR100273873B1 KR1019980012888A KR19980012888A KR100273873B1 KR 100273873 B1 KR100273873 B1 KR 100273873B1 KR 1019980012888 A KR1019980012888 A KR 1019980012888A KR 19980012888 A KR19980012888 A KR 19980012888A KR 100273873 B1 KR100273873 B1 KR 100273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ontrol unit
detection sensor
fire
alarm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9969A (ko
Inventor
이남용
이형용
이춘동
Original Assignee
이남용
이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용, 이형용 filed Critical 이남용
Priority to KR1019980012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3873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95Arrangements wherein non-video detectors start video recording or forwarding but do not generate an alarm themsel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91Intrusion detection systems, i.e. where the body of an intruder causes the interference with the electromagnetic field
    • G08B13/2494Intrusion detection systems, i.e. where the body of an intruder causes the interference with the electromagnetic field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combined with other electrical sensor means, e.g. microwave detectors combined with other sensor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진의 발생을 검출하는 지진검출센서(11)와, 화재의 발생을 검출하는 화재검출센서(12)와, 음파와 하중을 통해 침입자를 검출하는 초음파센서(13) 및 하중센서(14)와, 상기 지진검출센서(12)와 화재검출센서(12)의 출력신호에 따라 건물내로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하는 가스차단기(21)와, 상기 센서(11∼14)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등을 점멸시켜 비상사태를 알리는 전등제어부(20)와, 상기 센서(11∼14)의 출력신호에 따라 경보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22)와, 상기 센서(11∼14)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등제어부(20) 및 스피커(2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7)를 구비함에 따라 화재나 지진 발생시 또는 침입자 출현시 이를 검출하여 신속하게 알려주므로, 건물내에 있는 사람들을 조기에 대피시켜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침입자를 조기에 격퇴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경보장치 (A multi-purpose war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목적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나 지진 발생시 또는 침입자 출현시 이를 검출하여 신속하게 알려줌에 따라 건물내에 있는 사람들을 조기에 대피시켜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침입자를 조기에 격퇴시킬 수 있는 다목적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세계 여러 지역에서 크고 작은 화재나 지진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를 사람들에게 신속하게 알려주지 못하여 많은 사상자와 재산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다시말해, 지진이나 화재 발생시 사람들을 조기에 대피시키지 못하여 사상자와 재산피해가 증가되는 경우가 있다.
아울러, 건물내로 공급되는 가스를 신속하게 차단시키지 못하여 누출된 가스의 폭발 및 화재의 확산으로 인해 사상자 및 재산피해가 증가되는 경우도 있으며, 또한 구조요청의 지연으로 건물내에 남아있는 사람들의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지지 않아 인명피해를 가중시키는 경우도 있다.
한편, 침입자 출현시 이를 검출하여 경비회사에 통지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시스템은 침입자만을 검출하기 위하여 좁은 영역을 감지하는 광센서나 개폐 가능한 도어 또는 창문에 부착하는 자석 스위치 센서를 사용하므로, 침입자가 이러한 센서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공간, 예를들어 천장이나 바닥을 뚫고 침입하는 경우에는 감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센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전기배선이 어렵고, 또한 설치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화재나 지진 발생시 이를 검출하여 신속하게 알려줌에 따라 건물내에 있는 사람들을 조기에 대피시켜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광범위한 영역을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센서를 통해 침입자를 검출하여 조기에 격퇴시킬 수 있는 다목적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진의 발생을 검출하는 지진검출센서와, 화재의 발생을 검출하는 화재검출센서와, 음파와 하중을 통해 침입자를 검출하는 초음파센서 및 하중센서와, 상기 지진검출센서와 화재검출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건물내로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하는 가스차단기와, 상기 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등을 점멸시켜 비상사태를 알리는 전등제어부와, 상기 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경보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등제어부 및 스피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경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등제어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초음파센서, 하중센서, 이미지센서 및 지진검출센서의
장착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경보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지진검출센서 12 : 화재검출센서
13 : 초음파센서 14 : 하중센서
15 : 단선검출부 16 : 키입력부
17 : 제어부 18 : 메모리부
19 : 비상용 배터리 20 : 전등제어부
21 : 가스차단기 22 : 스피커
23 : 이미지센서 24 : 전화접속부
LAMP : 전등 SW : 전등스위치
TRIAC : 트라이악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경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 지진의 발생을 검출하는 지진검출센서(11)와 화재의 발생을 검출하는 화재검출센서(12)가 각각 제어부(17)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제어부(17)에는 침입자를 검출하는 초음파센서(13)와 하중센서(14)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초음파센서(13)는 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 발진기와 이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초음파 발진기와 초음파 수신기는 경비지역의 양측단에 설치되며, 상기 하중센서(14)는 침입통로로 예상되는 도어나 창문의 내외부에 각각 설치된다.
아울러, 제어부(17)는 지진이나 화재가 검출되면 가스공급 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된 가스차단기(21)를 구동하여 건물내로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시키며, 또한 전등제어부(20)를 통해 건물 내외부에 설치된 전등을 점멸시키는 동시에 스피커(22)를 통해 지진이나 화재의 발생을 알리는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전화망이나 인터넷망에 접속된 전화접속부(24)를 통해 가까운 소방서나 경찰서 또는 경비원에게 비상사태를 통지하여 미처 건물에서 탈출하지 못한 사람들의 긴급구조를 요청한다.
한편, 초음파센서(13)와 하중센서(14)를 통해 이상물체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17)는 전등제어부(20)를 통해 건물 내외부에 설치된 모든 전등을 점멸하여 침입자의 출현을 알리는 동시에 전화접속부(24)를 통해 가까운 경찰서나 경비원에게 통지하며, 아울러 이미지센서(22)를 통해 침입자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어부(17)의 메모리부(18)에 저장함에 따라 추후에 수사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7)에는 전선의 단선을 검출하는 단선검출부(15)와 정전이나 전원선이 단선된 경우에 비상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용 배터리(19)가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경보장치를 구동시키거나 경보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16)가 제어부(17)에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건물 내외부에 설치된 전등을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키는 전등제어부(20)를 나타낸 도면으로, 전원선의 일측에 전등(LAMP)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사용자가 직접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SW)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전원스위치(SW)에 병렬로 트라이악(TRIAC)이 접속되어 있다.
즉, 트라이악(TRIAC)의 입력단과 출력단이 전등스위치(SW)의 전후단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트라이악(TRIAC)의 게이트단은 제어부(17)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전등스위치(SW)가 오프되어 있어도 제어부(17)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트라이악(TRIAC)이 도통되어 전등(LAMP)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초음파센서, 하중센서, 이미지센서 및 지진검출센서가 실내외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지진검출센서(11)가 실내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초음파센서(12)의 초음파 발진기(12a)와 초음파 수신기(12b)는 경비지역인 실내의 양측단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상물체의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센서(14a,14b)와 침입자 또는 방문자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센서(23a,23b)가 침입통로로 예상되는 출입구의 내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경보장치의 동작방법을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진검출센서(11)나 화재검출센서(12)를 통해 지진 또는 화재의 발생이 검출되면(101 내지 102), 제어부(17)는 지진이나 화재의 발생시간을 기록하는 동시에 가스의 누출로 인한 폭발 또는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차단기(21)를 구동하여 건물내로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시킨다(103 내지 104).
상기와 같이 건물내로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시킨 후, 제어부(17)는 전등제어부(20)를 통해 건물 내외부에 설치된 모든 전등(LAMP)을 점등시키는 동시에 스피커(22)를 통해 경보음성을 출력하여 긴급사태의 발생을 사람들에게 알린다(110 내지 111).
즉, 제어부(17)는 키입력부(16)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건물 내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22)를 통해 "지진이야! 우측통로 지진대피소로 피하세요" 또는 "화재야! 출입구쪽 비상구로 대피하세요"와 같은 경보음성을 출력하여 건물내에 남아있는 사람들을 안전하게 유도 대피시킨다.
또한, 인터넷 또는 전화망과 접속되어 있는 전화접속부(24)를 통해 가까운 경찰서, 소방서, 경비실 또는 건물주에게 전화를 걸어 사고의 발생위치, 예를들면 "구해주세요, 목동 1단지 101동 302호 화재입니다"라는 음성과 문자를 전송하여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들을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한다(112).
이와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경보장치는 키입력부(16)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어야 작동이 시작되고, 또한 비밀번호가 입력되어야 걍보동작이 정지되므로(114 내지 116), 장난에 의한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비밀번호는 프로그램의 변환을 통해 사용자만이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음파를 출력하여 침입자를 검출하는 초음파센서(13)나 하중을 통해 침입자를 검출하는 하중센서(14)를 통해 이상물체가 감지되면(105 내지 106), 제어부(17)는 감지시간을 기록하고 감지된 이상물체가 침입자인지 판단한다(108).
침입자 판단은 초음파센서(13)와 하중센서(14) 및 기입력된 데이터, 예를들어 경비원의 순찰시간 등을 종합하여 판단하는데, 이상물체가 인터폰을 누른 방문자이면 이미지센서(23)를 통해 방문자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메모리부(18)에 저장하고(109), 감지된 이상물체가 침입자이면 건물 내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전등(LAMP)을 점등한 후, 침입자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메모리부(18)에 저장하며 수분내에 키입력부(16)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전등(LAMP)과 스피커(22)를 통해 침입자의 출현을 알린다(113).
즉, 건물 내외부의 모든 전등(LAMP)을 점멸하여 침입자의 출현을 알리는 동시에 음성, 다시말해 건물 내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22)를 통해 "도둑이야!" 라고 음성신호를 출력한다(110 내지 111). 아울러, 전화 접속부(24)를 통해 가까운 경찰서나 경비실 또는 건물주에게 전화를 걸어 침입자의 출현을 음성과 문자로 전송하여 침입자를 조기에 격퇴시킨다(112).
상기와 같은 초음파센서(13)는 넓은 영역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군사보호시설 또는 방위시설 등의 보안장치로도 활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나 지진 발생시 이를 검출하여 신속하게 알려줌에 따라 건물내에 있는 사람들을 조기에 대피시켜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건물내로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하여 누설된 가스의 폭발 또는 화재의 확산을 막을 수 있고, 소방서나 경찰서 등에 사고의 발생을 신속하게 통지하여 남아있는 사람들의 신속한 구조를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광범위한 영역을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센서를 통해 침입자의 출현을 검출함에 따라 전기배선이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침입자를 예방하기 위하여 야간에 공장, 점포, 사무실 등을 점등한 상태로 퇴근하는 경우에 발생되던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집단 주거지의 경비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등의 점멸을 통해 침입자의 출현을 쉽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경비인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경비예산을 감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지진검출센서, 화재검출센서, 초음파센서, 하중센서 등의 비상사태 검출센서와, 상기 비상사태 검출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건물내로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하는 가스차단기와, 상기 비상사태 검출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등을 점멸시켜 비상사태를 알리는 전등제어부와, 상기 비상사태 검출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경보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비상사태 검출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등제어부 및 스피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등제어부(20)는 전등(LAMP)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의 일측에 설치된 전등스위치(SW)의 전후단에 트라이악(TRIAC)의 입력단과 출력단을 각각 접속하고, 상기 트라이악(TRIAC)의 게이트단은 제어부(17)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초음파센서(13)와 하중센서(14)를 통해 침입자가 검출되면 침입자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어부(17)의 메모리부(18)에 저장하는 이미지센서(2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경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경보장치는 키입력부(16)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어야 작동되며, 비밀번호가 입력되어야 경보동작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경보장치.
KR1019980012888A 1998-04-10 1998-04-10 다목적 경보장치 KR100273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888A KR100273873B1 (ko) 1998-04-10 1998-04-10 다목적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888A KR100273873B1 (ko) 1998-04-10 1998-04-10 다목적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969A KR19990079969A (ko) 1999-11-05
KR100273873B1 true KR100273873B1 (ko) 2000-12-15

Family

ID=1953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888A KR100273873B1 (ko) 1998-04-10 1998-04-10 다목적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3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392A (ko) 2019-11-05 2021-05-13 (주)이코모스 재난 상태 감지용 센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608B1 (ko) * 2000-02-12 2003-04-26 손재설 비상구표시장치
KR20030008870A (ko) * 2001-07-20 2003-01-29 오광연 홈 방범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0739205B1 (ko) * 2006-03-28 2007-07-13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재난 대처 장치
KR100806955B1 (ko) * 2006-09-14 2008-02-25 미래아이앤씨 주식회사 초음파 감지기
KR101219176B1 (ko) * 2011-04-29 2013-01-09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재난 방지용 통합관리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392A (ko) 2019-11-05 2021-05-13 (주)이코모스 재난 상태 감지용 센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969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31320A1 (ko) 무선 재난 화재 감지 및 방범 예방을 겸용하기 위한 휴대 조명등을 구비하는 사회 안전망 시스템
US4763115A (en) Fire or smoke detection and alarm system
US6249225B1 (en) Auxiliary alert process and system thereof for alarm system
KR100273873B1 (ko) 다목적 경보장치
CN208044791U (zh) 一种消防智能集成控制装置
US6011465A (en) Backup arrangement for alarm system
KR100316268B1 (ko) 영상 전송용 보안 시스템
KR20100002104A (ko) 무선 디지털 통합 방재시스템
KR101777396B1 (ko) 지능형 댁내 문 개폐 경보 장치 및 지능형 댁내 문 개폐 경보 시스템
KR101201854B1 (ko) 무인감시, 안내방송 및 비상전원 공급기능을 갖춘 비상전원공급장치
JPH04102682A (ja) 貴重品収納庫及び保管システム
KR100515056B1 (ko) 통신네트워크로 연결된 비상상황제어관리시스템과 이를이용한 비상상황제어관리사업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 의해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KR200304264Y1 (ko) 방화문 자동 개폐장치
KR200463408Y1 (ko) 긴급 구조 알림 장치
TWI312491B (ko)
CN111028467A (zh) 一种全面监测的小区智能安防系统
JPH11149592A (ja) 建造物の警報システム
RU2785365C1 (ru) Антиаварий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газифицированных помещений и оконная фрамуга, используемая в антиаварийной системе
KR102299570B1 (ko)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무선시스템
WO2016195314A1 (ko) 화재 예방 겸 소화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JPH11195183A (ja) ガス/co複合センサー、インターフェース、インターホン装置、住宅情報盤、警報監視盤、統合監視盤及びこれらを用いたco警報機能を備えた警報監視システム
KR20170063357A (ko) 다목적 안전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RU2269818C1 (ru) Система охран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для объектов недвижимости
JP3102020U (ja) 住宅の二重扉構造
KR100316203B1 (ko) 도난 경보장치를 가진 매입형 전화콘센트 및 도난경보장치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