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494Y1 - 자동차의 조향축 고정용 브라켓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향축 고정용 브라켓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494Y1
KR200324494Y1 KR20-1999-0001973U KR19990001973U KR200324494Y1 KR 200324494 Y1 KR200324494 Y1 KR 200324494Y1 KR 19990001973 U KR19990001973 U KR 19990001973U KR 200324494 Y1 KR200324494 Y1 KR 2003244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haft
fixing
bracket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845U (ko
Inventor
박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999-0001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494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8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8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4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4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20Land vehicles
    • F16C2326/24Steering systems, e.g. steering rods or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조향축 고정용 브라켓트에 대한 것으로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체결 브라켓트의 구조를 개량하여 진동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보강하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수명이 오래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품성을 높이는데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후방 중앙에 샤프트용 구멍이 천공된 "ㄷ" 자형 지지부재와, 이 "ㄷ"자형 지지부재의 양측 끝단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되, 상측에 한쌍의 보울트 구멍을 갖고 정면에 또 다른 샤프트 구멍을 가지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조향축 고정용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샤프트 구멍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용접한 보강파이프와, 상기 고정부재의 샤프트 구멍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용접한 보강파이프와, 상기 고정부재의 샤프트 구멍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용접하되, 상단이 상기한 보강파이프의 속으로 끼워지게한 지지파이프, 상기 지지파이프의 하단 내경에 끼운 베어링으로 구성하여 칼럼의 하단이 보강파이프의 상단 속으로 끼워지고, 샤프트의 하단이 지지파이프 속의 베어링에 지지되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향축 고정용 브라켓트{Brakret for fixing steering asis of c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조향축 고정용 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향축의 칼럼 하단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로워 브라켓트를 개량하여 강성을 향상시키고, 더 나가서 진동 소음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축은 내부의 샤프트(1)와, 샤프트의 둘레에 감합된 칼럼(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칼럼의 하단은 브라켓트(3)를 이용하여 차체(4)에 고정하고, 샤프트(1)의 하단에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해 랙피니언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트(3)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ㄷ"자형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3a)와, "ㄷ"자형 지지부재의 양측 끝단을 용접으로 연결한 고정부재(3b)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부재(3b)의 상측에는 보울트 구멍(38)이 형성되어 있어 보울트(41)로 차체(4)에 고정할 수 있고, 상기 지지부재(3a)는 후방 중앙에서 측편으로 샤프트용 구멍(34)이 형성되어 있어 샤프트(1)가 통과시킬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샤프트용 구멍(34)의 둘레에 칼럼(2)의 하단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한 후, 그 칼럼(2)의 끝단 내부에 베어링(33)을 삽입 설치시켜 지지부재(3a)보다 더 아래로 연장된 샤프트(1)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브라켓트(3)구조에서는 샤프트의 최종 지지점이 칼럼(2)의 하단이기 때문에 차륜과, 볼조인트와, 랙바와, 유니버셜조인트를 통해 역으로 진동이 전달될 경우, 내구성에 문제가 있으며, 소음이 발생하는 등 많은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사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체결 브라켓트의 구조를 개량하여 진동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보강하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수명이 오래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품성을 높이는데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후방 중앙에 샤프트용 구멍이 천공된 "ㄷ"자형 지지부재와, 이 "ㄷ"자형 지지부재의 양측 끝단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되 상측에 한쌍의 보울트 구멍을 갖고 정면에 또 다른 샤프트 구멍을 가지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조향축 고정용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샤프트 구멍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용접한 보강파이프와, 상기 고정부재의 샤프트 구멍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용접하되, 상단이 상기한 보강파이프의 속으로 끼워지게한 지지파이프, 상기 지지파이프의 하단 내경에 끼운 베어링으로 구성하여 칼럼의 하단이 보강파이프의 상단 속으로 끼워지고, 샤프트의 하단이 지지파이프 속의 베어링에 지지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향축 고정용 브라켓트를 보인 평면도와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향축 고정용 브라켓트를 보인 평면도와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샤프트 2 : 칼럼
3 : 브라켓트 4 : 차체
3a : 지지부재 3b : 고정부재
31 : 보강파이프 32 : 지지파이프
33 : 베어링 34,35 : 파이프구멍
36 : 보강리브 37 : 탄성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와 측면도 인 바, 지지부재(3a)와, 고정부재(3b)로 이루어진 브라켓트(3), 그리고 이 브라켓트에 지지된 칼럼(2) 및 샤프트(1)를 볼 수 있다.
"ㄷ"자형 지지부재(3a)는 후방 중앙에 샤프트용 구멍(34)을 천공한 후, 보강파이프(31)를 끼워 용접 고정하고, 고정부재(3b)에는 역시 샤프트 구멍(35)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지지파이프(32)를 끼워 용접하되, 그 상단이 상기한 보강파이프(31)의 안으로 끼워져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한 보강파이프(31)의 내경은 조향축의 칼럼(2)이 끼워질 수 있는 치수로 하고, 지지파이프(32)의 하단 내경에는 베어링(33)을 끼워 조질하며, 또한 상기 고정부재(3b)와 지지파이프(32)와의 사이에는 보강리브부재(36)를 용접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본 고안의 지지부재(3a)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ㄷ"자의 양측 코너 부분을 둥글게 확대시켜 탄성부(37)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브라켓트(3)는 조향축의 아래쪽으로부터 끼워 넣었을 때,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칼럼(2)이 상측의 보강파이프(31) 속으로 끼워지고, 샤프트(1)가 지지파이프(32)의 속으로 끼워진 후, 하단 내경의 베어링(33)속에 끼워진다.
이 상태로 브라켓트(3)를 차체(4)에 고정시키면 샤프트(1)의 최종 끝단이 베어링(33)으로써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흔들림이 없게 된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부(37)를 가지도록 형성된 지지부재(3a)는 상기 탄성부(37)의 만곡진 형태나 그 크기에 따라 지지되는 하중값을 다르게 조절할 수가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조향축의 칼럼(2)은 브라켓트(3)의 보강파이프(31) 속으로 끼워져 흔들림이 없게 되고, 샤프트(1)의 하단이 하측 지지파이프(32)의 베어링(33)에 끼워져 안정되기 때문에 차륜으로부터 역으로 전해져오는 충격이나 진동이 있어도 내구성이 유지되며, 특히 충격에 대한 하중값을 달리 조졸할 수가 있기 때문에 차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계할 수 있고, 더 나가서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후방 중앙에 샤프트 구멍(34)이 천공된 "ㄷ"자형 지지부재(3a)와, 이 "ㄷ"자형 지지부재(3a)의 양측 끝단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되, 상측에 한 쌍의 보울트 구멍을 갖고 정면에 또 다른 샤프트 구멍(35)을 가지는 고정부재(3b)로 이루어진 조향축 고정용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a)의 샤프트 구멍(34)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용접한 보강파이프(31)와, 상기 고정부재(3b)의 샤프트 구멍(35)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용접하되, 상단이 상기한 보강파이프(31)의 속으로 끼워지게한 지지파이프(32), 상기 지지파이프(32)의 하단 내경에 끼운 베어링(33)으로 구성하여 칼럼(2)의 하단이 보강파이프(31)의 상단 속으로 끼워지고, 샤프트(1)의 하단이 지지파이프 속의 베어링(33)에 지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축 고정용 브라켓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부재(3b)는 그 샤프트 구멍(35)에 끼워진 채 용접된 지지파이프(32)와의 사이에 보강리브부재(36)를 용접하여 구성함으로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축 고정용 브라켓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부재(3a)는 그 양측 코너부분을 둥글게 확대시킨 탄성부(37)를 가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축 고정용 브라켓트.
KR20-1999-0001973U 1999-02-09 1999-02-09 자동차의 조향축 고정용 브라켓트 KR2003244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973U KR200324494Y1 (ko) 1999-02-09 1999-02-09 자동차의 조향축 고정용 브라켓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973U KR200324494Y1 (ko) 1999-02-09 1999-02-09 자동차의 조향축 고정용 브라켓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845U KR20000016845U (ko) 2000-09-25
KR200324494Y1 true KR200324494Y1 (ko) 2003-08-27

Family

ID=4941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973U KR200324494Y1 (ko) 1999-02-09 1999-02-09 자동차의 조향축 고정용 브라켓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4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894B1 (ko) * 2000-08-16 2004-04-13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845U (ko)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004B1 (ko) 프런트 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 마운팅부 구조
JP3505899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US20060283650A1 (en) Vehicle body structure of motorcycle
US6402172B1 (en) Suspension frame construction
KR200324494Y1 (ko) 자동차의 조향축 고정용 브라켓트
KR100599479B1 (ko) 토션빔 액슬 타입 리어 서스펜션
JP3390129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
KR20110038832A (ko) 로어암 구조
KR100199727B1 (ko) 자동차의 후방현가장치용 후방 트레일링아암
KR100402116B1 (ko) 자동차의 카울크로스멤버 구조
KR100316958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과 볼죠인트암의 결합구조
KR200140896Y1 (ko) 자동차 조향 너클과 액슬을 연결하는 스핀들 핀의 보강 구조
KR100411490B1 (ko) 트레일링 암 고정부
JP4164667B2 (ja) 車体フレーム構造
JP4543802B2 (ja) ステアリングギヤのマウント構造
JP2008207751A (ja) ステアリングハンガーの支持構造
KR200247112Y1 (ko) 자동차용 차체의 보강구조
KR19980016519U (ko) 자동차의 후방현가장치용 후방 트레일링아암
KR100395123B1 (ko) 차량의 프론트 앤드 보디 구조
JPH07137523A (ja) 自動車のスタビライザバー取付構造
KR100488999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지지장치의 보강구조
KR100398207B1 (ko) 차량의 리어서스펜션 보강구조
JP3855402B2 (ja) スタビライザ結合構造
KR20030008307A (ko) 자동차 프레임상의 탑재구조
KR19980029505A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로어암(Lower Arm)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