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773Y1 - 주택의 복층 구조 - Google Patents

주택의 복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773Y1
KR200322773Y1 KR20-2003-0013492U KR20030013492U KR200322773Y1 KR 200322773 Y1 KR200322773 Y1 KR 200322773Y1 KR 20030013492 U KR20030013492 U KR 20030013492U KR 200322773 Y1 KR200322773 Y1 KR 2003227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room
living room
duplex
space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산
Original Assignee
김광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산 filed Critical 김광산
Priority to KR20-2003-0013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7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7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주택의 거실 및 침실의 내부에 각각 복층부를 배치하여 가족 및 자녀와 부부만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주택의 복층 구조가 개시된다.
종래의 주택은 하나의 복층부를 배치함에 따라 가족 공동으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부부만의 프라이버시 보호가 어렵고 공간 활용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거실과 복수 개의 침실이 배치된 주택 구조에 있어서, 상기 거실의 일측에는 거실에서 왕래할 수 있는 제1복층부가 배치되고, 상기 침실 내의 상부 일측에는 침실 내에서만 왕래가 가능한 제2복층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의 복층 구조가 제공된다.
따라서, 거실과 침실 내에 각각 복층부를 배치하여 거실에 배치된 복층부는 가족이나 자녀들의 공간으로 활용하고, 침실 내에 배치된 복층부는 부부만의 공간으로 활용하도록 기능적으로 2분화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과 공간의 활용성이 증진됨과 아울러 부부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된다.

Description

주택의 복층 구조{An upstairs room structure of housing}
본 고안은 주택의 복층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독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 적용하여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기능성을 더욱향상시킬 수 있는 주택의 복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실(10)의 일측에 주방(11) 및 복수 개의 침실(12)(13)(14)이 구비되고, 상기 거실(10) 및 침실(12)에는 화장실(15)(16)이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주택 구조는 일반적으로 침실은 부부의 취침이나 자녀들의 공부 또는 취침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게 되며, 특히 가족 각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 특히 부부만의 프라이버시 보호가 어렵고 활용 공간이 매우 협소하다고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거실의 일측에 하나의 복층부를 배치한 주택 구조도 제안되고 있으나, 이 또한 복층부를 가족 전체의 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부부의 프라이버시 보호에는 한계가 있으며, 공간의 활용도만 조금 나아진 구조로 알려져 있으나, 주택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베란다 등을 확장함으로써 내력벽이 손상되어 건물의 안전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력벽 등의 손상 없이 실내 공간의 활용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부부 등의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 주택의 복층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주택의 복층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주택의 복층 구조의 1층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주택의 복층 구조의 복층을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거실 22: 제1침실
23: 제2침실 24: 제3침실
30: 제1복층부 31,41: 계단부
32,42: 유리벽 43: 드레스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주택의 복층 구조는, 거실과 복수 개의 침실이 배치된 주택 구조에 있어서, 상기 거실의 일측에는 거실에서 왕래할 수 있는 제1복층부가 배치되고, 상기 침실 내의 상부 일측에는 침실 내에서만 왕래가 가능한 제2복층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거실과 침실 내에 각각 복층부를 배치하여 거실에 배치된 복층부는 가족이나 자녀들의 공간으로 활용하고, 침실 내에 배치된 복층부는 부부만의 공간으로 활용하도록 기능적으로 2분화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과 공간의 활용성이 증진됨과 아울러 부부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주택의 실내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거실(20)의 일측에는 주방(21)이 배치되어 있고, 양측에는 제1침실(22), 제2침실(23) 및 제3침실(24)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거실(20)에는 가족용의 화장실(25)이 배치되고, 상기 제1침실(22)에도 부부 전용의 화장실(26)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침실(23)의 상측에는 제1복층부(3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복층부(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침실(23) 및 화장실(25)의 상측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거실(20)에서 왕래가 가능하도록 일측에 계단부(31)가 노출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복층부(30)는 개방감을 주기 위하여 벽면이 복수 개의 유리벽(32)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리벽(32)의 상단은 천장에 닿지 않도록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도록 하여 더욱 개방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복층부(30)는 계단부(31)의 반대측이 거실(20)의 끝단에 위치되지 않고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하여 거실(20)의 공간 활용이 향상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제1복층부(30)는 침실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서재나 공부방 또는 사무공간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가족 모두의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케 된다.
한편, 상기 제1침실(22)에도 상측에 제2복층부(40)가 형성된다.
상기 제2복층부(40)는 제1침실(22)의 상측 일부에 배치되는데, 이는 제1침실(22)에서만 왕래가 가능하도록 일측에 계단부(41)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복층부(40)도 개방감을 가지도록 벽면이 복수 개의 유리벽(42)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리벽(42)은 상단이 천장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도록 하여 더욱 개방감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복층부(40)에는 일측에 드레스룸(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드레스룸(43)에는 화장대(43a), 복수 개의 수납장(43b)이 배치되어 화장과 옷을 갈아입는 등의 일들이 하나의 공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2복층부(40)는 제1침실(22) 내에서 왕래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부부침실로 사용할 경우에는 부부만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된다.
상기 제2복층부(40)는 침실의 기능보다는 부부만의 서재나 사무공간 또는 취미활동 공간 등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주택의 복층 구조는 거실(20)의 일측에 제1복층부(30)가 배치되고, 상기 제1복층부(30)는 거실(20)에 노출된 계단부(31)를 통하여 왕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왕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침실의 기능은 물론 가족의 서재, 공부방 등 가족의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복층부(30)는 벽면이 복수 개의 유리벽(32)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리벽(32)의 상부가 천장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됨으로써 개방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복층부(30)는 거실(20)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됨에 따라 거실(20)의 공간을 충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제1침실(22)의 상부 일측에 제2복층부(40)가 배치되고, 이 제2복층부(40)는 상기 제1침실(22) 내에서만 왕래가 가능하도록 하여 제1침실(22)을 사용하는 가족, 예컨대 부부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부부의 프라이버시를 충분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케 된다.
또한, 상기 제2복층부(40)는 일측에 드레스룸(43)이 배치됨으로써 제1침실(22) 내에서 화장하거나 옷을 갈아입는 등의 일들이 하나의 공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간 활용도가 더욱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제2복층부(40)는 벽면이 유리벽(42)으로 형성됨에 따라 더욱 개방감이 향상되고, 용도에 따라 부부만의 서재나 오락공간 또는 취미활동 공간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거실과 침실 내에 각각 복층부를 배치하여 거실에 배치된 복층부는 가족이나 자녀들의 공간으로 활용하고, 침실 내에 배치된 복층부는 부부만의 공간으로 활용하도록 기능적으로 2분화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과 공간의 활용성이 증진됨과 아울러 부부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거실과 복수 개의 침실이 배치된 주택 구조에 있어서,
    상기 거실의 일측에는 거실에서 왕래할 수 있는 제1복층부가 배치되고, 상기 침실 내의 상부 일측에는 침실 내에서만 왕래가 가능한 제2복층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의 복층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층부는 거실의 끝단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의 복층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복층부는 벽면이 복수 개의 유리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의 복층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층부는 일측에 드레스룸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의 복층 구조.
KR20-2003-0013492U 2003-04-30 2003-04-30 주택의 복층 구조 KR2003227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492U KR200322773Y1 (ko) 2003-04-30 2003-04-30 주택의 복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492U KR200322773Y1 (ko) 2003-04-30 2003-04-30 주택의 복층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520A Division KR20040093590A (ko) 2003-04-30 2003-04-30 주택의 복층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773Y1 true KR200322773Y1 (ko) 2003-08-14

Family

ID=4933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492U KR200322773Y1 (ko) 2003-04-30 2003-04-30 주택의 복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7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455B1 (ko) 2013-07-10 2016-01-14 박종한 건물의 중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455B1 (ko) 2013-07-10 2016-01-14 박종한 건물의 중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22773Y1 (ko) 주택의 복층 구조
KR20040093590A (ko) 주택의 복층 구조
JPH10184041A (ja) 住戸の吹抜け構造
JP2000145171A (ja) 住 宅
JP4236211B2 (ja) 収納室を持つ建物
JP2535720B2 (ja) 多所帯型住宅
JP4279742B2 (ja) 建物
KR200322775Y1 (ko) 거실의 복층구조
JP2005097932A (ja) 蔵型収納付き建物
JP2002138684A (ja) 個室・共用居住ブロック付き住宅
JP4216677B2 (ja) 集合住宅
JPH11270156A (ja) 住 宅
KR200322870Y1 (ko) 주방의 복층구조
JP2009121142A (ja) 建物
JPH11336344A (ja) 住 宅
JP3106218U (ja) 住宅構造
JP2005336814A (ja) 建物
JP2535724B2 (ja) 多所帯型住宅
JPH0449622B2 (ko)
JPH10102795A (ja) 2階建て住宅
JPH1181712A (ja) 住 宅
JP2001323668A (ja) 室内階段を備えた住宅
JP2000320165A (ja) 住宅の階段横の棚
JP2008214949A (ja) 住居
JPH10311152A (ja) バルコニー付き多層住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