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385Y1 -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385Y1
KR200321385Y1 KR20-2003-0011865U KR20030011865U KR200321385Y1 KR 200321385 Y1 KR200321385 Y1 KR 200321385Y1 KR 20030011865 U KR20030011865 U KR 20030011865U KR 200321385 Y1 KR200321385 Y1 KR 200321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sprockets
driven
shafts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선
Original Assignee
박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선 filed Critical 박태선
Priority to KR20-2003-0011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3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3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52Drive or actuation means; Transmission means; Screw supporting means
    • B29C48/2522Shaft or screw supports, e.g.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52Drive or actuation means; Transmission means; Screw supporting means
    • B29C48/2526Direct drives or gear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55Conveyors for extrud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압출기 및 냉각수단 다음에 설치되어 압출된 성형물을 압지하여 인출하는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양측에 고정 프레임이 입설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고정프레임 각각에 설치되어 단부가 근접된 상태로 대향하며, 각각이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선택적인 구동이 가능한 제1,2주축과; 상기 좌,우측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도록 하되 각 주축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연동하며, 이와 동일하게 단부가 근접된 상태로 대향하고, 중앙 부위에 관절부재가 갖추어진 제1,2보조축과; 상기 제1,2주축 각각의 단부에 설치되어 인접하는 제1,2원동스프로킷과, 이 제1,2원동스프로킷과 연결판으로 연결된 제1,2종동스프로킷에 체인이 감아지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직상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2보조축 각각의 단부에 설치되어 인접하는 제1,2원동가변스프로킷과, 이 제1,2원동가변스프로킷과 연결판으로 연결된 제1,2종동가변스프로킷에 체인이 감아지는 가변부로 구성된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가변부 연결판을 승강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되어 승강시 보조축의 관절부재가 꺾이거나 펼쳐지며 성형물을 압지토록 하는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압출기로 부터 압출된 성형물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인출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outlet device for press shaping material}
본 고안은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압출기에서 압출되는 2개의 성형물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압지하여 인출할 수 있는 압출 성형물의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출 성형은 플라스틱으로 필름, 시트, 파이프 등과 같이 긴 물건의 연속 성형에 이용되는 것으로, 플라스틱 원료를 스크류(또는 플랜저)로 가열하여 실린더내로 보내, 이를 가열 유동화시켜 다이를 통과시킴으로서 형태를 부여하여 이것을 물 또는 공기로 냉각 고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압출 성형의 필수 설비로는 압출기, 다이(금형), 인출장치 등이며, 이중 인출장치는 압출기-다이-냉각수단 다음에 설치되어 압출기에서 압출되는 성형물을 인출 안내하는 장치이다.
통상, 이러한 인출장치는 다수의 로울러 또는 체인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중 체인 구동방식은 장치에 상호 연동하는 원동 및 종동 스프로킷을 상하 적층형태로 배열하고, 이들 각각에 체인을 감아 회전시킴으로써 이들 상,하부 체인 사이에 성형물이 물려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인출장치는 하나의 성형물을 인출할 때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하나의 금형에서 2개 이상의 성형물이 압출되는 압출기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금형은 그 크기가 제한되어 있어, 이를 통해 2개의 성형물을 동시에 압출하는 경우 성형물간의 간격이 좁아 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양측 지지대의 중앙에 스프로킷이 배열되어 체인이 감아지는 종래의 인출장치로는 성형물의 축간 거리에 맞추어 2개의 체인을 근접 배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인출장치의 다른 예로, 하나의 회전축에 2개의 스프로킷을 배열하여 체인 상호간에 거리를 조절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들 체인이 동시에 구동됨으로써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성형물의 형태 및 크기가 다른 경우 어느 하나는 성형물을 압지할 수 없어 결국 공회전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각각이 구동하며 인접하는 2개의 이송 체인을 구비하여 압출기로 부터 압출된 2개의 성형물을 각각 또는 동시에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는 압출 성형물의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2개의 이송체인이 각각 구동함에 따라 성형물의 형상 및 크기에 관계없이 동시에 2개의 성형물을 인출할 수 있으며, 압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압출 성형물의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각각의 이송수단과 구동 수단을 하나의 장치로 또는 이들을 분리하여 2개의 장치로 이용할 수 있는 압출 성형물의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압출기 및 냉각수단 다음에 설치되어 압출된 성형물을 압지하여 인출하는 인출장치로써, 양측에 고정 프레임이 입설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고정프레임 각각에 설치되어 단부가 근접된 상태로 대향하며, 각각이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선택적인 구동이 가능한 제1,2주축과; 상기 좌,우측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도록 하되 각 주축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연동하며, 이와 동일하게 단부가 근접된 상태로 대향하고, 중앙 부위에 관절부재가 갖추어진 제1,2보조축과; 상기 제1,2주축 각각의 단부에 설치되어 인접하는 제1,2원동스프로킷과, 이 제1,2원동스프로킷과 연결판으로 연결된 제1,2종동스프로킷에 체인이 감아지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직상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2보조축 각각의 단부에 설치되어 인접하는 제1,2원동가변스프로킷과, 이 제1,2원동가변스프로킷과 연결판으로 연결된 제1,2종동가변스프로킷에 체인이 감아지는 가변부로 구성된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가변부 연결판을 승강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되어 승강시 보조축의 관절부재가 꺾이거나 펼쳐지며 성형물을 압지토록 하는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진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 인출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 인출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평면도,
도 3a, b는 본 고안 인출장치에 적용되는 이송체인을 보인 일측면로써,
도 3a는 도 1의 A-A선에서 바라본 일측면이고,
도 3b는 도 1의 B-B선에서 바라본 일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인출장치의 요부를 발취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인출장치이 성형물을 압지하는 과정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인출장치 2 : 베이스 프레임
102, 202 : 구동모터 3 : 연장부
10, 20 : 좌우측 고정프레임 110 : 제1주축
120 : 제1보조축 130 : 제1이송수단
140 : 제1승강수단 210 : 제2주축
220 : 제2보조축 221 : 관절부재
230 : 제2이송수단 240 : 제2승강수단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 인출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a, b는 도 1의 A-A 및 도1의 B-B에서 바라 본 부분 단면도로써, 이송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인출장치는 상호 대향하는 2개의 인출수단(100)(200)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2개의 인출수단(100)(200)은 필요에 따라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좌,우측 인출수단 즉 본 고안의 인출장치(10)는 고정 프레임(10)(20)이 입설된 베이스 프레임(2)과, 상기 고정 프레임(10)(20) 각각에 설치되어 단부가 근접된 상태로 대향하는 제1,2주축(110)(210) 및 제1,2보조축(120)(220)과, 상기 각각의 주축(110)(210)에 설치되는 고정부(131)와 상기 보조축(120)(220)에 설치된 가변부(132)(232)로 이루어진 이송수단(130)(230)과, 상기 각 가변부(132)(232)를 승강시켜 성형물(6)을 압지토록 하는 제1,2승강수단(140),(2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은 전방 양측으로 연장부(3),(4)를 가지며, 이 연장부(3)(4)의 각 상면에 좌,우측 고정 프레임(10)(20)이 설치되고, 이들 좌,우측 고정 프레임(10)(20) 각각에 인출수단(100),(200)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좌,우측 고정 프레임(10)(20)의 각각에는 축이 관통 설치되는데, 먼저 하부측에는 구동 모터(101)(201)와 직결되는 제1 및 제2주축(110)(1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각각의 주축(110)(210) 직상부에 상기 제1,2보조축(120)(220)이 위치한다.
한편, 상기 제1,2주축(110)(210)은 각 고정 프레임(10)(20)의 내측방으로 설치되어 상호 대향하며 단부가 인접하고, 도면과 같이 중앙에 휨을 방지하기 위해 유니버셜 조인트가 갖추어질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일체형의 축봉형식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2주축(110)(210)과 마찬가지로 제1,2보조축(120)(220) 역시 단부가 근접된 상태로 상호 대향하며, 상기 제1,2주축(110)(210)의 상부측으로 고정 프레임(10)(2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중앙에는 관절부재(121)(221)가 갖추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관절부재(121)(222)는 후술하는 승강수단(140)(240)에 의한 가변부(132)(232)의 승강시 이 관절부재(121)(221)가 꺾이거나 펼쳐지면서 가변부(132)(232)의 승강을 가능케 한다.
여기서 상기 관절부재(121)(221)는 도면과 같이 유니버셜 조인트로 구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다른 형태 예를 들어 링크 형식으로도 구성될 수있다.
한편, 상기 제1,2보조축(120)(220)은 상기 제1,2주축(110)(210)과 연동하는데, 도면과 같이 치차 전동 즉 제1,2주축(110)(210) 각각에 원동기어(102)(202)를 설치하고, 제1,2보조축(120)(220)에는 종동기어(103)(203)를 구비하여 이들이 상호 맞물려 모터(101)(20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이다.
물론 이러한 전동방식은 하나의 실예에 불과하고, 감아걸기 예를 들면 밸트, 체인에 의한 전동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2체인이송수단(130)(230)은 도 3a 및 도 3b와 같이, 고정부(131)(231)와 가변부(131a)(231a)로 구성되는 것으로, 고정부(131)(231)는 주축(110)(210)에 설치되고, 가변부(131a)(231a)는 보조축(120)(220)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131)(231)는 제1,2주축(110)(120)의 단부에 설치되는 원동 스프로킷(132)(232)과, 종동 스프로킷(133)(233) 및 이들에 감아지는 체인(134)(234)으로 구성되며, 상기 체인(134)(234)에는 압지편(135)(235)이 갖추어지며, 상기 압지편(135)(235)은 고무재를 기본으로 여러 형태 및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2원동 스프로킷(132)(232)은 각각이 제1,2주축(110)(210) 단부에 설치되어 상호 근접하며, 그 근접거리는 압출기(5)로 부터 압출되는 성형물(6)의 축간거리에 따라 주축(110)(210)상에서 그 설치 위치가 조절된다.
상기 제1,2원동 스프로킷(132)(232)과 제1,2종동스프로킷(133)(233)은 연결판(136)(236)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판(136)(236)의 단부에 상기 제1,2종동 스프로킷(133)(233)이 축착되고, 이 연결판(133)(236)의 중앙에 브라켓트(137)(237)가 구비되어 베이스 프레임(2)에 고정된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부(131)(231)는 연결판(136)(236)의 중앙에 갖추어진 브라켓트(137)(237)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2)에 고정 지지되는 구조이다.
상기 체인 이송수단(130)(230)의 가변부(131a)(231a)는 상기 제1,2보조축(121)(222)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2가변원동 스프로킷(132a)(232a)과, 이 제1,2가변원동 스프로킷(132a)(232a)과 연동하는 제1,2가변종동스프로킷(133a)(233a) 및 이들에 감아지는 체인(134a)(234a)으로, 구성되며, 각 체인(134a)(234a)에는 고정부(131)(231)와 마찬가지로 압지편(135a)(235a)이 갗어진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2가변원동 스프로킷(132a)(232a)은 상기 고정부(131)의 제1,2원동스프로킷(132)(232)과 마찬가지로, 각각이 보조축(120)(220)의 단부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2가변원동 스프로킷(132a)(232a)과 제1,2가변종동스프로킷(133a)(233a)은 연결판(136a)(236a)에 의해 연결되며, 이 연결판(136a)(236a)의 단부에 가변종동 스프로킷(133a)(233a)이 축착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가변부(131a)의 연결판(136a)(236a)에는 슬라이더(137a)(237a)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가이드 포스트(141)(241)를 따라 이동하며 성형물(6)을 압지토록 한다.
상기 승강수단(140)(240)은 베이스 프레임(2)에 입설되는 가이드 포스트(141)(241)와, 상기 가변부(131a)(231a)의 연결판(136a)(237a)과 연결되어 이를 승강시키는 실린더(142)(242)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포스트(141)(241)는 베이스 프레임(2)의 중앙 부위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최소 2개 이상이 설치되어 가변부(131a)(231a)의 슬라이더(137a)(237a)가 이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B는 베어링으로 각 축부에 설치되어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인출장치는 하나의 압출기(5)로 부터 압출된 2개의 성형물(6)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는 것으로, 압출기(5)와 공냉 또는 수냉의 냉각수단(미도시) 후방측에 설치된다.
압출기(5)에서 성형물(6)의 압출이 시작되면, 본 고안의 인출장치(1)는 준비 단계 즉 승강수단(140)(240)의 실린더(142)(242)가 구동하여 가변부(131a)(231a)의 연결판(136a)(236a)을 상승시켜 가변부(131a)(231a)의 가변원동(132a)(232a) 및 종동 스프로켓(133a)(233a)을 상향 이동시키는데 이때, 이들과 연결된제1,2보조축(120)(220)의 각 관절부재(121)(221)가 꺾여 가변부(131a)(231a)의 승강을 가능케한다.
압출기(5)로 부터 압출된 성형물(6)이 상기 이동수단(130)(230)의 상하부측 체인(134)(234),(134a)(234a) 즉 고정부(131)(231) 및 가변부(131a)(231a) 사이에 진입하며, 상기 실린더(142)(242)는 하강하고, 이것에 의해 가변부(131a)(231a)가 하강하여 성형물(6)을 압지한다.
물론, 상기 성형물(6)은 각 체인(134)(234),(134a)(234a)에 갖추어진 압지편 (135)(235),(135a)(235a)사이에 압지되며, 이와 동시에 구동모터(101)(201)가 동작한다. 각 구동모터(101)(201)의 동작에 따라 각 종동 스프로킷(110)(210)이 회전하고, 이와 함께 각 체인(133)(233),(133a)(233a)이 회전하며, 압출기(5)로 부터 성형물(6)을 인출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수단(130)(230)은 성형물(6)에 압출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데, 성형물(6)의 크기 및 두께가 다른 경우 가변부(131a)(231a)의 승강거리를 달리하여 성형물(6)을 압지하여 인출하고, 필요에 따라서 어느 한쪽의 이동수단을 정지시키고 다른 하나의 이동수단만을 구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상호 대향하며 단부가 인접한 주축 및 보조축 각각에 스프로킷을 설치하여 성형물을 인출하는 2개의 체인이 근접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압출기로 부터 압출되는 2개의 성형물을 동시에 인출하도록 하고, 이들 2개 이송수단을 각각 구동하여 선택적인 성형물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나의 압출기로 부터 압출된 2개의 성형물이 그 크기 및 형상을 달리하여도 각각의 성형물 압지하여 인출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의 이송수단만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4)

  1. 압출기 및 냉각수단 다음에 설치되어 압출된 성형물을 압지하여 인출하는 인출장치로써,
    양측에 고정 프레임이 입설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고정프레임 각각에 설치되어 단부가 근접된 상태로 대향하며, 각각이 구동모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1,2주축과;
    상기 각 주축의 상부에 위치하여 연동하며, 이 제1,2주축과 동일하게 단부가 근접된 상태로 대향하고, 중앙 부위에 관절부재가 갖추어진 제1,2보조축과;
    상기 제1,2주축 각각의 단부에 설치되어 인접하는 제1,2원동스프로킷과, 이 제1,2원동스프로킷과 연결판으로 연결된 제1,2종동스프로킷에 체인이 감아져 회전하는 고정부와, 상기 제1,2보조축 각각의 단부에 설치되어 인접하는 제1,2원동가변스프로킷과, 이 제1,2원동가변스프로킷과 연결판으로 연결된 제1,2종동가변스프로킷에 체인이 감아져 회전하는 가변부로 구성된 제1,2이송수단과;
    상기 제1,2이송수단의 가변부 연결판을 승강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되어 승강시 보조축의 관절부재가 꺾이거나 펼쳐지며 성형물을 압지토록 하는 승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압출 성형물의 인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조축의 관절부재는 유니버셜 조인트 또는 링크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압출 성형물의 인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중앙 부위에 각 가변부의 연결판에 설치된 슬라이더가 끼워져 이동하는 가이드 포스트가 갖추어진 것을 포함하는 압출 성형물의 인출장치.
  4.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이송수단의 고정부와 가변부 각각은 중앙부위가 지지되는 것으로, 고정부는 연결판에 갖추어져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트에 의해, 가변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포함하는 압출 성형물의 인출장치.
KR20-2003-0011865U 2003-04-17 2003-04-17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 KR200321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865U KR200321385Y1 (ko) 2003-04-17 2003-04-17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865U KR200321385Y1 (ko) 2003-04-17 2003-04-17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385Y1 true KR200321385Y1 (ko) 2003-07-28

Family

ID=4933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865U KR200321385Y1 (ko) 2003-04-17 2003-04-17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3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0329A (zh) * 2019-08-20 2019-11-15 湖州久鼎电子有限公司 一种硅胶挤压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0329A (zh) * 2019-08-20 2019-11-15 湖州久鼎电子有限公司 一种硅胶挤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6927B2 (ja) シート成形機のシートクランプ装置
KR200321385Y1 (ko)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
CN215791875U (zh) 一种连续吸塑成型高阻隔性水囊生产装置
KR200321446Y1 (ko)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
KR200341068Y1 (ko)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
CN112959687A (zh) 一种连续吸塑成型高阻隔性水囊生产装置及方法
CN113147156B (zh) 一种tpu材料与哑光离型膜贴合装置
CN111468568A (zh) 一种防盗门门板成型线用翻板式折弯机构
CN220841340U (zh) 弹性体防滑布生产线
CN211496275U (zh) 一种tpu薄膜的传送辊的调节装置
CN113771325B (zh) 一种用于聚苯乙烯的装饰条生产的挤出定型装置
CN217531764U (zh) 一种模内热切热流道叠层模
CN112959688B (zh) 一种不间断吸塑成型水囊生产装置及方法
CN215557716U (zh) 一种彩色覆合环保板生产线用张力控制装置
CN220661658U (zh) Eva薄膜连续式生产设备
CN213082347U (zh) 一种流延膜生产设备用压花装置
CN220031136U (zh) 一种塑料薄膜定型冷却装置
CN116214970B (zh) 一种玻璃纤维加工用板材拉挤设备及方法
CN212312829U (zh) 一种环保快餐盒的高效生产设备
CN220316757U (zh) 一种吹膜机的下料装置
CN219114340U (zh) 可升降式连续式墙板的生产模具
CN216182684U (zh) 一种用于可降解塑料袋吹塑装置的破洞封堵机构
CN220331780U (zh) 一种含硼高分子聚乙烯板生产成型设备
CN215550894U (zh) 一种合成树脂瓦生产用成型装置
CN220500017U (zh) 一种塑料薄膜连续履带式成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