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068Y1 -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068Y1
KR200341068Y1 KR20-2003-0029705U KR20030029705U KR200341068Y1 KR 200341068 Y1 KR200341068 Y1 KR 200341068Y1 KR 20030029705 U KR20030029705 U KR 20030029705U KR 200341068 Y1 KR200341068 Y1 KR 200341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base frame
endless track
cylinder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선
Original Assignee
박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선 filed Critical 박태선
Priority to KR20-2003-0029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0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0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29C47/34

Landscapes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출기로부터 성형된 성형물을 압지하여 인출하는 성형물 이송수단의 구동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함과 아울러, 2개의 이송수단을 최단거리로 근접되게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압출기를 통해 압출되는 2개의 성형물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는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출기로부터 성형되는 성형물을 압지하여 이송하는 인출장치로써,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적당한 길이를 가지는 2개의 연결판을 상하부측에 배치하고, 이들 상하부 연결판의 일측 동일면 각각에 무한궤도를 구비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상하부 무한궤도를 연동하는 성형물 이송수단;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중앙 부위에 설치되며, 피스톤이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 또는 하부 연결판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하되, 이 피스톤은 무한궤도가 설치된 대향면 중앙 부위에 연결되어 이를 상하로 이동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실린더는 상부 또는 하부 연결판을 상하 이동하여 무한궤도 사이에 성형물이 압지되도록 하고, 성형물의 압지 후 모터에 의해 상하 무한궤도가 연동하여 성형물을 이송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outlet device for press shaping material}
본 고안은 압출 성형물의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출기로부터 성형된 성형물을 압지하여 인출하는 성형물 이송수단의 구동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함과 아울러, 2개의 이송수단을 최단거리로 근접되게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압출기를 통해 압출되는 2개의 성형물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는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출 성형은 플라스틱으로 필름, 시트, 파이프 등과 같이 긴 물건의 연속 성형에 이용되는 것으로, 플라스틱 원료를 스크류(또는 플랜저)로 가열하여 실린더내로 보내, 이를 가열 유동화시켜 다이를 통과시킴으로서 형태를 부여하여 이것을 물 또는 공기로 냉각 고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압출 성형의 필수 설비로는 압출기, 다이(금형), 인출장치 등이며, 이중 인출장치는 압출기-다이-냉각수단 다음에 설치되어 압출기에서 압출되는 성형물을 이송하는 장치이다.
통상, 이러한 인출장치는 다수의 로울러 연설하거나 또는 체인구동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중 체인구동방식은 원동 및 종동 스프로킷을 상하 적층형태로 배열하고, 이들 각각에 체인을 감아 회전시킴으로써 이들 상,하부 체인 사이에 성형물이 끼워져 이송되는 구성이다.
그런데, 이러한 인출장치는 성형물이 끼워지는 공간 즉, 스프로킷에 고정됨으로써, 상하부측 체인 사이의 간격이 한정되고 따라서, 성형물의 형태 및 직경에 따라서는 인출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부 또는 하부측 체인구동장치에 실린더를 연결하여 성형물의 직경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고 있으나, 이 또한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예컨데, 상하부측 체인은 상호 연계되어 회전하며 성형물을 인출하는데, 통상은 각각의 원동 스프로킷을 연결하여 전동시키나, 이 경우 상부측 또는 하부측 체인이 이동함에 따라 이들을 직접적으로 연결하기 어렵고, 따라서 이들간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수단과,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예컨데 관절이 별도로 설치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어려우며, 또한 제작 비용 및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인출장치는 하나의 성형물을 인출할 때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하나의 금형에서 2개 이상의 성형물이 압출되는 압출기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금형은 그 크기가 제한되어 있어, 이를 통해 2개의 성형물을 동시에 압출하는 경우 성형물간의 간격이 좁아 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양측 지지대의 중앙에 스프로킷이 배열되어 체인이 감아지는 종래의 인출장치로는 성형물의 축간 거리에 맞추어 2개의 체인을 근접 배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인출장치의 다른 예로, 하나의 회전축에 2개의 스프로킷을 배열하여 체인 상호간에 거리를 조절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들 체인이 동시에 구동됨으로써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성형물의 형태 및 크기가 다른 경우 어느 하나는 성형물을 압지할 수 없어 결국 공회전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상,하부측 무한궤도로 이루어진 성형물 이송수단을 구비하되, 상부 무한궤도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여 이송수단에 성형물이 압지되록 하고, 이들 상하부측 무한궤도를 연동시켜 성형물을 이동시키는 압출 성형물의 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원동 및 종동차와, 중간차가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맞물려 구성된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여 상하부 무한궤도를 연동시키며, 상기 상부 무한궤도의 승강시 중간차가 원동차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하며 경사각이 변위되어 상부 무한궤도의 이동을 가능하게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에 용이하며, 그에 따르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하부측에 배치된 연결판 각각에 무한괘도를 설치하여 2개의 이송수단을 최단거리로 근접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압출기로 부터 압출된 2개의 성형물을 각각 또는 동시에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는 압출 성형물의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2개의 이송수단이 각각 구동함에 따라 성형물의 형상 및 크기에 관계없이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성형물을 인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르는 압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압출 성형물의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압출기로부터 성형되는 성형물을 압지하여 이송하는 인출장치로써,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적당한 길이를 가지는 2개의 연결판을 상하부측에 배치하고, 이들 상하부 연결판의 일측 동일면 각각에 무한궤도를 구비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상하부 무한궤도를 연동하는 성형물 이송수단;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중앙 부위에 설치되며, 피스톤이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 또는 하부 연결판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하되, 이 피스톤은 무한궤도가 설치된 대향면 중앙 부위에 연결되어 이를 상하로 이동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실린더는 상부 또는 하부 연결판을 상하 이동하여 무한궤도 사이에 성형물이 압지되도록 하고, 성형물의 압지 후 모터에 의해 상하 무한궤도가 연동하여 성형물을 이송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기술적인 특징은 모터에 직결된 원동차와 맞물리는 다수의 치차를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은 소정의 경사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이송수단의 상,하부 무한괘도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며, 동력전달수단은 모터와 회전력으로 상,하부 무한궤도를 연동시킴과 아울러, 무한궤도의 승강시 원동차를 따라 치차들이 회전하며 경사 각도가 변위되며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도 1은 본 고안 인출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 인출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좌면도,
도 3은 본 고안 인출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인출장치의 중앙을 절개하여 바라 본 일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인출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인출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인출장치의 일측면도,
도 9는 본 고안 인출장치가 복조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출기 10 : 인출장치
100 : 이송수단 110 : 하부 무한궤도
111, 112: 원동, 종동스프로킷 113 : 체인
120 : 상부 무한궤도 121. 122: 가변원동, 종동스프로킷
123 : 가변연결판 130 : 구동 모터
200 : 동력전달수단 210 : 원동차
220 : 종동차 230 : 중간차
300 : 승강수단 310 : 실린더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람직하기로 본 고안의 인출장치는 압출 성형물을 압지하여 인출하는 상,하부 무한궤도의 연동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무한궤도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된 인출장치이다.
또한, 본 고안은 성형물을 압지하여 인출하는 이송수단을 근접시켜 2개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각각 또는 동시에 동작되도록 하는 인출장치이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출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출장치의 일측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된 동력전달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일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인출장치(10)는 베이스 프레임(1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압출기(1)로부터 압출된 성형물(2)을 압지하여 이송하는 무한궤도로 구성된 이송수단(100)과, 이 이송수단(100)간에 동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동력전달수단(200) 및 상기 이송수단(100)의 무한궤도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수단(300)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은 적당한 높이를 가지며 상면 일측에 본체부(12)가 갖추어져 있다. 상기 본체부(12)는 내부에 공간부(12a)를 가지는 함체 형상으로 이 공간부(12a)에 동력전달수단(20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2)의 벽면(13)에는 구동모터(130)가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되, 도면과 같이 모터(130)의 회동축(131)에 동력전달수단(200)과, 이송수단(100)의 무한궤도가 직결되어 연동함이 바람직하나, 이는 하나의 실예에 불과하고 다른 형태 예를 들면, 동력전달수단(200)만을 직결하고 이송수단(100)은 별도 설치하여 동력전달수단(200)을 통해 이송수단(100)을 연동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이송수단(100)은 적당한 길이를 가지고 상,하부로 배치된 연결판(114)(124)의 일측면 각각에 무한괘도(110)(120)를 구비하여 이 무한궤도(110)(120)사이에 끼워지는 성형물을 이송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무한궤도(110)(120)는 도면과 같이 체인구동 방식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밸트 구동 또는 상하 어느 하나는 체인구동으로 하고, 다른 하나는 밸트 구동을 하는 방식도 채택될 수 있다.
하부 무한궤도(110)는 상기 모터(130)의 회동축(131)에 설치되는 원동스프로킷(111)과 이 원동스프로킷(111)과 체인(113)으로 감아진 종동스프로킷(112)으로 구성하되, 이들은 고정 연결판(114)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연결판(114)의 일측면 연단부에 원동스프로킷(111)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타단으로 상기 종동 스프로킷(112)이 설치된 상태에서 이들 사이에 체인(113)이 감아지는 구성으로, 상기 체인(113)과 후술하는 상부 무한궤도(120)의 체인(123) 각각에는 성형물(2)을 압지하는 압지편(10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114)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의 상면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트(115)에 연결되어 베이스 프레임(11)에 고정되는 구성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후술하는 실린더(320)가 이 연결판(114)에 연결되어 하부 무한궤도(11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 무한궤도(120)는 가변연결판(124)의 일측 다시 말해, 상기 고정연결판(114)과 동일한 면에 가변원동스프로킷(221)과, 이 가변원동스프로킷(221)과 체인(224)으로 감아져 회동하는 가변종동스프로킷(22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연결판(114)(124)에 무한궤도(110)(120)가 갖추어진 이송수단(1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이송수단(100), (100a)을 근접시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가변연결판(124)에는 승강수단(300)이 연결되어, 이 승강수단(300)에 의해 가변연결판(124)이 상하 이동하며 성형물(2)을 압지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수단(300)은 베이스 프레임(11)의 상면에 세워진 포스트(320)와, 실린더(310)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변연결판(114)에는 상기 포스트(320)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115)가 갖추어져 있다.
상기 포스트(320)는 베이스 프레임(300)의 상면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2개가 세워지며, 상기 실린더(310)는 이들 포스트(320)의 중앙부위에 위치하여 그 피스톤(311)의 상단이 상기 가변연결판(114)에 연결되어 이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거나 또는 끌어내려 상부 무한궤도(120)를 이동시킨다.
상기 동력전달수단(200)은 다수개의 치차들로 구성되며, 이 치차들은 일정한경사각으로 맞물려 이송수단(100)의 승강시 그 경사각이 변위되며 이송수단(100)의 승강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동력전달수단(200)은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하우징에 원동차(210)와, 종동차(220), 중간차(230) 그리고, 아이들 기어(240)가 맞물리게 배열된 구성으로, 모터(131)의 회동축(131)에 고정 설치된 원동차(210)는 고정되고, 다른 치차들은 하우징에 설치된 축(200a)을 중심으로 자전하며, 이송수단(100)의 승강시 원동차(210)를 따라 중간차(230) 및 아이들기어(240)가 회전하여 하우징의 경사각이 변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동력전달수단(200)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바람직한 실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동력전달수단(200)은 2개의 하우징(201),(202)과 이 하우징에 설치되는 치차들로 구성되며, 상기 제1,2 하우징을 "〉" 형태로 배치되어 동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그 경사각이 변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먼저, 제 1하우징(201)에는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동축(131)에 축설되는 원동차(210)와, 제 1아이들기어(241) 그리고, 제 1중간차(231)가 설치되며, 이들은 순차적으로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202)에는 상기 제 1하우징(201)과 마찬가지로 다수 치차가 맞물리게 배치된다. 즉, 하부로부터 제 2중간차(232)와 제 2아이들 기어(242) 그리고, 상부 무한궤도(120)와 연결되는 종동차(220)가 순차적으로 맞물려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하우징(201)(202)은 상기 제 1 및 제 2중간차(231)(232)를 관통하는 회전축(250)에 의해 연결되고, 아이들기어(240)는 각각의 하우징(201)(20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축(200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다시 말해 상기 원동차(210)는 모터(130)의 회동축(131)에 설치된 하부 무한궤도(110)의 원동스프로킷(111)과 동축에 붙박이로 고정 설치되고, 나먼지 즉, 상부 무한궤도(121)의 원동스프로킷(121)과 연결된 종동차(220) 및 제 1, 2중간차(131)(132) 그리고 제 1, 2 아이들 기어(241)(242)는 각각의 하우징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각 축부를 중심으로 무한궤도의 상하 이동시 자유로이 회전하며 설치된 경사각이 변위하는 구성이다.
한편, 본체(12)의 벽면(12a)에는 상부 무한궤도(120) 가변원동스프로킷(121)의 승강을 안내하는 장공(140)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120a는 상부 무한궤도(120)의 가변원동스프로킷(121)과 종동차(220)가 설치되어 회전하는 원동축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인출장치(10)는 압출기(1)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압출기(1)로부터 압출되는 성형물(2)을 인출하는 것으로, 먼저 압출기(1)가 가동을 시작하면, 본 고안의 인출장치(10)는 상부 무한궤도(120)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성형물(2)을 압지할 준비를 한다.
다시 말해, 압출기(1)가 동작을 시작하면, 본 고안 인출장치(10)의 실린더(310)를 가동하여 상부 무한궤도(12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실린더(310)의 피스톤(311)은 가변부(120)의 가변원동스크로킷(121)과종동스프로킷(122)을 연결하는 연결판(124)의 중앙에 연결되어 이를 밀어 올리며, 연결판(124)은 슬라이더(125)를 중심으로 포스트(320)를 따라 이동하며, 이 상부 무한궤도(120)의 원동축(120a)은 장공을 따라 이동한다.
상부 무한궤도(120)가 이동함에 따라 이 상부 무한궤도(120)의 원동 스프로킷(121)과 동축에 설치된 동력전달수(200)의 종동차(220)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제 2하우징(202)이 이동한다.
상기 제 2하우징(202)의 이동과 함께 회전축(250)이 외향으로 이동하며, 이 이동에 따라 제1아이들(241)가 회전한다. 이때 제1 아이들 기어(241)는 원동차(210)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하며, 이와 동시에 제 1중간차(231), 회전축(250), 제 2중간차(232), 제 2아이들기어(242)가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 2아이들기어(242)가 회전하면 종동차(220)가 회전하고, 상부 무한궤도(120)는 공회전하며 상방으로 이동한다.
성형물(2)이 인출되어 상하 무한궤도 사이에 진입하며, 상부 무한궤도 하강시켜 성형물(2)을 압지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동력전달수단(200)의 경사각이 변위됨과 아울러, 각 차치들 회전한다.
즉, 실린더(31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이와 연결된 무한궤도(120)의 연결판(124)이 이동하고, 이와 함께 종동차(220) 즉 하우징(201)이 이동하며, 하우징(201)이 이동함에 따라 회전축(250)을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회전축(250)이 이동함과 동시에 제1 아이들 기어(241)는 원동차(210)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동시에 제 1중간차(231),회전축(250), 제 2중간차(232), 제 2아이들기어(242)가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 2아이들기어(242)가 회전하면 종동차(220)가 회전하고, 상부 무한궤도(120)는 공회전하며 하방으로 이동한다.
성형물(2)이 압지됨과 동시에 실린더(310)는 동작을 멈추고, 이와 동시에 구동모터(130)가 회전한다. 구동모터(130)의 회전에 따라 먼저 원동차(210), 제 1아이들 기어(241), 제 1중간차(231)가 회전하고, 그 회전력에 의해 회전축(250)이 회전하며, 또한 회전축(250)에 설치된 제 2중간차(232), 제 2아이들 기어(242), 종동차(220)가 동시에 회전하여 상부 무한궤도(120)을 회전시킨다.
물론 하부 무한궤도(110)는 모터의 회전축(131)에 직결되어 모터(130)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이다. 이들 회전함에 따라 이들 즉 무한궤도 사이에 압지된 성형물이 이송된다.
한편, 첨부된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하우징(201)(202) 중 어느 하나에 실린더(310)를 직결하여 양측이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바람직하기로는 도면과 같이 제 1하우징(301)에 연결봉(330)을 구비하고, 이 연결봉(330)과 실린더(310)의 피스톤(311)을 연결한 구성으로, 상기 피스톤(311)의 동작에 따라, 제 1아이들 기어(241)가 원동차(210)를 따라 회전하며 각도가 변위되는 구성이다.
또한, 첨부된 도 8은 동력전달수단(20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하나의 하우징만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동력전달수단(200)의 또한,원동차(210)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동력을 전달하고, 아이들 기어(241)가 회전하며 상부 무한궤도(120)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 9는 본 고안 인출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인출장치(10)를 근접되게 설치하여 압출기(1)에서 압출되는 2개의 성형물(2)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본 고안의 성형물 이송수단(100)은 연결판(114)(124)의 일측 동일면 각각에 무한궤도(110)(120)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 무한궤도(110)(120)가 설치된 연결판(114)(124)의 후면에 실린더(310)가 위치하고, 이 방향으로 동력전달수단(200)과 모터(130)가 배치되어 좌우로 2개의 이송수단을 근접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는 각각이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이송수단이 설치됨으로써, 하나의 압출기로 부터 성형되는 2개의 성형물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인출장치는 이송수단의 무한궤도를 연동시켜 성형물의 이송을 가능하게함과 동시에 무한궤도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는 동력전달수단이 갖추어진 것으로,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에 용이하며, 그에 따르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인출장치는 연결판의 일측면에 무한괘도를 설치하여 2개의 이송수단을 최단거리로 근접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압출기로 부터 압출된 2개의 성형물을 각각 또는 동시에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2개의 이송수단이 각각 구동함에 따라 성형물의 형상 및 크기에 관계없이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성형물을 인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르는 압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7)

  1. 압출기로부터 성형되는 성형물을 압지하여 이송하는 인출장치로써,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적당한 길이를 가지는 2개의 연결판을 상하 일렬로 배치하되, 이들 상하부 연결판의 일측면 각각에 무한궤도가 구비되어 이들 사이에 끼워지는 성형물을 이동시키는 성형물 이송수단;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중앙 부위에 설치되며, 피스톤이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 또는 하부 연결판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하되, 이 피스톤은 무한궤도가 설치된 대향면 중앙 부위에 연결되어 이를 상하로 이동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실린더는 상부 또는 하부 연결판을 상하 이동하여 무한궤도 사이에 성형물이 압지되도록 하고, 성형물의 압지 후 모터에 의해 상하 무한궤도가 연동하여 성형물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물의 인출장치.
  2. 압출기로부터 성형되는 성형물을 압지하여 이송하는 인출장치로써,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길이방향으로, 적당한 길이를 가지는 2개의 연결판을 상하부측에 배치하고 이들 상,하부 연결판의 일측 동일면 각각에 무한궤도를 설치하되, 상기 하부 연결판은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된 이송수단;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며, 피스톤이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 연결판에 연결되어 이를 상하로 이동하는 실린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모터에 직결된 원동차와 맞물리는 다수의 치차를 하우징으로 연결하되, 상기 하우징은 소정의 경사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상,하부 무한괘도에 동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상부 무한궤도의 승강시 하우징의 기울기가 변위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물의 인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베이스 프레임이 고정되는 연결판의 일측면 양측단에 체인이 감아지는 원동 스프로킷과 종동 스프로킷을 설치하되, 상기 원동 스프로킷은 모터와 연결되는 하부 무한궤도와,
    상기 하부 무한궤도의 직상부측에 위치하며 가변연결판의 양측단에 체인이 감아지는 가변원동 스프로킷과, 이 가변원동스프로킷이 설치된 상부 무한궤도 구성되며,
    이 상부 무한궤도의 가변연결판 중앙에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이 연결되어 승강하강 동작에 따라 성형물을 압지토록 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압출 성형물의 인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중앙 부위에 적당한 거리를 두고 2개의 포스트를 구비하고, 이 포스트 사이에 상기 실린더를 구비하되, 상부 무한궤도의 연결판에 상기 포스트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압출 성형물의 인출장치.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모터의 회동축에 설치되는 원동차와, 이 원동차와 맞물리는 아이들 기어 및 중간차 그리고, 상기 상부 무한궤도의 원동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종동차로 구성하되, 이들은 원동차를 중심으로 소정의 경사각으로 맞물리고, 원동차를 제외한 나머지 치차들은 하우징에 설치된 축을 중시으로 회전하는 것을 포함하는 압출 성형물의 인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 무한궤도와 하부 무한궤도 사이에 회전축을 구비하되, 이 회전축은 무한궤도의 원동스프로킷 내측에 위치하며, 이 회전축에 제 1중간차와 제 1아이들 기어 그리고 하부 무한궤도의 원동 스프로킷과 연결되는 원동차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맞물려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제 2중간차와 제 2아이들 기어 그리고 상부 무한궤도의 종동 스프로킷과 연결되는 종동차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맞물려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을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에 2개를 배치하여 설치하되, 각 연결판을 대칭되게 위치시켜 무한궤도를 근접되게 설치하며, 이들 이송수단 각각에 동력전달수단과, 실린더 및 모터가 별도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압출 성형물의 인출장치.
KR20-2003-0029705U 2003-09-19 2003-09-19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 KR200341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705U KR200341068Y1 (ko) 2003-09-19 2003-09-19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705U KR200341068Y1 (ko) 2003-09-19 2003-09-19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068Y1 true KR200341068Y1 (ko) 2004-02-11

Family

ID=49343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705U KR200341068Y1 (ko) 2003-09-19 2003-09-19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0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194B1 (ko) 2009-01-16 2011-02-28 장동원 압출성형 관체의 인취장치
CN107745015A (zh) * 2017-11-24 2018-03-02 湖州织里川蜀机械有限公司 一种铝型材用挤压机
KR102018770B1 (ko) * 2019-01-14 2019-09-04 주식회사 톱스톡 휨 방지기능을 구비한 새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새시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194B1 (ko) 2009-01-16 2011-02-28 장동원 압출성형 관체의 인취장치
CN107745015A (zh) * 2017-11-24 2018-03-02 湖州织里川蜀机械有限公司 一种铝型材用挤压机
CN107745015B (zh) * 2017-11-24 2024-01-05 威海中鸿铝业科技有限公司 一种铝型材用挤压机
KR102018770B1 (ko) * 2019-01-14 2019-09-04 주식회사 톱스톡 휨 방지기능을 구비한 새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새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157872Y (zh) 液压机的换模装置
JPH05501228A (ja) 蝶番式に開閉可能な成形型ブロックを具備するプラスチック管製造装置
CN207156240U (zh) 汽车座椅环形发泡生产线轨道式开、合模装置
KR200341068Y1 (ko)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
CN113059653A (zh) 一种混凝土预制件制作压制成型设备
CN103482341A (zh) 一种胶板输送翻板一体化设备
CN100526061C (zh) 使用旋转基座的轮胎成型机
CN101941258B (zh) 汽车制动气室橡胶隔膜成型装置
CN203473891U (zh) 胶板输送翻板一体化设备
JP2004322582A (ja) 吸盤シートの連続製造方法とその製造装置
CN109466922A (zh) 一种新型成型机的料片输送系统
KR200321385Y1 (ko)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
CN215039384U (zh) 一种聚氨酯滚筒注胶设备
CN207028134U (zh) 制造标牌用pvc发泡板成型设备的对辊牵引装置
KR200321446Y1 (ko) 압출 성형물 인출장치
CN203473890U (zh) 一种胶板翻转装置
CN112959687A (zh) 一种连续吸塑成型高阻隔性水囊生产装置及方法
CN202097965U (zh) 一种塑胶成型机
CN219644954U (zh) 一种果胶软糖成型后脱模装置
CN220095304U (zh) 一种打包箱泡沫模具
CN112959688B (zh) 一种不间断吸塑成型水囊生产装置及方法
CN101143503A (zh) 塑料草坪垫卷材连续生产方法及设备
CN1272421A (zh) 塑料成型合模机构
CN220331780U (zh) 一种含硼高分子聚乙烯板生产成型设备
CN217346229U (zh) 一种用于石英石脱模的分类传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