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192Y1 -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 - Google Patents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192Y1
KR200317192Y1 KR20-2003-0009725U KR20030009725U KR200317192Y1 KR 200317192 Y1 KR200317192 Y1 KR 200317192Y1 KR 20030009725 U KR20030009725 U KR 20030009725U KR 200317192 Y1 KR200317192 Y1 KR 200317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base
slip
present
pla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9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
Priority to KR20-2003-0009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1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1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01C5/22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or prefabricated foundation uni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상에 설치와 유지보수가 쉽고 더불어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정 두께를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그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체와; 상기 미끄럼방지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금속 판재로 형성된 인서트판재와; 상기 인서트판재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고안은 설치 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 시간을 최소화 하여 차량의 흐름 방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유지보수 시에도 간단히 너트만 분해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또한 도로의 원상복구도 간편해 지게 된다.

Description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slip protection pad using on the road}
본 고안은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상에 설치와 유지보수가 쉽고 더불어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게 한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에 구비되는 미끄럼 방지 시설은 고속도로나, 국도 상의 급격한 경사면이나 또는 급감속을 요하는 구간에서 차량의 미끄러짐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의 노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7은 이러한 종래의 도로의 미끄럼 방지 시설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로(100)를 절개하여 일정 깊이의 안착부(200)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200)에 미끄럼 방지 수단(300)을 매설한 후 그 사이에 고정재(400)를 투입하여 고정시키는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미끄럼 방지 시설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도로 포장용 중장비나, 노면 절단기등의 많은 장비가 필요하였고, 또한 공사 중에는 그 시공과정이 복잡하고, 공사 완공에 걸리는 시간도 길어 공사 중에는 기존 차량의 흐름을 장시간 차단해야 하는 불편함도 초래 되었다.
또한, 미끄럼 방지 시설의 파손 시에는 상기와 같은 시공 과정을 다시 반복해야함으로 인해 많은 불편이 초래되었고, 도로의 개선 공사로 인하여 미끄럼 방지 시설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도로의 원상복구가 어려운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또한, 미끄럼 방지 시설에 대한 야간 식별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야간에 운전자가 이를 피하기 위해 차량을 급격이 조작함으로써 이로 인한 안전 사고도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의 도로를 파헤치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로상에서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한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에 주는 충격을 최소화한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야간에 식별이 용이한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형광도료 보다 더 나은 내마모성을 가지는 야간 식별 수단을 구비한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그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체와; 상기 미끄럼방지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금속 판재로 형성된 인서트판재와; 상기 인서트판재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도로용 미끄럼 방지 시설을 보인 단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미끄럼방지체
11 : 베이스
12 : 돌기
121 : 삽입홈
13 : 체결공
14 : 지지턱
20 : 인서트부재
30 : 형광도료
40 : 형광체
50 : 앵커볼트
51 : 너트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외부에 합성수지 재질의 일체로 형성된 미끄럼방지체(10)를 형성한다.
상기 미끄럼 방지체는 하면에 평면을 가지는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의 상부에 다수개의 돌기(12)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돌기(12)는 부드러운 승차감을 위해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베이스(11)의 상면은 원호형의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체(10)의 상부에서 하부를 관통하는 체결공(13)을 한 개 이상의 다수개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외주면에는 경사면을 가지는 지지턱(14)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고안을 도로상에 설치할 때, 도로에 앵커볼트(50)가 삽입되는 구멍을 천공하고, 상기 천공된 삽입구멍에 앵커볼트(50)를 고정한 후 상기 체결공(12)을 통해 너트(51)로 결합한다.
상기의 설치 방법과는 별도로 상기 미끄럼방지체(10)는 앵커볼트(50)에 의한 결합이 아닌 베이스(11)의 하면에 주지된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설치 방법으로 인하여 본 고안은 도로 뿐만 아니라 지하철 공사장의 복공판, 건물의 지하주차장, 교량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턱(14)은 차량의 타이어가 상기 미끄럼방지체(10)에 접촉할 때 그 충격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베이스(11)의 중심부에 위치한 돌기(12)와 외측에 위치한 돌기(12)는 높이차(L)을 가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차량의 타이어와 잦은 접촉에 의해서도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더불어, 비가 올 때에도 다수개 구비된 돌기(11) 사이로 빗물이 쉽게 빠져나가 강우시의 미끄럼 방지 역할도 충실히 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A-A선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미끄럼방지체(10)의 내부에 상기 미끄럼방지체(1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재질의 판재로 형성된 인서트판재(20)를 구비한다.
상기의 체결공(13)은 인서트판재(20)또한 관통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의 앵커볼트(50)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미끄럼방지체(10)는 상기 창착공(12) 내부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인서트판재(2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상기 돌기(12)의 상면에 형광도료(30)를 도포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형광도료(30)는 야간에 주행중인 차량 전조등에 대해 빛을 반사하여 운전사에게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의 식별이 용이해지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상기 돌기(12)의 상면에 일정 깊이의 삽입홈(121)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121)과 같은 크기의 형광체(40)를 삽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형광체(40)는 야간에 주행중인 차량의 전조등에 대해 빛을 반사하여 운전사에게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의 식별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형광체(40)는 상기 형광도료(30)가 마모되는 수명보다 더욱 긴 수명을 보장하게 된다.
도 5와 도 6은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인서트판재(20)와 미끄럼지지체(10)를 사각형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차량 흐름의 방향이 네 방향 또는 세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교차로 상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도로상에 앵커볼트에 의한 고정방식으로 인해 설치 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 시간을 최소화 하여 차량의 흐름 방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유지보수 시에도 간단히 너트만 분해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또한 도로의 원상복구도 간편해 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측면에 경사를 가지는 지지턱을 형성하여 차량에 주는 충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운전자의 승차감이 편안해 지는 효과와 더불어, 도로상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를 원호형으로 형성하여 오랜 사용 후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게 함으로써 유지, 보수 작업이 줄어드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형광도료가 도포됨으로써 야간에 식별이 용이해 지므로 인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형광체가 삽입됨으로써 형광도료 보다 더 높은 내마모성을 가지게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 수명이 더욱 길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5)

  1. 일정 두께를 가지는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의 상부에 그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돌기(12)가 일체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체(10)와;
    상기 미끄럼방지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며 금속 판재로 형성된 인서트판재(20)와;
    상기 미끄럼방지체(1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공(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의 외주면으로 경사면을 갖는 지지턱(14)을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의 상면이 원호를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2)의 상면에 형광도료(30)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2)의 상면에 삽입홈(121)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121)의 내부에 형광체(40)를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
KR20-2003-0009725U 2003-03-31 2003-03-31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 KR200317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725U KR200317192Y1 (ko) 2003-03-31 2003-03-31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725U KR200317192Y1 (ko) 2003-03-31 2003-03-31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192Y1 true KR200317192Y1 (ko) 2003-06-25

Family

ID=4940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725U KR200317192Y1 (ko) 2003-03-31 2003-03-31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1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9563A (en) Highway warning device
KR200359983Y1 (ko)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
KR200317192Y1 (ko) 도로용 미끄럼 방지 패드
WO2006129156A1 (en) System to optimizing the use of adherence devices
WO2019023371A1 (en) REFLECTIVE ROAD MARKER
KR100708440B1 (ko) 도로표지병 시공방법
KR20090035865A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KR200208145Y1 (ko) 이탈방지구조가 형성된 도로 표지병
KR100949672B1 (ko)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KR200297991Y1 (ko) 중앙선 분리 반사 표시구를 일체로 한 중앙선 분리 차선규제 표시봉
KR100300090B1 (ko) 도로매설용차선표시구
KR200417923Y1 (ko) 자동차 진입 금지용 볼라드
KR200234664Y1 (ko) 도로경계블럭
KR200205603Y1 (ko) 복공판용 미끄럼 방지구
CN214695753U (zh) 一种道路管井及其周围维修和升降井时用的保护盖
KR200194045Y1 (ko) 복공판 구멍용 커버
CN219951597U (zh) 一种防滑路面结构
KR200152164Y1 (ko) 조립식 차량 과속방지턱
KR200307788Y1 (ko) 도로 중앙분리대
KR101079724B1 (ko) 포장 노면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그루브 시공방법
KR200230212Y1 (ko) 미끄럼 방지용 복공판
KR20220114193A (ko) 중앙선 분리 차선규제 표시봉
KR200245960Y1 (ko) 사각 표지병
KR20000000188A (ko) 자동차 운전 과속방지장치
KR200292804Y1 (ko) 도로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