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764Y1 - 훅크적치대 - Google Patents

훅크적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764Y1
KR200314764Y1 KR2019980027258U KR19980027258U KR200314764Y1 KR 200314764 Y1 KR200314764 Y1 KR 200314764Y1 KR 2019980027258 U KR2019980027258 U KR 2019980027258U KR 19980027258 U KR19980027258 U KR 19980027258U KR 200314764 Y1 KR200314764 Y1 KR 200314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ide wall
support plate
load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989U (ko
Inventor
김언식
박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80027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764Y1/ko
Publication of KR200000139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9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7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4Single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one side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C형 훅크를 적치대의 직상방에서 하강시키는 동작만으로 편리하게 훅크가 적치대에 적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중기 운전자와 신호자의 신호 불일치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호자가 없어도 운전자가 용이하게 적치시킬 목적으로;
코일형태의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C형 훅크(2)를 적치하는 적치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각 프레임(24)의 내측을 X형 보강 프레임(26)으로 보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베이스 플레이트(20)상에 양측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측벽(22)과; 상기 양 측벽(22) 사이에서 하측에 압축 코일스프링인 탄성부재(30)를 개재시켜 배치되는 받침판(28)과; 외측단이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4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수평부(42)와 이의 수평부(42) 내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수직부(44)를 보유하면서 상기 수평부(42)와 수직부(44)의 경계부가 상기 측벽(22)의 상단부에 힌지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40)의 중앙부가 그 하측의 상하로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안내 로울러(34)(36)를 통해 상기 받침판(28)의 양측단부와 와이어(32)로 연결되는 받침부재(38)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훅크 적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훅크 적치대
본 고안은 각 산업현장에서 이용되고 있는 천장 기중기에 현수(懸垂)되어 코일형태의 중량물을 견인할 수 있는 C형 훅크의 적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C형 훅크를 적치대의 직상방에서 하강시키는 동작만으로 편리하게 훅크가 적치대에 적치될 수 있도록 한 훅크 적치대에 관한 것이다.
예컨데, 각 산업현장에서 이용되고 있는 천장 기중기는 로프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일반형 훅크에 와이어 로프를 걸고, 이 와이어 로프를 이용하는 중량물 이동작업과, C형 훅크를 걸어 이 C형 훅크를 이용하는 코일형태의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천장 기중기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작업에 있어서, 본 고안은 코일 형태의 중량물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C형 훅크를 적치시킬 수 있는 적치대에 관계한다.
먼저, 도 1을 보면서 일반적인 C형 훅크(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일측에 세로방향의 연결부(102)를 두고, 그 상,하측에 일정길이를 갖는 가로방향의 상부재(104)와 하부재(106)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재(104)의 연결측단 반대측에는 균형추(108)가 형성되고, 그 일측으로 견인공(110)이 형성되어 이의 견인공(110)을 이용하여 기중기 훅크(112)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C형 훅크(100)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기중기 훅크(112)에 C형훅크(100)를 걸어 원하는 작업을 실시하게 되고,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소정의 적치대에 적치시켜 보관하고 있다.
이와 같은 C형 훅크(100)를 적치하는 종래 적치대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상판(120)을 기준으로 그 하측으로 C형 훅크(100)의 하부재(106)가 삽입될 수 있는 하부재 삽입부(122)가 마련되어 있고, 상판(120)의 일측 상면에는 중앙부에 C형 훅크(100)의 상부재(104)가 삽입될 수 있는 상부재 삽입부(124)를 두고 그 양측으로 일정높이를 갖는 균형추(108)의 안착부(126)가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C형 훅크(100)를 적치대에 적치시키고자 할 때에는 우선, C형 훅크(100)의 방향을 적치대의 안착방향과 동일하게 하고, 그 다음 C형 훅크(100)의 하부재(106)가 하부재 삽입부(122)로 삽입되도록 유도하여 삽입되도록 한 후, 균형추(108)가 안착부(126)에 올려지도록 하는 과정으로 C형 훅크(100)를 적치대에 적치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C형 훅크를 적치대에 적치시키는 경우에는 C형 훅크의 유도작업이 기중기 운전자와 신호자 두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바, 운전자와 신호자의 호흡이 제대로 맞지 않는 경우에는 안전사고를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신호자가 없는 경우에는 적치대의 사용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C형 훅크의 적치작업이 난이한등 생산성 저하의 한 요인이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C형 훅크를 적치대의 직상방에서 하강시키는 동작만으로 편리하게 훅크가 적치대에 적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중기 운전자와 신호자의 신호 불일치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호자가 없어도 운전자가 용이하게 적치시킬 수 있도록 한 훅크 적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훅크 적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훅크 적치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적치대에 훅크가 안치되기 이전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적치대에 훅크가 안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C형 훅크 6:상부재
8:하부재
10:균형추 18:적치대
20:베이스 플레이트 22:측벽
24:테두리 프레임 26:보강 프레임
28:받침판 30:탄성부재
32:와이어 34,36:안내 로울러
38:받침부재 40:연결부
42:수평부 44:수직부
46:힌지부 48:힌지핀
50:리미트 스위치 52:경보램프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코일형태의 중량물을 이동시키는데에 사용되는 C형 훅크를 적치하는 적치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각 프레임의 내측을 X형 보강 프레임으로 보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양측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측벽과;
상기 양 측벽 사이에서 하측에 압축 코일스프링인 탄성부재를 개재시켜 배치되는 받침판과;
외측단이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수평부와 이의 수평부 내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수직부를 보유하면서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의 경계부가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 힌지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의 중앙부가 그 하측의 상하로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안내 로울러를 통해 상기 받침판의 양측단부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받침부재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훅크 적치대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 받침부재는 수직부측의 중량이 수평부에 임의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회전하지 않도록 수평부측 보다 크게 하고,
상기 측벽의 일정 위치에는 경보램프를 장치하고, 측벽에는 받침판이 일정높이 이하로 하강할 때 이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배치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보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훅크 적치대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훅크 적치대의 사시도로서, 부호 2는 C형 훅크를 지칭한다.
상기 C형 훅크(2)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일측에 세로방향의 연결부(4)를 두고, 그 상,하측에 일정길이를 갖는 가로방향의 상부재(6)와 하부재(8)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재(6)의 연결측단 반대측에는 균형추(10)가 형성되고, 그 일측으로 견인공(12)이 형성되어 이의 견인공(12)을 이용하여 기중기 훅크(14)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C형 훅크(2)를 적치시킬 수 있는 적치대(18)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 고안은 베이스 플레이트(20)상에 양측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측벽(22)이 세워진다.
상기 측벽(22)의 높이와 전후 길이, 그리고 상호 이격거리는 상기 C형 훅크(2)의 높이와 길이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이 측벽(22)은 사각 프레임(24)를 두고 그 내측을 X형 보강 프레임(26)으로 보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양 측벽(22) 사이에는 받침판(28)이 배치되는데, 이의 받침판(28)은 탄성부재(30)에 의하여 탄지되며, 이의 탄성부재(30)는 압축 코일스프링이 적용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28)의 양측 즉, 양 측벽(22)측에 각각 와이어(32)가 연결되며, 이의 와이어(32)는 보강 프레임(26)의 중간부와 사각 프레임(24)의 하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 로울러(34)(36)을 통해 프레임(24)의 상측에 힌지 고정되어 있는 받침부재(38)에 연결된다.
상기에서 받침부재(38)는 외측단이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4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수평부(42)와 이의 수평부(42) 내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수직부(44)를 보유하며, 상기 수평부(42)와 수직부(44) 사이의 절곡부가 힌지부(46)가 되어 힌지핀(48)에 의해 측벽(22)의 상측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32)의 상단이 상기 연결부(40)의 중앙부에 연결된다.
상기에서 받침부재(38)는 수직부(44)측의 중량이 수평부(42)측 보다는 크게 하여 수평부(42)에 임의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수직부(44)가 자중에 의해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적치대에 C형 훅크(2)를 적재시키고자 할 때에는, 먼저 C형 훅크(2)를 도 3에서와 같이, 적치대(18)의 양 측벽(22) 사이의 공간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한 후에 서서히 하강시킨다.
그러면, C형 훅크(2)의 하부재(8) 하면이 먼저 받침판(28)과 접촉되면서 그 자중에 의해 받침판(28)을 하강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와이어(32)는 받침판(28)의하강력에 의해 인장력이 발생되면서, 이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받침부재(38)의 연결부(40)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받침부재(38)의 연결부(40)에 하강하려는 힘이 발생되면, 받침부재(38)는 힌지부(46)를 기준으로 하여 전체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수직부(44)가 상승하여 수평상태가 되면서 C형 훅크(2)의 상부재(6) 저면을 받쳐 주게 됨으로써, C형 훅크(2)는 도 4와 같은 상태로 적치대(18)에 안전하게 적치된다.
그리고 상기와는 반대로 C형 훅크(2)를 필요에 따라 취외시키는 경우에는, 기중기를 이용하여 C형 훅크(2)를 들어 올리면, 받침판(28)은 누르고 있던 힘이 해제되는 바, 이와 동시에 하부의 탄성부재(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받침부재(38)의 연결부(40)를 당기던 와이어(32)의 인장력이 해제됨으로써, 받침부재(38)는 수직부(44)의 자중에 의하여 처음의 상태로 다시 복원되어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 동작되는 적치대에 있어서, 기중기 운전자가 혼자 C형 훅크(2)의 적치 및 취외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이를 돕기 위하여 C형 훅크(2)가 적치대(18)에 안착되면, 이를 경보할 수 있는 경보수단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측벽(22)의 일정 위치에 경보램프(52)를 장치하고, 상기 측벽(22)의 일정 위치에는 상기 받침판(28)의 하강시 이를 검출할 수 있는 리미트 스위치(50)를 배치하여, 받침판(28)이 일정높이 이하로 하강하면 경보램프(52)가 점등되고, 상승하면 소등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더욱 편리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의 실시예로부터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는 것은 모두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C형 훅크를 적치대의 직상방에서 하강시키는 동작만으로 편리하게 훅크가 적치대에 적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중기 운전자와 신호자의 신호 불일치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신호자가 없어도 기중기 운전자가 용이하게 적치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코일형태의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C형 훅크(2)를 적치하는 적치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각 프레임(24)의 내측을 X형 보강 프레임(26)으로 보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베이스 플레이트(20)상에 양측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측벽(22)과;
    상기 양 측벽(22) 사이에서 하측에 압축 코일스프링인 탄성부재(30)를 개재시켜 배치되는 받침판(28)과;
    외측단이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4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수평부(42)와 이의 수평부(42) 내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수직부(44)를 보유하면서 상기 수평부(42)와 수직부(44)의 경계부가 상기 측벽(22)의 상단부에 힌지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40)의 중앙부가 그 하측의 상하로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안내 로울러(34)(36)를 통해 상기 받침판(28)의 양측단부와 와이어(32)로 연결되는 받침부재(38)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훅크 적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침부재(38)는 수직부(44)측의 중량이 수평부(42)에 임의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회전하지 않도록 수평부(42)측 보다 크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훅크 적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벽(22)의 일정 위치에는 경보램프(48)를 장치하고, 측벽(22)에는 받침판(28)이 일정높이 이하로 하강할 때 이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50)를 배치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보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훅크 적치대.
KR2019980027258U 1998-12-29 1998-12-29 훅크적치대 KR200314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258U KR200314764Y1 (ko) 1998-12-29 1998-12-29 훅크적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258U KR200314764Y1 (ko) 1998-12-29 1998-12-29 훅크적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989U KR20000013989U (ko) 2000-07-15
KR200314764Y1 true KR200314764Y1 (ko) 2003-08-21

Family

ID=4940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258U KR200314764Y1 (ko) 1998-12-29 1998-12-29 훅크적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7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915B1 (ko) * 2012-03-30 2012-10-17 원올테크플러스 (주) 강판 코일을 적재 및 이송시키기 위한 지게차용 리프트 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483B1 (ko) * 2012-08-22 2014-04-08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크레인 훅크 블록 정비 스탠드
CN114104938A (zh) * 2021-10-19 2022-03-01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长条形物料堆放、装卸、吊装和运输的支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915B1 (ko) * 2012-03-30 2012-10-17 원올테크플러스 (주) 강판 코일을 적재 및 이송시키기 위한 지게차용 리프트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989U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14764Y1 (ko) 훅크적치대
JP6735483B2 (ja) 搬入装置
US7134701B1 (en) Frame for lifting beams and other elongated loads
JPH08133661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吊り上げ具
US4549759A (en) Forklift-type lifting apparatus
JP4787381B1 (ja) ガーダ橋懸吊治具を用いたガーダ橋の懸吊方法
JP3061579B2 (ja) クレーン車のカウンタウェイト
JPH07285783A (ja) 電動巻上機の吊り具
JP3208213U (ja) 電気転てつ機吊上げ補助具
JP2836013B2 (ja) クレードルの玉掛け装置
JPH0713999U (ja) 板材用吊治具
JP2501968Y2 (ja) 容器吊り上げ装置
JP2002128415A (ja) エレベーター昇降路天井面近傍高さ位置への駆動機の吊上げ方法及び装置
JP7284230B2 (ja) 吊足場システム
CN214299078U (zh) 一种自爬式卸料装置用吊装机构
KR102610785B1 (ko) 길이가 긴 자재의 이송 및 적재장치
SU1467030A1 (ru) Грузозахв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3234125B2 (ja) 重量物移動装置用吊り治具
KR200150647Y1 (ko) 크레인 롱스 해지 안전장치
KR200213318Y1 (ko)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
JP2892551B2 (ja) 屋根パネル体の吊り下げ構造
KR200270189Y1 (ko) 와이어 로우프 기울림 확인장치
JPH06136957A (ja) 屋根パネル体の吊り下げ構造
KR0135643B1 (ko) 크레인 양중보조대
JPH08113465A (ja) チェンブロックなどの吊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