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822Y1 - 음극선관소켓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822Y1
KR200311822Y1 KR2019980020079U KR19980020079U KR200311822Y1 KR 200311822 Y1 KR200311822 Y1 KR 200311822Y1 KR 2019980020079 U KR2019980020079 U KR 2019980020079U KR 19980020079 U KR19980020079 U KR 19980020079U KR 200311822 Y1 KR200311822 Y1 KR 2003118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high voltage
ray tube
cathode ray
voltage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391U (ko
Inventor
타카유키 나가타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17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3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8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01R33/7607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the parallel terminal pins having a circular disposition
    • H01R33/7614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the parallel terminal pins having a circular disposition the terminals being connected to individual wires
    • H01R33/7621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the parallel terminal pins having a circular disposition the terminals being connected to individual wires the wires being connected using screw, clamp, wrap or spring connection

Landscapes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옆부분에 리드선접속부를 복수개 구비하는 음극선관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으로서, 단자핀이 삽입되는 콘택트수용부 (17) 및 고압단자핀이 삽입되는 고압콘택트수용부(17')가 형성되는 소켓본체(12), 소켓본체(12)의 옆부분에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제 1의 고압리드선접속부(200)를 가진 고압방전공극실(13), 소켓본체(12)의 다른 옆부분에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제 2의 리드선접속부(300), 제 1의 고압리드선접속부(200)의 빈곳(41)에 수용되는 리드선 끼워둠부와 고압콘택트수용부(17')에 수용되는 고압용 콘택트(18h)를 전기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도체(33), 제 2의 리드선접속부(300)의 빈곳(41)에 수용되는 리드선끼워둠부와 콘택트수용부(17)에 수용되는 저압용 콘택트(18)를 접속하는 접속도체(33)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소켓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음극선관소켓
본 고안은, 음극선관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극선관소켓을 실장하는 기판위에 접속되어 있던 스크린리드선, 접지리드선을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성한 음극선관소켓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소켓의 종래예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하다. 절연재로 이루어진 음극선관소켓(11)은, 음극선관의 단자핀이 삽입접속되는 소켓본체 (12)와 그 옆부분에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고압방전공극실(13)에 의해 구성된다. 소켓본체(12)의 형상은 두께가 있는 대략 원판형상의 것이며, 중심선(14)을 중심으로 해서 단면원형의 음극선관의 베이스부(도시생략)가 수용되는 수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소켓본체(12)의 중심선(14)을 중심으로 하는 원위에 콘택트수용부 (17)가 복수개 등간격으로 구성되고, 음극선관의 단자핀이 삽입되는 단자핀 삽입구멍(16)이 형성된다. 이들 콘택트수용부(17)는 단자핀 삽입구멍(16)에 연통(連通)하고, 음극선관소켓(11)의 배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콘택트수용부 (17)에는 저압용 콘택트(18)가 수용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소켓본체(12)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서 원호형상으로 만곡된 접지도체(1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콘택트(18)의 각각과 접지도체(19)와의 사이에는 방전공극실용구멍(21)이 환(環)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전공극실용 구멍(21)에 있어서 접지도체(19)와 콘택트(18)와의 사이에 방전공극이 구성된다.
도 3,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고압방전공극실(13)에는 고압용 방전공극을 구성하는 고압전극(31) 및 고압방전전극(32)이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본체 (12)의 고압방전공극실(13)에 인접하고 있는 저압용 콘택트(18)가 형성되는 원과 동일한 원위에 고압단자핀이 삽입되는 고압콘택트수용부(17')가 구성되고, 음극선관의 고압단자핀이 접속되는 고압용 콘택트(18h)가 설치된다. 이 고압용 콘택트 (18h)와 고압전극(31)은 접속도체(33)를 통해서 서로 접속하고 있다. 고압전극 (31)은 반구(半)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주변에는 네모꼴의 플랜지형상의 유지판 (35)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판(35)은 고압방전공극실(13)의 내부에 형성된 고압전극유지부(70)에 형성되는 슬릿(71)내에 끼워맞춤되어, 고압전극 (31)을 고압방전공극실(13)에 유지하고 있다. 고압방전전극(32)도 마찬가지로 반구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주변에는 네모꼴의 플랜지형상의 유지판(36)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판(36)도 고압방전공극실(13)내에 유지되어 있다. 이들 고압전극(31)과 고압방전전극(32)은 서로 대향해서 고압방전공극을 형성하고 있다.
(48)은 접촉편(37)에 대향해서 형성된 리드선삽입구멍이며, 외부리드선인 포커스리드선G3(제 1의고전압리드선)은 이 삽입구멍(48)을 통해서 끼워맞춤부(42)내에 삽입되고, 그 심선선단부는 유지판(35)과 접촉편(37)에 의해 구성되는 끼워둠부의 사이에 끼워유지된다. 그리고, 리드선삽입구멍(48)의 주위를 포위하는 통형상돌출부(49)가 커버(43)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통형상돌출부(49)는,포커스리드선G3을 삽입하는 경우, 이 포커스 리드선G3의 가이드작용을 하는 동시에 리드선의 절연피복이 끼워맞춤해서 그 진동방지의 작용까지도 한다. 그리고, 커버(43)에는 힌지(54)를 개재해서 회동판(53)이 구비되어 있다. 이 회동판(53)에는 압압편이 형성되어 있다. 압압편(51)은 회동판(53)과 직각으로 일체적으로 세워지고, 핀(54')을 축으로 해서 회동시킨다. 고전압의 포커스리드선G3을 리드선 삽입구멍(48)을 개재해서 유지판(35)과 접촉편(37)과의 사이의 끼움둠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회동판(53)을 90˚회동해서 하향해서 압압하면, 끼워맞춤홈(52)을 개재해서 압압편(51)은 받이판(受板)(39)을 유지판(35)쪽으로 탄성적으로 압압하고, 접촉편(37)과 유지판(35)에 의한 포커스리드선G3의 끼워둠이 기계적으로 확실하게 되고, 접촉편(37)과 유지판(35)에 의한 포커스리드선G3의 전기기계적접속은 유지되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고압리드선접속부(200)는 리드선 속결 접속부(lead cable quick-connection section)라 호칭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8을 참조하면, 음극선관소켓(11)은, 음극선관프린트회로기판 (100)의 표면에 실장되고, 콘택트(18)는 이 회로기판(100)의 하면의 프린트배선에 전기접속되고, 이 프린트배선 또는 표면에 실장되는 부품을 개재해서 외부회로에 접속한다. 그리고, 음극선관은 그 단자핀을 음극선관소켓의 단자핀삽입구멍(16)에 끼워맞춤해서 삽입구멍(16) 근처에 수용되는 콘택트(18)에 접촉접속된다. 음극선관에는, 또 플라이백 트랜스로부터 고전압의 리드선이 접속된다. 상기의 포커스리드선G3은 그중의 1개이며, 10㎸정도의 고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G2는 스크린리드선이며, 1㎸정도의 고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수 100V정도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리드선으로서, G1리드선, 그외 캐소리드선, 히터리드선등의 3개의 리드선이 도면에 표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이 리드선의 개수는 7개정도 필요로 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스크린리드선G2이외에 음극선관소켓의 접지전위의 단자핀을 외부로 인도하는 접지리드선도 음극선관용 프린트회로기판(100)에 접속되는 경우가 있다.
도 8에서, 스크린리드선G2는, 종래, 음극선관용 프린트회로기판(100)의 이면에 있는 프린트회로에 접속해서 G2콘택트삽입구멍(102)을 개재해서 기판표면에 돌출하는 커넥터핀(103)을 여기에 고정하고, 스크린리드선G2의 선단부에 장착된 압착단자(104)를 커넥터핀(103)에 끼워맞춤으로써 접속되어 있다. 또는, 음극선관용 프린트회로기판(100)에 형성한 G2콘택트삽입구멍(102)을 개재해서 회로기판(100)의 표면으로부터 이면으로 도입되고, 그 선단부를 이면의 프린트회로에 손납땜 (hand-soldering)에 의해 직접 접속하고 있었다. 그런데, 음극선관용 프린트회로기판(100)에 대한 표면실장부품은 거의 딥납땜(dip-soldering)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크린리드선G2의 접속은 이들 부품과는 따로 음극선관용 프린트회로기판 (100)에 손납땜에 의해 접속하고 있으며, 이것은 접속작업효율상 바람직하지 않다. 스크린리드선G2를 음극선관용 프린트회로기판(100)에 커넥터핀(103)을 구성해서 접속하는 경우는, 스크린리드선G2쪽에 압착단자(104)를 장착할 필요가 있다. 이 압착단자(104)를 스크린리드선G2에 압착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것도 접속작업을 대단히 번잡하게 한다.
또, 플라이백트랜스로부터 인도되는 리드선중의 1개는 애노드전압을 음극선관에 직접인가하는 것이며, 이외에 음극선관에 대해서 포커스전압을 인가하는 포커스리드선G3, 스크린전압을 인가하는 스크린리드선G2가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리드선 속결 타입(lead cable quick-connection type)이라 호칭되는 음극선관소켓에 의해 고전압리드선G3은 납땜의 필요없이 소켓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했으나, 스크린리드선G2만은 여전히 납땜, 또는 상기한 압착단자 및 핀을 사용하는 접속을 할 필요가 있다(일본국 특개평 9-50837호 명세서 참조).
그리고, 스크린리드선G2에는 고전압이 인가되어 있으며, 음극선관소켓이 실장되는 프린트회로기판(100)을 개재해서 접속하는 경우, G2콘택트삽입구멍(102)과 인접하는 단자구멍(105),(106)에 삽입되는 단자에 대해서 누전 기타의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슬릿(101)을 G2콘택트삽입구멍(102)과 양단자간의 프린트기판에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제품전체의 소형화에 대응해서 프린트기판도 소형화해서 부품의 고밀도로 실장 하면, 슬릿(101)을 형성하는 여지를 상실하게 된다.
또, 상기 일본국 특개평 9-50837호 명세서에서, 도 1∼도 5를 참조해서 설명되어 있는 속결커넥터(12G2)는, 소켓본체(12)와는 별개체이므로, 그 만큼 부품점수는 증가하고, 속결커넥터(12G2)를 조립접속하는 작업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소한 음극선관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음극선관소켓의 실시예를 위에서 본 도면
도 2는 도 1의 일부단면을 표시한 도면
도 3은 음극선관소켓의 종래예를 위에서 본 도면
도 4는 음극선관소켓의 종래예를 설명하는 일부단면도
도 5는 접지도체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6은 제 1의 고압리드선접속부를 설명하는 일부단면도
도 7은 접속도체 및 끼워유지하는 부분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8은 음극선관용 프린트기판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소켓본체 13: 고압방전공극실(高壓放電空隙室)
17: 콘택트수용부 17': 고압콘택트수용부
18: 저압용 콘택트 18h: 고압용 콘택트
33: 접속도체 35: 유지판
37: 접촉편 41: 빈곳(空所)
51: 압압편 52: 끼워맞춤홈
200: 제 1의 고압리드선접속부 300: 제 2의 고압리드선접속부
G2: 스크린리드선(제2의 고압리드선) G3: 포커스리드선(제1의 고압리드선)
본 발명의 제 1의 고안은, 음극선관의 단자핀이 삽입되는 콘택트수용부(17) 및 고압단자핀이 삽입되는 고압콘택트수용부(17')가 공통원위에 배열형성되는 소켓본체(12)를 구비하고,
소켓본체(12)의 옆부분에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제 1의 고압리드선(포커스 리드선)G3이 삽입접속되는 제 1의 고압리드선접속부(200)를 가진 고압방전공극실(13)을 구비하고,
소켓본체(12)의 다른옆 부분에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제 2의 고압리드선(스크린 리드선)G2가 삽입접속되는 제 2의 리드선접속부(300)을 구비하고,
제 1의 고압리드선접속부(200)의 빈곳(41)에 수용되는 리드선끼워둠부와 고압콘택트수용부(17')에 수용되는 고압용 콘택트(18h)를 전기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도체(33)를 구비하고,
제 2의 고압리드선접속부(300)의 빈곳(41)에 수용되는 리드선끼워둠부와 콘택트수용부(17)에 수용되는 저압용콘택트(18)를 전기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도체 (33)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소켓을 구성하였다.
제 1의 고압리드선접속부(200) 및 제 2의 고압리드선접속부(300)의 회동판 (53)에 절결부(53C)를 구비하였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의 고안은, 상기 제 1의 고안에 기재된 음극선관소켓에 있어서, 제 2의 고압리드선접속부(300)를 복수개 구비한 음극선관소켓을 구성하였다.
또, 본 고안의 제 3의 고안은, 상기 제 1의 고안 및 제 2의 고안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음극선관소켓에 있어서, 리드선끼워둠부는 유지판(35)과 접촉편(37)에 의해 구성되는 음극선관소켓을 구성하였다.
또, 본 고안의 제 4의 고안은, 상기 제 1의 고안 내지 제 3의 고안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음극선관소켓에 있어서, 제 1의 고압리드선접속부(200) 및 제 2의 리드선접속부(300)는 양자는 모두 고압리드선접속부의 빈곳(41)으로부터 외부로 연통하는 끼워맞춤홈(52)을 가지고, 끼워맞춤홈(52)에 압입되어서 리드선끼워둠부를 기계적으로 잠금 또는, 해방하는 압압편(51)을 가진 음극선관소켓을 구성하였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음극선관소켓을 위에서 본 도면, 도 2는 그 일부단면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종래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공통되는 참조숫자가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음극선관소켓에 대해서, 종래예와 동일한 부재 및 구성은 종래예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는 것으로 해서 그 설명을 반복하는 것은 생략한다.
상기한 음극선관소켓의 종래예는, 포커스리드선G3이 삽입접속되는 제 1의 고압리드선접속부(200)를 가진 고압방전공극실(13)이 소켓본체(12)의 옆부분에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나, 본 고안의 음극선관소켓은 이 음극선관소켓의 종래예의 소켓본체(12)에 스크린리드선G2 및 또 접지리드선도 접속하는 제 2의 리드선접속부 (300)를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에 상당한다. 제 1의 고압리드선접속부(200) 및 제 2의 리드선접속부(300)는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의해 도시 설명되는 리드선접속부는, 종래, 속결접속부(quick-connection section)라 호칭되고 있는 것이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스크린리드선G2 또는 접지리드선을 삽입끼워둠하는 제 2의 리드선속결접속부 (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음극선관의 단자핀이 삽입되는 소켓본체(12)와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이 리드선접속부(30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곳은, 스몰넥 (small neck)용의 음극선관소켓의 경우, 소켓본체(12)의 7번의 위치 또는 10번에 대응하는 곳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미니넥(mini neck)용의 음극선관소켓의 경우, 스크린리드선접속부(300)는 8번의 위치에 일체성형된다. (49)는 제 2의 리드선접속부(300)의 통형상돌출부이다. (48)은 리드선삽입구멍이며, 통형상돌출부 (49)의 밑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다. (41)은 제 2의 리드선접속부(300)내에 형성되는 빈곳이다. 통형상돌출부(49)의 내부와 빈곳(41)은 리드선삽입구멍(48)을 개재해서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이 빈곳(41)은 회동판(53)의 압압편(51)이 압입되는 끼워맞춤홈(52)을 개재해서 위쪽으로 해방되어 있다. 회동판(53)은 힌지(54)를 개재해서 제 2의 리드선접속부(300)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회동판(53)에는 압압편(51)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54) 및 이것을 개재해서 결합하는 회동판(53)도 제 2의 리드선접속부(300)와 함께 소켓본체(12)에 일체적으로 몰드성형된다. 회동판(53)은 힌지(54)를 회동축으로 해서 회동하여 압압편(51)을 끼워맞춤홈(52)에 압입하여, 빈곳(41)을 폐색한다.
접속도체(33)는, 도전성판금을 펀칭(punching)가공하고 벤딩(bending)가공함으로써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콘택트수용부(17)에 수용되는 콘택트(18)와 빈곳(41)에 수용되는 상하방향으로 연신되어 가늘고 긴 조각의 유지판(35)이 이것을 개재해서 일체적으로 접속된다. 빈곳(41)에는, 상단부를 하향으로 경사지게절곡형성해서 접촉편(37)을 구성한 받이판(受板)(39)이 유지판(35)에 대향해서 수용되고, 유지판(35)과 접촉편(37)에 의해 리드선을 끼어두는 끼워둠부를 구성하고 있다. 콘택트(18)의 각각과 접지도체(19)와의 사이에는 방전공극실용 구멍(21)이 형성되고, 방전공극실용 구멍(21)에서 접지도체(19)와 리드단자(40)와의 사이에 방전공극이 구성되어 있다.
제 2의 리드선접속부(300)에서, 외부리드선인 스크린리드선G2 또는 접지리드선을 리드선삽입구멍(48)을 통해서 빈곳(41)안으로 삽입하면, 그 심선선단부는 유지판(35)과 접촉편(37)에 의해 구성되는 끼워둠부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회동판(53)을 회동해서 하향으로 압압하면, 끼워맞춤홈(52)을 개재해서 압압편(51)에 의해 받이판(39)을 유지판(35)쪽에 탄성적으로 압압하게 되고, 접촉편(37)과 유지판(35)에 의해 구성되는 끼워둠부를 기계적으로 용이하게 또는 확실하게 잠글 수 있다. 또한, 회동판(53)에 절결부(53C)를 형성함으로써, 절결부(53C)에 의해 회동판(53)의 회동동작에 의해 통형상 돌기부(49)의 장애가 되지 않고 회동시킬 수 있고, 또한 회동판(53)의 공간을 취하지 않고 압압편(51)을 형성할 수 있다. 리드선(47)을 해제할 경우는, 끼워맞춤홈(52)으로부터 압압편(51)을 꺼내므로써 용이하게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리드선끼워둠부의 잠금 및 잠금의 해제를 상기한 바와 같이 간단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 접속부를 리드선속결접속부라 호칭하고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 2의 리드선접속부(300)를 1개 구비한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을 복수개 구비함으로써, 고압의 스크린리드선외에 필요에 따라서 접지리드선도 용이하게 음극선관소켓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더욱 음극선관의 여자회로 (勵磁回路)를 설계변경한 경우에 또는 사용핀의 번호가 다른 경우에 즉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스크린리드선 및 접지리드선을 포함해서 모든 리드선을 손납땜 또는 압착단자에 의존하는 일없이 음극선관소켓에 대해서 효율적으로 저코스트로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의 리드선접속부를 음극선관소켓과 일체적으로 성형함으로써, 프린트회로기판의 제 2의 리드선접속부가 구성되어 있는 영역을 다른 용도로 제공할 수 있어, 그 만큼 공간을 유효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부품구성상, 프린트회로기판에 직접 접속하고 있는 저압콘택트 또는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 있는 저압콘택트를 교환하는 것뿐이므로, 음극선관소켓의 부품단가의 변동은 적고, 종래품의 제조설비를 공용할 수 있다.
또, 제 2의 리드선접속부를 복수개 구비함으로써, 음극선관의 여자회로를 설계변경했을 경우 또는 사용핀번호가 다른 음극선관에도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프린트회로기판을 개재함이 없이 리드선을 음극선관소켓에 접속함으로써, 높은 절연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누설전류의 영향을 미치게 하는 일없이 안정된 전압을 계속하여 인가 할 수 있다.

Claims (5)

  1. 음극선관의 단자핀이 삽입되는 콘택트수용부(17) 및 고압단자핀이 삽입되는 고압콘택트수용부(17')가 공통원위에 배열형성되는 소켓본체(12)를 구비하고,
    제 1의 고압리드선접속부(200) 및 제 2의 고압리드선접속부(300)의 회동판 (53)에 절결부(53C)를 구비하고, 소켓본체(12)의 옆부분에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제 1의 고압리드선G3이 삽입접속되는 제 1의 고압리드선접속부(200)를 가진 고압방전 공극실(13)을 구비하고,
    소켓본체(12)의 다른 옆부분에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제 2의 고압리드선(G2)이 삽입접속되는 제 2의 고압리드선접속부(300)를 구비하고,
    제 1의 고압리드선접속부(200)의 빈곳(41)에 수용되는 리드선 끼워둠부와 고압콘택트수용부(17')에 수용되는 고압용 콘택트(18h)를 전기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도체(33)를 구비하고,
    제 2의 고압리드선접속부(300)의 빈곳(41)에 수용되는 리드선끼워둠부와 콘택트수용부에 수용되는 저압용 콘택트(18)를 전기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도체(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소켓.
  2. 제 1항에 있어서, 제 2의 고압리드선접속부(300)를 복수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소켓.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리드선끼워둠부는 유지판(35)과 접촉편(37)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소켓.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제 1의 고압리드선접속부(200) 및 제 2의 고압리드선접속부(300)는 양자는 모두 고압리드선접속부의 빈곳(41)으로부터 외부로 연통하는 끼워맞춤홈(52)을 가지고, 끼워맞춤홈(52)에 압입되어서 리드선끼워둠부를 기계적으로 잠금 또는 해제하는 압압편(51)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소켓.
  5. 제 3항에 있어서, 제 1의 고압리드선접속부(200) 및 제 2의 리드선접속부 (300)는 양자는 모두 고압리드선접속부의 빈곳(41)으로부터 외부로 연통하는 끼워맞춤홈(52)을 가지고, 끼워맞춤홈(52)에 압입되어서 리드선 끼워둠부를 기계적으로 잠금 또는 해제하는 압압편(51)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소켓.
KR2019980020079U 1997-10-24 1998-10-21 음극선관소켓 KR20031182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255597A JP3328560B2 (ja) 1997-10-24 1997-10-24 陰極線管ソケット
JP1997-292555 1997-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391U KR19990017391U (ko) 1999-05-25
KR200311822Y1 true KR200311822Y1 (ko) 2003-08-14

Family

ID=1778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079U KR200311822Y1 (ko) 1997-10-24 1998-10-21 음극선관소켓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019642A (ko)
EP (1) EP0911916B1 (ko)
JP (1) JP3328560B2 (ko)
KR (1) KR200311822Y1 (ko)
CN (1) CN1185766C (ko)
AT (1) ATE223115T1 (ko)
CZ (1) CZ288055B6 (ko)
DE (1) DE69807411T2 (ko)
ES (1) ES2178087T3 (ko)
HK (1) HK1017158A1 (ko)
TW (1) TW41440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5050B2 (ja) * 1999-02-10 2002-06-24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Crtソケット
FR2794294B1 (fr) 1999-05-27 2001-08-31 Legrand Sa Appareillage de connexion mobile
JP3126970B1 (ja) * 2000-01-17 2001-01-22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Crtソケット
JP2002048068A (ja) * 2000-07-31 2002-02-15 Toyota Industries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
US7211737B2 (en) * 2000-08-18 2007-05-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Installation substrate, method of mounting installation substrate, and bulb socket using installation substrate
JP2002324642A (ja) * 2001-04-26 2002-11-08 Smk Corp Crtソケット
JP2002324641A (ja) * 2001-04-26 2002-11-08 Smk Corp 薄型crtソケット
JP3681681B2 (ja) * 2001-12-06 2005-08-10 Smk株式会社 Crtソケット
US7056139B2 (en) * 2002-01-15 2006-06-06 Tribotek, Inc. Electrical connector
DE60208580T2 (de) * 2002-01-15 2006-11-09 Tribotek, Inc., Burlington Gewebter mehrfachkontaktsteckverbinder
KR100577430B1 (ko) * 2004-09-03 2006-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7140916B2 (en) * 2005-03-15 2006-11-28 Tribotek,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one or more electrical contact points
US7214106B2 (en) * 2005-07-18 2007-05-08 Tribotek, Inc.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5392A (en) * 1964-03-17 Spring-wire
JPS5314104Y2 (ko) * 1972-04-19 1978-04-15
US3818278A (en) * 1972-08-07 1974-06-18 Alcon Metal Prod Inc Tube sockets for use with printed circuit boards
US4400645A (en) * 1981-07-06 1983-08-23 American Plasticraft Company CRT Socket assembly
JPH0231992Y2 (ko) * 1986-11-21 1990-08-29
JPH097717A (ja) * 1995-06-14 1997-01-10 Murata Mfg Co Ltd Crtソ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07411D1 (de) 2002-10-02
HK1017158A1 (en) 1999-11-12
CN1215939A (zh) 1999-05-05
US6019642A (en) 2000-02-01
TW414403U (en) 2000-12-01
CZ338498A3 (cs) 1999-05-12
JP3328560B2 (ja) 2002-09-24
EP0911916A2 (en) 1999-04-28
ATE223115T1 (de) 2002-09-15
KR19990017391U (ko) 1999-05-25
CN1185766C (zh) 2005-01-19
CZ288055B6 (cs) 2001-04-11
JPH11126670A (ja) 1999-05-11
ES2178087T3 (es) 2002-12-16
EP0911916A3 (en) 2000-01-19
DE69807411T2 (de) 2003-04-24
EP0911916B1 (en) 200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96784C (en) Microcoaxial connector family
KR200311822Y1 (ko) 음극선관소켓
US6010369A (en) Small size male multi-contact connector and small size female multi-contact connector
US6071127A (en) HF coaxial connector having a plug module and a socket module
US20090269972A1 (en) Cable assembly with conductive wires neatly arranged therein
US6623306B2 (en) Solder mask configuration for a printed circuit board of a modular jack
JP4050372B2 (ja) コンパクト形低圧放電ランプ
US7534151B1 (e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EP0929127A1 (en) Branch junction box assembly
JP3069636B2 (ja) コネクタ
US5167539A (en) Noise suppressing connector
JP3126970B1 (ja) Crtソケット
US6582254B2 (en) Slimline CRT socket
JP3313034B2 (ja) 多極プラグ、多極ジャックおよび多極コネクタ
US4565420A (en) Socket and base for picture tubes
JP3085336B2 (ja) 陰極線管用ベースおよび陰極線管用ソケット
JP3286514B2 (ja) ランプ取付構造
JP2976325B2 (ja) 同軸コネクタ
US689328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289207B2 (ja) プリント基板に搭載される電気コネクタ
JP3445222B2 (ja) Crtソケット
JP3035542B1 (ja) Crtソケットの抵抗素子接続構造
JP3130901B1 (ja) ダブルフォーカス型crtソケット
JPH11195459A (ja) 接続器
US20030109154A1 (en) CRT so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