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877Y1 - 회전형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877Y1
KR200310877Y1 KR20-2003-0000948U KR20030000948U KR200310877Y1 KR 200310877 Y1 KR200310877 Y1 KR 200310877Y1 KR 20030000948 U KR20030000948 U KR 20030000948U KR 200310877 Y1 KR200310877 Y1 KR 200310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rotating member
fixing
leaf spr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수만
Original Assignee
곽수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수만 filed Critical 곽수만
Priority to KR20-2003-0000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8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8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Abstract

본 고안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패널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회전형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탠드에 고정되는 힌지바디와; 패널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바디에 장착되며, 회전 가능한 힌지회전부재와; 상기 힌지회전부재를 탄성력에 의해 고정하는 판스프링을 가지고 있다.
상기 힌지바디는 중앙부가 비어있는 중공축으로, 스탠드에 고정되기 위한 스탠드 스탠드고정홀과; 상기 힌지회전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단과; 상기 판스프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리벳절곡부재를 가지고 있다.
상기 리벳절곡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단에 의해 형성한 부분 일부를 절곡한 것이다.
상기 힌지회전부재는 패널에 고정되기 위한 패널고정홀과; 상기 힌지바디의 단에 장착되기 위한 단홀을 가지고 있다.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단 위에 장착된 힌지회전부재의 상부에서, 탄성력에 의해 상기 힌지회전부재를 밀착시켜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Description

회전형 힌지장치{rotation type hinge apparatus}
본 고안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되는 힌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되는 회전형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되던 회전형 힌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중 힌지바디와 힌지삽입부재의 결합도이고,
도 3은 도 1 중 힌지바디, 힌지삽입부재, 패널고정부의 결합도이다.
회전형 힌지장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를 회전시킬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피벗(pivot)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주로 사용된다.
종래의 회전형 힌지장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에 고정되는 힌지바디(10)와; 상기 힌지바디(10) 안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바디(10)를 관통하여 상부로 일부 돌출되어 상기 힌지바디(10) 상부면(12)과 함께 단(25)을 형성시키는 힌지삽입부재(20)와; 상기 단(25)에 안착하여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 고정되는 패널고정부(35)와; 탄성력에 의해 상기 패널고정부(35)를 눌러서, 상기 패널고정부(35)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30)을 가지고 있다.
회전형 힌지장치는 상기 힌지삽입부재(20) 중 힌지바디(10)를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을 절곡하여 상기 판스프링(30)을 고정하는 리벳이음에 의해, 판스프링(30)이 일정이상의 마찰력을 갖게 한다. 회전형 힌지장치는 사용자가 패널고정부(35)를 회전시키고자 할 때 일정 이상의 힘에서만 움직이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단(25)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힌지바디(10)와 힌지삽입부재(20)가 사용되었고, 종래에 이렇게 각각 두 개의 부품으로 나뉘어서 각 부품을 제작하는 과정이 많고, 부품을 제작하는 시간도 길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패널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을, 일제형 바디로 제작한 회전형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타 다른 목적이나 효과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회전형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 중 힌지바디와 힌지삽입부재의 결합도
도 3은 도 1 중 힌지바디, 힌지삽입부재, 패널고정부의 결합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절단선 Ⅴ-Ⅴ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도 5 중 힌지 바디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50 : 힌지바디 60 : 힌지회전부재
70 : 판스프링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탠드에 고정되는 힌지바디와; 패널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바디에 장착되며, 회전 가능한 힌지회전부재와; 상기 힌지회전부재를 탄성력에 의해 고정하는 판스프링을 가지고 있다.
상기 힌지바디는 중앙부가 비어있는 중공축으로, 스탠드에 고정되기 위한 스탠드 스탠드고정홀과; 상기 힌지회전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단과; 상기 판스프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리벳절곡부재를 가지고 있다.
상기 리벳절곡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단에 의해 형성한 부분 일부를 절곡한 것이다.
상기 힌지회전부재는 패널에 고정되기 위한 패널고정홀과; 상기 힌지바디의 단에 장착되기 위한 단홀을 가지고 있다.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단 위에 장착된 힌지회전부재의 상부에서, 탄성력에의해 상기 힌지회전부재를 밀착시켜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절단선 Ⅴ-Ⅴ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 중 힌지바디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되는 힌지장치이고,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에 고정되는 힌지바디(50)와, 평판 다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에 고정되는 힌지회전부재(60)를 가지고, 상기 힌지회전부재(60)를 탄성력에 의해 힌지바디(50)에 밀착시키는 판스프링(70)을 가지고 있다.
상기 힌지바디(50)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축의 형태로서, 일 측에 상기 스탠드(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스탠드고정홀(52)을 가지고 있고, 타 측에 상기 힌지회전부재(60)가 장착되기 위한 단(5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바디(50)는 단(54)에 장착되는 판스프링(70)보다 높이가 큰 리벳절곡부재(56)를 갖고 있다.
상기 단(54)은 힌지바디(5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54)에 상기 힌지회전부재(60)가 장착되게 된다. 힌지회전부재(60)는 평판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패널고정홀(62)과, 상기 단(54)에 장착하기 위한 원형의 단홀(64)을 가지고 있다.
상기 힌지회전부재(60) 상부에 장착되는 판스프링(70)은 리벳절곡부재(56)가 절곡되어 압력을 가하면 탄성을 가진 판스프링(70)이 변형되고, 변형된판스프링(70)에 의해 발생된 탄성력이 상기 힌지회전부재(60)를 단(54)에 밀착시켜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리벳절곡부재(56)는 힌지바디(50)의 단(54)을 형성시키는 작은 직경의 중공축 부분이고, 힌지바디(50)의 단(54)에 힌지회전부재(60)와 판스프링(70)을 차례로 장착한 후, 판스프링(70)을 고정할 뿐만 아니라 상술한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판스프링(70)의 변형을 위해 리벳절곡부재(56)를 구부린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장착과정을 도 5를 중심으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먼저, 힌지바디(50)의 단(54)에 힌지회전부재(60)를 장착하고, 힌지회전부재(60) 위에 판스프링(70)을 장착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리벳팅 장치(미도시)를 사용하여 힌지바디(50)의 리벳절곡부재(56)를 절곡하여 판스프링(70)을 고정시킨다. 한편 후 공정에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작된 회전형 힌지장치는 패널고정홀(62)을 통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미도시)에 고정되고, 스탠드고정홀(52)을 통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미도시)에 고정된다. 즉 회전형 힌지장치를 통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과 스탠드가 결합되어, 상기 패널이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립된 회전형 힌지장치의 힌지회전부재(60)는 판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마찰력을 갖게 되고,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외력을 가하면, 상기 마찰력에 의해 힌지회전부재(60)는 회전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이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변화와 변형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첨부된 청구범위를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회전형 힌지장치는, 종래에 2개의 부품으로 제작되던 회전형 힌지바디를 일체형으로 제작된 힌지바디를 제공함으로서, 부품을 단순화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부품의 단순화를 통해서 회전형 힌지장치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과, 제작 기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 또한 가지고 있다.

Claims (1)

  1. 힌지바디와;
    상기 힌지바디에 장착되며, 회전 가능한 힌지회전부재와;
    상기 힌지회전부재를 탄성력에 의해 고정하는 판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힌지바디는
    중앙부가 비어있고, 상기 힌지회전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단과;
    상기 판스프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리벳절곡부재
    를 가지는 회전형 힌지장치
KR20-2003-0000948U 2003-01-13 2003-01-13 회전형 힌지장치 KR200310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948U KR200310877Y1 (ko) 2003-01-13 2003-01-13 회전형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948U KR200310877Y1 (ko) 2003-01-13 2003-01-13 회전형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877Y1 true KR200310877Y1 (ko) 2003-04-21

Family

ID=49332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948U KR200310877Y1 (ko) 2003-01-13 2003-01-13 회전형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877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548Y1 (ko) * 1996-06-29 1999-05-15 김광호 액정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틸트 및 회전장치
KR200191805Y1 (ko) * 2000-03-14 2000-08-16 곽수만 액정 모니터용 힌지장치
US6189850B1 (en) * 1997-08-09 2001-02-20 Mitac International Corp. Rotatable LCD screen device
US6437975B1 (en) * 2000-08-07 2002-08-20 Chuntex Electronic Co., Ltd. LCD Screen
KR20030033662A (ko) * 2001-10-24 2003-05-01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내장형 lcd모니터 스탠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548Y1 (ko) * 1996-06-29 1999-05-15 김광호 액정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틸트 및 회전장치
US6189850B1 (en) * 1997-08-09 2001-02-20 Mitac International Corp. Rotatable LCD screen device
KR200191805Y1 (ko) * 2000-03-14 2000-08-16 곽수만 액정 모니터용 힌지장치
US6437975B1 (en) * 2000-08-07 2002-08-20 Chuntex Electronic Co., Ltd. LCD Screen
KR20030033662A (ko) * 2001-10-24 2003-05-01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내장형 lcd모니터 스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319856A (ja) 開閉体の開閉装置
JP4358880B2 (ja) ヒンジ機構
JPH1026128A (ja) チルトヒンジ
KR20000062652A (ko) 틸트힌지
KR200310877Y1 (ko) 회전형 힌지장치
US20030200626A1 (en) Hinge structure
JP2001065543A (ja) 開閉トルク変動可能なチルトヒンジ
CN201027800Y (zh) 枢纽器
JPH0942271A (ja) 摩擦ヒンジをもった電子応用機器
JP2001032823A (ja) チルトヒンジ
JPH08114215A (ja) 電子装置
JP2001041228A (ja) チルトヒンジ
JP2003065355A (ja) トルクヒンジ又はトルクリミッタ
JP2002139020A (ja) 小型ヒンジ
JP2003262214A (ja) ヒンジ機構
JPH0658231U (ja) ヒンジ機構
JP3634002B2 (ja) 携帯端末装置の置き台
US8128582B1 (en) Back massaging device
JPH0991814A (ja) 磁気ディスクドライバのチャッキング機構
CN220290648U (zh) 操作装置
JP2547422Y2 (ja) Oa機器用チルトヒンジ
CN214837777U (zh) 一种具有角度调节功能的支架转轴
KR100487123B1 (ko)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
KR200294767Y1 (ko) 오각 앵글 클립형 마찰 힌지 장치
JP2569358Y2 (ja) Oa機器用2段階チルト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