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123B1 -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123B1
KR100487123B1 KR10-2002-0065952A KR20020065952A KR100487123B1 KR 100487123 B1 KR100487123 B1 KR 100487123B1 KR 20020065952 A KR20020065952 A KR 20020065952A KR 100487123 B1 KR100487123 B1 KR 100487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angle
mounting groove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7464A (ko
Inventor
이대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5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123B1/ko
Publication of KR20040037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일측에서 액정표시기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그 각도를 유지하여 지지하는 액정표시기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 장착홈과; 상기 액정표시기 케이스 하부에 상기 장착홈과 대응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과 접촉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회전되는 만곡부와; 상기 액정표시기가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액정표시기 회전각도를 설정하는 각도설정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에 따라 상기 액정표시기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유연한 각도조절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ANGLE ARBITRATION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 각도조절을 힌지축에 의하지 않고 액정표시기 하부면이 면접촉에 의해 전체가 회전되도록 구현하여 미세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회전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디자인을 좋게 하는 액정표시기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 키폰단말기, 프린터 등과 같은 기기에는 사용자가 그 기기의 버튼 등을 조작함에 따라 설정된 동작모드를 표시하거나 기기의 동작상태를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액정표시기가 사용된다.
상기 액정표시기는 상기 전화기나 프린터 등과 같은 기기 본체로부터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그 사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예로 본 출원인이 출원한 것으로 대한민국특허공보(공개번호 :특1997-0031647호 발명의 명칭 : 전화기의 액정표시기(LCD)각도 조절장치)에 개시된 바 있다.
그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전화기의 액정표시기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유무선전화기는 액정표시기(20)를 스크루 마운팅하여 고정하는 상부커버(14)와, 상기 상부커버(14)와 결합하여 전화기의 상부하우징(12)에 고정되는 하부커버(16)와, 상기 상부커버(14)와 하부커버(16)를 일정한 각도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22)와, 상기 액정표시기(20)의 각도를 표시하는 각각의 제1홈(26)과, 제2홈(28)과, 제3홈(30)과, 제4홈(32)과, 상기 액정표시기(20)의 각도조정 후 액정표시기(20)를 고정시키는 로커(24)와, 상기 로커(24)가 각각의 제1~제4홈(26,28,30,32) 입구에 다달으면 반발력에 의해 홈내부까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탄성수단(25)과, 상기 상부커버(14)와 하부커버(16)를 상,하방향으로 동작시키는 손잡이(18)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액정표시기(20)의 각도 조절단계는 4단계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액정표시기 각도조절장치는 그 각도조절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정해진 4단계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미세 각도조절이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로커(24)가 탄성수단(25)에 의해 지지되어 그 각도조절을 위한 부품이 많이 요구되고, 그에 따라 부품수의 증가, 조립시간의 증가 및 불량품 발생률의 증가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또 다른 새로운 구성을 구현하여, 대한민국특허공보(등록번호 10-0299130호 발명의 명칭 : 액정표시장치의 각도조절구조)에 개시한 바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본체하우징(10)의 장착홈(18)의 양 측벽과 일단의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결합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가능한 액정표시장치(40)의 상하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40)의 하부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기어의 일부처럼 형성되는 톱니형산(33)과,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장착홈(18)에서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톱니형산(33)과 대응되는 부분에 구비되며, 끝단이 상기 톱니형산의 하나의 골에 맞물리도록 뾰족이 돌출된 형태를 띈 탄성리브(52)를 가지며, 상기 결합축을 중심으로 상기 액정표시장치(40)를 회전시킬 때 상기 톱니형산(33)의 골에 상기 탄성리브(52)의 끝단이 단계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도 앞서의 기술에 비하여 그 각도 조절폭이 다소 줄어들기는 하였으나 아주 미세하고 유연한 각도조절은 여전히 이루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 각도조절장치가 외부로 표출되어 디자인이 미려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액정표시기의 각도 조절을 미세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유연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각도조절장치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좋게 하는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의 일측에서 액정표시기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액정표시기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 장착홈과; 상기 액정표시기 케이스 하부에 상기 장착홈과 대응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과 접촉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회전되는 만곡부와; 상기 액정표시기가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액정표시기 회전각도를 설정하는 각도설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액정표시기 케이스 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된 형태로 되어 한 쌍을 이루도록 구성되며,그 하단에 걸림턱이 마련된 로커부재와; 상기 로커부재와 대응하는 위치로 하여 상기 장착홈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로커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홀로 구성된다.
상기 각도설정수단은 상기 만곡부의 표면에 형성된 세레이숀부와; 상기 세레이숀부와 접촉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그 외주면에 기어부가 마련됨과 아울러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외주 일부가 상기 장착홈에 마련된 관통홀을 통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삽입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측에 마련된 복수의 보스에 체결나사를 통해 체결되어 상기 회전롤러와 결합된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탄성수단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수단을 가압하여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회전축과 상기 고정브라켓사이의 회동마찰력을 조절하는 너트로 구성된다.
상기 로커부재는 두 개소로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딩홀은 상기 로커부재와 대응하여 두 개소로 마련된다.
상기 세레이숀부는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의 양단측 두개소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롤러는 상기 세레이숀부에 대응하여 두 개소로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액정표시기(200)가 상하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장착홈(110)이 마련된 본체(100)가 있다.
상기 액정표시기(200)는 상부케이스(210) 및 하부케이스(230)로 구성되어 그 내부에 액정표시판(250)이 내장되며, 상기 하부케이스(230)의 저면 하부측에는 상기 장착홈(110)과 대응된 형상으로 하여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만곡부(231)가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기(200)는 그 만곡부(231)가 상기 장착홈(110)에 면접촉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지지수단(270)에 의해 상기 본체(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며; 각도설정수단(290)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된 후 그 회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수단(270)은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230)의 만곡부(231)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된 형태로 되어 한 쌍을 이루도록 구성되며,그 하단에 걸림턱(271a)이 마련된 로커부재(271)와,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커부재(271)와 대응하는 위치로 하여 상기 장착홈(1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로커부재(27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홀(273)로 구성된다.
상술한 로커부재(271) 및 슬라이딩홀(273)은 2개소에 마련하여 그 슬라이딩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각도설정수단(290)은 도4,6,7a,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만곡부(231)의 표면에 형성된 세레이숀부(291)와, 상기 세레이션부(291)와 접촉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그 외주면에 기어부(293a)가 마련됨과 아울러 회전축(29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외주 일부가 상기 장착홈(110)에 마련된 관통홀(115)을 통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롤러(293)와, 상기 회전축(294)의 양단에 삽입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측에 마련된 복수의 보스(117)에 체결나사(미도시)를 통해 체결되어 상기 회전롤러(293)와 결합된 회전축(29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브라켓과(296), 상기 회전축(294)의 양단에 결합되는 탄성수단(297)과, 상기 회전축(294)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수단(297)을 가압하여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회전축(294)과 상기 고정브라켓(296)사이의 회동마찰력을 조절하는 너트(298)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수단(297)은 스프링와셔(SPRING WASHER) 또는 접시스프링(BELLEVILLE SPRING)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94) 및 고정브라켓(296)이 접하는 부분과 상기 탄성수단(297)과 고정브라켓(296)의 사이에는 와셔(299)를 개재시켜 회전축(294)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294)은 고정브라켓(196)에 의해 그 양단이 지지되어 보스(117)를 통해 고정되되 상기 관통홀(115)의 양측에 형성된 회전축삽입홈(116)에 삽입된다.
상기 회동마찰력은 액정표시기(200)의 무게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상기 액정표시기(20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이어야 하며, 상기 액정표시기(200)의 상측 및 하측에 소정의 힘을 가할 경우 회전상태를 이룰 수 있는 정도를 고려하여 산출된다.
도 4,5,6에서 부호(251)는 상기 액정표시판(250)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신호라인을 나타내며, 부호(233,112)는 상기 신호라인(251)이 통과하여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라인통과홀을 나타낸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도설정수단(290)은 상기 액정표시기(200)의 하부케이스(230) 및 본체(100)의 두 개소 측에 마련하여 그 회전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액정표시기(200)의 각도조절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액정표시기(200)의 각도조절을 위하여 상기 액정표시기(200)의 상측 또는 하측 중앙부를 손으로 누르면, 상기 액정표시기(200)의 하부케이스(230)에 돌출 형성된 만곡부(231)는 상기 본체(100)의 장착홈(110)과 접촉되어 슬라이딩된다.
한편, 상기 만곡부(231)의 양측에 마련된 세레이숀부(291)는 관통홀(115)을 통해 그 외주 일부가 돌출되게 설치된 회전롤러(293)의 기어부(293a)와 맞물림되어 상기 회전롤러(293)가 연동 회전됨에 따라 회전축(294)이 고정브라켓(296)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액정표시기(200)를 눌러 상기 액정표시기(200)가 회전되는 힘은 상기 너트(298)에 의해 조여진 상기 고정브라켓(296)과 회전축(294)의 회동마찰력보다 크게 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와 같은 이유로 하여 사용자가 액정표시기(200)로부터 가하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회동마찰력의 크기는 상기 액정표시기(200) 자중에 의한 회전력보다 크게 되어 액정표시기(200)를 소정의 위치로 지지한다.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기(200) 전체가 장착홈(110)을 따라 회동하는 동안 상기 액정표시기(200) 저면에 마련된 로커부재(271)는 상기 본체(100)에 마련된 슬라이딩홀(273)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걸림턱(271a)에 의해 상기 본체(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로커부재(271)가 슬라이딩함에 있어 상기 로커부재(271)는 상기 슬라이딩홀(273)의 양단에 접촉되어 걸림에 따라 상기 액정표시기(200)의 상한각도 및 하한각도가 정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을 힌지점에 의하지 않고 액정표시기 자체가 움직여 그 하면이 면 접촉에 의해 회전되어 각도조절을 행하도록 된 것으로 미세한 각도까지 조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각도 조절 시 부드러운 클릭감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체의 외부로 힌지구성이 표출되지 않음에 따라 디자인을 수려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2는 종래의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상기 도 4의 액정표시기의 구성을 분리해서 그 후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상기 도 4의 본체를 그 후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a,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과정을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장착홈
200 : 액정표시기 210 : 상부케이스
230 : 하부케이스 231 : 만곡부
270 : 지지수단 271 ; 로커부재
273 : 슬라이딩홀 290 : 각도설정수단
291 : 세레이숀부 293 : 회전롤러
293a : 기어부 294 : 회전축
296 : 고정브라켓 297 : 탄성수단
298 : 너트

Claims (5)

  1. 본체의 일측에서 액정표시기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그 각도를 유지시켜 지지하는 액정표시기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 장착홈과;
    상기 액정표시기 케이스 하부에 상기 장착홈과 대응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과 접촉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회전되는 만곡부와;
    상기 액정표시기 케이스 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된 형태로 되어 한 쌍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그 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로커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로커부재와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장착홈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로커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홀을 구비하여 상기 액정표시기가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 및
    상기 만곡부의 표면에 형성된 세레이숀부와, 상기 세레이숀부와 접촉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그 외주면에 기어부가 마련됨과 아울러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외주 일부가 상기 장착홈에 마련된 관통홀을 통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삽입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측에 마련된 복수의 보스에 체결나사를 통해 체결되어 상기 회전롤러와 결합된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탄성수단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수단을 가압하여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회전축과 상기 고정브라켓사이의 회동마찰력을 조절하는 너트가 마련되어 상기 액정표시기 회전각도를 설정하는 각도설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기 각도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부재는 두 개소로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딩홀은 상기 로커부재와 대응하여 두 개소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레이숀부는 소정의 폭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만곡부의 양 단측 두 개소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롤러는 상기 세레이숀부에 대응하여 두 개소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
KR10-2002-0065952A 2002-10-28 2002-10-28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 KR100487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952A KR100487123B1 (ko) 2002-10-28 2002-10-28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952A KR100487123B1 (ko) 2002-10-28 2002-10-28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464A KR20040037464A (ko) 2004-05-07
KR100487123B1 true KR100487123B1 (ko) 2005-05-03

Family

ID=3733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952A KR100487123B1 (ko) 2002-10-28 2002-10-28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71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570B1 (ko) * 2005-03-15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유닛을 구비하는 전자기기
CN104537950B (zh) * 2014-11-28 2017-01-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曲率可调节的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9085A (ja) * 1999-03-04 2000-09-22 Nec Shizuoka Ltd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9085A (ja) * 1999-03-04 2000-09-22 Nec Shizuoka Ltd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464A (ko) 200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24394B1 (en) Hinge assembly and housing
US6108868A (en) Positioning hinge having a cam block
KR100602639B1 (ko) 액정표시기의 회전장치
KR920002749Y1 (ko) 워드 프로세서의 액정 표시판 경사각도 조절장치
US7245481B2 (en) Display apparatus
JPH1026754A (ja) 液晶表示装置
WO2003056413A1 (en) Hinge assembly for flat panel display appliance
KR970016016A (ko) 차량 도어 동력 슬라이드 장치의 텐션기구
US20090217486A1 (e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487123B1 (ko)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
JP2002266841A (ja) チルトヒンジ
JP2004023469A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200364211Y1 (ko) 강의용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기구
KR100330065B1 (ko) 엘.씨.디 모니터용 힌지 어셈블리
JP3593219B2 (ja) リールギヤブレーキ装置を有するvcr
JP3618652B2 (ja) 回転支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アンテナ装置
KR100432320B1 (ko) 액정 모니터용 힌지장치
CN217288867U (zh) 一种可转动的顶喷花洒
JPS60225919A (ja) 情報機器
KR100366410B1 (ko)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KR200310877Y1 (ko) 회전형 힌지장치
KR0137124Y1 (ko) 파인더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KR20050066256A (ko) 모니터용 높이 조정 스탠드
KR20080056080A (ko) 힌지기구
KR200231013Y1 (ko) 평판영상표시기기의받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