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883Y1 - 베어링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베어링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883Y1
KR200307883Y1 KR2019980007492U KR19980007492U KR200307883Y1 KR 200307883 Y1 KR200307883 Y1 KR 200307883Y1 KR 2019980007492 U KR2019980007492 U KR 2019980007492U KR 19980007492 U KR19980007492 U KR 19980007492U KR 200307883 Y1 KR200307883 Y1 KR 200307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fixed
fixing
outer r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828U (ko
Inventor
강기선
김성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80007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883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8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8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8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33/00Monitoring condition, e.g. temperature, load, vibration

Landscapes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어링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요지는, 베이스블록(10)상에 이동가능토록 설치된 제 1,2 원추형 고정블록(43)과 회전가능토록 설치된 제 1, 2 원추형 고정블록(43')로서 베어링(71)의 내륜(71b)을 회전가능토록 고정함과 함께, 베이스블록(10)의 상측에서 전후 및 좌우 이동토록 설치되는 외륜용 고정블록(32)으로서 베어링(71)의 외륜을 지지하면서 베어링(71)의 검사작동시 진동 및 소음을 각 센서(72a)(73a)로서 검사토록 함을 특징을 한다.
이에따라서, 구동장치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베어링의 교체작업시 사전에 베어링의 작동상태를 효율적으로 검사토록 함으로써, 베어링을 사용하는 모든장치 특히 대형 설비의 베어링 불량으로 인한 안전사고 및 작동불량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이에따라 예방정비의 편리함으로 정비유지를 위한 작업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베어링 검사장치
본 고안은 베어링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구동장치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베어링의 교체작업시 사전에 베어링의 작동상태를 효율적으로 검사토록 함으로써, 베어링을 사용하는 모든장치 특히 대형 설비의 베어링 불량으로 인한 안전사고 및 작동불량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이에따라 예방정비의 편리함으로 정비유지를 위한 작업성이 가일층 향상되며, 이에따라 유지비용일 절감될 수 있도록 한 베어링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산업장에서의 대형 설비에서 단독 구동장치에 이르기 까지 모즌 구동부에는 구동작동을 가능토록 베어링을 설치하며, 따라서 베어링의 사용폭은 상당히 광범위하고, 베어링의 종류도 다양하며, 실질적으로 모든 산업장치에서 베어링의 사용은 필수 적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베어링은 그 종류 또는 사용시간에 따라서 사용기간이 다르지만, 일정 사용기간이 지나면 필수적으로 베어링을 교체하여 하며, 이에따른 베어링의 원활하고 정확한 교체작업이 장치의 수명을 길게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베어링의 교체작업시에는, 베어링의 사전검사가 필수적인데, 종래의 베어링 검사방법에 있어서는, 보통 작업자가 신품 베어링의 내륜을 잡고 외륜을 회전시키어 베어링의 구동상태를 간략하게 검사하는 벙법이며, 대개 육안검사에 의한 베어링의 검사를 수행하여 베어링을 교체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베어링 검사방법에 있어서는, 베어링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개략적으로만 회전함으로 인하여, 일정시간 이상으로는 회전작동시키는 것이 어렵게 되며, 특히 고속 회전작동부에 설치되는 베어링에 있어서의 고속 회전작동 상태를 검사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효율적인 베어링 검사작업이 불가능하는 한편, 작업자의 육안에 의해 베어링의 내부 이상에 대해서는 검사가 불가능하고, 이에따라 정확하고 효율적인 베어링 검사가 아렵게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장치의 작동상태 검사시 또는 베어링의 사용기간내 특별한 이상이 없을 경우에도 베어링의 재사용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지 못하여 사용가능한 베어링을 폐기처분하거나, 공급업체에서의 재생 베어링의 공급시 이를 효과적으로 적발할 수 없게 되며, 이에따라 전체 장치애 대한 인력 및 유지비용이 낭비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동장치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베어링의 교체작업시 사전에 베어링의 작동상태를 검사장치로서 효율적으로 검사토록 함으로써, 베어링을 사용하는 모든장치 특히 대형 설비의 베어링 불량으로 인한 안전사고 및 작동불량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이에따라 예방정비의 편리함으로 정비유지를 위한 작업성이 가일층 향상되며, 특히 베어링의 효율적인 교체 및 사용으로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베어링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 검사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인 베어링 검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베어링 검사장치 10.... 베이스불록
12a,12b,12a',12b'.... 장착홀 13.... 삽입홀
14a,14b,24a,24b.... 가이드홈 15.... 안착부
20.... 이동부 21a,21b.... 고정블록
23a,23b.... 가이드플레이트 24a,24b.... 가이드홈
25.... 이동플레이트 25a,25b,44a',44b'.... 베어링
30.... 베어링 외륜고정부 31.... 회전봉
31a,31b.... 고정블록 32.... 베어링 외륜 고정블록
33,42a,42b.... 조정핸들 40.... 베어링 내륜고정부
41a,41b,41a',41b'.... 고정축
43a,43b,43a',43b'.... 제 1, 2 원추형 고정블록
45a',45b'.... 회전축 46a',46b'.... 1단 및 다단 풀리
48'.... 모터 50.... 장력조절부
51.... 고정볼트 52.... 고정브라켓트
53.... 지지축 54.... 조정용 풀리
55.... 스톱링 60.... 유조통
70.... 베어링 검사부 71.... 베어링
72.... 진동검사기 72a.... 진동감지센서
73.... 소음검사기 73a.... 소음감지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베이스의 양측으로 착설된 일측 및 타측 벽에는 장착홀이 각각 관통되고, 상단면에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타측벽의 하측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유조통 안착부가 마련되는 베이스블록과, 상기 양측 벽의 상단면에는 고정볼트로서 착설되는 고정블록을 개재하여 저부면에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플레이트가 각각 착설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전후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의 중앙에는 장홈이 형성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플레이트 장홈을 통하는 회전봉의 상,하측에는 고정블록이 각각 연설되고, 상기 회전봉의 상,하단에는 조정핸들과 베어링 외륜용 고정블록이 결합 고정되는 베어링 외륜고정부와, 상기 베이스블록의 일측벽 장착홀에 삽착되는 고정축의 전방에는 후방에 설치된 조정핸들로서 전,후이동토록 연설되는 제 1, 2 원추형 고정블록이 각각 연설되며, 상기 베이스블록의 타측벽 장착홀에는 전방으로 제 1,2 원추형 고정블록이 결합되는 고정축을 회전작동토록 베어링이 안착되고, 상기 베어링의 후방으로 회전가능토록 결합된 회전축에는 1단 및 다단 풀리가 각각 연설되며, 상기 1단 풀리 후방에는 커플링을 개재하여 모터가 연설되는 베어링 내륜 고정부; 와, 상기 삽입홀에 안착되는 고정브라켓트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장홈을 통하는 지지축의 전방으로 고정볼트가 결합되고, 그 후방에는 조정용 플리와 스토퍼가 순차로 연설되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베이불록의 내측 안착부에 삽입되며, 전면 하부에 드레인밸브가 설치되는 유조통 및, 상기 베어링 고정부로서 회전토록 고정되는 베어링의 외륜에는 진동검사기와 연결된 진동감지센서가 부착되며, 상기 베어링 외륜을 고정하는 고정블록의 저부에는 소음검사기의 소음감지센서가 부착되는 베어링 검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베어링 검사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 검사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베어링 검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베이스블록(10)과 이동부(20)와 베어링 외륜고정부(30)와 베어링 내륜고정부(40)와 장력조정부(50)와 유조통(60) 및, 베어링 검사부(70)로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블록(10)은, 저부 베이스(16)의 양측으로 착설된 일측 및 타측 벽(11a)(11b)의 상부 양측에는 장착홀(12a)(12b)(12a')(12b')이 각각 관통되고, 그 상단면(11a')(11b')에는 가이드홈(14a)(14b)이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타측벽(11b)의 하측에는 삽입홀(13)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유조통 안착부(15)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20)는, 상기 양측벽(11)의 상단면(11a')(11b') 양측으로 고정볼트(21a)(21b)로서 착설되는 고정블록(22a)(22b)을 개재하여 저부면에 가이드홈(24a)(24b)이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플레이트(23a)(23b)가 각각 착설되며, 상기 베이스블록(10) 및 가이드플레이트(23)의 상,하측 가이드홈(14)(24)에 삽입되는 베어링(25a)(25b)이 양단부에 설치되어 전후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25)의 중앙에는 장홈(25c)이 형성토록 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 외륜고정부(4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5)의 장홈(25c)을 통하는 회전봉(31)의 상,하측에는 이동플레이트(25)에 고정되는 고정볼트(34a)와 너트(34b)로서 고정되는 고정블록(31a)(31b)이 각각 연설되고, 상기 회전봉(31)의 상단에는 조정핸들(33)이 설치되고, 하단에는 V자형성으로 형성된 베어링 외륜용 고정블록(32)이 결합 고정토록 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 내륜고정부(40)는,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일측벽(11a) 장착홀(12a)(12b)에 각각 장착되는 고정축(41a)(41b)의 전방에는 고정축(41) 후방에 설치된 조정핸들(42a)(42b)로서 전,후이동토록 연설되는 제 1, 2 원추형 고정블록(43a)(43b)이 각각 연설되며, 상기 베이스블록(10)의 타측벽(11b)의 장착홀(12a')(12b')에는 전방으로 제 1,2 원추형 고정블록(43a')(43b')이 결합되는 고정축(41a')(41b')을 회전작동토록 그 후방에 연설된 베어링(44a')(44b')이 안착되고, 상기 베어링(44a')(44b')에 회전가능토록 고정축(41')에 결합된 회전축(45a')(45b')에는 1단 및 다단 풀리(46a')(46b')가 각각 연설되며, 상기 전방 회전축(45a)의 1단 풀리(46a') 후방에는 커플링(47a')을 개재하여 모터(48')의 구동축(48a')이 연설되며, 상기 베어링(44a')(44b')은 고정축(41')에 설치된 스토링(49a')(49b')으로서 이탈이 방지토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50)는, 상기 베이스블록(10)의 타측 벽(11b)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홀(13) 전방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트(52)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장홈(52a)을 통하는 지지축(53)의 전방으로 고정볼트(51)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53)의 후방에는 조정용 플리(54)와 스토퍼(55)이 순차로 설치된다.
또한, 유조통(60)은, 상기 베이불록(10)의 내측 안착부(15)에 삽입되며, 일측면에 드레인밸브(61)가 설치되고, 양측벽에는 고정축(41a')이 삽입되는 삽입홀(62a)(62b)이 각각 형성되며, 한편, 상기 베어링 검사부(70)는, 상기 베어링 외륜 및 내륜고정부(30)(40)로서 회전 가능토록 고정되는 베어링(71)의 외주면(71a)에는 진동검사기(72)와 연결된 자석으로 된 진동감지센서(72a)가 부착되며, 상기 베어링 외주면(71a)을 고정하는 고정블록(32)의 저부에는 소음검사기(73)의 소음감지센서(73a)가 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장치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베어링(71)을 사전에 용이하게 검사하여 장치의 설비유지는 물론, 정밀한 베어링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 검사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베어링(71)(71')의 종류에 따라 즉, 크게 볼베어링 또는 롤러베어링에 따라 작업순서를 정하는데, 볼베어링(71)의 경우에는 베이스블록(10)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제 2 원추형 고정블록(43b)(43b')를 사용하고, 롤러베어링(71')일 경우에는 제 1 원추형 고정블록(43a)(43a')을 사용하는데, 이는 베어링에 따라 내륜반경이 다르고 이에 맞추어 반경이 형성된 제 1,2 원추형 고정블록을 사용하기 때문이며, 보통 본 고안에서는 내경이 10 - 100 mm인 볼베어링(71)과 50 - 140mm인 롤러베어링(71')을 검사한다.
한편, 상기 제 1,2 원추형 고정블록중 좌측의 고정블록(43a)(43b)은 베이스블록(10)의 일측벽(11a)에 형성된 장착홀(12a)(12b)에 고정된 고정축(41a)(41b)에 조정핸들(42a)(42b)로서 대략 100mm의 스트로크로서 전,후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우측의 고정블록(43a')(43b')은 타측벽(11b)의 장착홀(12a')(12b')에 장착된 베어링(44a')(44b')으로서 고정된 고정축(41a')(41b') 전방으로 연설되며, 따라서 작업자는 베어링(71)을 우측의 고정블록(43')과 조정핸들(42)로서 이동하는 좌측의 고정블록(43)으로서 베어링(71)이 내륜(71b)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우측의 고정블록(43a')(43b')의 후방에는 회전봉(45a')(45b')이 연설되어 상기 회전봉(45a')(45b')에는 1단 및 다단풀리(46a')(46b')가 설치되며, 상기 우축 고정블록(43')중 전방 고정블록(43a')의 회전봉(46a') 후방으로 커플링(47')을 개재하여 연결된 구동모터(48')로서 상기 회전봉(46a')이 회전작동하면 벨트(80)로서 1단 및 다단풀리(46a')(46b')가 회전작동함으로써, 상기 우측의 제 1,2 고정블록(43a')(43b')이 회전하여 결국 베어링(71)의 내륜(71b)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상단면 및 그 상측으로 지지블록(22)을 개재하여 설치된 거이드플레이트(25) 저부에 형성된 가이드홈(14)(24)에 양단 베어링(25a)(25b)이 삽입되는 이동플레이트(25)는 용이하게 전,후 이송되며, 따라서 상기 이동플레이트(25)에 형성된 장홈(25c)을 통하는 회전봉(31)의 상측 조정핸들(33)을 돌리면 상기 회전봉(31)은 고정블록(31a)(31b)에 지지되면서 하단부의 베어링외륜(71a)용 고정블록(32)을 승,하강시키어 내륜고정된 베어링(71)의 외륜(71b)을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 1,2 원추형 고정블록(43)(43')중 하나로서 내륜(71a)이 회전작동토록 고정되는 볼베어링(71) 또는 롤러베어링(71')의 외륜은 이동플레이트(25)와 조정핸들(33)로서 전,후 및 승,하강되는 외륜 고정블록(32)으로서 외륜(71b)이 고정되면, 상기 구동모터(48')를 작동시키어 제 1,2 원추형 고정블록(43)(43')을 각각 회전작동시키고, 이때 상기 구동모터(48')는 0.2kW로서 0 - 1800 rpm의 속도로 회전시킨다.
이에더하여, 상기 베이스블록(10)의 타측벽(11b) 하측에 형성된 삽입홀(13)내의 고정볼트(51)를 풀어서 고정블라켓트(52)의 장홈(52a)을 통하는 지지축(53)상의 풀리(54)를 상,하이동시키면, 상기 1단 및 다단풀리(46a)(46b')에 체결된 벨트(80)의 장력이 조정되어 보다 정밀한 제 1,2 원추형 고정블록(43)(43')의 회전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외륜 및 내륜(71a)(71b)이 고정된 베어링(71)의 외륜(71b)에는 진동검사기(72)와 연결된 자석으로 된 진동감지센서(72a)가 부착되며, 상기 베어링 외륜(71a)을 고정하는 고정블록(32)의 저부에는 소음검사기(73)의 소음감지센서(73a)가 부착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48')로서 내륜이 회전작동하는 베어링(71)의 진동발생 및 소음발생 상태가 각각의 검사기(72)(73)로서 측정하여 베어링(71)을 효율적이면서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볼베어링(71)일 경우에는 제 2 원추형 고정블록(43b)(43b')을 사용하고, 반대로 롤러베어링(71')일 경우에는 제 1 원추형 고정블록(43b)(43b')을 사용하며, 롤러베어링(71)의 경우에는 베이불록(10)의 내측 안착부(15)에 설치된 유조통(60)내 마찰감쇠용 오일내에 롤러베어링(71')이 1/2 정도 잠기도록 하여 검사를 수행하며, 이는 롤러베어링(71')의 직경이 크므로 회전마찰을 감쇄시키기 위해서이며, 유조통(60)의 드레인밸브(61)로서 오일을 주기적으로 교환하여 준다.
이에따라서, 베어링(71)의 규격에 따라 제 1,2 원추형 고정블록(43)(43')으로서 내륜(71b)을 회전가능토록 고정하고, 외륜용 고정블록(32)으로서 외륜(71a)을 고정하여 구동모터(48')로서 풀리(46')을 회전시키어 베어링(71)의 진동 및 소음 등을 측정하여 용이하면서 정밀하게 베어링(71)을 검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베어링 검사장치에 의하면, 구동장치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베어링의 교체작업시 사전에 베어링의 작동상태를 검사장치로서 효율적으로 검사토록 함으로써, 베어링을 사용하는 모든장치 특히 대형 설비의 베어링 불량으로 인한 안전사고 및 작동불량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이에따라 예방정비의 편리함으로 정비유지를 위한 작업성이 가일층 향상되며, 특히 베어링의 효율적인 교체 및 사용으로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베이스(16)의 양측으로 착설된 일측 및 타측 벽(11) 상측에는 다수의 장착홀(12)이 각각 관통되고, 상단면(11')에는 가이드홈(14)이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타측벽의 하측에는 삽입홀(13)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유조통 안착부(15)가 마련되는 베이스블록(10)과,
    상기 양측 벽(11)의 상단면에는 고정볼트(21)로서 착설되는 고정블록(22)을 개재하여 저부면에 가이드홈(24)이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플레이트(23)가 각각 착설되며, 상기 가이드홈(14)(24)에 삽입되는 베어링(25a)(25b)이 설치되어 전후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25)의 중앙에는 장홈(25c)이 형성되는 이동부(20)와,
    상기 이동플레이트 장홈(25c)을 통하는 회전봉(31)의 상,하측에는 고정블록(31a)(31b)이 각각 연설되고, 상기 회전봉(31)의 상,하단에는 조정핸들(33)과 베어링 외륜용 고정블록(32)이 결합 고정되는 베어링 외륜고정부(30)와,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일측벽 장착홀(12)에 삽착되는 고정축(41)의 전방에는 후방에 설치된 조정핸들(42)로서 전,후이동토록 연설되는 제 1, 2 원추형 고정블록(43a)(43b)이 각각 연설되며, 상기 베이스블록(10)의 타측벽 장착홀(12)에는 전방으로 제 1,2 원추형 고정블록(43a')(43b')이 결합되는 고정축(41')을 회전작동토록 베어링(44')이 안착되어 상기 고정축(41')에는 스톨링(49')이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44')의 후방으로 회전가능토록 결합된 회전축(45a')(45b')에는 1단 및 다단 풀리(46a')(46b')가 각각 연설되며, 상기 1단 풀리(46a') 후방에는 커플링(47a')을 개재하여 모터(48')가 연설되는 베어링 내륜 고정부(40)와,
    상기 삽입홀(13)에 안착되는 고정브라켓트(52)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장홈(52a)을 통하는 지지축(53)의 전방으로 고정볼트(51)가 결합되고, 그 후방에는 조정용 플리(54)와 스토퍼(55)가 순차로 연설되는 장력조절부(50)와,
    상기 베이불록(10)의 내측 안착부(15)에 삽입되며, 전면 하부에 드레인밸브(61)가 설치되는 유조통(60) 및,
    상기 베어링 고정부(30)(40)로서 회전토록 고정되는 베어링(71)의 외륜(71a)에는 진동검사기(72)와 연결된 진동감지센서(72a)가 부착되며, 상기 베어링 외륜(71a)을 고정하는 고정블록(32)의 저부에는 소음검사기(73)의 소음감지센서(73a)가 부착되는 베어링 검사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검사장치
KR2019980007492U 1998-05-08 1998-05-08 베어링 검사장치 KR200307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492U KR200307883Y1 (ko) 1998-05-08 1998-05-08 베어링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492U KR200307883Y1 (ko) 1998-05-08 1998-05-08 베어링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828U KR19990040828U (ko) 1999-12-06
KR200307883Y1 true KR200307883Y1 (ko) 2003-05-17

Family

ID=4940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492U KR200307883Y1 (ko) 1998-05-08 1998-05-08 베어링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8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382B1 (ko) * 2015-02-03 2015-08-1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레이더의 베어링 이상 검출 장치
KR101543383B1 (ko) * 2015-02-03 2015-08-1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센서를 이용하여 레이더의 베어링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721B1 (ko) * 2001-08-08 2008-03-20 주식회사 포스코 베어링 틈새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베어링 분해 장치
KR100919012B1 (ko) * 2002-11-05 2009-09-24 주식회사 포스코 대형직류전동기의 회전자와 메탈베어링 조립장치
KR100909693B1 (ko) * 2002-12-21 2009-07-29 주식회사 포스코 베어링 블록장치
KR100971965B1 (ko) * 2003-07-18 2010-07-23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기기 구동부 음향원격 점검장치
KR100689719B1 (ko) * 2005-07-29 2007-03-09 (주)에스콘 베어링 검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382B1 (ko) * 2015-02-03 2015-08-1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레이더의 베어링 이상 검출 장치
KR101543383B1 (ko) * 2015-02-03 2015-08-1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센서를 이용하여 레이더의 베어링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828U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5041B1 (en) Vehicle testing assembly
KR200307883Y1 (ko) 베어링 검사장치
JP2007279058A (ja) タイヤ検査システム用のロードホイール組立体
CN105466683A (zh) 高速列车齿轮箱空载跑合试验台
CN111307458A (zh) 一种轴承转子摇摆试验装置
CN109013476B (zh) 一种多规格曲轴的清洗机及曲轴清洗方法
CN111017685B (zh) 电梯曳引机测试用夹具及其夹紧方法
CN205352690U (zh) 高速列车齿轮箱空载跑合试验台
KR100428531B1 (ko) 로터의 지지장치
CN214733639U (zh) 一种电梯曳引轮轮槽磨损三维重构的检测装置
JP4668019B2 (ja) 圧縮機検査装置
CN211954670U (zh) 一种轴承转子摇摆试验装置
CN112964207A (zh) 一种转子跳动检测驱动机构
KR20090087579A (ko) 발전소용 재킹 오일펌프의 성능 시험장치
KR200174714Y1 (ko) 트랜스퍼 카 감속기의 테스트 장치
CN113970287B (zh) 一种印刷机滚筒修复装置及使用方法
CN210923064U (zh) 一种列车齿轮箱空载试验台用车轴支撑装置及其试验台
KR20070037667A (ko) 회전기의 동특성 분석용 시뮬레이션 장치
KR200337843Y1 (ko) 교량의 이동식 점검시설용 구동장치
CN109708876A (zh) 一种鼓型滤网减速驱动装置的加载试验装置
CN117723283B (zh) 一种回转支承寿命检测设备
CN220772564U (zh) 一种滚动轴承疲劳磨损检修装置
KR100919018B1 (ko) 스트립의 양면 탈지 검사장치
CN214080392U (zh) 加工中心刀库
CN110346153B (zh) 一种活塞杆旋转扭力疲劳测试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