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693B1 - 베어링 블록장치 - Google Patents

베어링 블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693B1
KR100909693B1 KR1020020082068A KR20020082068A KR100909693B1 KR 100909693 B1 KR100909693 B1 KR 100909693B1 KR 1020020082068 A KR1020020082068 A KR 1020020082068A KR 20020082068 A KR20020082068 A KR 20020082068A KR 100909693 B1 KR100909693 B1 KR 100909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block
shaft
drive shaft
bloc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2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5407A (ko
Inventor
윤혁수
황두태
신승일
홍성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82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693B1/ko
Publication of KR20040055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 F16C13/06Bearings self-adju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 F16C13/022Bearings supporting a hollow roll mantle rotating with respect to a yoke or axle
    • F16C13/024Bearings supporting a hollow roll mantle rotating with respect to a yoke or axle adjustable for positioning, e.g. radial movable bearings for controlling the deflection along the length of the roll mant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어링의 회전으로 물체를 정밀하게 회전시키고, 물체의 크기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며, 회전시 높이조절 및 회전각도 조정 등이 가능한 베어링 블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판의 양측 하부에는 받침블록이 조립되고, 상기 지지판의 양측 상부에는 안내홈이 형성된 안내판이 조립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고 상하로 작동되는 높이 조절부와, 상기 안내판의 안내홈에 그 양측면이 끼워져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높이 조절부에 의해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그 상면이 양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더불어 복수개의 조립홈들이 형성된 블록 본체와,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조립홈들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구동축부와,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조립홈들 중 어느 하나에 조립되는 한편, 회전물체를 회전시키는 베어링축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본 장치를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상부로 부상시키는 부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어링 블록장치, 높이 조절부, 받침 블록, 구동축부, 베어링축부

Description

베어링 블록장치{Bearing Block Apparatus}
도1은, 종래의 베어링 블록장치의 일측면도,
도2는, 종래의 베어링 블록장치의 타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블록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블록장치의 지지부 및 높이 조절부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블록장치의 블록 본체의 사시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블록장치의 구동축부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블록장치의 베어링축부의 분해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블록장치의 부상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블록장치로 회전물체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그 회전물체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지지부, 11:지지판,
12:받침블록, 13:안내판,
20:높이 조절부, 21:암나사부,
22:수나사축, 23:고정나사,
24:핸들, 26:밀착판,
30:블록 본체, 31a,31b,31c,32a,32b,32c:조립홈,
33a,33b,34a,34b:조립공, 35:받침판,
40:구동축부, 41:구동축,
42:베어링, 43:회전롤,
44:보조 눈금판, 45:구동기어,
46:각도 눈금판, 47:고정판,
50:베어링축부, 51:베어링축,
52:베어링, 53:스냅링,
54:제동축, 60:부상수단,
61:에어홀, 62:에어 호스,
63:에어홈, 70:회전물체.
본 발명은 둥근 물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베어링 블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어링의 회전으로 물체를 정밀하게 회전시키고, 물체의 크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며, 회전시 회전각도 조정과 높이 조정이 가능하고, 이동시에는 에어부상 원리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베어링 블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산업에 사용되는 베어링 블록은 베어링의 정밀 회전을 이용하여 물체를 회전시키는데 사용하는 보조기기로서, 주로 물체의 회전을 필요로 하는 작업시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특히, 정밀회전을 요구하는 벤딩 및 동심도 체크, 마킹 등의 작업에 많이 사용된다.
종래의 베어링 블록은, 도1 및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본체(115)에 베어링(110)을 2조로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단순히 베어링(11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물체(70)를 회전시키게 되며, 베어링(110)의 조립 간격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회전물체(70)의 크기가 한정된다. 따라서, 보다 큰 회전물체(70)에 사용할 경우에는 새로운 베어링 블록을 준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양쪽 베어링 블록 안착부의 위치에서 회전물체(70)의 직경이 다를 경우에는 서로의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다른 높낮이 조절장치나 여러 장의 라이너 등을 이용하여 높이를 맞추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비능률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종래 사용중인 베어링 블록은 원하는 각도 만큼의 회전을 구하기 힘들고, 특정 각도로 회전 분할 작업시에는 종래 베어링 블록으로는 작업이 불가능하며, 분할 작업이 필요할 시에는 분할 장치가 부착된 기계를 사용하기도 하나, 이 방법도 회전물체의 크기와 형상 등의 작업 여건에 따라 많은 단점이 노출되고 있다.
또한, 정반 위에서 사용중인 베어링 블록은, 이동 시에 가벼울 경우에는 작업자의 힘으로 밀어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별 문제가 없으나, 무거울 경우에는 크 레인 등의 이동장치를 이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물체의 크기에 따라 단계별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베어링 블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베어링 블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물체의 필요한 각도를 미리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회전물체의 분할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베어링 블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른 장소로 쉽게 이동 가능케 할 수 있는 베어링 블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베어링 블록장치는, 상부에 복수개의 조립홈들이 형성된 블록 본체와;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조립홈들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부;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조립홈들 중 어느 하나에 조립되는 한편, 회전물체를 회전 또는 정지시키는 베어링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베어링 블록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블록 본체는 지지판의 양측 상부에 형성된 안내판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지지판의 양측 하부에는 받침블록이 조립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수나사축과, 상기 수나사축의 하단부에 고정나사로 고정되는 핸들과, 상기 수나사축의 상단부에 분할링으로 결합되고 상기 블록 본체를 받치는 밀착판으로 구성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베어링 블록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받침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에어 주입용 에어홀과, 상기 에어홀에 연결된 에어 호스와, 상기 에어홀과 연결되고 상기 받침블록의 하면에 형성되는 에어홈으로 구성되는 부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베어링 블록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구동축부는, 상기 블록 본체에 걸쳐지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고정되고 상기 블록 본체의 조립홈에 지지되는 한 쌍의 베어링과, 상기 한 쌍의 베어링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축에 고정되며 회전물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롤과, 상기 한 쌍의 베어링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보조 눈금판과, 상기 보조 눈금판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축에 고정되는 한편, 구동부로부터 전달된 동력으로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한편, 상기 보조 눈금판에 의해 회전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각도 눈금판과, 상기 각도 눈금판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축에 고정나사로 고정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베어링 블록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베어링축부는, 상기 블록 본체의 조립홈에 그 양단부가 고정되는 베어링축과, 상기 베어링축에 결합되고 회전물체를 회전시키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과, 상기 베어링에 마찰시켜 필요시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하는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블록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베어링 블록장치는, 상부에 복수개의 조립홈(31a,31b,31c),(32a,32b,32c)들이 형성된 블록 본체(30)와;
상기 블록 본체(30)의 일측에 형성된 조립홈(31a,31b,31c)들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구동부(48)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부(40)와;
상기 블록 본체(30)의 타측에 형성된 조립홈(32a,32b,32c)들 중 어느 하나에 조립되는 한편, 회전물체(70)를 회전 또는 정지시키는 베어링축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9참조).
여기서, 블록본체(30)의 하부에 지지부(10) 및 높이 조절부(20)를 부가할 수 있다.
즉, 지지부(10)는, 도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장치를 바닥에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판(11)의 양측 하부에는 한 쌍의 받침블록(12)이 조립되고, 상기 지지판(11)의 양측 상부에는 내측에 안내홈(13a)이 형성된 안내판(13)이 조립된다. 이 때, 안내홈(13a)에는 상기 블록 본체(30)의 양측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높이 조절부(20)는, 도3 및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1)에 설치되어 블록 본체(30)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것으로, 지지판(11)에 상하로 설치되는 암나사부(21)와, 상기 암나사부(21)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수나사축(22)과, 상기 지지판(1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수나사축(22)의 하단부에 고정나사(23)로 고정되는 래치 핸들(24)과, 상기 수나사축(22)의 상단부에 분할링(25)으로 결합되고 상기 블록 본체(30)를 받치는 밀착판(2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높이 조절부(20)는 래치 핸들(24)을 좌,우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수나사축(22)이 상하로 작동되며, 이 때, 밀착판(26)의 상면에 지지된 블록 본체(30)를 상하로 작동시킨다.
블록 본체(30)는, 도3 및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부(40) 및 베어링축부(5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트여진 박스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블록 본체(30)의 상부에는 그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더불어, 각각 3개의 조립홈(31a,31b,31c),(32a,32b,32c)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블록 본체(30)는 단독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부 양 측에 블록 받침판(35)을 각각 조립하고 있다.
이와 같은 블록 본체(30)는 상기 안내판(13)의 안내홈(13a)에 그 양측면이 끼워져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높이 조절부(20)에 의해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부(20)의 밀착판(26)에 올려진다. 그리고, 블록 본체(30)의 일측 조립홈(31a,31b,31c)들 중 하나에는 구동축부(40)가 조립되고, 타측 조립홈(32a,32b,32c)들 중 하나에는 베어링축부(50)가 조립된다.
한편, 상기 구동축부(40)가 조립되는 하부쪽에는 구동부(48)를 조립하기 위한 구동부 조립공(33a)(33b)이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축부(50)가 조립되는 하부쪽에는 제동축(54)을 조립하기 위한 제동축 조립공(34a)(34b)이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블록 본체(30)의 상부가 그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일자형으로 곧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블록 본체(30)의 상부구조에 따라 구동부 조립공과 제동축 조립공의 형성되는 위치가 달라진다.
구동축부(40)는, 블록 본체(30)의 일측에 형성된 3개의 조립홈(31a,31b,31c)들 중 어느 하나에 조립되는 것으로, 이는 회전물체의 크기에 따라 구동축부(40)가 3개의 조립홈(31a,31b,31c)들 중 어느 하나의 조립홈에 조립된다. 즉, 회전물체의 직경이 비교적 작으면 안쪽에 형성된 조립홈(31a)에 구동축부(40)가 조립되고, 회전물체의 직경이 비교적 크면 바깥에 형성된 조립홈(31c)에 구동축부(40)가 조립된 다.
구동축부(40)의 구조를 보면 도3, 도6a 및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록 본체(30)에 걸쳐지는 구동축(41)과, 상기 구동축(41)에 고정되고 상기 블록 본체(30)의 조립홈(31a,31b,31c)들 중 하나에 안착되는 한 쌍의 베어링(42)과, 상기 한 쌍의 베어링(4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축(41)에 고정되며 회전물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롤(43)과, 상기 한 쌍의 베어링(4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보조 눈금판(44)과, 상기 보조 눈금판(44)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축(41)에 고정되는 한편, 구동부(48)로부터 전달된 동력으로 상기 구동축(41)을 회전시키는 구동기어(45)와, 상기 구동기어(45)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축(41)에 결합되는 한편, 상기 보조 눈금판(44)에 의해 회전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각도 눈금판(46)과, 상기 각도 눈금판(46)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축(41)에 고정나사로 고정되는 고정판(47)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축부(40)는 구동기어(45)에 연결되는 구동부(48)의 피니언기어(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게 되면 보조 눈금판(44)을 제외한 구동축(41), 회전롤(43), 각도 눈금판(46) 및 고정판(47)이 동시에 회전된다. 이 때, 보조 눈금판(44)의 하부 턱진 부분이 각도 눈금판(46)에 위치되어 각도 눈금판(46)의 회전 각도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구동부(48)는 구동축부(40)가 3개의 조립홈(31a,31b,31c)들 중 어느 위치에 조립되느냐에 따라 2개의 구동부 조립공(33a)(33b)중 하나에 조립된다. 즉, 구동부(48)가 33a의 조립공에 조립되면 31a 또는 31b에 조립되는 구동축부(40)를 구동할 수 있고, 구동부(48)가 33b의 조립공에 조립되면 31b 또는 31c에 조립되는 구동축부(40)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베어링축부(50)는, 블록 본체(30)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3개의 조립홈(32a,32b,32c)들 중 어느 하나에 조립되는 것으로, 이 베어링축부(50)도 상기 구동축부(40)와 마찬가지로 회전물체의 크기에 따라 상기 3개의 조립홈(32a,32b,32c)들 중 어느 하나의 조립홈에 조립된다. 즉, 회전물체의 직경이 비교적 작으면 안쪽에 형성된 조립홈(32a)에 베어링축부(50)가 조립되고, 회전물체(70)의 직경이 비교적 크면 바깥에 형성된 조립홈(32c)에 베어링축부(50)가 조립된다.
베어링축부(50)의 구조를 보면, 도3, 도5 및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록 본체(30)의 타측에 형성된 조립홈(32a,32b,32c)에 그 양단부가 걸쳐져 고정되는 베어링축(51)과, 상기 베어링축(51)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 본체(30)의 양 측벽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물체(70)를 회전시키는 베어링(52)과, 상기 베어링(52)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53)과, 상기 베어링(52)에 접촉시켜 필요시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축(5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동축(54)은, 블록 본체(30)의 일측에 형성된 2개의 조립공(34a)(34b)에 하나씩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동축(54)은 센터와 편심으로 가공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동축(54)을 회전시키면 그 편심량에 따라 편심부위가 상기 베어링(52)의 표면에 밀착되어 그 회전을 정지시키고, 이에 따라서 회전물체(70)도 정지된다(도9참조). 이 때, 제동축(54)의 편심부위 면에 제동효과를 좋게 하기 위하여 고무패킹을 부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제동축(54)은 블록 본체(30)의 조립공(34a)(34b)에 각각 조립하여 베어링(52)의 이동에 따라 34a의 조립공에 조립되는 제동축(54)은 32a 또는 32b의 조립홈에 조립되는 베어링(52)을 정지시키며, 34b의 조립공에 조립되는 제동축(54)은 32b 또는 32c의 조립홈에 조립되는 베어링(52)을 고정시킨다.
한편,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블록(12)의 측면에 형성된 에어 주입용 에어홀(61)과, 상기 에어홀(61)에 니플 등으로 연결된 에어 호스(62)와, 상기 에어홀(61)과 연결되고 상기 받침블록(12)의 하면에 형성되는 에어홈(63)으로 구성되는 부상수단(60)을 부가할 수 있다. 이 때, 양쪽 받침블록(12) 사이의 에어 통로를 위하여 연결 호스(64)로 연결시키고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앗으나, 양쪽 받침블록(12) 사이에 연결부재를 연결시킬 수 있다.
에어호스(62)에 에어를 공급하면 에어홀(61)을 통과하여 받침블록(12) 밑면의 에어홈(63)으로 에어가 분출되고, 이 때, 분출된 에어는 연결 호스(64)를 통하여 다른 쪽 받침블록(12)으로 유입되어 2개의 받침블록(12)이 바닥면으로부터 미세하게 부상된다. 따라서, 양 블록의 거리조정 및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 밀어서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 후에는 에어를 차단하면 그 위치에 자동 안착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블록장치로 회전물체(70)를 회전시키는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회전물체(70)를 필요한 각도만큼 회전할 경우, 구동부(48)를 구동시키면 구동기어(45)에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롤(43)로 회전물체(70)를 각도 눈금판(46)의 각도에 맞추어 필요한 양만큼 회전시킨 후, 제동축(54)을 작동시켜 베어링(52)을 정지시키면 회전물체(70)가 필요한 각도에서 정지된다.
회전물체(70)를 필요한 각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하여 회전롤(43)을 회전시키는 각도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회전롤(43)의 회전각(A2)은 R1 * A1 / R2 이다.
여기서, R1 : 회전물체(70)의 반지름,
R2 : 회전롤(43)의 반지름,
A1 : 회전물체(70)의 회전각도,
A2 : 회전롤(43)의 회전각도이다.
회전물체(70)의 회전각(A1)은 각도 눈금판(46)의 각도를 읽어 상기의 공식에 대입하면 회전물체(70)의 각도를 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블록장치에 의하면, 구동축부 및 베어링축부를 블록 본체의 조립홈에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회전물체를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높이 조절부를 통하여 블록 본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부상수단을 통하여 본 블록 장치를 바닥으로부터 미세하게 부상시킴으로써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블록장치에 의하면, 회전물체의 회전시 회전물체의 분할 각도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도 조정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상부에 복수개의 조립홈들이 형성된 블록 본체(30)와;
    상기 블록 본체(30)의 일측에 형성된 조립홈들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구동부(48)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부(40)와;
    상기 블록 본체(30)의 타측에 형성된 조립홈들 중 어느 하나에 조립되는 한편, 회전물체(70)를 회전 또는 정지시키는 베어링축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베어링축부(50)는 상기 블록 본체(30)의 조립홈에 그 양단부가 고정되는 베어링축(51)과, 상기 베어링축(51)에 결합되고 회전물체(70)를 회전시키는 베어링(52)과, 상기 베어링(52)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53)과, 상기 베어링(52)에 마찰시켜 필요시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축(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블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30)는 지지판(11)의 양측 상부에 형성된 안내판(13)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지지판(11)의 양측 하부에는 받침블록(12)이 조립되는 지지부(10)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지지판(11)에 설치되는 암나사부(21)와, 상기 암나사부(21)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수나사축(22)과, 상기 수나사축(22)의 하단부에 고정나사(23)로 고정되는 핸들(24)과, 상기 수나사축(22)의 상단부에 분할링(25)으로 결합되고 상기 블록 본체(30)를 받치는 밀착판(26)으로 구성되는 높이 조절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블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블록(12)의 측면에 형성된 에어 주입용 에어홀(61)과, 상기 에어홀(61)에 연결된 에어 호스(62)와, 상기 에어홀(61)과 연결되고 상기 받침블록(12)의 하면에 형성되는 에어홈(63)으로 구성되는 부상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블록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부(40)는, 상기 블록 본체(30)에 걸쳐지는 구동축(41)과, 상기 구동축(41)에 고정되고 상기 블록 본체(30)의 조립홈에 지지되는 한 쌍의 베어링(42)과, 상기 한 쌍의 베어링(42)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축(41)에 고정되며 회전물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롤(43)과, 상기 한 쌍의 베어링(4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보조 눈금판(44)과, 상기 보조 눈금판(44)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축(41)에 고정되는 한편, 구동부(48)로부터 전달된 동력으로 상기 구동축(41)을 회전시키는 구동기어(45)와, 상기 구동기어(45)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축(41)에 결합되는 한편, 상기 보조 눈금판(44)에 의해 회전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각도 눈금판(46)과, 상기 각도 눈금판(46)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축(41)에 고정나사로 고정되는 고정판(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블록장치.
  5. 삭제
KR1020020082068A 2002-12-21 2002-12-21 베어링 블록장치 KR100909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068A KR100909693B1 (ko) 2002-12-21 2002-12-21 베어링 블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068A KR100909693B1 (ko) 2002-12-21 2002-12-21 베어링 블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407A KR20040055407A (ko) 2004-06-26
KR100909693B1 true KR100909693B1 (ko) 2009-07-29

Family

ID=3734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068A KR100909693B1 (ko) 2002-12-21 2002-12-21 베어링 블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6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336B1 (ko) * 2014-09-24 2016-02-11 주식회사 포스코 블록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527A (ja) 1996-11-22 1998-06-09 Nippon Seiko Kk 軸受用試験装置
KR19990040828U (ko) * 1998-05-08 1999-12-06 이구택 베어링 검사장치
KR200236886Y1 (ko) * 2000-12-26 2001-09-25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보조 샤프트를 구비한 링거롤 베어링 블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527A (ja) 1996-11-22 1998-06-09 Nippon Seiko Kk 軸受用試験装置
KR19990040828U (ko) * 1998-05-08 1999-12-06 이구택 베어링 검사장치
KR200236886Y1 (ko) * 2000-12-26 2001-09-25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보조 샤프트를 구비한 링거롤 베어링 블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407A (ko) 200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2728B1 (en) Pipe bending machine accurately controlling bent angles of pipes
JP4560235B2 (ja) 角度調整テーブル装置
JP7098174B2 (ja) スクライブヘッド
JP5205237B2 (ja) 被測定物の高さ調整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表面形状測定装置
CN100479982C (zh) 机床自动托板交换机
KR100909693B1 (ko) 베어링 블록장치
KR100677678B1 (ko) 인덱스 테이블
JP2005034953A (ja) 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用クラッキング溝の加工装置
KR890006352A (ko) 원환체 정련기 및 연마기
US6435082B1 (en) Portable electropressing apparatus
JP5426151B2 (ja) 表面形状測定装置
KR100567035B1 (ko) 정밀 구심 연마장치
KR102065517B1 (ko) 키트형 바이스
CN112192383B (zh) 一种用于汽车紧固件的多角度打磨装置
CN114619345A (zh) 复合磨床
JP2010132422A5 (ko)
KR100438149B1 (ko) 정삭기와 연마기가 일체로 구비된 광학렌즈 연삭기
US6142043A (en) Adapter for rotationally fixed connection of a rotary tool to a rotary drive member
JPS63154301A (ja) 板状加工物の縁加工装置
JPH02167641A (ja) クランプ装置
JPH0640360Y2 (ja) ボールねじ持ち上げ装置
KR200314999Y1 (ko) 씨엔씨 로터리 테이블
KR100323780B1 (ko) 타이어의 회전이송장치
JP3004642B1 (ja) 支承装置
KR20040039238A (ko) 타이어용 몰드의 홀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