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336B1 - 블록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336B1
KR101592336B1 KR1020140127360A KR20140127360A KR101592336B1 KR 101592336 B1 KR101592336 B1 KR 101592336B1 KR 1020140127360 A KR1020140127360 A KR 1020140127360A KR 20140127360 A KR20140127360 A KR 20140127360A KR 101592336 B1 KR101592336 B1 KR 101592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ller
supporting
lin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모
문상기
한민수
조형민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27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블록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장치는 상부에 V홈형 고정지지부가 마련된 몸체부;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부가 고정지지부 내측으로 이동하거나 고정지지부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제1지지롤러와 제2지지롤러; 및 몸체부에 설치되며, 제1지지롤러와 제2지지롤러를 이동시켜 제1지지롤러와 제2지지롤러의 축간거리를 조절하는 롤러이송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 장치{Block Device}
본 발명은 축이나 원통형 공작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블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록(Block) 장치는 육면체형 구조물 상부에 축이나 원통형 공작물을 올려둘 수 있는 V형 홈을 구비하는 것으로, 축과 같은 원통형 공작물을 지지하는 용도로 쓰인다. 상부에 V형 홈을 구비하기 때문에 이를 브이블록(V-Block) 장치라고도 한다. 이러한 블록 장치는 공작기계 등에서 원통형 공작물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기계장치의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분리한 축을 그 위에 올려 임시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쓰인다.
통상의 블록 장치는 축 등을 고정상태로 지지하는 고정식 블록 장치와, 축 등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회전식 블록 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고정식 블록 장치는 상부에 V형 홈이 형성되어 축 등을 고정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회전식 블록 장치는 축을 지지하는 부분에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여, 이들 롤러가 축을 지지함으로써 필요시 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기계장치의 유지보수 과정에서, 기계장치로부터 분리한 축은 고정상태로 보관하거나 유지보수 작업 등을 위해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고정식 블록 장치에 놓인 축을 회전식 블록 장치로 옮기거나, 이를 다시 고정식 블록 장치로 옮기곤 했다. 하지만 이처럼 축을 옮기는 작업은 유지보수를 번거롭게 할 뿐 아니라 작업시간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 통상의 회전식 블록 장치는 축 등을 지지하는 롤러들의 축간의 거리가 고정된 형태다. 따라서 직경이 작은 축을 지지하던 것을 직경이 큰 축을 지지하는데 이용하기 어렵고, 마찬가지로 직경이 큰 축을 지지하던 것을 직경이 작은 축을 지지하는데 이용하기 어렵다.
기계장치로부터 분리한 축은 대형 기어가 장착된 상태일 수 있는데, 블록 장치의 높이가 대형 기어의 반경보다 작을 경우 블록 장치를 이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즉 기어가 장착된 축을 높이가 낮은 블록 장치에 올리면 기어가 바닥에 닿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는 블록 장치 하부에 높이조절판을 삽입하여 높이를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축이나 원통형 공작물을 고정상태 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변경할 수 있는 블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블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롤러들의 축간 거리 조정을 통하여 다양한 직경의 축이나 원통형 공작물을 지지할 수 있는 블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에 V홈형 고정지지부가 마련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부가 상기 고정지지부 내측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고정지지부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제1지지롤러와 제2지지롤러;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롤러와 상기 제2지지롤러를 이동시켜 상기 제1지지롤러와 상기 제2지지롤러의 축간거리를 조절하는 롤러이송장치를 포함하는 블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롤러이송장치는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한쪽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상기 제1나사부와 나선이 반대인 제2나사부가 형성된 이송나사축; 상기 제1지지롤러의 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나사부에 결합된 제1이송유닛; 및 상기 제2지지롤러의 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2나사부에 결합된 제2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이송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롤러의 축 및 상기 제2지지롤러의 축을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장공과 제2장공을 구비하며, 각각의 상부에 상기 고정지지부가 마련된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이송나사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지지판과 제4지지판; 및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판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바닥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유닛은 상기 제1지지롤러의 축에 결합된 제1이송부재와, 상기 제1나사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1이송부재에 회전 제한상태로 결합된 제1너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이송유닛은 상기 제2지지롤러의 축에 결합된 제2이송부재와, 상기 제2나사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2이송부재에 회전 제한상태로 결합된 제2너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이송장치는 상기 이송나사축을 회전시키는 핸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 장치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베이스부; 제1굴절연결부에 의해 상호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와 제2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1링크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링크의 단부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연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굴절유닛; 제2굴절연결부에 의해 상호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와 제4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3링크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4링크의 단부가 상기 연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굴절유닛; 한쪽이 제1 및 제2굴절연결부 중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쪽이 상기 제1 및 제2굴절연결부 중 나머지에 나사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굴절연결부와 상기 제2굴절연결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몸체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나사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롤러와 제2지지롤러;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롤러와 상기 제2지지롤러를 이동시켜 상기 제1지지롤러와 상기 제2지지롤러의 축간거리를 조절하는 롤러이송장치를 포함하는 블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장치는 제1지지롤러 및 제2지지롤러의 축간거리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직경이 큰 축이나 직경이 작은 축을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장치는 제1지지롤러 및 제2지지롤러의 일부가 고정지지부 내측(고정지지부의 지지영역)으로 이동하여 그 위에 놓이는 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거나, 제1지지롤러 및 제2지지롤러가 고정지지부로부터 벗어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위에 놓이는 축을 옮기지 않고서도 축을 고정상태로 지지하거나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장치는 몸체부를 승강시키는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몸체부 위에 축 등이 탑재된 상태에서도 그 높이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장치의 요부 단면도로, 제1지지롤러와 제2지지롤러를 이동시켜 축간거리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지지상태를 변경하는 예를 각각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장치의 측면도로, 높이조절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보수 등을 위해 기계장치로부터 분리한 축(10)은 대형 기어(20)가 장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축(10)을 지지할 때는 두 개의 블록 장치(100)를 이격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축(10)의 양단부가 두 블록 장치(1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블록 장치(100)는 몸체부(110), 몸체부(110) 내에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롤러(121)와 제2지지롤러(122), 제1지지롤러(121)와 제2지지롤러(122)를 이동시켜 이들의 축간거리를 조절하는 롤러이송장치(130), 몸체부(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몸체부(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상자형태로 마련되며, 롤러이송장치(130)는 몸체부(110)에 설치되어 제1지지롤러(121)와 제2지지롤러(122)를 지지하면서 제1지지롤러(121)와 제2지지롤러(122)를 몸체부(11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롤러이송장치(130)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나사축(131)과, 몸체부(110) 내에 수용된 제1이송유닛(132) 및 제2이송유닛(133)을 포함한다.
이송나사축(131)은 몸체부(110)를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한쪽 외면에 형성된 제1나사부(131a)와 다른 쪽 외면에 형성되며 제1나사부(131a)와 나선이 반대인 제2나사부(131b)를 구비한다. 몸체부(110)의 외측으로 연장된 한쪽 단부에는 이송나사축(131)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부(131c)가 마련된다. 이러한 이송나사축(131)은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축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제1이송유닛(132)은 제1지지롤러(121)의 축(123)에 연결된 상태로 이송나사축(131)의 제1나사부(131a)에 결합된다. 제1이송유닛(132)은 제1지지롤러(121)를 관통하는 제1지지롤러의 축(123)에 결합된 결합된 제1이송부재(132a)와, 이송나사축(131)의 제1나사부(131a)에 체결된 상태로 제1이송부재(132a)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된 제1너트부재(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이송유닛(133)은 제2지지롤러(122)의 축(124)에 연결된 상태로 이송나사축(131)의 제2나사부(131b)에 결합된다. 제2이송유닛(133)은 제2지지롤러(122)를 관통하는 제2지지롤러의 축(124)에 결합된 결합된 제2이송부재(133a)와, 이송나사축(131)의 제2나사부(131b)에 체결된 상태로 제2이송부재(133a)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된 제2너트부재(133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지판(111), 제2지지판(112), 제3지지판(113), 제4지지판(114), 바닥판(115)의 결합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상자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지지판(111)과 제2지지판(112)은 제1지지롤러(121)와 제2지지롤러(122) 및 제1이송유닛(132)과 제2이송유닛(133)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 제1지지롤러의 축(123)과 제2지지롤러의 축(124)을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장공(111a,112a)과 제2장공(111b,112b)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부에 V홈형태로 마련된 고정지지부(116,117)를 구비한다.
제3지지판(113)과 제4지지판(114)은 제1지지판(111)과 제2지지판(112)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도록 체결되며, 이송나사축(131)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바닥판(115)은 제1 내지 제4지지판(111~114)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체결됨으로써 강성을 보강한다.
제1지지롤러의 축(123)은 제2지지판(112), 제1지지롤러(121) 및 제1이송부재(132a), 제1지지판(111)을 연속하여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제2지지롤러의 축(124)은 제2지지판(112), 제2지지롤러(122) 및 제2이송부재(133a), 제1지지판(111)을 연속하여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또 이들 두 축(123,124)은 제1지지판(111)과 제2지지판(112)에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장공(111a,112a)과 제2장공(111b,112b)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몸체부(110)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지지롤러(121)와 제2지지롤러(122)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제1지지롤러(121)와 제2지지롤러(122)에 가해지는 하중은 이들 두 축(123,124)을 통하여 몸체부(11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에서 부호 131d은 이송나사축(131)을 체결하는 체결나사이고, 123a와 124a는 제1지지롤러의 축(123)과 제2지지롤러의 축(124)을 체결하는 체결나사이다.
롤러이송장치(13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나사축(13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이송유닛(132)과 제2이송유닛(133)을 상반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지지롤러(121)와 제2지지롤러(122)가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지지롤러(121)와 제2지지롤러(122)의 축간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이송장치(130)는 도 4의 예처럼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축(10A)을 지지할 경우 제1지지롤러(121)와 제2지지롤러(122)가 가까워지도록 조정한 상태에서 축(10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예처럼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축(10B)을 지지할 경우 제1지지롤러(121)와 제2지지롤러(122)가 멀어지도록 조정한 상태에서 축(10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직경이 큰 축(10B)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 롤러이송장치(130)는 도 6의 예처럼 제1지지롤러(121)와 제2지지롤러(122)가 양측으로 더 벌어져 고정지지부(116,117)의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위에 놓이는 축(10B)이 제1지지롤러(121) 및 제2지지롤러(122)와 접하지 않고 고정지지부(116,117)에 직접 지지될 수 있다. 즉 축(10B)이 고정지지부(116,117)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축(10B)을 고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의 블록 장치(100)는 제1지지롤러(121) 및 제2지지롤러(122)의 축간거리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직경이 큰 축(10B)이나 직경이 작은 축(10A)을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 제1지지롤러(121) 및 제2지지롤러(122)의 일부가 고정지지부(116,117) 내측(고정지지부의 지지영역)으로 이동하여 그 위에 놓이는 축(10A,10B)이 제1지지롤러(121)와 제2지지롤러(1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거나, 제1지지롤러(121) 및 제2지지롤러(122)가 고정지지부(116,117)로부터 벗어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위에 놓이는 축(10A,10B)을 옮기지 않고서도 축(10A,10B)을 고정상태로 지지하거나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즉 고정지지와 회전 가능한 지지의 전환이 용이하다.
도 3과 도 7을 참조하면, 몸체부(110)를 승강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150)는 베이스부(151), 제1굴절유닛(152), 제2굴절유닛(153), 나사축(15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51)는 안정된 지지를 구현하기 위해 사각의 패널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151)의 상면 중앙에는 제1굴절유닛(152)과 제2굴절유닛(153)의 연결을 위해 하측 연결부재(155)가 마련되고, 몸체부(110)의 바닥판(115) 하면에는 역시 제1굴절유닛(152)과 제2굴절유닛(153)의 연결을 위해 상측 연결부재(156)가 마련될 수 있다.
제1굴절유닛(152)은 제1굴절연결부(152a)에 의해 상호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152b)와 제2링크(152c)를 구비한다. 또 제1링크(152b)의 단부는 베이스부(151)에 마련된 하측 연결부재(15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링크(152c)의 단부는 몸체부(110)에 결합된 상측 연결부재(15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굴절유닛(153)은 제1굴절유닛(152)과 동일하게 마련되어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즉 제2굴절유닛(153)은 제2굴절연결부(153a)에 의해 상호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153b)와 제4링크(153c)를 구비한다. 제3링크(153b)의 단부는 베이스부(151)에 마련된 하측 연결부재(15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4링크(153c)의 단부는 몸체부(110)에 결합된 상측 연결부재(15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나사축(154)은 한쪽이 제1굴절연결부(152a)에 나사결합되고, 다른 쪽이 제2굴절연결부(153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제2굴절연결부(153a)의 외측으로 연장된 한쪽 단부에는 회전을 위한 공구가 연결될 수 있는 고리부(154a)가 마련된다. 여기서는 나사축(154)이 제1굴절연결부(152a)에 나사결합되고 제2굴절연결부(153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형태를 제시하였으나, 나사축(154)은 제1굴절연결부(15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굴절연결부(153a)에 나사결합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장치(15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축(154)을 회전시켜 제1굴절연결부(152a)와 제2굴절연결부(153a)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양측 제1굴절유닛(152)과 제2굴절유닛(153)의 굴절정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결합되는 몸체부(110)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몸체부(110) 위에 축 등이 탑재된 상태에서도 높이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100: 블록 장치, 110: 몸체부,
116,117: 고정지지부, 121: 제1지지롤러,
122: 제2지지롤러, 130: 롤러이송장치,
131: 이송나사축, 132: 제1이송유닛,
133: 제2이송유닛, 150: 높이조절장치.

Claims (8)

  1. 대상물을 고정 지지하기 위해 상부에 V홈형 고정지지부가 마련된 몸체부;
    대상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부가 상기 고정지지부 내측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고정지지부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제1지지롤러와 제2지지롤러;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지지부에 의한 대상물의 고정지지와 상기 제1지지롤러와 상기 제2지지롤러에 의한 대상물의 회전 가능한 지지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지지롤러와 상기 제2지지롤러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시켜 상기 제1지지롤러와 상기 제2지지롤러의 축간거리를 조절하는 롤러이송장치;를 포함하는 블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이송장치는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한쪽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상기 제1나사부와 나선이 반대인 제2나사부가 형성된 이송나사축;
    상기 제1지지롤러의 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나사부에 결합된 제1이송유닛; 및
    상기 제2지지롤러의 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2나사부에 결합된 제2이송유닛을 포함하는 블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이송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롤러의 축 및 상기 제2지지롤러의 축을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장공과 제2장공을 구비하며, 각각의 상부에 상기 고정지지부가 마련된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이송나사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지지판과 제4지지판; 및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판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블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은 상기 제1지지롤러의 축에 결합된 제1이송부재와, 상기 제1나사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1이송부재에 회전 제한상태로 결합된 제1너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송유닛은 상기 제2지지롤러의 축에 결합된 제2이송부재와, 상기 제2나사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2이송부재에 회전 제한상태로 결합된 제2너트부재를 포함하는 블록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이송장치는 상기 이송나사축을 회전시키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블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베이스부;
    제1굴절연결부에 의해 상호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와 제2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1링크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링크의 단부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연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굴절유닛;
    제2굴절연결부에 의해 상호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와 제4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3링크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4링크의 단부가 상기 연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굴절유닛;
    한쪽이 제1 및 제2굴절연결부 중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쪽이 상기 제1 및 제2굴절연결부 중 나머지에 나사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굴절연결부와 상기 제2굴절연결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몸체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나사축을 포함하는 블록 장치.
  8. 삭제
KR1020140127360A 2014-09-24 2014-09-24 블록 장치 KR101592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360A KR101592336B1 (ko) 2014-09-24 2014-09-24 블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360A KR101592336B1 (ko) 2014-09-24 2014-09-24 블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336B1 true KR101592336B1 (ko) 2016-02-11

Family

ID=5535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360A KR101592336B1 (ko) 2014-09-24 2014-09-24 블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3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6893A (ja) * 1991-10-28 1993-05-1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ジヤツキ
KR200157018Y1 (en) * 1997-12-26 1999-10-01 Korea Power Plant Service Co Long shaft supporting device
KR20040055407A (ko) * 2002-12-21 2004-06-26 주식회사 포스코 베어링 블록장치
KR20070080308A (ko) * 2006-02-07 2007-08-10 박명환 원통형 연마석 성형용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6893A (ja) * 1991-10-28 1993-05-1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ジヤツキ
KR200157018Y1 (en) * 1997-12-26 1999-10-01 Korea Power Plant Service Co Long shaft supporting device
KR20040055407A (ko) * 2002-12-21 2004-06-26 주식회사 포스코 베어링 블록장치
KR20070080308A (ko) * 2006-02-07 2007-08-10 박명환 원통형 연마석 성형용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32360B (zh) 旋转承载台以及天线测量隔离室
CN107825518A (zh) 一种食品包装纸板用打孔装置
US8534155B2 (en) Robot arm assembly
KR101790863B1 (ko) 중력보상 매커니즘을 가진 로봇 암
CN102642205A (zh) 一种四自由度双动平台并联机构
CN102892557A (zh) 机器人单位设备和生产系统
CN203061929U (zh) 一种可调钻孔夹具
KR20150131739A (ko) 물류이송 콘베이어용 디버터
CN207448657U (zh) 一种食品包装纸板用打孔装置
KR101592336B1 (ko) 블록 장치
CN104976491A (zh) 支撑架
TWI500472B (zh) 自動定心之中心架裝置
US2738082A (en) Pipe supporting apparatus
KR20190084926A (ko) 저진동 가이드 결합체가 구비된 오버헤드 호이스트 트랜스포트
CN105643293A (zh) 螺纹自锁式倾角可调的工作台
TW201601871A (zh) 支撐架
WO2018105283A1 (ja) 産業用ロボットおよび産業用ロボットの製造方法
WO2019041997A1 (zh) 承载立柱与悬臂装置
KR20150128442A (ko) 이송장치
KR20150107044A (ko) 경사조절가능한 볼어레이 이송장치
CN207005597U (zh) 调节装置
CN103195865B (zh) 支承装置及其支承模拟试验台
CN207877183U (zh) 一种折叠拉杆装置
KR102423243B1 (ko) 무빙월용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어장치
TW201803671A (zh) 用於點焊機的電極快速校正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