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775Y1 - 중앙분리대용 도로 표지판 - Google Patents

중앙분리대용 도로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775Y1
KR200307775Y1 KR20-2002-0037712U KR20020037712U KR200307775Y1 KR 200307775 Y1 KR200307775 Y1 KR 200307775Y1 KR 20020037712 U KR20020037712 U KR 20020037712U KR 200307775 Y1 KR200307775 Y1 KR 200307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pillar
road sign
present
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광수
이재권
정건화
이영철
박완순
정해상
성낙묵
김영한
이재호
임영선
노영수
서순석
Original Assignee
이재권
임광수
김영한
정건화
이영철
박완순
성낙묵
이재호
임영선
노영수
서순석
정해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권, 임광수, 김영한, 정건화, 이영철, 박완순, 성낙묵, 이재호, 임영선, 노영수, 서순석, 정해상 filed Critical 이재권
Priority to KR20-2002-0037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7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7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분리대 중앙의 기둥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중앙분리대용 도로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설치대(4)의 하측 선단에 연결대(13)와 조립되는 조립홈(11)이 양측에 형성되며, 중앙부분의 고정너트(10)에 고정볼트(9)를 설치한 기둥 파이프(5)가 중앙분리대(2)의 기둥(12)에 설치되어 도로의 양방향에서 도로 표지판(1)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중앙분리대용 도로 표지판{a}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분리대 중앙의 기둥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중앙분리대용 도로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로 표지판은 행선지 또는 도로의 방향을 안내하는 표지판이 도로의 측면에서 상부에 운전도중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설치하게 되며, 규정속도와 도로의 운행규정을 안내하는 표지판은 운행방향의 우측면에 설치하게 된다.
또한 도로의 곡면주로 또는 다리의 상측에 도로가 놓여진 경우에는 갈매기나 과속을 방지하는 안내문을 표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도로 표지판은 표지판의 하측으로 지면에 고정할 수 있는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설치하게 되므로 표지판을 설치하기 위한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많아지게 된다.
또한 도로의 우측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여러 차선으로 이루어진 도로에서는 좌측(안쪽)차선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우측차선에 있는 도로 표지판을 확인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여 운전자에게 실질적인 안내역할을 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중앙분리대가 설치되어 있는 중앙분리대의 기둥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중앙분리대용 도로 표지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중앙분리대 기둥의 차단판을 연결하는 연결대에 기둥 파이프의 조립홈이 조립되어 안정되고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설치대의 하측 선단에 연결대와 조립되는 조립홈이 양측에 형성되며, 중앙부분의 고정너트에 고정볼트를 설치한 기둥 파이프가 중앙분리대의 기둥에 설치되어 도로의 양방향에서 도로 표지판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평면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도로표지판 높이조절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로 표지판 2 : 중앙분리대
3, 3' : 표지판 4 : 설치대
5 : 기둥파이프 6, 6' : 가이드레일
7, 7' : 볼트 8, 8' : 너트
9 : 고정볼트 10 : 고정너트
11 : 조립홈 12 : 기둥
13 : 연결대 14 : 차단판
기존의 중앙분리대(2)가 하측으로 시멘트 또는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물탱크가 하측은 넓고 상측은 좁게 유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측에는 기둥(12)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기둥(12)의 사이에 반대방향의 차량에서 발생되는 불빛을 차단하는 차단판(14)이 연결대(13)를 통하여 기둥(12)에 고정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중앙분리대(2)의 기둥(12)에 기둥 파이프(5)를 삽입하여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기둥 파이프(5)는 기둥(12)에 삽입되며, 하측의 양선단에 조립홈(11)을 형성하여 연결대(13)와 조립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중앙 양측에는 너트(10)가 기둥 파이프(5)가 용접되어 고정되며 외측에서 고정볼트(9)가 설치되어 기둥(12)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기둥 파이프(5)의 중앙에는 상측으로 원형 또는 사각형의 설치대(4)가 길게 세워져 있으며, 설치대(4)의 상, 하측 두곳에는 양측으로 볼트(7, 7')가 용접되어 연결된다.
볼트(7, 7')의 머리가 삽입되는 가이드레일(6, 6')이 길게 세워져 있으며, 양측에서 너트(8, 8')를 이용하여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가이드레일(6,6')의 외측에는 사각형의 표지판(3, 3')이 연결된 도로 표지판(1)을 구성하는 것이다.
도로 표지판(1)은 내부에 외측으로 구획선(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에는 불빛이 비추게 되면 더욱 밝게 반사되는 야광형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표지판으로 사용되도록 글씨가 새겨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기둥 파이프(5)의 상측으로 설치대(4)가 세워져 있으며, 설치대(4)의 두곳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볼트(7, 7')가 가이드레일(6)에 조립되어 있다.
가이드레일(6)에 조립된 볼트(7, 7')는 외측의 표지판(3, 3')을 자유롭게 상,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위치에 표지판(3, 3')을 이동시키고 안쪽에서 너트(8, 8')를 조여서 원하는 위치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표지판(3, 3')의 외측에는 구획선(15)의 내부에 미끄럼주의 등 다양한 글씨를 새겨서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로 표지판(1)은 중앙분리대(2)의 기둥(12) 상측에서 기둥 파이프(5)를 끼워 넣고, 하측의 조립홈(11)이 연결대(13)에 조립되도록 한다.
그러면 조립홈(11)과 연결대(13)의 조립으로 도로 표지판(1)이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며, 기둥 파이프(5)의 양측에서 고정볼트(9)를 회전시켜 고정너트(10)를 통하여 기둥(1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로 표지판(1)은 중앙분리대(2)의 기둥(12)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어서 별도로 지면에 박아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게되는 것이다.
또한 도로의 중앙에서 양측방향에 표지판(3, 3')을 설치하여 양방향을 통행하는 모든 차량이 도로 표지판(1)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도로 표지판(1)으로 양방향에 안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많은 차선의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도 좌측(안쪽)방향으로 통행하는 차량에게도 도로여건을 안내하여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본 고안은 중앙분리대가 설치되어 있는 중앙분리대의 기둥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중앙분리대용 도로 표지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중앙분리대 기둥의 차단판을 연결하는 연결대에 기둥 파이프의 조립홈이 조립되어 안정되고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중앙분리대에 설치할 수 있어서 하나의 표지판으로 양방향의 차량 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설치대(4)의 양쪽 또는 한쪽에서 표지판(3, 3')을 볼트(7, 7')와 너트(8, 8')로 연결하는 도로 표지판(1)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4)의 하측 선단에 연결대(13)와 조립되는 조립홈(11)이 양측에 형성되며, 중앙부분의 고정너트(10)에 고정볼트(9)를 설치한 기둥 파이프(5)가 중앙분리대(2)의 기둥(12)에 설치되어 도로의 양방향에서 도로 표지판(1)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용 도로 표지판.
KR20-2002-0037712U 2002-12-18 2002-12-18 중앙분리대용 도로 표지판 KR200307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712U KR200307775Y1 (ko) 2002-12-18 2002-12-18 중앙분리대용 도로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712U KR200307775Y1 (ko) 2002-12-18 2002-12-18 중앙분리대용 도로 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775Y1 true KR200307775Y1 (ko) 2003-03-17

Family

ID=49403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712U KR200307775Y1 (ko) 2002-12-18 2002-12-18 중앙분리대용 도로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7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916B1 (ko) 도로용 안전발광난간
US20050201828A1 (en) Prefabricated road median wall
KR100655768B1 (ko) 도로의 조명차선 시스템
KR100661758B1 (ko) 튜브식 차단바를 구비한 안전차단장치
KR200307775Y1 (ko) 중앙분리대용 도로 표지판
KR200391860Y1 (ko) 가드레일용 차광판 고정브래킷
US4569495A (en) Support for traffic control device
KR101031632B1 (ko) 횡단보도용 조명등이 결합된 신호등 지주장치
CN219386116U (zh) 一种智能交通护栏
KR0127269Y1 (ko) 야광부가 형성된 수목 지지구
JP3133926U (ja) 道路標識柱
KR200234898Y1 (ko) 도로의 중앙분리대
KR100710877B1 (ko) 유턴차선 표시용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102062009B1 (ko) 가드레일 부착형 알루미늄 델리네이터
KR200294553Y1 (ko) 안전운전을위한표시수단을갖는도로경계석
KR100515387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263040Y1 (ko) 가이드레일용 방향유도 스크류
KR200366987Y1 (ko) 경사각이 조정 가능한 도로 이정표
KR20000017885U (ko) 운전자 시선유도표지
RU219238U1 (ru) Дорожное сигнальное оград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31069Y1 (ko) 방향표시가 가능한 차선규제봉
KR100965929B1 (ko)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
KR200384164Y1 (ko) 이동 울타리
KR200268539Y1 (ko) 가드레일용안전표시판고정구
KR960007191Y1 (ko) 이중 조명등이 설치된 보도측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