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069Y1 - 방향표시가 가능한 차선규제봉 - Google Patents

방향표시가 가능한 차선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069Y1
KR200431069Y1 KR2020060023457U KR20060023457U KR200431069Y1 KR 200431069 Y1 KR200431069 Y1 KR 200431069Y1 KR 2020060023457 U KR2020060023457 U KR 2020060023457U KR 20060023457 U KR20060023457 U KR 20060023457U KR 200431069 Y1 KR200431069 Y1 KR 200431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rod
bent
direction indicator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기
임문혁
Original Assignee
이동기
임문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기, 임문혁 filed Critical 이동기
Priority to KR2020060023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0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0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78Traffic lines consisting of preformed elements, e.g. tapes, block-type elements specially designed or arranged to make up a traffic li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선의 방향에 따라 절곡가능한 방향지시표를 구비한 차선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차선규제봉의 일측에 플렉시블 연결관을 갖춘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방향지시표를 구비하여 차선의 방향에 따라 차선규제봉을 자유롭게 휘어지게 하여 차선규제봉 자체에 차선방향표시를 할 수 있게 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차선규제봉, 방향지시, 절곡부, 주름관

Description

방향표시가 가능한 차선규제봉{A road line safety pillar which the direction mark is possible}
도 1은 종래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규제봉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차선규제봉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차선규제봉의 절곡부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대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차선규제봉 31. 하부받침대
32. 볼트체결공 33. 절곡부
34. 방향지시표 35. 반사체
36. 주름관 37. 절곡관
본 고안은 차선의 방향에 따라 절곡가능한 방향지시표를 구비한 차선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차선규제봉의 일측에 플렉시블 연결관을 갖춘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방향지시표를 구비하여 차선의 방향에 따라 차선규제봉을 자유롭게 절곡할 수 있게 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규제봉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차선 등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불법 유턴이나 인근 차선으로부터의 합류를 방지하는 교통 안전시설물이며, 이러한 목적 이외에도 횡단보도의 표시, 보도와 차도의 분리표시, 안전지대의 표시, 버스전용차선의 표시 등 각종 경계를 표시하거나 과속으로 인한 급커브 길에서의 탈선을 예방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차선규제봉은 통상 도로상에 결합될 수 있도록 둘레 방향으로 체결공을 형성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중앙에 수직으로 입설되고 상측 외주연에 반사띠가 부착된 규제봉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규제봉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반사띠는 규제봉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야간 주행하는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차선규제봉에 있어서는 반사띠만으로는 시인성(視認性)이 미약한 것이며, 차량과의 충돌이나 규제봉의 노후 등으로 인해 반사띠가 훼손되거나 탈리된 경우에는 시인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에는 차선이나 도로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와 같은 차선규제봉 외 에 차선의 방향을 알려주는 표지판이 입설되어 있으며, 이는 철제봉 위에 운전에 필요한 안전표지를 도식화한 판상체를 고정하여 된 것으로, 원거리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도로의 상태나 운전중 주의사항을 알려줌으로써 사고를 방지하고 안전한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차선규제봉과 도로표지판은 서로 각각 다른 구성으로 설치되나, 통상 안전 운행을 유도하고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고자 하는 동일 목적을 가지고 있는 바, 도로의 방향 표시나 알림 표지판이 차선규제봉과 결합되어 보다 효과적인 시인성을 갖도록 한 구성은 제공되고 있지 않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 특허출원번호 10-2003-0043578호가 있는데 그 구성은 통상의 반사띠(14)가 부착된 차선규제봉에 수직으로 입설된 차선규제봉체(11) 상단에 결합 블록(15)을 구비하고, 그 전, 후 측면으로 방향지시표(16)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규제봉과 상기 결합 블록(15)은 상, 하면을 관통하는 원형단면상의 내부 통공(23)을 형성하고, 전, 후 측면을 관통하여 중앙에 볼트 체결용 관통공(18)을 형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상, 하, 좌, 우에 삽입홈부(17)를 형성하며, 상기 방향지시표(16)는 상기 볼트 체결용 관통공(18)과 일치하는 중앙통공(20) 및 상기 삽입홈부(17)에 끼움되는 삽입돌기(19)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볼트 체결용 관통공(18) 및 중앙통공(20)에 볼트(21)를 관통시켜 너트(22)를 체결하여 서로 장착케 되며, 방향지시표(16)의 외부 표면 중앙통공(20)에는 반사지가 부착된 캡(24)이 삽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 시표가 부착된 차선규제봉을 구비하여 원거리에서도 보다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향상시켜 안전운행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제작이 복잡하며, 방향에 따라 규제봉에 방향지시표를 선택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선규제봉에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방향지시표를 구비하여 차선의 방향에 따라 차선규제봉을 절곡하여 차선의 방향을 더욱 확실하게 안내해주는 구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차선의 방향에 따라 절곡가능한 방향지시표가 구비된 차선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 차선규제봉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절곡부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선규제봉(30)의 하부에는 도로의 노면과 볼트로 결합될 수 있게 볼트체결공(32)이 구비된 하부받침대(31)가 구비되고, 가운데의 일측에는 차선의 방향에 따라 절곡할 수 있는 절곡부(33)가 구비되어 있으며, 절곡부(33)의 상부에는 화살표모양의 방향지시표(34)가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 차선규제봉(30)의 절곡부(33)는 좌·우로 자유롭게 휘어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주름관(36)이 구비되고, 주름관(36)의 내부에는 연성이 큰 알루미늄 재질의 절곡관(37)이 구비되어 주름관의 손상을 방지하고 좌·우로 휘어져 방향을 표시할 경우 휘어짐을 잘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주름관(36)은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인 고무, 합성수지 등으로 잘 휘어지며 밀폐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강한 재질로 구성한다.
본 고안의 방향지시표(34)는 화살표모양으로 방향을 지시하고, 평면으로 구성되어 반사시트(도면미도시)를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방향에 대한 시인성(視認性)을 더욱 확실하게 해준다.
또한 방향지시표(34)는 화살표모양에 한정한 것이 아니라 삼각형, 손모양지시 등 여러 형태로 변경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방향에 따른 차선규제봉의 실시예로서, (a)는 직진표시이고, (b)는 우회전표시이며, (c)는 좌회전표시이다.
즉, 차선의 방향에 따라 차선규제봉(30)의 절곡부(33)를 절곡하면 방향지시표(34)가 세로로 유지하게 되어 방향을 지시해주므로 운전자에게 확실한 방향을 지시해준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의 구성에서 방향지시표(34) 대 신에 반사체(35)를 구비한 것인데, 반사시트가 구비된 원형의 반사체(35)를 구비하여 방향을 지시해주는 구성으로 주로 터널내에 적용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해 주는 구성이다.
상기의 구성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향표시가 가능한 차선규제봉은 차선의 방향에 따라 차선규제봉의 절곡부를 절곡하여 방향을 지시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절곡만 하면 방향지시가 가능하므로 설치가 용이하며, 운전자가 차선의 방향을 미리 짐작하여 운전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선의 규제봉에 있어서,
    차선규제봉(30)의 가운데 일측에 좌·우로 휘어지는 주름관(36)이 구비되고, 주름관(36)의 내부에는 연성이 큰 금속재질의 절곡관(37)이 구비된 절곡부(33)가 구비되며, 절곡부(33)의 상부에는 방향지시표(34)가 구비되어 차선규제봉을 차선의 방향에 따라 절곡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표시가 가능한 차선규제봉.
  2. 제 1항에 있어서, 방향지시표(34) 대신에 반사시트가 갖추어진 원형의 반사체(3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표시가 가능한 차선규제봉.
KR2020060023457U 2006-08-31 2006-08-31 방향표시가 가능한 차선규제봉 KR200431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457U KR200431069Y1 (ko) 2006-08-31 2006-08-31 방향표시가 가능한 차선규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457U KR200431069Y1 (ko) 2006-08-31 2006-08-31 방향표시가 가능한 차선규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069Y1 true KR200431069Y1 (ko) 2006-11-13

Family

ID=41779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457U KR200431069Y1 (ko) 2006-08-31 2006-08-31 방향표시가 가능한 차선규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0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119A (ko) * 2021-11-09 2023-05-16 연안홀딩스 주식회사 축광체를 갖는 도로 차선규제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119A (ko) * 2021-11-09 2023-05-16 연안홀딩스 주식회사 축광체를 갖는 도로 차선규제봉
KR102580663B1 (ko) * 2021-11-09 2023-09-20 연안홀딩스 주식회사 축광체를 갖는 도로 차선규제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0053U (ko) 지주식 시선유도봉
KR200431069Y1 (ko) 방향표시가 가능한 차선규제봉
KR200391860Y1 (ko) 가드레일용 차광판 고정브래킷
KR101272869B1 (ko) 다기능 시선 유도봉
KR200197896Y1 (ko) 도로안전시선유도표지판
ES2372946B1 (es) Barrera tubular de protección de vehículos y personas aplicable a toda clase de carreteras y zonas urbanas.
KR102062009B1 (ko) 가드레일 부착형 알루미늄 델리네이터
KR200385854Y1 (ko) 도로 안전 시선 유도 표지판
CN209260601U (zh) 一种具有反光功能的交通标志杆
KR20130141231A (ko) 체결 및 고정이 용이한 표지판을 구비하는 가드레일
KR100910966B1 (ko) 교통안전표시판 부착구를 겸하는 교통안전표시용 반사체
KR0127269Y1 (ko) 야광부가 형성된 수목 지지구
JP3224130U (ja) 標識構造体
KR101256872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JP2006316572A (ja) 小型標識物
JP3245197U (ja) 道路分離帯用視認具
KR200215708Y1 (ko) 가로등주 보호용 밴드
JP3058956U (ja) 車輌の運転誘導標
KR100714791B1 (ko)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
KR200327759Y1 (ko)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
KR200310156Y1 (ko) 타포린걸이대
KR200184733Y1 (ko) 재활용 도로 표지병
KR200341336Y1 (ko) 다용도 차선규제봉
KR20150048405A (ko) 반사지부착 일체형 시선유도표지
KR200346161Y1 (ko) 터널 경계석용 안전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