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791B1 -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 - Google Patents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791B1
KR100714791B1 KR1020030043578A KR20030043578A KR100714791B1 KR 100714791 B1 KR100714791 B1 KR 100714791B1 KR 1020030043578 A KR1020030043578 A KR 1020030043578A KR 20030043578 A KR20030043578 A KR 20030043578A KR 100714791 B1 KR100714791 B1 KR 100714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ane
bolt
direction indicator
coupl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3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6500A (ko
Inventor
김영동
Original Assignee
김영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동 filed Critical 김영동
Priority to KR1020030043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791B1/ko
Publication of KR20030066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 상에 차선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복수의 링형 반사지를 부착한 원형봉 형태의 규제봉 상단에 결합 블록을 구비하고 이에 방향지시표를 결합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보다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전 운행의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의 반사띠(14)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에 있어서, 수직으로 입설된 차선 규제봉체(11) 상단에 결합 블록(15)을 구비하고, 그 전,후 측면으로 방향지시표(16)를 장착하는 것으로, 상기 결합 블록(15)은 상, 하면을 관통하는 원형단면상의 내부 통공(23)을 형성하고, 전,후 측면을 관통하여 중앙에 볼트 체결용 관통공(18)을 형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상, 하, 좌, 우에 삽입홈부(17)를 형성하며, 상기 방향지시표(16)는 상기 볼트 체결용 관통공(18)과 일치하는 중앙통공(20) 및 상기 삽입홈부(17)에 끼움되는 삽입돌기(19)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볼트 체결용 관통공(18) 및 중앙통공(20)에 볼트(21)를 관통시켜 너트(22)를 체결하여 서로 장착케 되며, 방향지시표(16)의 외부 표면 중앙통공(20)에는 반사지가 부착된 캡(24)이 삽착된다. 또한, 상기 결합 블록(15)은 차선 규제봉의 수직 규제봉체(13) 상단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차선 규제봉의 수직 규제봉체(13)와 별도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구제봉체(13)의 상측 외주연 상에 끼움되게 하는 내부 통공(23)을 형성하며, 상기 규제봉체(13) 상에 상기 볼트 체결용 관통공(18)과 일 치하는 볼트공(13')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원거리에서도 보다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전 운행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효과를 가진다.
차선 규제봉, 방향지시표, 결합 블록, 규제봉체, 캡

Description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The bollard have the direction indicator}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방향지시표 결합 요부 확대 단면도
도4는 본 발명 방향지시표의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하부 받침대 12 : 볼트 체결공 13 : 규제봉체
13' : 볼트공 14 : 반사띠 15 : 결합 블록
16 : 방향지시표 17 : 삽입홈부 18:볼트 체결용 관통공
19 : 삽입돌기 20 : 중앙통공 21 : 볼트
22 : 너트 23 : 내부 통공 24 : 캡
본 발명은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 상에 차선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복수의 링형 반사지를 부착한 원형봉 형태의 규제봉 상단에 결합 블록을 구비하고 이에 방향지시표를 결합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보다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전 운행의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 규제봉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차선 등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불법 유턴이나 인근 차선으로부터의 합류를 방지하는 교통 안전시설물이며, 이러한 목적 이외에도 횡단보도의 표시, 보도와 차도의 분리표시, 안전지대의 표시, 버스전용차선의 표시 등 각종 경계를 표시하거나 과속으로 인한 급커브 길에서의 탈선을 예방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차선 규제봉은 통상 도로 상에 결합될 수 있도록 둘레 방향으로 체결공을 형성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중앙에 수직으로 입설되고 상측 외주연에 반사띠가 부착된 규제봉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규제봉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반사띠는 규제봉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야간 주행하는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차선 규제봉에 있어서는 반사띠 만으로는 시인성(視認性)이 미약한 것이며, 차량과의 충돌이나 규제봉의 노후 등으로 인해 반사띠가 훼손되거나 탈리된 경우에는 시인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에는 차선이나 도로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와 같은 차선 규제봉 외에 차선의 방향을 알려주는 표지판이 입설되어 있으며, 이는 철제봉 위에 운전에 필요한 안전표지를 도식화한 판상체를 고정하여 된 것으로, 원거리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도로의 상태나 운전중 주의사항을 알려줌으로써 사고를 방지하고 안전한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차선 규제봉과 도로표지판은 서로 각각 다른 구성으로 설치되나, 통상 안전 운행을 유도하고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고자 하는 동일 목적을 가지고 있는 바, 도로의 방향 표시나 알림 표지판이 차선 규제봉과 결합되어 보다 효과적인 시인성을 갖도록 한 구성은 제공되고 있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도로 상에 차선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복수의 링형 반사지를 부착한 원형봉 형태의 규제봉 상단에 결합 블록을 구비하고 이에 방향지시표를 결합한 차선 규제봉을 제공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보다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전 운행의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 상에 차선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복수의 링형 반사지를 부착한 원형봉 형태의 규제봉체 상단에 결합 블록을 구비하고 이에 방향지시표를 결합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보다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전 운행의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 규제봉은 도로 상에 결합될 수 있도록 둘레 방향으로 체결공을 형성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중앙에 수직으로 입설되고 상측 외주연에 반사띠가 부착된 원형봉 형태의 규제봉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사띠는 규제봉체의 외주면에 링형으로 복수개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이러한 규제봉체의 상단에 결합 블록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 블록의 일측면 또는 전, 후 양측면에 방향지시표가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방향지시표 결합 요부 확대 단면도, 도4는 본 발명 방향지시표의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이하 자세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기본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하부 받침대(11)와 규제봉체(13), 상단 결합 블록(15)이 일체화로 구성된 것으로, 하부 받침대(11)는 도로 상에 삽착이 용이하도록 볼록한 상면을 가지는 원형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파여진 홈부 내에 볼트 체결공(12)을 형성하고, 그 중앙으로 원기둥 형상의 규제봉체(13)를 수직으로 입설되게 구비하며, 상기 규제봉체(13)의 상측 외주연에는 링형으로 복수의 반사띠(14)를 부착하고 있어 원거리에서도 운행자에게 규체봉체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상기 규제봉체(13)의 상단으로는 결합 블록(15)을 구비하는데, 상기 결합 블록(15)은 상, 하면을 관통하여 중앙으로 내부 통공(23)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측면을 관통하여 중앙에 볼트 체결용 관통공(18)을 외측부에서 단차지게 형성하고, 이에 캡(24)을 삽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볼트 체결용 관통공(18)을 중심으로 상, 하, 좌, 우로 일정 깊이만큼 삽입홈부(17)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 블록(15)의 일측면 또는 전, 후 양측면, 즉 운행시 운전자가 보게되는 정면에 해당하는 곳에 방향지시표(16)를 상기 볼트 체결용 관통공(20)이 형성된 면에 맞접시키고 체결용 볼트(21)를 볼트 체결용 관통공(20) 에 삽입하여 내부 통공(23)으로 돌출되는 볼트(21) 단부에 너트(22)를 체결함으로써 장착,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방향지시표(16)는 차선의 진행방향 따라 화살표 형상을 갖거나, 운행중 주의 사항에 따라 진입금지를 알리는 X자표, U턴 가능 지점을 알리는 표지 등 각종 형태의 도로표식이 형상화되어 장착되며, 상기 결합 블록(15)의 측면 상에 구비된 볼트 체결용 관통공(18) 및 삽입홈부(17)에 대응되게 중앙 통공(20) 및 이를 중심으로 한 상, 하, 좌, 우에 후면부로 돌출된 삽입돌기(19)를 형성하여 결합 블록(15) 상에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결합 블록(15)에 있어서는,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결합 블록(15)을 구비하고, 이에 방향지시표(16)를 측면으로 경사지게 장착하여 시인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나게 하며, 또는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이 규제봉체(13)보다 직경이 보다 넓은 원통형상을 가지되, 방향지시표(16)가 장착되는 일부면이 절삭되어 평면을 가지는 결합 블록(15)을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은 하부 받침대(11)와 수직으로 입설된 규제봉체(13), 상단 결합 블록(15)이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결합 블록(15)에 장착되는 방향지시표(16)가 조립 가능케 제공되는 것이며, 차선 규제봉을 설치하고자 할 때, 하부 받침대(11)가 도로 상에 삽착된 상태에서 둘레의 볼트 체결공(12)에 볼트 삽입, 체결로 지면상에 고정되고, 수직으로 입설된 규제봉체(13)의 반사띠(14)에 의해 원거리에서의 식별력을 가지되, 상단에 장착된 방향지시표(16)를 통해 시인성을 더욱 높임과 동시에 보다 안전한 운행 유도를 위한 안내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방향지시표(16)는 규제봉체(13) 상단에 구비된 결합 블록(15)의 전, 후측면에 장착되되, 방향지시표(16)의 이면 삽입돌기(19)가 결합 블록(15)의 삽입홈부(17)에 끼워 부착된 상태에서 방향지시표(16)의 중앙통공(20) 및 결합 블록(15)의 볼트 체결용 관통공(18)을 관통하여 긴 볼트(21)가 일측에서 삽입된 다음, 내부 통공(23)으로 돌출된 볼트(21) 단부에 너트(22)를 체결하여 고정, 결합케 되는 것이고, 이렇게 결합된 외부 표면상에는 반사지가 부착된 캡(24)을 삽착하여 미려하게 마무리하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본 발명의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은 방향지시표(16)의 형태에 따라 직선 차선을 따라 화살부가 전면을 향하는 것, 커브길 가장 자리를 따라 커브 방향에 맞게 화살부가 측면으로 눕혀진 형태를 갖는 것 등은 운행차량의 진로 방향을 운전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알려주는 역할을 하며, 차량 진입이 불가한 곳에는 X자형 방향지시표를 부착한 차선 규제봉을 일렬로 배열, 설치하여 원거리에서 접근중인 차량에 진입을 금하도록 하고, U턴 지점을 근거리에 두고 불법 뉴턴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곳에 차선 규제봉을 설치하되, U턴 방향지시 표를 부착하여 U턴 지점이 있음을 알리고 불법 U턴을 하지 않도록 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제 1 및 제 2실시예의 결합 블록(15) 형태를 별도로 성형하여 규제봉체(13) 상단에 장착할 수 있게 하는 제 3실시예로서 제공하고, 상기 결합 블록(15)은 상기 제 1 또는 제 2실시예에서와 동일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즉, 규제봉체(13) 상측에 상기 결합 블록(15)의 볼트 체결용 관통공(18)과 대응, 일치하는 볼트공(13')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 블록(15)의 내부 통공(23)으로 규제봉체(13) 상단부를 삽입하고 방향지시표(16)를 장착한 상태에서 볼트(21) 및 너트(22)를 체결하여 고정, 결합하는 것이고, 이는 종래의 기존 차선 규제봉에도 사용할 수있는 것으로, 차선 규제봉의 규제봉체(11) 상단에 결합 블록(15)을 장착하고 이에 방향지시표(16)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로 상에 차선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복수의 링형 반사지를 부착한 원형봉 형태의 규제봉 상단에 결합 블록을 구비하고 이에 방향지시표를 결합한 차선 규제봉을 제공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보다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전 운행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삭제
  2. 통상의 반사띠(14)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에 있어서,
    수직으로 입설된 차선 규제봉체(11) 상단에 상, 하면을 관통하는 원형단면상의 내부 통공(23)을 형성하고, 전, 후 측면을 관통하여 중앙에 볼트 체결용 관통공(18)을 형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상, 하, 좌, 우에 삽입홈부(17)를 형성한 결합 블록(15)을 구비하고, 그 전, 후 측면으로는 상기 볼트 체결용 관통공(18)과 일치하는 중앙통공(20) 및 상기 삽입홈부(17)에 끼움되는 삽입돌기(19)를 구비한 방향지시표(16)를 결합하고, 상기 볼트 체결용 관통공(18) 및 중앙통공(20)에 볼트(21)를 관통시켜 너트(22)를 체결하여 서로 장착케 되며, 방향지시표(16)의 외부 표면 중앙통공(20)에는 반사지가 부착된 캡(24)이 삽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
  3.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블록(15)은 차선 규제봉의 수직 규제봉체(13) 상단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
  4.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블록(15)은 차선 규제봉의 수직 규제봉체(13)와 별도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구제봉체(13)의 상측 외주연 상에 끼움되게 하는 장착 홈부(23)를 형성하며, 상기 규제봉체(13) 상에 상기 볼트 체결용 관통공(18)과 일치하는 볼트공(13')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
  5.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블록(15)은 전체적인 외형이 사다리꼴 단면상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
  6.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블록(15)은 규제봉체(13) 보다 넓은 직경의 원통형상에 방향지시표(16)가 부착되는 일부면이 절삭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
KR1020030043578A 2003-06-30 2003-06-30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 KR100714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578A KR100714791B1 (ko) 2003-06-30 2003-06-30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578A KR100714791B1 (ko) 2003-06-30 2003-06-30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828U Division KR200327759Y1 (ko) 2003-06-30 2003-06-30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500A KR20030066500A (ko) 2003-08-09
KR100714791B1 true KR100714791B1 (ko) 2007-05-08

Family

ID=3222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578A KR100714791B1 (ko) 2003-06-30 2003-06-30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7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0533A1 (en) * 2020-06-22 2021-12-30 Mushref Hasan Essam A smart traffic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500A (ko) 200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3552B2 (en) “Warning Bump” traffic safety device
KR100714791B1 (ko)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
KR200327759Y1 (ko)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
US11619015B2 (en) Reflective traffic control marker
KR200400223Y1 (ko) 노면 부착식 차선 표지구
KR200405204Y1 (ko) 도로 표지병
KR200394458Y1 (ko) 차로표시체
KR0127269Y1 (ko) 야광부가 형성된 수목 지지구
KR200347937Y1 (ko) 델리네이터를 갖는 가드레일 포스트
KR100372977B1 (ko) 조립식 가드레일
KR200331575Y1 (ko) 도로분리 표시대
KR200184733Y1 (ko) 재활용 도로 표지병
KR20220114175A (ko)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
KR200215182Y1 (ko) 조립식 가드레일
CN217026818U (zh) 一种挡车路障及路面挡车结构
KR200220479Y1 (ko) 도로 가이드레일 고정볼트용 야광캡
KR200431069Y1 (ko) 방향표시가 가능한 차선규제봉
KR102645037B1 (ko) 교체가 용이하고 설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선분리대
KR200297991Y1 (ko) 중앙선 분리 반사 표시구를 일체로 한 중앙선 분리 차선규제 표시봉
CN216839091U (zh) 一种人行横道发光指示装置
KR20010035854A (ko) 도로의 차선 표지병, 차선 규제봉, 중앙선 대체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
KR200341336Y1 (ko) 다용도 차선규제봉
KR200292804Y1 (ko) 도로표지병
KR200311383Y1 (ko) 곡선도로 표시기능이 부가된 델리네이터
KR20000017885U (ko) 운전자 시선유도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