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175A -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175A
KR20220114175A KR1020210017373A KR20210017373A KR20220114175A KR 20220114175 A KR20220114175 A KR 20220114175A KR 1020210017373 A KR1020210017373 A KR 1020210017373A KR 20210017373 A KR20210017373 A KR 20210017373A KR 20220114175 A KR20220114175 A KR 20220114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lane
center line
body member
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미란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엠제이안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엠제이안전산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엠제이안전산업
Priority to KR1020210017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4175A/ko
Publication of KR20220114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12Preformed road surface markings, e.g. of sheet material; Methods of applying preformed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도로의 중앙선을 대체하는 표지판 위에 차선 표지병를 설치함으로써 표지병이 노면이 묻히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차선 표지병과 같이 차량과의 충돌시 파괴음을 크게 발생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운행을 도모토록 하는 차선 규제봉을 설치 구성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에 대해 공개한다.

Description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Road central separation system}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에 차량의 통행 규제 및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치하는 황색의 중앙분리선 대체 표지판, 차선 표지병, 차선 규제봉 및 이들의 결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회의 발전에 따라 자동차는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나, 현재 우리 나라에서는 정부의 교통안전에 대한 다각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통사고의 발생건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한 실정이다.우리들은 도로의 바닥에 몇 개의 선을 그어놓고 그 선 사이로 다니기로 약속하고 이를 이행하고 있다. 그중 도로의 중앙분리선(중앙선)은 비록 가느다란 노란 실선 하나지만 이 속에는 삶과 죽음을 오갈 수 있는 엄청난 약속과 믿음의 깊은 뜻이 있는 중요한 시설이다. 우리들은 그 중앙선을 사이에 놓고 서로 넘지 않
을 것을 이행하며 도로를 달리고 있다.그러나 이러한 도로의 중앙선을 침범하여 발생하는 사고는 교통안전공단에서 발표한 바 있듯이, 매년 약56%씩 늘고 있으며, 97년의 경우에는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중에 중앙선 침범에 의한 사고 사망자가 175%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손해보험협회에 따르면 98년도에는 중앙선 침범과 차선위반 사고가 239,721건으로 9,075명이 사망하고 30만여명이 부상당했고, 이 가운데 야간 피해가 83,439건으로 사망 4,257명, 부상 12만여명으로 집계 발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도로의 중앙선 침범사고는 불법추월, 과속, 졸음운전 등 운전자의 부주의와 중앙분리대 등의 교통안전시설 부족과 시설 부실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교통사고의 유형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 중 중앙선 침범으로 인한 사고에서 가장 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야간의 교통사고는 도로의 조명이 적절하지 못할 때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특히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하거나 도로 밖으로 이탈하는 사고는 시선유도의 부재로 인하여 주로 발생한다.이러한 사고의 방지를 위해 도로에는 갈매기 표시, 차선 표지병, 시선유도표시 등을 설치하고, 이러한 시선유도 표시는 차량 전조등으로부터의 빛을 입사방향과 근사한 방향으로 반사하여 야간이나 우천시 운전자에게 전방의 도로 선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차량의 중앙선 침범이나 도로를 벗어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한다.하지만 이러한 중앙선 등의 노면표시는 비나 눈이 오는 경우에 시인성 마비를 일으켜 운전자에게 도로의 선형 및 도로 가장자리에 관한 정보전달의 부적절성을 가져와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운전자의 피로감 증대와 도로서비스 수준에 부정적 영향을 주기도 한다.시인성 저하를 보완할 목적으로 도로에는 차선 표지병이 설치된다. 차선 표지병은 부수적으로 자동차타이어와의 접촉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를 전달하는 위치 안내, 노면표시의 보조 또는 노면표시의 보조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즉, 차선 표지병은 도로의 중앙선, 차선 경계선, 길 가장자리 구역선, 전용차선, 노상장애물, 안전지대 등 노면표시의 기능을 보완할 곳에 설치하게 된다.
도 1은 도로 중앙선의 일 예를 보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로의 중앙에 그어지는 황색 중앙선(1)에 일정한 간격으로 반사 표지병(10a)을 설치한 형태로 되어 있다. 여기에 사용된 반사 표지병(10a)은 도 3은 참조하면, 사각 몸통부재(12a)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반사체(14a)가 형성되고 저면의 중앙에는 노면에 깊이 결합되는 앵커(16a)가 형성되어 있다.도 2는 도로 중앙선의 다른 예를 보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로의 중앙선(1a)(1b)을 2열로 배열하고 그 사이에 반사 표지병(10a)과 차선 규제봉(20a)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형태이다. 여기서 차선 규제봉(20a)은 원형 봉 형태로 된 몸통부재(22a)의 외면에 반사체(24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몸통부재를 고정하고 소정의 체결구(27a)를 사용하여 노면에 부착시키게 되는 고정구(26a)가 구비되어 있다.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선 표지병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으로 만드는데, 도로 중앙선에 천공기로 앵커길이 보다 10㎜정도 깊게 구멍을 뚫고 접착제를 구멍에 부어 간단하게 설치한다.그러나 그 실태를 보면, 차량의 중앙선 침범에 의해 파손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즉, 아스팔트 노면에 완전히 묻혔거나 몸통부재의 반 이상이 내려앉아 있으며, 간혹 흙이나 모래가 반사체의 앞부분에 쌓여있어 기능이 반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차선 표지병이 파손되어 없어졌거나 파묻힌 표지병을 다시 새것으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도로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이처럼 종래 표지병은 그 자체가 너무 빈약하여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하여 발생된 훼손의 정도가 너무 심각하여 도로 안전시설물 가운데 가장 많은 사용되는 소모품으로 막대한 예산낭비 요소가 되고 있고, 행정당국에서는 예산과 인력 부족 등으로 훼손이 심한 곳을 중심으로 땜질식 처방에 급급한 실정으로 유지관리가 전혀 안되고 있으며, 차량위주 정책만을 시행하고 있어 후진성 교통현안이 전혀 개선되지 않고 수십년간을 반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운전자의 시선 유도를 이끌어내어 차량 안전 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도로 중앙분리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각종 시설물, 즉 파손의 우려가 적은 차선 표지병, 차량의 중앙선 침범을 운전자에게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차선 규제봉 및 차선 표지병의 침하를 방지하게 되는 중앙선 대체 표지판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로의 차선 표지병은 중앙에 수직으로 하부의 직경이 작은 결합구가 계단형으로 뚫려 있는 사각 형태의 몸통부재와, 상기 몸통부재의 결합구 상부로부터 삽입 체결되는 앙카볼트와 상기 앙카볼트의 하부에서 끼워지되 그 상부는 몸통부재의 저면에 접촉 지지되고 하부에는 일정길이 만큼 다수개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앙카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반사와 무반사의 유무는 상기 몸통부재의 측면에 반사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느냐에 의해 결정된다.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차선 규제봉은 내부 빈 공간에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연질 합성수지재로 된 봉 형태의 몸통부재와, 이 몸통부재의 하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지지하고 타단은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기재된 차선 표지병의 결합구 상단에 삽입 결합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차량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터지도록 구성된다.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중앙선 대체 표지판은, 일단에는 요입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홈과 같은 형태의 돌설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 위에 요입부가 형성된 쪽은 가려지고 돌설부가 형성된 쪽은 노출되는 크기로 상부패널의 하부에 적층 결합되는 하부패널과; 그리고, 상기 상부패널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차선 표지병이 결합되는 홈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홈 설치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홈 설치부재의 안에는 차선 표지병의 앙카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이들의 연속적인 연결에 의해 도로의 중앙선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 시스템은 중앙선 대체 표지판을 배열하고 표지판 상부의 홈 형성부재 안에 반사 또는 무반사 차선 표지병을 선택적으로 결합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반사 및 무반사 차선 표지병의 설치는 도로의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표지병의 결합구 상단에는 차선 규제봉이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앙선 대체 표지판은 폭 15㎝, 높이 1㎝, 길이 1.5m의 크기로 황색도료를 코팅하고 2번 이상 열처리하여 만든 중앙선 대체재로서, 표지병의 설치 좌대가 형성되어, 차선 표지병의 부착에 의해 어떠한 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노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도로 보수시에는 중앙선 대체 표지판과 차선 표지병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앙카볼트를 풀어 재 사용할 수 있다.이러한 중앙선 대체 표지판은 현존의 중앙선보다 넓고 뚜렸하게 보이는 등 시선 유도 효과가 뛰어나다.그리고 차선 표지병은 상기 중앙선 대체 표지판 위에 설치되므로 충격에 의한 파손, 내려앉음, 흙이나 모래가 반사체를 가림, 반사체의 오염, 표지병 설치자리 노면 훼손 등의 기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도로의 중앙선 대체 표지판 위에 표지병를 설치함에 있어, 상기 표지병 위에는 차량과의 충돌시에 고무풍선과 같이 터지는 차선 규제봉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운전자의 중앙선 침범을 운전자에게 강력히 경고함과 동시에 안전시설물을 훼손하였다는 자책감을 주어 다시는 중앙선을 침범하지 못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은 PVC 유연성 재료로 공기를 주입시켜 간단하게 설치가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소모품으로서 중앙선 전구간에 표지병과 함께 설치함으로써 강력한 중앙선을 확보, 중앙선 침범에 의한 교통사고를 줄이고 또한 표지병 훼손을 막아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선 표지병, 차선 규제봉, 중앙선 대체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중앙분리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도 4는 도로의 중앙선 대체 표지판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며, 중앙선 대체 표지판(30)은 크게 3부분인 상부패널(32), 하부패널(34) 및 2개의 홈 형성부재(36)로 구성된다.상기 상부패널(32)은 기다란 패널로 길이 방향의 일단에 반원형 요입부(324)가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상기 요입부와 같은 형태의 돌설부(322)가 형성된다.상기 하부패널(34)은 상기 상부패널(32)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패널(32)의 요입부(324) 형성 쪽 은 가려지고 돌설부(322) 형성 쪽은 노출되는 크기이며, 역시 양단에는 상기 상부패널 보다 큰 요입부(도면에는 보이지 않음)와 돌설부(342)가 형성되어 있다.그리고, 상부패널(32)의 상부에는 차선 표지병이 결합되는 두 개의 홈 형성부재(36)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홈 형성부재의 안쪽에는 차선 표지병의 앙카볼트가 삽입되는 구멍(326)(328)(344)이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까지 뚫려 있다.이러한 구조의 중앙선 대체 표지판은 요입부(324)와 돌설부(322)(342)가 서로 끼워지도록 여러 개 배열함으로써 도로의 중앙선을 형성하게 되며, 노면에는 차선 표지병으로 표지판을 고정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 표지병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이것의 분해사시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선 표지병은 크게 몸통부재(12)와 앙카부재로 구성된다.상기 몸통부재(12)는 사각체로써 상기 중앙선 대체 표지판(30)의 상부에 형성된 홈 형성부재(36) 내부에 결합되는 크기를 가지며, 중앙에는 수직으로 결합구(13)가 계단형으로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작게 뚫려있다. 여기서 13'는 앙카볼트를 지지하는 계단 턱이다. 이러한 몸통부재(12)의 외면에는 적어도 일 측면에 반사체(14)가 형성되는데, 이 경우가 반사 표지병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를 무반사 표지병이라 한다.상기 앙카부재는 앙카볼트(16), 고정부재(18), 너트(17) 및 2개의 워셔(19)(19')로 구성되는데, 워셔의 사용은 설치자에 의해 가감될 수 있다. 앙카볼트(16)는 몸통부재의 결합구(13)에 끼워져 계단 턱(13')에 그 머리가 지지되며, 턱과 머리의 사이에는 두 개의 와셔(19)(19')가 끼워진다. 고정부재(18)는 몸통부재(12)의 하부에서 앙카볼트(16)에 끼워지고, 다음 앙카볼트에는 너트(17)가 조립되는데, 고정부재의(18)의 상부는 몸통부재의 저면에 지지되고 하부쪽에는 여러개의 절개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표지병의 상부에 규제봉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표지병의 결합구 상단부에 도면부호 28의 결합체가 볼트(29)에 의해서 앙카볼트(16)의 머리에 형성된 결합구(16')에 체결하게 된다.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고, 도 8은 도 7의 주요부분인 도로의 중앙선 대체 표지판, 차선 표지병 및 차선 규제봉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도면을 참조하면,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은 연속적으로 중앙선 대체 표지판(30)을 배열하고 그 상부의 홈 설치부재의 안쪽에 반사 또는 무반사 차선 표지병(30)(30')을 번갈아 결합 설치된다. 여기에서 차선표지병의 선택은 설치자의 임의 또는 도로의 상황에 따라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또한 상기 차선 표 지병(10')의 상부 결합구 상단에는 차선 규제봉(20)이 삽입 설치되는데 이 또한 설치자의 임의 또는 도로의 상황에 따라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여기서 차선 규제봉(20)은 몸통부재의 외면에 반사체(24)를 형성하고, 몸통부재의 하단에 몸통부재를 지지하면서 차선 표지병에 결합 고정하는 지지구(2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몸통부재는 연질 합성수지재로서 내부의 빈 공간에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다.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의 중앙선을 형성한 노면에 중앙선 대체 표지판(30)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돌설부를 요입부에 끼우면서 배열하고, 상부의 홈 형성부재(36) 안의 구멍을 통해 노면에 구멍을 천공한 다음. 거기에 일종의 접착제 또는 결합제를 넣은 후 앙카부재가 구멍에 들어가도록 차선 표지병(10)을 위치시킨다.다음 결합제 또는 접착제가 굳도록 일정시간 방치시킨 다음에 앙카볼트(16)을 조이게 되면 앙카너트(16)가 상승하여 조여지면서 고정부재(18)를 상승시키게 되고 고정부재는 이 압력을 받아 하부 절개부(18')가 갈라지면서 측면으로 퍼지게 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 표지병(10) 및 중앙선 대체 표지판 (30)을 노면에 긴밀히 견고히 부착시키게 되는 것이다.그리고 차선 표지병(10)의 위에는 선택적으로 차선 규제봉(20)이 끼워 설치되므로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이 완성된다.이러한 본 발명의 도로 중앙분리 시스템에서는 한 가지 예를 설명하였지만 중앙선를 다르게 표현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경계구역, 공사구간 등 도로에 있어서는 안전표시로서 널리 이용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선을 대체 패널로 대체하고, 그 위에서 중앙선 대체 표지판을 차선 표지병의 앙카볼트에 의해 노면에 함께 고정하게 되므로 차량 통과에 의한 차선 표지병의 파괴나, 묻히는 현상을 없앨 수 있고, 더불어 차선 표지병 위에 규제봉을 설치하여 차량과의 충돌시 터지면서 차량의 중앙선 침범을 운전자에게 강력하게 인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중앙선 침범에 의한 차량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도로 중앙선의 일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도로 중앙선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종래 차선 표지병을 나타낸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중앙선 대체 표지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 표지병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차선 표지병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7의 주요부분인 도로의 중앙선 대체 표지판, 차선 표지병 및 차선 규제봉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로의 차선 표지병은 중앙에 수직으로 하부의 직경이 작은 결합구가 계단형으로 뚫려 있는 사각 형태의 몸통부재와, 상기 몸통부재의 결합구 상부로부터 삽입 체결되는 앙카볼트와 상기 앙카볼트의 하부에서 끼워지되 그 상부는 몸통부재의 저면에 접촉 지지되고 하부에는 일정길이 만큼 다수개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앙카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반사와 무반사의 유무는 상기 몸통부재의 측면에 반사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느냐에 의해 결정된다.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차선 규제봉은 내부 빈 공간에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연질 합성수지재로 된 봉 형태의 몸통부재와, 이 몸통부재의 하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지지하고 타단은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기재된 차선 표지병의 결합구 상단에 삽입 결합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차량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터지도록 구성된다.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중앙선 대체 표지판은, 일단에는 요입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홈과 같은 형태의 돌설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 위에 요입부가 형성된 쪽은 가려지고 돌설부가 형성된 쪽은 노출되는 크기로 상부패널의 하부에 적층 결합되는 하부패널과; 그리고, 상기 상부패널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차선 표지병이 결합되는 홈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홈 설치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홈 설치부재의 안에는 차선 표지병의 앙카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이들의 연속적인 연결에 의해 도로의 중앙선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 시스템은 중앙선 대체 표지판을 배열하고 표지판 상부의 홈 형성부재안에 반사 또는 무반사 차선 표지병을 선택적으로 결합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반사 및 무반사 차선 표지병의 설치는 도로의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표지병의 결합구 상단에는 차선 규제봉이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앙선 대체 표지판은 폭 15㎝, 높이 1㎝, 길이 15m의 크기로 황색도료를 코팅하고 2번 이상 열처리하여 만든 중앙선 대체재로서, 표지병의 설치 좌대가 형성되어, 차선 표지병의 부착에 의해 어떠한 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노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도로 보수시에는 중앙선 대체 표지판과 차선 표지병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앙카볼트를 풀어 재 사용할 수 있다.이러한 중앙선 대체 표지판은 현존의 중앙선보다 넓고 뚜렸하게 보이는 등 시선 유도 효과가 뛰어나다.그리고 차선 표지병은 상기 중앙선 대체 표지판 위에 설치되므로 충격에 의한 파손, 내려앉음, 흙이나 모래가 반사체를 가림, 반사체의 오염, 표지병 설치자리 노면 훼손 등의 기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도로의 중앙선 대체 표지판 위에 표지병를 설치함에 있어, 상기 표지병 위에는 차량과의 충돌시에 고무풍선과 같이 터지는 차선 규제봉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운전자의 중앙선 침범을 운전자에게 강력히 경고함과 동시에 안전시설물을 훼손하였다는 자책감을 주어 다시는 중앙선을 침범하지 못하도록 유도할 수있다.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은 PVC 유연성 재료로 공기를 주입시켜 간단하게 설치가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소모품으로서 중앙선 전구간에 표지병과 함께 설치함으로써 강력한 중앙선을 확보, 중앙선 침범에 의한 교통사고를 줄이고 또한 표지병 훼손을 막아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선 표지병, 차선 규제봉, 중앙선 대체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중앙분리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도 4는 도로의 중앙선 대체 표지판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며, 중앙선 대체 표지판(30)은 크게 3부분인 상부패널(32), 하부패널(34) 및 2개의 홈 형성부재(36)로 구성된다.상기 상부패널(32)은 기다란 패널로 길이 방향의 일단에 반원형 요입부(324)가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상기 요입부와 같은 형태의 돌설부(32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패널(34)은 상기 상부패널(32)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패널(32)의 요입부(324) 형성 쪽은 가려지고 돌설부(322) 형성 쪽은 노출되는 크기이며, 역시 양단에는 상기 상부패널 보다 큰 요입부(도면에는 보이지 않음)와 돌설부(342)가 형성되어 있다.그리고, 상부패널(32)의 상부에는 차선 표지병이 결합되는 두 개의 홈 형성부재(36)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홈 형성부재의 안쪽에는 차선 표지병의 앙카볼트가 삽입되는 구멍(326)(328)(344)이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까지 뚫려 있다.이러한 구조의 중앙선 대체 표지판은 요입부(324)와 돌설부(322)(342)가 서로 끼워지도록 여러 개 배열함으로써 도로의 중앙선을 형성하게 되며, 노면에는 차선 표지병으로 표지판을 고정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 표지병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이것의 분해사시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선 표지병은 크게 몸통부재(12)와 앙카부재로 구성된다.상기 몸통부재(12)는 사각체로써 상기 중앙선 대체 표지판(30)의 상부에 형성된 홈 형성부재(36) 내부에
결합되는 크기를 가지며, 중앙에는 수직으로 결합구(13)가 계단형으로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작게 뚫려있다. 여기서 13'는 앙카볼트를 지지하는 계단 턱이다. 이러한 몸통부재(12)의 외면에는 적어도 일 측면에 반사체(14)가 형성되는데, 이 경우가 반사 표지병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를 무반사 표지병이라 한다.상기 앙카부재는 앙카볼트(16), 고정부재(18), 너트(17) 및 2개의 워셔(19)(19')로 구성되는데, 워셔의 사용은 설치자에 의해 가감될 수 있다. 앙카볼트(16)는 몸통부재의 결합구(13)에 끼워져 계단 턱(13')에 그 머리가 지지되며, 턱과 머리의 사이에는 두 개의 와셔(19)(19')가 끼워진다. 고정부재(18)는 몸통부재 (12)의 하부에서 앙카볼트(16)에 끼워지고, 다음 앙카볼트에는 너트(17)가 조립되는데, 고정부재의(18)의 상부는 몸통부재의 저면에 지지되고 하부쪽에는 여러개의 절개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표지병의 상부에 규제봉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표지병의 결합구 상단부에 도면부호 28 의 결합체가 볼트(29)에 의해서 앙카볼트(16)의 머리에 형성된 결합구(16')에 체결하게 된다.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고, 도 8은 도 7의 주요부분인 도로의 중앙선 대체 표지판, 차선 표지병 및 차선 규제봉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도면을 참조하면,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은 연속적으로 중앙선 대체 표지판(30)을 배열하고 그 상부의 홈 설치부재의 안쪽에 반사 또는 무반사 차선 표지병(30)(30')을 번갈아 결합 설치된다. 여기에서 차선표지병의 선택은 설치자의 임의 또는 도로의 상황에 따라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또한 상기 차선 표지병(10')의 상부 결합구 상단에는 차선 규제봉(20)이 삽입 설치되는데 이 또한 설치자의 임의 또는 도로
의 상황에 따라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여기서 차선 규제봉(20)은 몸통부재의 외면에 반사체(24)를 형성하고, 몸통부재의 하단에 몸통부재를 지지하면서 차선 표지병에 결합 고정하는 지지구(2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몸통부재는 연질 합성수지재로서 내부의 빈 공간에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다.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의 중앙선을 형성한 노면에 중앙선 대체 표지판(30)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돌설부를 요입부에 끼우면서 배열하고, 상부의 홈 형성부재(36) 안의 구멍을 통해 노면에 구멍을 천공한 다음. 거기에 일종의 접착제 또는 결합제를 넣은 후 앙카부재가 구멍에 들어가도록 차선 표지병(10)을 위치시킨다.다음 결합제 또는 접착제가 굳도록 일정시간 방치시킨 다음에 앙카볼트(16)을 조이게 되면 앙카너트(16)가 상승하여 조여지면서 고정부재(18)를 상승시키게 되고 고정부재는 이 압력을 받아 하부 절개부(18')가 갈라지면서 측면으로 퍼지게 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 표지병(10) 및 중앙선 대체 표지판 (30)을 노면에 긴밀히 견고히 부착시키게 되는 것이다.그리고 차선 표지병(10)의 위에는 선택적으로 차선 규제봉(20)이 끼워 설치되므로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이 완성된다.이러한 본 발명의 도로 중앙분리 시스템에서는 한 가지 예를 설명하였지만 중앙선를 다르게 표현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경계구역, 공사구간 등 도로에 있어서는 안전표시로서 널리 이용될수가 있는 것이다.
10, 10' : 차선 표지병 12 : 몸통부재
13, 13', 16', 28' : 결합구 14, 24 : 반사체
16 : 앙카볼트 17 : 너트
18 : 고정부재 18': 절개부
19, 19' : 와샤 20 : 차선 규제봉
26 : 지지구 28 : 결합체
30 : 중앙선대체표지판 32 : 상부패널
322, 342 : 돌설부 324 : 요입부
326, 328, 344 : 구멍 34 : 하부패널
36 : 홈 형성부재 100 : 노면

Claims (7)

  1. 중앙에 수직으로 하부의 직경이 작은 결합구가 계단형으로 뚫려 있는 사각 형태의 몸통부재와, 상기 몸통부재의 결합구 상부로부터 삽입 체결되는 앙카볼트와 상기 앙카볼트의 하부에서 끼워지되 그 상부는 몸통부재의 저면에 접촉 지지되고 하부에는 일정길이 만큼 다수개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앙카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로의 차선 표지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재의 적어도 일측면에 반사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차선표지병.
  3. 내부 빈 공간에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연질 합성수지재로 된 봉 형태의 몸통부재와, 이 몸통부재의 하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지지하고 타단은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기재된 차선 표지병의 결합구 상단에 삽입결합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도로의 차선 규제봉.
  4. 일단에는 요입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홈과 같은 형태의 돌설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 위에 요입부가 형성된 쪽은 가려지고 돌설부가 형성된 쪽은 노출되는 크기로 상부패널의 하부에 적층 결합되는 하부패널과; 그리고, 상기 상부패널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차선 표지병이 결합되는 홈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홈 형성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홈 형성부재의 안에는 차선 표지병의 앙카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이들의 연속적인 연결에 의해 도로의 중앙선을 형성하게 되는 도로의 중앙선 대체 표지판.
  5. 제 4 항의 도로의 중앙선 대체 표지판을 배열하고 홈 형성부재의 안에 제 1 항과 제 2 항의 반사 및 무반사 차선 표지병을 선택적으로 결합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분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항과 제 2 항의 차선 표지병이 번갈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분리 시스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 표지병의 결합구 상단에 선택적으로 제 3 항의 차선 규제봉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분리 시스템
KR1020210017373A 2021-02-08 2021-02-08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 KR20220114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373A KR20220114175A (ko) 2021-02-08 2021-02-08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373A KR20220114175A (ko) 2021-02-08 2021-02-08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175A true KR20220114175A (ko) 2022-08-17

Family

ID=8311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373A KR20220114175A (ko) 2021-02-08 2021-02-08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41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5499A (en) Traffic lane delineator
US20110081201A1 (en) Reflective roadway warning system indicating incorrect vehicular travel direction
KR101906710B1 (ko) 자동차 도로용 차선 표지병
US7423552B2 (en) “Warning Bump” traffic safety device
US2841059A (en) Traffic safety bars
JP3823179B2 (ja) 歩行者横断防止柵
KR20220114175A (ko)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
KR200405204Y1 (ko) 도로 표지병
KR20010035854A (ko) 도로의 차선 표지병, 차선 규제봉, 중앙선 대체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도로의 중앙분리 시스템
KR20020042317A (ko) 도로교통 안전 경계석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101082341B1 (ko) 도로 차선 표지병
KR200184733Y1 (ko) 재활용 도로 표지병
KR200191507Y1 (ko) 차선표시용 도로표지병
KR100806861B1 (ko) 교통안내 경계석
KR200197896Y1 (ko) 도로안전시선유도표지판
KR100300090B1 (ko) 도로매설용차선표시구
JP3223345U (ja) 光反射具
KR102027735B1 (ko) 교차로용 도로표지병 모듈
KR200393732Y1 (ko) 도로경계석
KR200327759Y1 (ko)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
KR200385854Y1 (ko) 도로 안전 시선 유도 표지판
KR200165499Y1 (ko) 도로의 안전사고 방지 식별구조가 장착된 콘크리트방호벽
KR200307740Y1 (ko) 도로 안내표지판용 지주의 베이스 커버
KR200294928Y1 (ko) 보호구조물을 착탈할 수 있는 도로 경계석
KR20030066500A (ko)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