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987Y1 - 경사각이 조정 가능한 도로 이정표 - Google Patents

경사각이 조정 가능한 도로 이정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987Y1
KR200366987Y1 KR20-2004-0022415U KR20040022415U KR200366987Y1 KR 200366987 Y1 KR200366987 Y1 KR 200366987Y1 KR 20040022415 U KR20040022415 U KR 20040022415U KR 200366987 Y1 KR200366987 Y1 KR 2003669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ign
milestone
fastening
inclin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4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호
Original Assignee
한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호 filed Critical 한상호
Priority to KR20-2004-0022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9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9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98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자에게 방향 등을 표시하기 위한 이정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정표를 지지하기 위한 기둥과, 기둥의 상부에 기둥과 직각을 이루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봉과, 한 쌍의 지지봉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상·하부 체결밴드와, 상부체결밴드와 이정표 표지판을 체결하고 이정표 표지판에 기울기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형성수단을 구비하는 경사각이 조정 가능한 도로 이정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도로 이정표는 도로의 연직선상에서 각도를 줌으로써 운전자의 관찰각을 넓혀 안전운행에 도움이 되는 효과를 제공하고, 도로 표지판을 도로의 연직선 상에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임으로써 햇빛이나 가로등 불빛에 의한 반사에 의해 운전자가 육안으로 식별하기 곤란해 지는 것을 방지하고, 도로 표지판에 눈이 쌓이거나, 이슬맺힘 현상이나, 대기 중의 먼지 등의 오염물질에 의하여 도로 표지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사각이 조정 가능한 도로 이정표{Traffic Sign Board}
본 고안은 도로 이정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로의 연직방향에서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도로 이정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이정표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기둥의 지지봉에 표지판이 고정틀로 조립되어 운전자에게 방향 등을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설치물을 말한다.
종래 사용 중인 이정표는 도로의 직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어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시인성이 나쁠 뿐 아니라, 차량이 도로를 주행 중 햇빛에 의해 반사되어 주간주행 시 시인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많으며, 도로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머리 윗쪽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차량의 고속주행에 따라 운전자의 관측각이 좁아진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새벽에는 대기 중의 수분이 도로 이정표의 표면에 이슬이 맺히거나, 동절기에 있어서 결로현상에 의하여 시인성이 저하되고, 강설 시에는 이정표 등 표지판의 표면에 눈이 쌓이게 되어 운전자가 쉽게 이를 인식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
이러한 상기 종래의 기술에 대한 예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주의 상단 부분에 레일(2)이 이면에 부착된 도로표지판(1)이 1쌍의 체결구(3)에 형성된 홈(5)과 슬라이딩되어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1 쌍의 체결구(3)의 일단에는 상기 홈(5)이 형성된 체결부재(4)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체결구(6)와 이에 체결되는 볼트(7) 및 너트(8)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국내 등록 실용신안 제1989-7604호에 개시된 도로 표지판이 있으며, 이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지의 표지판(10) 이면에 부착된 안내레일(11)의 삽지구멍(12)에 체결밴드(14)를 체결시키는데 있어, 상기 체결밴드의 내측으로 지지돌기(15)를 형성하고, 이를 상기 삽지구멍(12)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삽지구멍(12) 사이에 지지볼트 체결구멍(13)을 형성하여 지지볼트(18)를 체결하고, 그 외주에 보강볼트(17)를 체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체결밴드(14)는 체결볼트(19)를 체결구멍(16)에 관통시키고, 너트(20)로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도로 표지판의 체결구조는 도로 표지판이 도로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마찬가지로 가지고 있다.
도 3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275182호에 개시된 설치각도 조정용 돌출식 도로 표지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표지판(30)의 경사각도를 도로의 주행방향으로 조절하는 도로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기둥(32)의 상측 부위에 도로 방향으로 지지판(31)을 표지판(30)의 폭에 맞추어 상·하측으로 조립요홈(미도시)을 형성하되, 지지판(31) 일측과 상기 기둥(30)이 조립되도록 조립리브(33)를 형성하여 조립하고, 이때 주행방향으로 경사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31)의 조립리브(33)와 기둥(32)의 요홈과의 결합 후에 캡(34)으로 기둥(32)의 상부를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표지판은 다차선 도로의 가장자리에서 표지판의 표시방향이 도로의 주행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직각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운전자의 시야에 대한 관측각의 범위를 높인 것일 뿐,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이정표 체결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도로 이정표를 도로의 연직선상에서 각도를 주어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관찰각을 넓혀 안전운행에 도움이 되는 도로 이정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로 이정표를 도로의 연직선 상에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임으로써 햇빛이나 가로등 불빛에 의한 반사에 의해 운전자가 육안으로 식별하기 곤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로 이정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이정표 등의 표지판에 눈이 쌓이거나, 대기중의 먼지 등의 오염물질에 의하여 도로 이정표가 오염되거나, 기온의 일교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결로 현상으로 인한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제거됨으로써, 운전자의 관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도로 이정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정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정표 체결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정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정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정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이정표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이정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정표 110 : 조립리브
120, 130, 220 : 상부 체결밴드 121 : 상부 체결밴드 돌출부
123 : 하부 체결밴드 요홈부 122, 132, 222 : 하부 체결밴드
125, 225 : 돌기 126 : 관통홀
134, 232 : 체결부 140, 240 : 경사조정로드
142, 162, 172, 262 : 너트 150, 250 : 브라켓
152 : 브라켓 요홈부 154 : 관통홀
160, 170, 260 : 조립볼트 200, 210 : 지지봉
270 : 보강부재 300 : 기둥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정표를 지지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기둥과 직각을 이루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봉과, 상기 한 쌍의 지지봉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상·하부 체결밴드와, 상기 상부체결밴드와 표지판과의 체결하고, 상기 표지판에 기울기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형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경사형성수단은 상기 상부 체결밴드의 외주면 상부에 체결구멍이 형성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체결구멍에 삽입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경사조정로드 및 상기 돌기와 체결된 경사조정로드의 타단에 브라켓이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표지판의 배면에 형성된 조립리브가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요홈부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형성 수단은, 상부 체결밴드의 외주면 상부에 체결구멍이 형성된 돌기와, 상기 상·하부 체결밴드에 형성된 요홈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보강부재와, 상기 체결밴드의 돌기에 형성된 체결구멍 및 보강부재의 관통홀에 관통하여 삽입되는 경사조정로드와, 상기 돌기 및 보강부재에 관통하여 체결된 경사조정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정표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운전자에게 방향 등을 표시하기 위한 이정표를 지지하는 기둥(300)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기둥과 직각을 이루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봉(200)과, 상기 지지봉(200)에 결합된 표지판(100)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지지봉(200)에 의하여 상기 표지판(100)은 체결되어 결합되며, 이에 따라 운전자가 도로를 주행하는데 있어 이정표의 표시 내용을 인식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이정표 표시판(100)은 도로상에 설치되는 상기 기둥(300)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설치됨으로써, 운전자의 관찰각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정표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이정표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한 쌍의 지지봉(200)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상·하부 체결밴드(120, 122)와, 상기 상부체결밴드(120)와 표지판(100)을 체결하고 상기 표지판(100)에 기울기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형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경사형성수단은 상기 상부 체결밴드(120)의 외주면 상부에 관통홀(126)이 형성된 돌기(125)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25)의 관통홀(126)에 그 일단이 결합되는 경사조정로드(140)가 설치되고, 상기 경사조정로드(140)의 타단에는 브라켓(150)이 결합되고, 상기 표지판(100)의 배면에 형성된 조립리브(110)가 상기브라켓(150)에 형성된 요홈부(152)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150)에는 관통홀(154)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조정로드(140)의 일단이 너트(142)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경사조정로드(140)의 타단은 상기 상부 체결밴드(120)에 형성된 돌기(125)의 관통홀(126)을 관통하여 역시 너트(142)에 의하여 체결되며, 상기 경사조정로드(140)와 조립리브(110)는 서로 밀착되어 흔들림을 줄일 수 있게 조립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표지판(100)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도로변에 설치되는 기둥(300)의 상측 부위에 고정되는 상·하 양측에 고정된 지지봉(200)에 의하여 조립되어 세워진 표지판(100)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100)의 기울기를 도로 방향으로 약간 기울 수 있도록 설치하여 관측각의 범위를 넓히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상·하부 체결밴드(120, 122)의 체결은 상부 체결밴드(120)의 일측에 형성된 상부 체결밴드 돌출부(121)와 하부 체결밴드 요홈부(123)가 끼워 맞춤식으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 체결밴드(120, 122)의 타측에는 조립볼트(160) 및 너트(162)를 체결하여 상기 상·하부 체결밴드(120, 122)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내측 공간으로 지지봉(200)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하측의 지지봉(200)에 결합되는 상기 브라켓(150)이 지면에 대하여 형성하는 경사에 따라 표지판(100)이 슬라이딩 되어 결합함으로써, 도로의 연직방향으로부터 벗어나 경사진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하부 지지봉에 체결되는 체결밴드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방식과 동일한 구조로 된다.
즉, 상·하부 체결밴드(220, 222)는 각각의 일측이 조립볼트(260)와 너트(262)의 체결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에 형성된 체결부(134)는 표지판(100)의 배면에 형성된 조립리브(110)가 슬라이딩 되며 결합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이정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즉, 종전의 기술에 따른 체결밴드에 보강부재를 부가함으로써 표지판에 기울기를 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부 지지봉(200)의 체결구조는, 상기 상·하부 체결밴드(220, 222)에 형성된 요홈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보강부재(270)와, 상기 보강부재(270)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경사조정로드(240)와, 상기 보강부재(270)에 관통하여 체결된 경사조정로드(240)의 타단에 결합되는 브라켓(250)을 구비할 수 있다.
역시 하부 지지봉(210)에 결합하는 상·하부 체결밴드(130, 132)와, 조립볼트(170) 및 너트(172)의 체결구조는 상기 도 5의 경우와 동일하다.
여기서 미설명된 242 및 262는 너트를 나타내며, 232 및 134는 상·하부 체결밴드(220, 222)의 체결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로 이정표를 지지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기둥과 직각을 이루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봉과, 상기 한 쌍의 지지봉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상·하부 체결밴드와, 상기 상부체결밴드와 표지판을 체결하고, 상기 표지판에 기울기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형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본 고안의 이정표 체결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이정표 체결구조는 도로 이정표를 도로의 연직선상에서 각도를 줌으로써 운전자의 관찰각을 넓혀 안전운행에 도움이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본 고안의 이정표 체결구조는 도로 이정표를 도로의 연직선 상에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임으로써 햇빛이나 가로등 불빛에 의한 반사에 의해 운전자가 육안으로 식별하기 곤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셋째, 본 고안의 이정표 체결구조는 도로 이정표에 눈이 쌓이거나, 대기 중의 먼지 등의 오염물질에 의하여 이정표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낮과 밤의 일교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슬맺힘 또는 결로 현상으로 인한 시인성의 저하를 제거함으로써, 운전자가 이정표를 관찰함에 있어 그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3)

  1. 도로 이정표를 지지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기둥과 직각을 이루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봉과;
    상기 한 쌍의 지지봉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상·하부 체결밴드와;
    상기 상부체결밴드와 표지판을 체결하고, 상기 표지판에 기울기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형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각이 조정 가능한 도로 이정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성수단은,
    상기 상부 체결밴드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의 체결구멍에 삽입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경사조정로드와;
    상기 경사조정로드의 끝단에 관통되어 결합되고, 표지판의 배면에 형성된 조립리브가 슬라이딩 되어 결합되도록 요홈부가 형성되는 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각이 조정 가능한 도로 이정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성수단은,
    상기 상·하부 체결밴드의 일측에 형성된 요홈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경사조정로드와;
    상기 경사조정로드의 끝단에 관통되어 결합되고, 표지판의 배면에 형성된 조립리브가 슬라이딩 되어 결합되도록 요홈부가 형성되는 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각이 조정 가능한 도로 이정표.
KR20-2004-0022415U 2004-08-05 2004-08-05 경사각이 조정 가능한 도로 이정표 Expired - Fee Related KR2003669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415U KR200366987Y1 (ko) 2004-08-05 2004-08-05 경사각이 조정 가능한 도로 이정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415U KR200366987Y1 (ko) 2004-08-05 2004-08-05 경사각이 조정 가능한 도로 이정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987Y1 true KR200366987Y1 (ko) 2004-11-09

Family

ID=49440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415U Expired - Fee Related KR200366987Y1 (ko) 2004-08-05 2004-08-05 경사각이 조정 가능한 도로 이정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98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723B1 (ko) 2011-04-29 2012-03-05 영광산업(주) 도로 표지판의 각도 조절장치
KR101682816B1 (ko) * 2015-07-01 2016-12-05 박중식 각도조절이 가능한 표지판
KR20200071323A (ko) * 2018-12-11 2020-06-19 주식회사 태건 도로 유도 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723B1 (ko) 2011-04-29 2012-03-05 영광산업(주) 도로 표지판의 각도 조절장치
KR101682816B1 (ko) * 2015-07-01 2016-12-05 박중식 각도조절이 가능한 표지판
KR20200071323A (ko) * 2018-12-11 2020-06-19 주식회사 태건 도로 유도 표시장치
KR102213866B1 (ko) * 2018-12-11 2021-02-09 주식회사 태건 도로 유도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6987Y1 (ko) 경사각이 조정 가능한 도로 이정표
KR100436390B1 (ko) 도로교통 안전 경계석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200331643Y1 (ko) 재귀반사 각도조절용 도로표지판
KR101571817B1 (ko) 표지판의 각도 조정장치
KR200269793Y1 (ko) 경사각도 조정용 문형식 도로표지판
JP2000178926A (ja) 眩光防止用標識
US8650782B2 (en) Highway sign assembly and methods of positioning same
KR200395998Y1 (ko) 도로표지병
KR200385148Y1 (ko) 안내표지판 설치구조
KR200234898Y1 (ko) 도로의 중앙분리대
KR100710877B1 (ko) 유턴차선 표시용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371172Y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KR101093547B1 (ko) 도로안내표지판의 경사각 조절장치
EP0921233A1 (en) Curbstones with reflecting elements
KR200234848Y1 (ko) 지주 상단에 야광반사체를 설치한 가드레일
KR200331644Y1 (ko) 재귀반사 각도조절용 도로표지판
KR20020071629A (ko) 지주 상단에 야광반사체를 설치한 가드레일
KR100418368B1 (ko) 가이드 레일용 교통안내판
KR200357276Y1 (ko) 교통안내표시판 체결클램프
KR200311387Y1 (ko) 가드레일 및 중앙분리대 결합용 안전표시판
KR200389221Y1 (ko) 야간식별 표시장치
US20020100408A1 (en) Stealth traffic control sign
KR200369316Y1 (ko) 도로표지판 고정용 밴드
KR20080000489U (ko) 조립식 고정부재가 구비된 주정차금지표지판
KR200263040Y1 (ko) 가이드레일용 방향유도 스크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W10-W00-oth-UT02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UN23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2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St.27 status event code: A-5-4-M10-M11-oth-UT0701

L13-X000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UG1701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41109

Gazette number: 2003669870000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51110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Based on Technical Evalu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9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210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102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