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742Y1 -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742Y1
KR200306742Y1 KR20-2002-0036255U KR20020036255U KR200306742Y1 KR 200306742 Y1 KR200306742 Y1 KR 200306742Y1 KR 20020036255 U KR20020036255 U KR 20020036255U KR 200306742 Y1 KR200306742 Y1 KR 2003067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material
fastening
formwork
panel
fasten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김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욱 filed Critical 김영욱
Priority to KR20-2002-0036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7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7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7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판넬이 상호 직각을 이루며 연결되기 위해 그 사이에 설치되어 거푸집판넬과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재료간의 상호 연결을 위해 연결부재가 체결되어지고, 상기 연결부재와 건축재료간 면접부위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삽입공(10b)에 체결피스(12)가 삽입되어지되, 상기 체결피스(12)는 쌍을 이루는 가운데 상호 직각방향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건축재료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체결피스(12)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삽입공(10b)이 형성된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높이(L)로 돌출되어진 돌출부(10a)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돌출부(10a)는 면접이 이루어지는 건축재료의 반대측으로 돌출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INSERTION STRUCTURE CONNECTOR FOR CONSTRUCTION MATERIALS}
본 고안은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판넬이 상호 직각을 이루며 연결되기위해 그 사이에 설치되어 거푸집판넬과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이라는 건축기구물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벽체 혹은 내력기둥 등을 형성할 때, 콘크리트의 외곽면을 지지하여 평면을 형성하여 주는 콘크리전용 보강체이다.
상기한 거푸집은 초기에는 나무, 특히, 합판을 사용하여 판재로 이용하고 목재빔등을 사용하여 지지대로 사용하여서 거푸집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다가 최근에는 금속판재를 사용하고 그 외의 보강재를 덧대어서 거푸집으로 사용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거푸집판넬을 서로 직각이 되게 연결할 경우 그 사이에 설치되어 상호 견고하게 고정시켜주는 판넬연결앵글이 사용되어진다.
그러나, 종래 판넬연결앵글의 경우 두께가 굵고 무게가 무거워 작업시 작업자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했고, 차량운반시 운행경비가 많이 소요되었으며, 거푸집판넬과 판넬연결앵글의 불안정한 체결로 안정적인 지지와 고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판넬연결앵글을 이용해 직각이 되게 거푸집판넬을 상호 연결 할 경우 안정적이 지지와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을 제공하고, 무게와 부피를 줄여 원가를 절감하는 동시에 작업자가 용이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판넬과 판넬연결앵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판넬연결앵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판넬연결앵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판넬과 판넬연결앵글의 결합된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바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판넬연결앵글 10a :돌출부
10b :삽입공 11 :거푸집판넬
11a :삽입공 12 :제 1체결피스
12a :체결공 13 :제 2체결피스
14 : 보강살 15 :프로파일바
16 :지지바
상기 목적은, 건축재료간의 상호 연결을 위해 연결부재가 체결되어지고, 상기 연결부재와 건축재료간 면접부위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삽입공에 체결피스가 삽입되어지되, 상기 체결피스는 쌍을 이루는 가운데 상호 직각방향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건축재료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체결피스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삽입공이 형성된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높이로 돌출되어진 돌출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돌출부는 면접이 이루어지는 건축재료의 반대측으로 돌출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 서 이는 셀프로다를 생산하는 생산자 및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 1실시예와 같이 거푸집판넬(11)의 상호 연결을 위해 판넬연결앵글(10)이 설치되는바, 상기 판넬연결앵글(10)은 거푸집판넬(11)을 직각이 되게 연결시키기 위해서 중단이 절곡되어 단면형상이 "ㄱ"형태를 이루며 상기 거푸집판넬(11)의 높이와 같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판넬연결앵글(10)의 중간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높이(L)로 돌출되어진 돌출부(10a)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돌출부(10a)는 면접이 이루어지는 거푸집판넬(11)의 반대측으로 돌출되어진다.
또한, 상기 돌출부(10a)의 중앙과 판넬연결앵글(10)의 모서리 내측에는 제 1체결피스(12)의 삽입이 가능하기 위해서 삽입공(10b)과 강도보강을 위한 보강살(14)이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진다.
이와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는 판넬연결앵글(10)을 이용한 거푸집판넬(11)의 연결과정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두개의 거푸집판넬(11)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판넬열결앵글(10)을 이용해 연결될 경우, 우선 상기 거푸집판넬(11)과 같이 판넬연결앵글(10)을 길이 방향으로 세우고 상기 판넬연결앵글(10)의 돌출부(10a)를 거푸집판넬(11)의 반대측으로 위치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판넬(11)과 판넬연결앵글(10)의 면접되는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삽입공(10b,11a)이 수개 형성되어 있되, 상기 거푸집판넬(11)과 판넬연결앵글(10)의 면접되는 상태에서 각각에 형성된 상기 삽입공(10b,11a)을 같은위치에 놓이게 하여 제 1체결피스(12)가 상기 삽입공(10b,11a)을 통해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삽입공(10b,11a)에 끼워지는 제 1체결피스(12)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체결피스(12)는 전체적인 폭이 일정하게 이루어지고, 하단에서 상부로 갈수록 넓이가 넓어지며, 중앙에는 체결공(12a)이 형성되어 이루어 진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상기 체결피스(12)가 거푸집판넬(11)과 판넬연결앵글(10)의 삽입공(11a,10b)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체결피스(12)와 같은 형상의 제 2체결피스(13)가 상기 제 1체결피스(12)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공(12a)에 직각방향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소정높이(L)로 돌출되어진 돌출부(10a)가 상기 제 1체결피스(12)의 체결공(12a)에 체결된 제2체결피스(13)의 상부를 밀어주게되어 체결피스(12,13)간의 체결이 더욱 견고해져 상기 거푸집판넬(11)과 판넬연결앵글(10)의 안정된 고정과 지지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판넬연결앵글(10)의 모서리 내측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보강살(14)이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판넬(11)과 판넬연결앵글(10)의 연결시 더욱 안정된 지지를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연결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벽체 혹은 내력기둥 등이 형성되어 거푸집을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동작의 역순으로 하여 분리시킴으로서 분리가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른실시예로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바(16)에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프로파일바(15)가 용접 설치되되, 상기 프로파일바(15)는 체결피스(12)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삽입공(15b)이 형성된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높이(L)로 돌출되어진 돌출부(15a)가 형성된 것이다.
이렇게 완성된 거푸집용 사다리(17)는 돌출부(15a)에 형성된 삽입공(15b)과 거푸집판넬(11)의 삽입공(11a)에 제 1체결피스(12)가 삽입되어 상기 제 1체결피스(12)의 체결공(12a)에 제 2체결피스(13)가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거푸집용 사다리(17)를 이용해 편리하게 작업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판넬연결앵글(10)과 프로파일바(15)는 일측으로만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높이(L)로 돌출부(10a,15a)가 형성됨으로써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종래 제품에 비해 재료비가 20% ~ 30%정도 절감됨과 동시에 중량과 부피가 줄어들어 차량운반시 소요경비가 절감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구성부들은 다양한 곳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가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판넬연결앵글이 돌출부를 형성하여 거푸집판넬에 체결 피스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상호간 더욱 견고한 체결이 가능해져거푸집판넬과 판넬연결앵글의 안정적인 고정과 지지가 가능하고,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무게와 부피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는 동시에 작업자는 용이한 작업이 가능하게 되었다.

Claims (3)

  1. 건축재료간의 상호 연결을 위해 연결부재가 체결되어지고, 상기 연결부재와 건축재료간 면접부위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삽입공(10b)에 체결피스(12)가 삽입되어지되, 상기 체결피스(12)는 쌍을 이루는 가운데 상호 직각방향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건축재료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체결피스(12)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삽입공(10b)이 형성된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높이(L)로 돌출되어진 돌출부(10a)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돌출부(10a)는 면접이 이루어지는 건축재료의 반대측으로 돌출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거푸집판넬(11)의 모서리측 연결을 위해 중단이 절곡되어 단면형상이 "ㄱ"형태를 이루는 판넬연결앵글(10)로서, 절곡부위 내측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보강살(14)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거푸집용 사다리(17)의 지지바(16)에 소정간격을 두고 용접 설치되는 프로파일바(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
KR20-2002-0036255U 2002-12-04 2002-12-04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 KR2003067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255U KR200306742Y1 (ko) 2002-12-04 2002-12-04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255U KR200306742Y1 (ko) 2002-12-04 2002-12-04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797A Division KR20040048805A (ko) 2003-09-01 2003-09-01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742Y1 true KR200306742Y1 (ko) 2003-03-11

Family

ID=49402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255U KR200306742Y1 (ko) 2002-12-04 2002-12-04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7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50554A (ja) 木造建築物の柱と横架材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KR200306742Y1 (ko)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
KR20040048805A (ko)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
US4481744A (en) Building structure
JPH07132933A (ja) 輸送容器のコーナ連結金具
JPH10317547A (ja) 壁パネルの上端結合構造
KR20080057278A (ko) 지지 부재 조립체
JP2597409Y2 (ja) 住宅の根太、野縁共用ブラケット
JPH10317495A (ja) 木造建築物の継手金具
JP2584611Y2 (ja) 住宅ユニットの根太、野縁共用ブラケット
KR100780421B1 (ko) 녹다운형 금속캐비닛의 상부 전방 코너 보강구의 제작방법
JPH0748891Y2 (ja) プレファブルームコーナー部の上部構造
JP2500899B2 (ja) 枠組足場の構築方法
US4572475A (en) Form for pouring of concrete or the like
JP3681629B2 (ja) 耐力壁のガセットプレートおよびその取付構造
JPS6343321Y2 (ko)
KR20060004054A (ko) 건축공사용 보강빔
KR20230100115A (ko) 데크 플레이트용 접이식 스페이서
JPH0218188Y2 (ko)
JP4369274B2 (ja) ささら桁及び該ささら桁を用いた階段
JP2002339543A (ja) サイディング外壁板取付具
KR200370187Y1 (ko) 보강 건축용 패널
JPH0412207Y2 (ko)
KR200143604Y1 (ko) 꺽임천정용 바 결합구
JP2001248258A (ja) 鋼製及び木造住宅における垂木の接合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