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914Y1 - 스로틀밸브의개도량제한장치 - Google Patents

스로틀밸브의개도량제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914Y1
KR200304914Y1 KR2019970037299U KR19970037299U KR200304914Y1 KR 200304914 Y1 KR200304914 Y1 KR 200304914Y1 KR 2019970037299 U KR2019970037299 U KR 2019970037299U KR 19970037299 U KR19970037299 U KR 19970037299U KR 200304914 Y1 KR200304914 Y1 KR 200304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ttle valve
opening amount
amount
air
intake mani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819U (ko
Inventor
김용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9970037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914Y1/ko
Publication of KR199900248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8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9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02D2009/02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 F02D2009/0272Two or more throttles dispos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4Throttl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후진이나 서행 주행시 가속페달의 오조작으로 차량이 급발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흡기 매니폴드(1) 내에 설치되어서 에어 인테이크로부터 실린더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2)의 개도량을 조절하도록 된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조절장치에 있어서, 공기 흡입량 제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SW)와, 이 스위치(SW)의 작동상태에 따라 개도량 제한용 보조밸브(3)를 개폐하게 되는 솔레노이드(4)와, 이 흡기 매니폴드(1) 내에 설치되어서 흡기 매니폴드(1)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제한하는 개도량 제한용 보조밸브(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제한장치
본 고안은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의 개도량 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진이나 서행 주행시 가속페달의 오조작으로 차량이 급발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 인테이크로부터 흡입되어 실린더로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흡기 매니폴드에는 가속폐달의 조작에 따라 개폐되는 스로틀 밸브가 장착되어있다. 이에따라 운전자는 가속페달을 조작하여 엔진의 출력, 즉 차량의 주행속도를 증감할 수 있다.
그러나, 후진 혹은 저속 주행시 운전 미숙으로 인하여 가속페달을 오조작하게 되면, 스로틀 밸브가 열리면서 실린더에 유입되는 공기량의 증가되어 엔진의 출력이 증가되고, 이로 인하여 차량이 급발진하면서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후진 혹은 저속 주행시 가속페달의 오조작으로 인해 차량이 급발진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제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제한장치는 공기 흡입량 제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가 설치되고, 이 스위치의 조작으로 공기 흡입량 제한모드시 흡기 매니폴드를 통해서 실린더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제한하여 후진 혹은 저속 주행시 차량의 급발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제한장치를 보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흡기 매니폴드 2 : 스로틀 밸브
3 : 개도량 제한용 서브밸브 4 : 솔레노이드
SW,SW1∼SW3 : 스위치 D1∼D3 : 다이오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의한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제한장치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제한장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흡기 매니폴드(1) 내에 설치되어서 에어 인테이크로부터 실린더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2)의 개도량을 조절하도록 된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조절장치에 있어서, 공기 흡입량 제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SW)와, 이 스위치(SW)의 작동상태에 따라 개도량 제한용 보조밸브(3)를 개폐하게 되는 솔레노이드(4)와, 이 흡기 매니폴드(1) 내에 설치되어서 흡기 매니폴드(1)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제한하는 개도량 제한용 보조밸브(3)로 구성된다.
여기서, 후진 혹은 저속 주행시 공기 흡입량을 제한하게 되는 개도량 제한용 보조밸브(3)의 외경이 스로틀 밸브(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공기 흡입량 제한모드를 설정하는 스위치(SW)에는 저단기어와 연동되는 스위치(SW1∼SW3)가 직렬로 접속되어서 솔레노이드(4)의 구동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이 스위치(SW1∼SW3)는 1단 기어와 2단기어 또는 후진기어에 연동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한다.
스위치(SW)가 "오프" 상태, 즉 공기 흡입량 제한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솔레노이드(4)의 미작동으로 흡기 매니폴드(1) 내에 설치된 개도량 제한용 보조밸브(3)가 완전히 열린상태를 유지함으로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에어 인테이크로부터 실린더에 공급되는 공기 흡입량은 가속페달에 의해 개폐되는 스로틀 밸브(2)에 의해 조절된다.
하지만, 스위치(SW)의 조작으로 공기 흡입량 제한모드가 설정되면, 솔레노이드(4)가 작동되어서 개도량 제한용 보조밸브(3)가 일부 혹은 완전히 닫히게 된다. 이에따라 가속페달의 오조작으로 스로틀 밸브(2)가 완전히 열린다해도 에어 인테이크로부터 실린더에 공급되는 공기 흡입량이 개도량 제한용 보조밸브(3)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엔진 출력이 급격히 올라가지 않는다. 그러므로 후진 혹은 저속 주행시 가속페달의 오조작으로 인해 차량이 급발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다이오드(D1∼D3)와 변속장치의 기어위치에 따라 구동되는 스위치(SW1∼SW3)에 의해 스위치(SW)를 통해 솔레노이드(4)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단속함으로써, 공기 흡입량 제한모드는 변속장치의 기어위치가 1단이나 2단 혹은 후진위치에 있을때에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흡기 매니폴드 내에 별도의 밸브를 설치하여 후진 혹은 저속 주행시 실린더에 공급되는 공기 흡입량을 제한함으로써, 가속페달의 오조작으로 인해 차량이 급발진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흡기 매니폴드(1) 내에 설치되어서 에어 인테이크로부터 실린더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2)와, 이 흡기 매니폴드(1) 내에 설치되어서 흡기 매니폴드(1)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제한하는 개도량 제한용 보조밸브(3)와, 공기 흡입량 제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SW)와, 이 스위치(SW)의 작동상태에 따라 개도량을 조절하도록 개도량 제한용 보조밸브(3)를 개폐하게 되는 솔레노이드(4)로 구성된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조절장치에 있어서,
    이 스위치(SW)에는 1단 기어와 2단기어 또는 후진기어와 연동되는 스위치(SW1∼SW3)가 직렬로 접속되어서 솔레노이드(4)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제한장치.
KR2019970037299U 1997-12-15 1997-12-15 스로틀밸브의개도량제한장치 KR200304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299U KR200304914Y1 (ko) 1997-12-15 1997-12-15 스로틀밸브의개도량제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299U KR200304914Y1 (ko) 1997-12-15 1997-12-15 스로틀밸브의개도량제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819U KR19990024819U (ko) 1999-07-05
KR200304914Y1 true KR200304914Y1 (ko) 2003-05-17

Family

ID=4940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299U KR200304914Y1 (ko) 1997-12-15 1997-12-15 스로틀밸브의개도량제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9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819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4079C (e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304914Y1 (ko) 스로틀밸브의개도량제한장치
JP2007198159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H10131779A (ja) 車両用エンジン制御装置
JPS6154933B2 (ko)
US5467756A (en) Device for controlling an amount of exhaust gas returned to an aspirating line
KR100460924B1 (ko) 자동 정속 주행장치
JPH01113531A (ja) 自動変速機付車両の発進制御装置
JPH09287508A (ja) 電制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2000170800A (ja) クリープ低減制御方法
JPS6263145A (ja) 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JPH0311379Y2 (ko)
JPH0236918Y2 (ko)
JP2000108650A (ja) エアコン制御方法
KR100460926B1 (ko) 자동 정속 주행장치
KR0178940B1 (ko) 자동차의 공전속도 제어 시스템 고장에 대한 자기진단 판정방법
KR100435945B1 (ko) 공회전시의 과회전(over revolution)방지장치 및그에 따른 제어방법
KR19980017143A (ko) 자동차의 속도 제한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0142178A (ja) 車両の運転制御装置
JPH10103108A (ja) アイドル運転制御装置
JPH0761777B2 (ja) パートタイム型四輪駆動車の動力伝達装置
KR19990027951U (ko) 자동차용 스로틀 보디 캠
KR20050121837A (ko) 자동차 연료 시스템
KR19980059573A (ko) 자동차 흡기계통의 추가공기 공급장치
KR19990000888U (ko) 스로틀 보조밸브를 이용한 엔진 컷오프 보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