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309Y1 - 유아용 학습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학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309Y1
KR200301309Y1 KR20-2002-0027167U KR20020027167U KR200301309Y1 KR 200301309 Y1 KR200301309 Y1 KR 200301309Y1 KR 20020027167 U KR20020027167 U KR 20020027167U KR 200301309 Y1 KR200301309 Y1 KR 200301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learning
block member
children
underst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휘
Original Assignee
이규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휘 filed Critical 이규휘
Priority to KR20-2002-0027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3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3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0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 인지발달에 필요한 주의력, 관찰력, 구성력, 이해력, 사고력, 수 개념 등을 지루하고 않고, 재미있게 훈련시킬 수 있는 유아용 학습구에 관한 것으로, 금속재의 보드(11)가 구비된 학습판(10)과, 상기 보드(11)에 탈, 부착되는 블록부재(20)와, 상기 블록부재(20)를 보드(11)에 부착시키는 자석부재(30)로 구성된다.
따라서, 자석부재(30)를 통하여 블록부재(20)를 보드에 탈, 부착시키거나, 여러 가지 모양으로 조합시키는 놀이방법을 통하여 유아의 인지발달을 고르게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써, 미취학 유아들이 취학 후 느낄 수 있는 주의력, 관찰력, 이해력, 판단력, 수 개념 등의 혼동을 사전에 습득한 상태에서 취학하게 되어 학업생활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타제품과의 경쟁력 향상을 통한 제품의 인지도를 높여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학습구{Learning Instruments for Baby}
본 고안은 유아 인지발달에 필요한 주의력, 관찰력, 구성력, 이해력, 사고력, 수 개념 등을 지루하고 않고, 재미있게 훈련시킬 수 있는 유아용 학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그림, 도형, 문자, 숫자 등으로 이루어진 블록부재를 휴대가 간편한 학습판에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학습구를 보다 편리하고 흥미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학습구는 각종 사물의 그림이나 도형 등을 시각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하거나, 이들 그림이나 도형에 문자를 표기하여 사물 개개의 이름을 암기하도록 하여 학습효과를 향상시키는 도구로, 유아의 신심발달과 더불어 능동적인 사고발달 및 탐구력을 향상시켜 학습준비도를 고무시킴과 아울러, 학교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유아용 학습구는 미취학 유아들의 인지발달에 필요한 주의력, 관찰력, 구성력, 이해력, 사고력, 판단력, 수 개념 등을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게 훈련시킴과 아울러, 유아들의 논리 사고력, 공간 사고력, 수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학습효과를 갖는 학습구로는 보드 상에 필기구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거나, 숫자, 문자 등을 기입하는 화이트보드 등이 대표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토막 쌓기, 퍼즐 맞추기, 플라스틱 모델 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학습구를 통하여 유아들의 폭넓은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 그리고, 수리력과 성취감, 인내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유아용 학습구는 여러 가지 모양의 교구를 끼워 맞추거나, 그것을 분해하는 과정을 통해 폭넓은 사고력 및 문제 해결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보드 상에 그림, 문자, 숫자 등을 기입하여 것을 통해 수 개념 및 문자의 이해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나, 각각의 학습구가 갖는 기능이 한정되어있어 유아의 인지발달을 고르게 향상시킬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보드 상에 필기구를 통하여 그림, 문자, 숫자 등을 기입하거나, 단순조합에 의한 토막 쌓기 등으로는 수 개념 및 문자의 이해력 또는 유아들의 기억력, 집중력 등은 향상시킬 수는 있었으나, 유아 인지발달에 필요한 주의력, 관찰력, 구성력, 이해력, 사고력, 판단력 등의 균등한 발달에는 한계가 있어 학습효과의 극대화를 이루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지발달에 필요한 학습구를 여러 벌 구입할 경우에는 효과적인 인지발달을 도모할 수는 있으나, 제품의 추가구입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의 지출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유아 인지발달에 필요한 주의력, 관찰력, 구성력, 이해력, 사고력, 수 개념 등을 하나의 학습구로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의 인지발달에 필요한 주의력, 관찰력, 구성력, 이해력, 사고력, 수 개념 등을 고르게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학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타제품과의 경쟁력 향상을 통한 제품의 인지도를 높여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학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유아용 학습구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보드의 상면에 부착된 블록부재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블록부재를 보드에 부착시키기 위한 자석부재의 형상 및 부착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는 자석부재를 통한 블록부재의 이동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학습판 11 - 보드
20 - 블록부재 30 - 자석부재
금속재의 보드가 구비된 학습판과;
상기 보드에 탈, 부착되는 블록부재와:
상기 블록부재를 보드에 부착시키는 자석부재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자석부재를 이용하여 블록부재를 보드에 부착하거나, 여러 가지 모양으로 조합하는 놀이방법을 통하여 유아들의 주의력, 관찰력, 구성력, 이해력, 사고력, 판단력, 논리 사고력, 수 개념 등을 고르게 발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유아용 학습구의 전체적인 형상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몸체 중앙에 금속재의 보드가 구비된 학습판에 자석부재를 통하여 블록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2는 보드의 상면에 부착된 블록부재의 이동상태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여러 가지 모양으로 조합되기 위한 블록부재의 이동을 보이고 있다.
도 3은 블록부재를 보드에 부착시키기 위한 자석부재의 형상 및 부착상태를 저면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접착층을 통하여 블록부재의 저면에 부착되는 자석부재의 부착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는 자석부재를 통한 블록부재의 이동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사용상태도로 나타낸 것으로, 자석부재를 이용하여 블록부재가 보드에서 이동하거나, 부착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인 유아용 학습구(1)는 유아의 인지발달을 고르게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금속재의 보드(11)가 구비된학습판(10)과, 여러 가지 모양으로 형성된 블록부재(20)와, 상기 블록부재(20)를 보드(11)에 부착시키는 자석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학습판(10)은 무게가 가벼운 경량의 재질로 몸체 중앙에는 금속재의 보드(11)가 구비되고, 일측부에는 이동시 휴대가 간편하도록 손잡이(12)가 관통되게 형성되며, 각 모서리는 주의가 산만한 유아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완만한 곡선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이러한 학습판(10)의 형상은 도면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환경 및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러한 학습판(10)에 탈, 부착되는 블록부재(20)는 경량의 합성수지로 유아의 인지발달에 필요한 그림, 도형, 문자, 숫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그 저면에는 상기 블록부재(20)를 보드(11)에 부착시키기 위한 자석부재(30)가 부착되는 데, 상기 자석부재(30)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안정된 자기장을 발생, 유지하는 영구자석이 사용되게 되며, 이러한 자석부재(30)의 부착은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블록부재(20)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일정한 접착층(31)을 형성하고, 이 접착층(31)에 자석부재(30)를 부착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자석부재(30)가 저면에 부착된 블록부재(20)를 보드(11)에서 여러가지 모양으로 조합하는 놀이 방법을 통하여 유아들의 주의력, 관찰력, 구성력, 이해력, 사고력, 판단력, 수 개념, 논리 사고력 등을 고르게 발달시킬 수 있으며, 그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그림 또는 도형으로 이루어진 블록부재(20)를 보드(11)에 탈, 부착시키는 놀이방법을 통해, 사물에 대한 이해력 및 관찰력 등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블록부재(20)를 임의의 형상으로 조합하는 것을 통해, 구성력과 논리 사고력 등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문자로 이루어진 블록부재(20)를 조합하여 표현하는 놀이방법을 통해서는 문자의 이해력, 사고력 등을 발달시킬 수 있어 주위가 산만한 유아의 경우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숫자로 이루어진 블록부재들(20) 중 임의의 블록부재(20)를 보드(11)에서 더하거나 빼는 것을 통해 사칙연산에 대한 기본 틀을 형성할 수 있고, 이 외에도 수 개념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으며, 한정된 크기로 형성된 보드(11)에서 다양한 종류의 블록부재(20)를 탈, 부착시켜야 하므로, 공간 사고력의 발달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유아용 학습구(1)를 통한 놀이방법을 통하여 미취학 유아들이 취학 후 느낄 수 있는 주의력, 관찰력, 이해력, 판단력, 수 개념 등의 혼동을 사전에 습득한 상태에서 취학하게 되어 학업생활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블록부재를자석부재를 이용하여 보드에 탈, 부착시키거나, 여러 가지 모양으로 조합시키는 놀이방법을 통하여 유아의 인지발달에 필요한 주의력, 관찰력, 구성력, 이해력, 사고력, 수 개념 등을 고르게 발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시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크기 및 무게로 이루어져 외부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타제품과의 경쟁력 향상을 통한 제품의 인지도를 높여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금속재의 보드(11)가 구비된 학습판(10)과;
    상기 보드(11)에 탈, 부착되며 도형, 문자, 숫자 형상을 갖는 블록부재(20)와,
    상기 블록부재(20)를 보드(11)에 부착시키는 자석부재(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학습구.
KR20-2002-0027167U 2002-09-10 2002-09-10 유아용 학습구 KR200301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167U KR200301309Y1 (ko) 2002-09-10 2002-09-10 유아용 학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167U KR200301309Y1 (ko) 2002-09-10 2002-09-10 유아용 학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309Y1 true KR200301309Y1 (ko) 2003-01-24

Family

ID=4939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167U KR200301309Y1 (ko) 2002-09-10 2002-09-10 유아용 학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3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830B1 (ko) * 2016-06-29 2017-07-19 정승모 입체 글꼴 제작 방법, 이의 판매 중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CN108538090A (zh) * 2017-03-03 2018-09-14 丽水学院 一种可活动式舒尔特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830B1 (ko) * 2016-06-29 2017-07-19 정승모 입체 글꼴 제작 방법, 이의 판매 중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WO2018004056A1 (ko) * 2016-06-29 2018-01-04 정승모 입체 글꼴 제작 방법, 이의 판매 중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CN108538090A (zh) * 2017-03-03 2018-09-14 丽水学院 一种可活动式舒尔特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snick Playful learning and creative societies
Mayer Emerging knowledge about emergent writing
Chukwbikem Resourc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ECE)
Drew et al. Promoting creativity for life using open-ended materials
Freeman et al. Service learning in preschool: An intergenerational project involving five–year-olds, fifth graders, and senior citizens
Lancaster Art in the primary school
JP3223289U (ja) 立体遊び可能な学習用の定規
KR200301309Y1 (ko) 유아용 학습구
KR100849449B1 (ko) 점자 그림책 및 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학습자료 세트
Reyes A teacher's case for learning center extensions in kindergarten
KR101320050B1 (ko) 학습 교구
KR20150132937A (ko) 학습교구
Cornell Drawing the light from within: Keys to awaken your creative power
Day et al. Enhancing emergent literacy skills in inclusive preschools for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CN105196753A (zh) 一种智力开发绘图板及题目编制工艺
KR200273062Y1 (ko) 유아 교사용 에이프런
KR102495612B1 (ko) 스탬프를 이용한 한글 학습용 놀이교구
Byers et al. Prekindergarten through Grade 2: From Design Copying to Mathematics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Work Learning through the Eyes of a Child: A Guide to Best Teaching Practices in Early Education.
KR200305658Y1 (ko) 구슬을 이용한 유아용 학습구
KR20180001684U (ko) 놀이학습교구
KR20090009394U (ko) 유아용 학습교재
JP6249541B1 (ja) 水に浮かぶ表示媒体
Watson Dance and mathematics: power of novelty in the teaching of mathematics
McFarland Preparing children for writing: Birth to 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