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394U - 유아용 학습교재 - Google Patents

유아용 학습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394U
KR20090009394U KR2020080003382U KR20080003382U KR20090009394U KR 20090009394 U KR20090009394 U KR 20090009394U KR 2020080003382 U KR2020080003382 U KR 2020080003382U KR 20080003382 U KR20080003382 U KR 20080003382U KR 20090009394 U KR20090009394 U KR 200900093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tch
learning
picture
infant
prac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진주
Original Assignee
구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진주 filed Critical 구진주
Priority to KR2020080003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9394U/ko
Publication of KR200900093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3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04Guide sheets or plates; Tracing ch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 B42D15/04Foldable or multi-part cards or sheets
    • B42D15/045Multi-part cards or sheets, i.e. combined with detachably mounted articles
    • B42D15/047Multi-part cards or sheets, i.e. combined with detachably mounted articles with photographs or sli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10Teaching pai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실습면에 실습하고자 하는 모양의 밑그림이 구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상기 그림의 내용을 반복 기재할 수 있도록 된 복수 개의 구획된 칸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측부분에는 유아가 밑그림에 구체적인 실습을 하는 장면의 사진을 부착하는 사진 부착란이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밑그림의 외곽모양에 따라 바느질을 할 수 있도록 바느질 위치가 표시되어 있어서, 밑그림에 색칠을 한 후에 밑그림의 외곽을 따라 바느질을 하는 학습을 통하여 밑그림에 대한 낱말과 학습 내용을 재차 상기하면서 바느질 실습을 통하여 색다른 재미를 느끼면서 학습을 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밑그림에 색종이를 접어서 부착하도록 되는 구성에 의하여 유아는 밑그림에 색칠 공부외에 다른 형태로서 종이접기를 통하여 밑그림을 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 내용을 보다 입체적으로 인지하게 되어 집중력과 창의력을 동시에 극대화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글칸은 상기 밑그림을 바탕으로 실습하여 완성된 형태를 유도하기 위한 그림이나 사진이 표현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어서, 밑그림이 구성되어 있지 않는 실습의 경우 유아는 그림이나 사진을 보면서 그림이나 사진에 표현된 학습 내용을 표현할 수 있어 보다 창의적으로 학습 내용을 표현하고 인지할 수 있게 되는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실습면, 밑그림, 칸, 사진 부착란, 바느질위치, 종이접기, 색종이

Description

유아용 학습교재{A study book for a preschool education}
본 고안은 유아용 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 크기의 실습면에 학습하고자 하는 내용이 표현된 밑그림을 구성하고, 이 밑그림에 유아 스스로 색칠 작업과 낱말 쓰기 그리고 바느질, 종이접기 등과 같은 일련의 실습 교육 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실습 작업을 통해 학습 내용을 효과적으로 인지하도록 하고, 두뇌 발달과 창의력 및 집중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학습하는 유아 자신의 모습을 사진으로 촬영하여 실습면 일측에 부착하여 학습 욕구를 높여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아용 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학 전 유아 교육을 위한 학습 내용은 여러 가지 사물과 자연 현상 및 낱말 학습 등과 같이 기초적인 내용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학습 내용을 가르치기 위한 학습 교재는 주로 인지력 및 창의력과 집중력 향상을 위하여 유아의 수준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개발된 유아용 학습 교재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유아용 학습 교재는 크게 색칠공부와 낱말 공부, 그리고 종이접기 등을 할 수 있는 교재가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형태로 개별적인 학습을 위하여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취학 전 유아 교육을 집중적으로 하고 있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에서는 상기와 같은 학습 교재를 이용하여 유아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종래의 대부분의 학습 교재는 상기와 같이 색칠 공부, 낱말공부 및 종이접기를 각각 개별적으로 할 수 있는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개별적인 학습 교재로는 활용도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여러 학습 교재로는 실제 유아 학습을 함에 있어서 효율적인 유아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특히 바느질이나 종이접기 등과 같은 여러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학습 내용의 실습 위주 학습을 전혀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일정 크기의 실습면에 표시된 학습 내용이 담긴 밑그림에 유아 스스로가 색칠을 하면서 학습 내용을 재미있고 쉽게 인식하도록 하고, 학습 내용에 관련된 단어를 반복적으로 낱말 쓰기 학습으로 유도함으로써 효과적인 낱말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실습하는 유아 자신의 모습을 사진으로 촬영하여 실습 후에 실습면 일측에 부착하여 재미있게 했던 실습 당시의 기억을 떠올리도록 하고, 유아의 부모가 함께 볼수 있어서 자녀에 대한 칭찬을 유도하여 적극적인 학습 참여 효과를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실습 위주의 유아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유아용 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학습 내용이 담긴 밑그림의 외곽 라인을 따라 바느질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학습 내용에 대한 인지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바느질 학습을 통하여 정교한 손동작 연습을 반복적으로 하도록 하여 두뇌 발달 및 창의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유아용 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학습 내용이 담긴 밑그림에 따라 색종이로서 종이접기를 통하여 밑그림을 완성하도록 함으로써 종이접기 결과물을 통한 입체적인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종이접기 통한 집중력과 창의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유아용 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실습면에 실습하고자 하는 모양의 밑그림이 구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상기 그림의 내용을 반복 기재할 수 있도록 된 복수 개의 구획된 칸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측부분에는 유아가 밑그림에 구체적인 실습을 하는 장면의 사진을 부착하는 사진 부착란이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밑그림의 외곽모양에 따라 바느질을 할 수 있도록 바느질 위치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밑그림에 색칠을 한 후에 밑그림의 외곽을 따라 바느질을 하는 학습을 통하여 밑그림에 대한 낱말과 학습 내용을 재차 상기하면서 바느질 실습을 통하여 색다른 재미를 느끼면서 학습을 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밑그림에 색종이를 접어서 부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아는 밑그림에 색칠 공부외에 다른 형태로서 종이접기를 통하여 밑그림을 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 내용을 보다 입체적으로 인지하게 되어 집중력과 창의력을 동시에 극대화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상기 글칸은 상기 밑그림을 바탕으로 실습하여 완성된 형태를 유도하기 위한 그림이나 사진이 표현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밑그림이 구성되어 있지 않는 실습의 경우 유아는 그림이나 사진을 보면서 그림이나 사진에 표현된 학습 내용을 표현할 수 있어 보다 창의적으로 학습 내용을 표현하고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일정 크기의 실습면에 표시된 학습 내용이 담긴 밑그림에 색칠을 하면서 학습 내용을 재미있고 쉽게 인식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학습 내용에 관련된 낱말을 단어를 반복적으로 쓰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낱말 학습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실습면 일측에 마련된 사진부착란에 실습하는 유아의 모습을 사진으로 촬영하여 부착함으로써 재미있었던 실습 당시의 기억을 떠올리도록 하여 다음 단계의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실습 위주의 유아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학습 내용이 담긴 밑그림의 외곽 라인을 따라 바느질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 내용에 대한 인지력이 극대화되고, 바느질 학습을 통하여 정교한 손동작 연습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므로 유아의 두뇌 발달 및 창의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더욱이 본 고안은 학습 내용이 담긴 밑그림에 따라 색종이로서 종이접기를 통하여 밑그림을 완성하도록 함으로써 종이접기 결과물을 통한 입체적인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종이접기 통한 집중력과 창의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 유아를 위한 실습 위주의 교육에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학습교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표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교재를 통하여 유아가 직접 실습한 사례를 나타낸 샘플 이미지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학습교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표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교재를 통하여 유아가 직접 실습한 사례를 나타낸 샘플 이미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학습지에 적용된 것을 일례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학습교재(100)는 일정 크기의 실습면(10) 중앙에는 실습하고자 하는 모양의 밑그림(20)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습면(10)의 상단에는 일반적인 구성으로서 학습일자(11)와 학습제목 (12)등을 기재하기 위한 표시란(13)이 마련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유아의 이름을 기재하는 성명란(14)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밑그림(20)의 일측에는 상기 밑그림(20)의 내용을 반복 기재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구획된 칸(3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칸(30)의 일측에는 유아가 상기 밑그림(20)에 구체적인 실습을 하는 장면의 유아사진(41)을 부착할 수 있는 사진 부착란(40)이 구획되어 있으며, 사진부착란(40) 위에는 사진 제목란(42)이 마련되어 이루어진 기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밑그림(20)은 학습 내용을 "한복"을 주제로 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자, 남자의 한복(21)을 나타내는 그림이 실습면(10) 중앙에 도시되어 제공된다.
따라서, 유아는 먼저 색연필(미도시)을 이용하여 한복(21) 밑그림(20)에 색칠을 하면서 색칠 공부를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한복(21) 밑그림(20)에 하단 일측에 마련된 칸(30)에는 밑그림(20)에 대한 낱말 공부를 위한 구성으로서 맨 위의 칸(31)에는 "한복" 낱말이 진하게 표시되어 있고, 그 옆 칸(32)에는 "한복" 단어를 따라 쓸 수 있도록 "한복" 단어가 흐리게 표시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공란(33)으로 되어 있어서 칸에 "한복" 단어를 반복적으로 쓰면서 낱말 공부를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까지의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교재(100)에 의한 실습 과정에 의하면 한복(21) 밑그림(20)을 통하여 한복(21)에 대한 전체적인 형상 및 모양 그리고 종류 등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한복(21) 밑그림(20)에 색칠 공부를 통하여 한복(21)에 대한 다양한 색상을 연상하게 됨에 따라 한복(21)에 대한 이미지가 다양한 형태로서 인지하게 된다.
그리고, 낱말 공부를 통하여 "한복" 이라는 단어를 밑그림(20)과 함께 동시에 기억하게 되고, 실습 과정에서 교사가 들려주는 부연 설명에 대해서도 확실히 파악하고 인식하게 됨으로써 주입식 위주의 단순 학습에 비하여 탁월한 실습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사진 부착란(40)은 칸(3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일련의 실습 과정에서 유아가 색칠을 하고 낱말 공부를 하는 모습을 사진 촬영하여 출력한 유아사진(41) 부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실습이 끝난 후 사진 부착란(40)에 출력된 유아사진(41)을 부착하고 사진 제목란(42)에 사진 제목을 기입하여 유아 본인이 만든 작품과 함께 열심히 실습하고 있는 장면의 자신 모습을 사진을 통하여 상기시킴으로써 재미있었던 실습 당시의 기억을 떠올리도록 하여 학습 내용을 잊지 않게 되고, 나중에 부모와 함께 자녀의 실습 학습을 사진으로 확인함으로써 자녀에게 칭찬을 유도하게 하여 다음 단계의 학습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동기 부여에 매우 효과적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밑그림(20)의 외곽 모양에 따라 바느질을 할 수 있도록 바느질 위치(50)가 표시되어 구성된다.
바느질 위치(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DOT)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밑그림(20)의 외곽 라인을 따라 적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아는 바늘(미도시)에 실(51)을 꿰어 바느질 위치(50)을 따라 구멍을 내면서 실제로 원단에 바느질을 하듯이 바느질을 하면서 한복(21)의 이미지를 재차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참고적으로, 이때 사용하는 바늘과 실(51)은 유아에게 위험하지 않는 끝이 예리하지 않는 완구 형태의 교재용 바늘을 사용하며, 실(5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무 가늘지 않는 작은 굵기와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먼저 밑그림(20)에 색칠을 한 후에 칸(30)에 낱말 공부를 한 다음, 연속적으로 밑그림(20)의 외곽에 형성된 바느질 위치(51)에 바느질을 하는 실습을 통하여 밑그림(20) 내용에 대한 낱말과 학습 내용을 재차 상기하면서 바느질 실습을 통하여 색다른 재미를 느끼면서 학습을 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특히, 바느질은 유아에게 있어서 부자연스런 손동작을 정교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데 학습 효과가 매우 크며, 바느질 위치(51)에 구멍을 내면서 학습지 앞 뒤면을 번갈아 가며 바느질을 하게 되므로 입체적인 창의적 감각을 키우는데 매우 탁월한 방법이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일련의 실습과정을 통하여 유아가 직접 실습한 사례를 나타낸 샘플 이미지이며, 이 밖에도 다양한 내용의 밑그림으로 유아에게 실습 위주의 학습을 한 결과 일반적인 학습 교재를 활용한 학습 효과보다 탁월한 학습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밑그림(20)에 색종이를 접어서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밑그림(20) 위에 색칠을 하는 대신 밑그림(20) 내용을 나타낼 수 있도록 색종이(61)로 종이접기(60)를 한 다음 밑그림(20) 위에 종이접기(60)한 결과물을 부착하여 밑그림(20)을 완성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유아는 색칠 위주의 밑그림 실습 학습에서 종이접기 방식의 다른 형태로 학습을 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학습을 체험하게 되고 더욱 재미있게 집 중력으로 학습에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칸(30)은 상기 밑그림(20)을 바탕으로 실습하여 완성된 형태를 유도하기 위한 사진(34)이 표현되어 있고 사진(34)위에는 사진 제목란(35)이 마련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30) 대신에 밑그림(20) 내용을 표현하는 이미지가 담긴 사진(34), 예를 들어 사물 사진보다는 풍경사진 등과 같은 사진이 밑그림 대신 제공되는 경우이다.
즉, 도 4는 유아가 직접 실습한 사례를 나타낸 샘플 이미지로서, 사진(34)에 나타나 있는 허수아비(61)를 색종이(61)로 종이접기(60)를 하여 그 하단에 마련된 공간에 사진(34)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허수아비(62)를 부착하고 그 주변으로 사진에 나타난 허수아비(62) 주변 배경을 색칠을 통하여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사진(34) 속에 있는 농촌 풍경을 머릿속에 연상하여 농촌 현장에 가지 않고서도 허수아비(61)에 대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체험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이접기(60) 실습 과정을 통해 입체적으로 나타난 허수아비(62)의 형상과 그 역할에 관한 부연 설명을 들으며 허수아비(62)에 대한 학습 내용을 흥미있게 효과적으로 유아에게 전달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진의 일측에는 상기 사진 부착란(40)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와 같은 일련의 실습 과정을 사진 촬영하고 출력한 유아사진(41)을 부착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유아는 밑그림(20)에 색 칠 공부 외에 또 다른 형태의 종이접기(60) 학습을 통하여 밑그림(20)을 완성할 수 있기 학습 내용을 보다 입체적으로 인지하게 되어 집중력과 창의력을 동시에 극대화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밑그림(20)이 제공되지 않는 실습의 경우 유아는 사진(34)을 보면서 사진(34)에 표현된 내용을 다양한 형태로 표현하면서 학습할 수 있어 보다 창의적으로 학습 내용을 표현하고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밑그림의 내용을 표현하고자 하는 실습 교재는 색칠, 바느질 및 종이접기 외에도 부직포, 색상 테이프, 지점토 그리고, 나무, 꽃잎 등과 같은 자연물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공지의 여러 실습교재를 활용하여 밑그림을 완성하도록 하는 등 여러 형태로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학습교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표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교재를 통하여 유아가 직접 실습한 사례를 나타낸 샘플 이미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학습교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표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교재를 통하여 유아가 직접 실습한 사례를 나타낸 샘플 이미지.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실습면 11 : 학습일자
12 : 학습제목 13 : 표시란
14 : 성명란 20 : 밑그림
30 : 칸 34,41 : 사진
40 : 사진 부착란 50 : 바느질위치
60 : 종이접기 61 : 색종이

Claims (4)

  1. 실습면(10)에 실습하고자 하는 모양의 밑그림(20)이 구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상기 밑그림(20)의 내용을 반복 기재할 수 있도록 된 복수 개의 구획된 칸(30)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측 부분에는 유아가 밑그림(20)에 구체적인 실습을 하는 장면의 사진(41)을 부착하는 사진 부착란(40)이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학습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밑그림(20)의 외곽모양에 따라 바느질을 할 수 있도록 바느질 위치(50)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학습교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밑그림(20)에 색종이(61)를 접어서 부착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학습교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30)은 상기 밑그림(20)을 바탕으로 실습하여 완성된 형태를 유도하기 위한 그림이나 사진(34)이 표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학습교재.
KR2020080003382U 2008-03-14 2008-03-14 유아용 학습교재 KR200900093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382U KR20090009394U (ko) 2008-03-14 2008-03-14 유아용 학습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382U KR20090009394U (ko) 2008-03-14 2008-03-14 유아용 학습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394U true KR20090009394U (ko) 2009-09-17

Family

ID=4153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382U KR20090009394U (ko) 2008-03-14 2008-03-14 유아용 학습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939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50Y1 (ko) * 2013-09-03 2014-11-03 백정란 지능개발과 학습향상을 위한 놀이교구
KR102323149B1 (ko) * 2021-03-03 2021-11-10 주식회사 가위바위보 한복 교구 및 한복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50Y1 (ko) * 2013-09-03 2014-11-03 백정란 지능개발과 학습향상을 위한 놀이교구
KR102323149B1 (ko) * 2021-03-03 2021-11-10 주식회사 가위바위보 한복 교구 및 한복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nner et al. The multisemiotic resources of biliterate children
Reynolds et al. dots
Barnes Teaching art to young children
White More than meets the eye
Lamme Handwriting: In 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omjonovna SPECIFIC CHARACTERISTICS OF MAKING TOYS FROM CLAY AND PLASTICLINE IN PRESCHOOL EDUCATIONAL ORGANIZATION
Lancaster Art in the primary school
Rapp Avoiding Math Taboos: Effective Math Strategies for Visual-Spatial Learners.
KR20090009394U (ko) 유아용 학습교재
Saletnik Josef Albers, Late Modernism, and Pedagogic Form
Zhbanova et al. Ocean underwater scene dioramas of first graders with submarine porthole views
Samadovna Methods of teaching preschool children to draw
Johnson Art for the young child
Jalongo et al. Writing in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BRITTAIN Research on the art of young children
KR200301309Y1 (ko) 유아용 학습구
Matmuratova et al. THE WAYS OF EDUCATING KIDS THROUGH THE DRAWING ACTIVITIES IN PRESCHOOL EDUCATIONAL ORGANIZATIONS.
Beck The Development of Sensory, Fine Motor, and Gross Motor Performance Through an After School Club Curriculum: Using Dr. Seuss Stories to Create Occupational Therapy Based Interventions
Umamaheswara Rao Jaadui Pitara| The Magic of Play in Early Childhood
Weida Frederick Froebel’s philosophies of drawing: Play, representation and invention
CN204077159U (zh) 新型儿童点视开智画板
Prins Benefits of the arts in kindergarten–an ESL perspective
JP2017083685A (ja) 文字学習用教材
Mesquita Visual representation in the drawings of children from 6 to 9 years old: creating an animated project
Stankiewicz Why Johnny Can't Draw (and Caroline Could): An Archaeology of" Child 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