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6289A -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6289A
KR20030096289A KR10-2003-7012492A KR20037012492A KR20030096289A KR 20030096289 A KR20030096289 A KR 20030096289A KR 20037012492 A KR20037012492 A KR 20037012492A KR 20030096289 A KR20030096289 A KR 20030096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bility
piston
linear compressor
detecting
driv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2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가타야마
아키라 이노오우에
Original Assignee
마쓰시타 레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시타 레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쓰시타 레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6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28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04B17/04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10Other safety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ntrol Of Linear Motors (AREA)

Abstract

피스톤 거동을 안정화시켜 충돌에 의한 소음 진동의 증대나 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를 개시하며, 이 제어 장치는,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어 있는 것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검지하여,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불안정 검지 수단과,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 동작하는 불안정 회피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피스톤의 거동을 안정화시킨다.

Description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CONTROL DEVICE OF LINEAR COMPRESSOR DRIVE SYSTEM}
최근, 지구 환경 보호, 성(省) 에너지의 관점에서, 냉동 기기의 고효율화(高效率化)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져 있으며,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를 사용한 콤프레서는 기구(機構) 구성의 단순함 때문에, 고효율화와 제조 원가의 저감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리니어 콤프레서를 고효율로 운전하기 위해서는, 피스톤의 상사점(上死點)에서의 클리어런스(clearance)를 작게 유지하면서 피스톤을 왕복 운전시킬 필요가 있고, 또한, 상사점에서의 클리어런스의 크기로써 콤프레서의 냉동 능력의 제어도 동시에 실행하는 등, 종래의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식의 왕복 압축기에는 없는 제어가 필요하게 되어 있다.
리니어 콤프레서의 종래의 제어 방식으로서는, 일본국 특개 2000-12118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제어하는 제어 대상으로서의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주요한 요소인 리니어 콤프레서의 단면도, 도 11은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을 제어하는 종래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 도 11에 있어서, 1은 리니어 콤프레서이며, 2는 밀폐 케이싱 (casing), 3은 콤프레서 본체이다. 4는 리니어 모터, 5는 실린더(cylinder), 6은 피스톤(piston), 7은 실린더 헤드(cylinder head)이다. 모터(4)는, 코일(4c)을 구비한 고정자(固定子)(4a)와 영구 자석을 구비한 가동자(可動子)(4b)로서 구성되어 있고, 가동자(4b)는 피스톤(6)에 고정되어 있다. 10은 실린더(5)와 피스톤(6)으로서 구성되는 압축실(壓縮室)이다. 콤프레서의 본체(3)는 모터(4)의 가동자(4b), 피스톤(6) 등으로서 구성되는 가동 요소(11)와, 실린더(5), 모터(4)의 고정자(4a) 등으로서 구성되는 고정 요소(12)로서 구성되어 있다. 14는 탄성 요소이며, 그 중앙부(14a)에서 가동 요소에 부착되고, 단부(端部)(14b)에서 고정 요소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16은 전원 장치, 17은 전압 결정 수단, 18은 주위 온도 검출 수단이다. 19는 증발기(19a), 응축기(19b)로서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이며, 20은 팽창 밸브이다. 리니어 콤프레서(1)와 응축기(19b), 팽창 밸브(20), 증발기(19a)는 배관으로 접속되어, 냉매가 순환하는 시스템(21)을 형성하고 있다.
이어서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종래의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위 온도 검출 수단(18)은 주위 온도를 계측하고, 온도에 따라서 온도 신호를 출력한다. 전압 결정 수단(17)은, 온도 신호에 따라서 전압 목표값을 출력한다. 전원 장치(16)는, 전압 목표값에 따른 전압으로 리니어 콤프레서(1)에 정현파상의 교류 전류를 출력한다.
전원 장치(16)로부터 출력된 교류 전류는, 리니어 콤프레서(1) 내의 모터(4)의 코일에 공급되며, 코일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자계(磁界)가 발생함으로써, 가동자(4b)는 영구 자석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피스톤(6)과 함께 왕복 운동한다. 이 때, 피스톤(6)의 진폭은 전원 장치(16)의 전압이 클수록 커지고, 피스톤의 진폭이 클수록 시스템(21)에 있어서의 냉동 능력은 커진다.
그런데, 냉장고에서는 주위 온도에 따라 필요한 냉동 능력이 상이하다. 즉, 주위 온도가 높을 경우는 냉장고에의 열부하(熱負荷)도 높기 때문에, 높은 냉동 능력이 필요하다. 한편, 주위 온도가 낮을 경우는, 필요한 냉동 능력은 작아지나, 이 때, 냉동 능력이 지나치게 크면 압축비가 상승해 시스템 효율이 저하하기 때문에, 시스템 효율의 관점에서 적정한 냉동 능력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압 결정 수단(17)은 주위 온도가 높을 때는 높은 전압 목표값을 출력하고, 주위 온도가 낮을 때는 낮은 전압 목표값을 출력함으로써, 전원 장치(16)는 리니어 콤프레서(1)에 적정한 냉동 능력에 필요한 전압을 출력한다.
또한, 전원 장치(16)에서 발생시키는 교류 전원의 주파수는, 리니어 콤프레서(1)의 주로 가동 요소(11)의 질량이나 탄성 요소(14)의 스프링 정수 등으로부터 정해지는 공진 주파수로 부여함으로써, 탄성 요소(14)의 스프링 힘을 가동 요소(11)의 왕복 운동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피스톤(6)의 선단(先端)이 실린더 헤드(7)에 근접하였을 때에, 피스톤에의 작용력 등의 영향으로 피스톤의 상사점에서의 위치가 흩어지는 등 거동(擧動)이 불안정하게 되고, 피스톤 등의 가동 요소가 밸브플레이트(valve plate) 등의 고정 요소에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피스톤에의 작용력이 공진 스프링에 의한 스프링 힘 뿐만 아니라, 압축실의 가스 압축 동력이 작용하고 있으며, 이 작용력이 비선형성(非線型性)을 가지고 있는 외에, 모터 추력(推力)에 대해서도 압축 부하(負荷)에 의해 변동하는 것이 영향을 주고 있다고 생각된다.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해져, 가동 요소와 고정 요소가 충돌하면 소음, 진동이 문제가 되는 동시에, 강하게 충돌했을 경우에는 가동 요소나 실린더 헤드에 설치한 밸브 등의 신뢰성 저하에도 연결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충돌하지 않는 경우라도, 피스톤의 거동의 변동이 현저한 경우는 소음의 원인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냉매의 순환량이 변동하기 때문에, 소정의 능력을 얻을 수 없는 등의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냉장고, 공기 조화기 등에 사용되는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제1실시형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류 검출 수단으로써 검출되는, 전원 장치로부터 리니어 콤프레서에 공급되는 전류의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불안정 검지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불안정 회피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제2실시형태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제3실시형태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제4실시형태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제5실시형태의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제6실시형태의 블록도.
도 10은, 종래의 리니어 콤프레서의 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과, 그 제어 장치의 블록도.
본 발명은,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피스톤의 거동을 안정시켜, 소음 진동의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콤프레서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해서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피스톤 거동을 안정시켜, 소정의 냉동 능력을 얻음으로써,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사점 간극(top clearance)이 큰 운전 조건에서는 충돌 발생의 우려는 낮기 때문에, 피스톤 상사점의 얼마 안되는 변동에 대하여 거동을 안정시키는 제어를 실행해도 충돌 방지의 효과는 없을 뿐만 아니라, 제어 때문에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어의 필요성이 낮은 운전 조건에서는, 제어를 실행하지 않고,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회로 손실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또한, 피스톤의 상사점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피스톤의 위치나 전류, 전압을 검출하고, 일정한 주기 마다에 목표값과의 차이에 근거해서, 공급 전압을 변경하는 피드백(feedback) 제어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 제어를 실행하는 주기나 공급 전압의 변경 폭이 부적절할 경우에는, 도리어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해질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적절한 피드백 제어에 기인하는 피스톤의 불안정 현상을 회피하고, 안정된 운전을 실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리니어 모터와 피스톤을 갖춘 리니어 콤프레서와, 상기 리니어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갖춘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에 이용하는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로서, 상기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여,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불안정 검지 수단과, 상기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 상기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에 작용해서 불안정 상태를 회피하도록 동작하는 불안정 회피 수단을 구비한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이며, 피스톤 거동이 불안정하게 됨으로써, 가동 요소와 고정 요소의 충돌에 의한 신뢰성 저하나 소음 진동의 증대를 방지한다고 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리니어 모터와 피스톤을 갖춘 리니어 콤프레서와, 상기 리니어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갖춘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에 이용하는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로서, 상기 피스톤의 변위, 주위 온도, 상기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어느쪽인가의 부위(部位)의 온도, 운전 압력의 적어도 하나를 검출해서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운전 조건 검출 수단과, 상기 운전 조건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어 있다고 추측해서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불안정 검지 수단과, 상기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 상기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에 작용해서 불안정 상태를 회피하도록 동작하는 불안정 회피 수단을 구비한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이며, 피스톤 거동이 불안정하게 됨으로써, 가동 요소와 고정 요소의 충돌에 의한 신뢰성 저하나 소음 진동의 증대를 방지하는 동시에, 불안정 회피의 제어가 필요할 때에만 기능하므로, 제어에 필요한 제어 회로의 손실을 저감한다고 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또한 피스톤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것이며, 불안정 검지 수단을 상기 변위 검출 수단의 출력에 근거해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피스톤의 변위로부터 직접적으로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다고 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또한 콤프레서의 소리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소리·진동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것이며, 불안정 검지 수단을 상기 소리·진동 검출 수단의 출력에 근거해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소리나 진동으로부터 간접적으로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고 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또한 전원 장치가 출력하는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압 전류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것이며, 불안정 검지 수단을 상기 전압 전류 검출 수단의 출력에 근거해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전원 장치의 전압 또는 전류로부터 간접적으로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다고 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또한 시스템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것이며, 불안정 검지 수단을 상기 압력 검출 수단의 출력에 근거해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시스템의 압력으로부터 간접적으로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다고 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또한 주위 온도를 검출하는 주위 온도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것이며, 불안정 검지 수단을 상기 주위 온도 검출 수단의 출력에 근거해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주위 온도로부터 간접적으로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는 조건을 검출한다고 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또한 시스템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것이며, 불안정 검지 수단을 상기 온도 검출 수단의 출력에 근거해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냉동 시스템의 온도로부터 간접적으로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다고 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불안정 회피 수단을,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전원 장치가 출력하는 전압 파형 혹은 전류 파형을 변경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모터의 추력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피스톤의 불안정 현상을 저감한다고 하는 작용을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또한 복수 패턴의 파형을 기억하는 파형 기억 수단으로서 이루어지고, 불안정 회피 수단은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파형 기억 수단에 기억된 파형에 근거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전원으로부터 출력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불안정의 회피에 유효한 모터 추력 특성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피스톤의 불안정 현상을 저감한다고 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불안정 회피 수단을,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모터의 임피던스를 변경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리니어 모터의 코일의 결선을 직렬 혹은 병렬로 변경하는 등의 방법으로 모터의 임피던스를 변경함으로써, 모터에 흐르는 전류 파형이 변화되고, 모터의 추력 특성이 변화되는 것으로, 피스톤의 불안정 거동을 완화한다고 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불안정 회피 수단을,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열교환기에의 송풍량을 변경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송풍량을 변경함으로써 시스템의 압력이 변화되고, 피스톤에 작용하는 작용력을 변화시키므로, 불안정 거동을 완화한다고 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송풍량 변경 수단을, 송풍기의 회전수나 바람 통로를 변경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이것들의 변경에 의해 시스템의 압력이 변화되고, 피스톤에 작용하는 작용력도 변화되기 때문에, 불안정 거동이 완화된다고 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불안정 회피 수단을,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전원 장치가 출력하는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운전 주파수의 변화에 의해 피스톤의 불안정 현상을 회피한다고 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불안정 회피 수단을,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전원의 전압 혹은 전류를 변경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피스톤의 상사점 간극(間隙)을 크게 함으로써 충돌을 회피하든가, 혹은 불안정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스트로크(stroke)를 선택한다고 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전류 혹은 전압, 혹은 피스톤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운전 조건에 따라서 전류 혹은 전압, 혹은 피스톤 변위의 목표값을 설정하는 목표값 설정 수단과, 소정의 간격으로 개시(開始)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수단과, 개시 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검출 수단의 출력과 목표값을 비교하여, 목표값과의 차이에 따라서 소정의 변경 폭으로 전원 장치가 출력하는 전압 혹은 전류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으로서 이루어지고, 불안정 회피 수단은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 수단의 변경 폭 혹은 상기 타이머 수단의 개시 신호의 출력 간격의 적어도 한쪽을 변경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피스톤의 상사점 위치의 피드백 제어에 기인하는 피스톤의 불안정 현상을 회피한다고 하는 작용을 갖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로부터 도 9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30은 전원 장치(31)로부터 리니어 콤프레서(1)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를 계측하는 전류 검출 수단이다. 32는 전류 검출 수단(30)의 출력에 근거해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불안정 검지 수단이다.
피스톤의 상사점 위치의 변동이 클 경우, 압축 동력 등 피스톤에의 작용력도 변동되고, 모터에 흐르는 전류도 변동된다. 따라서, 불안정 검지 수단(32)은 전류 검출 수단으로써 계측된 전류의 피크(peak) 값의 변동을 추출하여, 일정한 기간의 피크 값의 변동이 소정의 값 보다 클 경우에,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어 있다고 추측·판단해서,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불안정 검지 수단(32)에 대해서 도 2, 도 3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류 검출 수단(30)으로써 검출되는, 전원 장치(31)로부터 리니어 콤프레서(1)에 공급되는 전류의 파형도, 도 3은,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불안정 검지 수단(32)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있어서, t는, 전류 검출 주기를 나타내고, 1개의 검출 주기로 n회의 검출이 실행되며, 파형 중에 흑점(黑點)으로써 나타내는 바와 같이 n개의 피크 전류의 검출값을 얻는 모양이 나타나 있다. 전류 검출값은, Ⅰ(K-n+1), ‥·Ⅰ(K-2), ‥·Ⅰ(K-1), Ⅰ(K)로서 나타나 있다.
도 3은, 불안정 검지 수단(32)이 도시 생략의 CPU(중앙 연산 처리 장치)로서구성될 경우의 CPU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 Sl에서, 초기화를 실행하고, 전회(前回)의 측정값의 최대 전류값 Imax와 최소 전류값 Imin을 0에 재설정해 둔다. 이어서 단계 S2에서, J=K-n+1을 연산한다. 여기서, K는 소정의 정수, n은 미리 설정한 1주기당의 측정 회수이며, J는 연산의 결과 얻어지는 변수이다. 이어서 단계 S3에서 변수 J가 정수 K 보다 큰지 아닌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n회의 측정 중은, J < K이므로, 단계 S4로 가고, 전류값 Ⅰ(J)가 검출된다. 이어서, 단계 S5에서 검출된 전류값 Ⅰ(J)가 Imax 보다 크면 단계 S6으로 가고, Ⅰ(J)를 새로운 Imax로서 설정한다. 한편, 단계 S5에서, 전류값 Ⅰ(J)가 Imax 보다 크지 않으면 단계 S7로 가고, 전류값 Ⅰ(J)가 Imin 보다 작은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류값 Ⅰ(J)가 Imin 보다 작을 때는, 단계 S8에서 Ⅰ(J)를 새로운 Imin으로서 설정한다. 단계 S7에서 전류값 Ⅰ(J)가 Imin 보다 작지 않을 때는, 단계 S9로 간다. 단계 S6, 단계 S8을 종료한 경우도, 단계 S9로 간다. 단계 S9에서는, 변수 J를 1개 증분시켜 단계 S3으로 되돌아온다. 단계 S3∼단계 S9를 측정 회수의 n회 반복하면, J < K로 되고, 단계 SlO으로 간다. 단계 SlO에서는, Imax와 Imin의 차이를 연산하고, 이 차이 (Imax-Imin)이 정수 M 보다 큰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차이가 정수 M 보다 크면, 단계 Sll로 가서 불안정 상태라고 판정하고, 불안정 플래그(flag)를 YES에 설정한다. 한편, 차이가 정수 M 보다 작으면, 단계 S12로 가서 불안정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하고, 불안정 플래그를 NO에 설정한다.
33은 불안정 회피 수단이며, 불안정 검지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 장치(31)에 주파수 변경 신호를 출력한다. 전원 장치(31)에 주파수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 장치(31)는 콤프레서(1)에 공급하는 전원의 주파수를 변경한다. 따라서, 리니어 콤프레서의 운전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피스톤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는 상태를 회피할 수 있다.
여기서 불안정 회피 수단(33)에 대해서 도 4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불안정 회피 수단(33)을 CPU에 의해 구성했을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전술한 불안정 검지 수단(32)을 구성하는 CPU와 동일한 CPU로서 구성하는 경우는, 도 4의 처리를 도 3의 처리에 대한 인터럽트(interrupt) 처리 등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4의 단계 S21에서는, 도 3의 단계 Sll 및 단계 S12에서 설정된 불안정 플래그를 감시하고, 불안정 플래그가 YES이면, 단계 S22로 가서 리니어 콤프레서의 구동 전류의 주파수를 △H1만큼 저하시킨다. 한편, 불안정 플래그가 NO이면, 단계 S23으로 가서 리니어 콤프레서의 구동 전류의 주파수를 그대로 유지한다.
또한, 당사(當社)에 있어서의 검토 결과, 냉장고 등의 실제 기계 운전에 있어서 운전 압력 조건이 변화되어서 피스톤의 불안정 거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전원 주파수를 몇 헤르츠(Hz) 변경함으로써 불안정 거동이 해소되는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어 있다. 이 인과 관계의 명확한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모터의 추력과 압축실 내 압력, 밸브의 거동 등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는, 전원의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어 있는 것을검출 수단의 출력에 근거해 간접적으로 검지하여,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불안정 검지 수단과,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전원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불안정 회피 수단으로서 구성되어, 피스톤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어도 전원 주파수를 조절해서 안정시키므로, 충돌에 의한 소음 진동의 발생이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에 있어서 40은 진동 픽업(pickup)으로서 구성되는 소리·진동 검출 수단이며, 콤프레서에 부착되어, 소리·진동을 검출한다. 또한, 41은 불안정 검지 수단이다.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고, 콤프레서 본체(3)(도 10 참조)의 가동 요소가 고정 요소와 충돌하면, 충돌에 의해 콤프레서에서 통상적인 것 보다 큰 충돌음과 진동이 발생한다. 불안정 검지 수단(41)은, 충돌이 발생하여, 소리·진동 검출 수단의 출력이 소정의 값 보다 커졌을 때에, 피스톤이 불안정이라고 판단하여,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42는 불안정 회피 수단이며, 불안정 검지 신호가 입력되면, 전압 결정 수단(43)에 전압 저하 신호를 출력한다. 전압 결정 수단(43)은 통상적으로, 주위 온도 검출 수단(18)의 출력에 상응한 전압 목표값을 출력하여, 전원 장치(16)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고 있다. 그런데, 전압 저하 신호가 입력되면, 전압 결정수단(43)은 통상적인 것 보다 낮은 전압 목표값을 출력하고, 이 결과, 리니어 콤프레서(1)의 전원 전압이 저하한다. 따라서, 피스톤의 진폭이 저하해 충돌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불안정 상태는 해소된다.
또한, 주위 온도 검출 수단(18)의 출력이 소정의 값을 하회(下回)할 경우, 소리·진동 검출 수단(40), 불안정 검지 수단(41), 불안정 회피 수단(42)은 기능을 정지한다.
가동 요소와 고정 요소의 충돌은 상사점 간극이 작을수록, 발생하기 쉽고, 상사점 간극이 클 때는 대부분 충돌의 가능성은 낮다. 따라서, 주위 온도가 낮고, 작은 냉동 능력으로 운전 가능한 경우, 상사점 간극은 크게 열려 있어, 충돌의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주위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는, 소리·진동 검출 수단(40), 불안정 검지 수단(41), 불안정 회피 수단(42) 등은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능을 정지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는, 콤프레서의 소리나 진동을 검출하는 소리·진동 검출 수단과, 소리·진동 검출 수단의 출력에 근거해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불안정 검지 수단과,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전원의 전압 혹은 전류를 변경하는 불안정 회피 수단과, 주위 온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서 이루어지고, 검출 수단의 출력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있어서만, 불안정 검지 수단과 불안정 회피 수단이 작용하므로, 피스톤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어, 콤프레서 본체의 가동 요소와 고정 요소의 충돌이발생했을 경우, 충돌을 진동으로 검출하여 콤프레서에 공급하는 전압을 저하시킴으로써, 충돌을 해소하여, 소음 진동의 발생이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는 동시에, 피스톤의 불안정 거동이 발생하지 않는 운전 조건에서는, 불안정 검지 수단과 불안정 회피 수단을 정지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한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에 있어서 50은 콤프레서에 부착되어, 피스톤의 변위를 계측하는 변위 검출 수단이다.
51은 불안정 검지 수단이며, 변위 검출 수단(50)의 출력으로부터 피스톤의 상사점 위치의 변동을 검출하고, 상사점 위치의 변동이 소정의 값 보다 클 경우에,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52는 불안정 회피 수단이며, 보통 때는 일정한 전압 파형을 출력하고 있지만, 불안정 검지 신호가 입력되면 파형 기억 수단(53)에 기억된 파형에서 그것까지 출력하고 있었던 것과 상이한 전압 파형을 선택해서 출력한다.
전원 장치(54)는, 불안정 회피 수단(52)으로부터 출력된 전압 파형을, 전압 결정 수단(17)으로부터 출력된 전압 목표값으로 증폭해서 콤프레서(1)에 출력한다.
따라서,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었을 때에, 리니어 모터의 추력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피스톤에의 작용력을 변경하여, 피스톤의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는, 피스톤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 검출 수단과, 변위 검출 수단의 출력에 근거해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불안정 검지 수단과, 복수 패턴의 파형을 기억하는 파형 기억 수단과,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파형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전압 파형을 전원에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불안정 회피 수단으로서 구성되어,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었을 때에 리니어 모터의 추력의 파형을 변경함으로써 피스톤 거동을 안정시킨다.
(제4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의한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에 있어서 60은 불안정 검지 수단이며, 미리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는 주위 온도를 소정의 값으로서 기억하고, 주위 온도 검출 수단의 출력에 대하여, 소정의 주위 온도로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61은 불안정 회피 수단이며,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콤프레서의 리니어 모터의 결선을 병렬로부터 직렬로 변경하는 등의 방법으로, 모터의 임피던스를 변경한다. 이것에 의해, 모터에 흐르는 전류 파형이 변화되고, 모터의 추력 특성도 변화되기 때문에, 피스톤의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는, 주위 온도를 검출하는 주위 온도 검출 수단과, 주위 온도 검출 수단의 출력에 근거해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불안정 검지 수단과,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모터의 임피던스를 변경하는 불안정 회피 수단으로서 구성되어,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었을 때에 모터의 임피던스를 변경함으로써, 리니어 모터의 추력의 파형을 변경하여, 피스톤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제5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의한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에 있어서 70은 응축기, 71은 팽창 밸브, 72는 증발기이며, 콤프레서(1)를 포함하여,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응축기(70)와 증발기(72)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각각이 열교환기이며, 또한 이것들의 조합도 열교환기를 구성한다. 73은 증발기에 근접해서 배치되는 송풍기이며, 송풍기(73)에 의해 증발기(72)에서 발생한 냉기(冷氣)는 냉장고 내로 반송(搬送)된다.
또한, 74는 콤프레서(1)에 부착된 압력 검출 수단이다. 74A는 불안정 검지 수단이며, 압력 검출 수단(74)의 출력이 소정의 압력 조건으로 되어 있을 경우,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으로 된다고 판단하고,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75는 불안정 회피 수단이며, 불안정 검지 수단(74A)으로부터 불안정 검지 신호가 입력되면, 송풍기(73)의 송풍량을 많게 함으로써, 증발기(72)의 온도를 상승시켜, 저압 압력을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해, 운전 압력 조건이 변화되고, 피스톤에의 작용력이 변화되므로, 피스톤의 거동이 안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는, 시스템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수단과, 압력 검출 수단의 출력에 근거해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불안정 검지 수단과,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열교환기에의 송풍량을 변경하는 불안정 회피 수단으로서 구성되어,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었을 때에 열교환기에의 송풍량을 변경함으로써, 압력 조건을 변경하고, 피스톤에의 작용력을 변경함으로써 피스톤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력 변경 수단은 열교환기에 병렬 설치한 송풍기로 했지만, 냉동 시스템의 압력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밸브 등 다른 수단으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6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의한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에 있어서, 80은 피스톤의 위치를 검출하여, 피스톤의 상사점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변위 검출 수단이다. 81은 목표값 설정 수단이며, 피스톤의 상사점 위치의 기준값을 출력한다. 또한, 82는 타이머 수단이며, 일정한 주기마다 개시 신호를 출력한다. 83은 변경 수단이며, 타이머 수단(82)으로부터의 개시 신호를 받으면, 목표값 설정 수단(81)이 출력한 기준값과 변위 검출 수단(80)이 출력한 상사점 위치 신호의 차이에 대하여 소정의 변경 폭으로 전압 설정값을 변경하고, 전압 설정값을 출력한다.
또한, 84는 불안정 검지 수단이며, 변위 검출 수단(80)이 출력한 상사점 위치 신호를 기억하고, 일정한 시간 폭에 있어서의 변동의 크기로부터가 소정의 값을 상회(上回)했을 때에 불안정이라고 판정하고,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85는 불안정 회피 수단이며, 불안정 검지 수단에서 불안정 검지 신호가 출력되면, 타이머 수단(82)에 주기 시간 설정 신호를 출력하고, 타이머 수단(82)의 개시 신호 출력의 주기를 변경시킨다.
이 결과, 상사점 위치의 피드백 제어의 제어 타이밍이 부적절하기 때문에, 상사점 위치의 변동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된 제어가 실행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는, 운전 조건에 따라서 소정의 목표값을 설정하는 목표값 설정 수단과, 피스톤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피스톤이 불안정한 거동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여,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불안정 검지 수단과,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 불안정의 경감 또는 회피를 실행하는 불안정 회피 수단과, 소정의 간격으로 개시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수단과, 개시 신호에 근거해서 검출 수단의 출력과 목표값을 비교하여, 목표값과의 차이에 따라서 소정의 변경 폭으로 전원의 전압 혹은 전류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불안정 회피 수단은 변경 수단이 검출 수단의 출력과 목표값의 차이에 대하여 타이머 수단의 개시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변경함으로써 불안정을 완화시키므로, 피드백 제어에 기인하는 피스톤 거동의 불안정을 회피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어 있는 것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검지하고,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불안정 검지 수단과,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 동작하는 불안정 회피 수단으로서 구성하였으므로, 피스톤의 불안정 거동을 방지하고, 충돌에 의한 신뢰성 저하와 소음 진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피스톤의 변위, 주위 온도, 시스템 온도, 압력 조건의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서 이루어지고, 검출 수단의 출력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있어서만, 불안정 검지 수단과 불안정 회피 수단이 작용하도록 하였으므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조건에서는 불안정의 검지와 회피를 실행하지 않음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피스톤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 검출 수단으로서 이루어지고, 불안정 검지 수단을 변위 검출 수단의 출력에 근거해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였으므로, 피스톤의 변위로부터 직접적으로 불안정 거동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콤프레서의 소리나 진동을 검출하는 소리·진동 검출 수단으로서 이루어지고, 불안정 검지 수단을 소리·진동 검출 수단의 출력에 근거해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였으므로, 소리나 진동으로부터 피스톤의 불안정 현상을 간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서 이루어지고, 불안정 검지 수단을 검출 수단의 출력에 근거해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였으므로, 전류 혹은 전압으로부터 피스톤의 불안정 현상을 간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시스템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수단으로서 이루어지고, 불안정 검지 수단을 압력 검출 수단의 출력에 근거해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였으므로, 전류 혹은 전압으로부터 피스톤의 불안정 현상을 간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주위 온도를 검출하는 주위 온도 검출 수단으로서 이루어지고, 불안정 검지 수단을 주위 온도 검출 수단의 출력에 근거해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였으므로, 주위 온도로부터 피스톤의 불안정 현상을 간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시스템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으로서 이루어지고, 불안정 검지 수단을 온도 검출 수단의 출력에 근거해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였으므로, 냉동 시스템의 온도로부터 피스톤의 불안정 현상을 간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불안정 회피 수단을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전원의 전압 파형 혹은 전류 파형을 변경하도록 하였으므로, 리니어 모터의 추력 특성이 변화되어, 피스톤의 거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복수 패턴의 파형을 기억하는 파형 기억 수단으로서 이루어지고, 불안정 회피 수단을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파형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전압 또는 전류 파형을 전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하였으므로, 리니어 모터의 추력 특성이 변화되어, 피스톤의 거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불안정 회피 수단을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모터의 임피던스를 변경하도록 하였으므로, 리니어 모터의 추력 특성이 변화되어, 피스톤의 거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불안정 회피 수단을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열교환기에의 송풍량을 변경하도록 하였으므로, 압력에 의한 작용력이 변화되어, 피스톤의 거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불안정 회피 수단을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밸브의 개폐 혹은 열교환기에의 송풍량을 변경하도록 하였으므로, 압력에 의한 작용력이 변화되어, 피스톤의 거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불안정 회피 수단을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전원의 주파수를 변경하도록 하였으므로, 피스톤의 거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불안정 회피 수단을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전원의 전압 혹은 전류를 변경하도록 하였으므로, 상사점 간극을 크게 취할 수 있어, 충돌의 발생에 의한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고, 소음이나 진동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전류 혹은 전압, 혹은 피스톤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운전 조건에 따라서 전류 혹은 전압, 혹은 피스톤 변위의 목표값을 설정하는 목표값 설정 수단과, 소정의 간격으로 개시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수단과, 개시 신호에 근거해서 검출 수단의 출력과 목표값을 비교하여, 목표값과의 차이에 상응해서 소정의 변경 폭으로 전원의 전압 혹은 전류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으로서 이루어지고, 불안정 회피 수단을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검출 수단의 변경 폭 혹은 타이머 수단의 개시 신호의 출력 간격의 적어도 한쪽을 변경하도록 하였으므로, 피스톤 위치의 피드백 제어에 기인하는 불안정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16)

  1. 리니어 모터(linear motor)와 피스톤을 갖춘 리니어 콤프레서와, 상기 리니어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갖춘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에 이용하는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로서, 상기 피스톤의 거동이 불안정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여,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불안정 검지 수단과, 상기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 상기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에 작용해서 불안정 상태를 회피하도록 동작하는 불안정 회피 수단을 구비한,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2. 리니어 모터와 피스톤을 갖춘 리니어 콤프레서와, 상기 리니어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갖춘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에 이용하는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로서, 상기 피스톤의 변위, 주위 온도, 상기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어느쪽인가의 부위의 온도, 운전 압력의 적어도 하나를 검출해서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운전 조건 검출 수단과, 상기 운전 조건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피스톤의 거동(擧動)이 불안정으로 되어 있다고 추측해서 불안정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불안정 검지 수단과, 상기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 상기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에 작용해서 불안정 상태를 회피하도록 동작하는 불안정 회피 수단을 구비한,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 검지 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 검출 수단을 갖는, 제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 검지 수단은, 상기 콤프레서의 소리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소리·진동 검출 수단을 갖는, 제어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 검지 수단은, 상기 전원 장치가 출력하는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압 전류 검출 수단을 갖는, 제어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 검지 수단은, 상기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소정 개소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수단을 갖는, 제어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 검지 수단은, 상기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주위 온도를 검출하는 주위 온도 검출 수단을 갖는, 제어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 검지 수단은, 상기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어느쪽인가의 부위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을 갖는, 제어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 회피 수단은, 상기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전원 장치가 출력하는 전압 파형 혹은 전류 파형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 회피 수단은, 상기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복수 패턴의 전압 파형 혹은 전류 파형을 기억하는 파형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전압 파형 또는 전류 파형을 상기 전원 장치로부터 출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 회피 수단은, 상기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리니어 모터의 임피던스를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 회피 수단은, 상기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리니어 콤프레서에 접속되는 열교환기에의 송풍량을 변경하는 송풍량 변경 수단을 갖는,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량 변경 수단은, 상기 열교환기에 송풍하는 송풍기 회전수의 변경 및/또는 바람 통로의 변경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 회피 수단은, 상기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전원 장치가 출력하는 주파수를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 회피 수단은, 상기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전원 장치가 출력하는 전압값 혹은 전류값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장치.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 검지 수단은, 상기 전원 장치의 전류, 상기 전원 장치의 전압, 상기 피스톤 변위의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리니어 콤프레서의 운전 조건에 따라서 상기 전류 혹은 상기 전압 혹은 상기 피스톤 변위의 목표값을 설정하는 목표값 설정 수단과, 소정의 간격으로 개시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수단과, 상기 개시 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검출 수단의 출력과 상기 목표값을 비교하고, 이것들의 차이에 따라서 소정의 변경 폭으로 상기 전압 혹은 상기 전류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갖추고, 상기 불안정 회피 수단은, 상기 불안정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 수단의 변경 폭 혹은 상기 타이머 수단의 개시 신호의 출력 간격의 적어도 한쪽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KR10-2003-7012492A 2001-03-28 2002-03-27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KR200300962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92516A JP2002285958A (ja) 2001-03-28 2001-03-28 リニアコンプレッサの制御装置
JPJP-P-2001-00092516 2001-03-28
PCT/JP2002/002993 WO2002079651A1 (fr) 2001-03-28 2002-03-27 Dispositif de commande d'un dispositif d'entrainement a compression linea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289A true KR20030096289A (ko) 2003-12-24

Family

ID=1894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2492A KR20030096289A (ko) 2001-03-28 2002-03-27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101413A1 (ko)
JP (1) JP2002285958A (ko)
KR (1) KR20030096289A (ko)
CN (1) CN1509376A (ko)
WO (1) WO20020796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0793B2 (en) * 2003-02-10 2005-11-29 Flow Internation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alfunctions in high-pressure fluid pumps
US7032400B2 (en) * 2004-03-29 2006-04-25 Hussmann Corporation Refrigeration unit having a linear compressor
BRPI0419022B1 (pt) * 2004-08-30 2016-12-13 Lg Electronics Inc aparelho e método para controlar um compressor linear
KR100690663B1 (ko) * 2005-05-0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장치 및 방법
BRPI0800251B1 (pt) * 2008-02-22 2021-02-23 Embraco Indústria De Compressores E Soluções Em Refrigeração Ltda sistema e método de controle de compressor linear
US8645554B2 (en) * 2010-05-27 2014-02-0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network functions based on user data
CN105241172B (zh) * 2015-11-05 2017-12-29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采用直线压缩机的冰箱控制方法及控制系统
US10885896B2 (en) * 2018-05-18 2021-01-05 Bose Corporation Real-time detection of feedforward instability
JP7143272B2 (ja) * 2019-12-24 2022-09-28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フリーピストン型スターリング冷凍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5851A (en) * 1986-04-14 1995-12-12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local and global variable capabilities in a graphical data flow program
JPH02145678U (ko) * 1989-05-16 1990-12-11
JPH09142139A (ja) * 1995-09-22 1997-06-03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912860B2 (ja) * 1995-10-16 1999-06-28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
JP3869481B2 (ja) * 1995-10-20 2007-01-17 三洋電機株式会社 リニアコンプレッサの駆動装置
JPH09137781A (ja) * 1995-11-15 1997-05-27 Matsushita Refrig Co Ltd 振動型圧縮機
US5980211A (en) * 1996-04-22 1999-11-09 Sanyo Electric Co., Ltd. Circuit arrangement for driving a reciprocating piston in a cylinder of a linear compressor for generating compressed gas with a linear motor
JP3527974B2 (ja) * 1998-03-31 2004-05-17 株式会社トヨトミ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US6084320A (en) * 1998-04-20 2000-07-04 Matsushita Refrigeration Company Structure of linear compressor
JPH11311185A (ja) * 1998-04-28 1999-11-09 Matsushita Refrig Co Ltd 往復動圧縮機
JP3889519B2 (ja) * 1998-11-17 2007-03-07 三洋電機株式会社 リニアコンプレッサ
JP2001073944A (ja) * 1999-09-07 2001-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ニアコンプレッサーの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79651A1 (fr) 2002-10-10
JP2002285958A (ja) 2002-10-03
US20040101413A1 (en) 2004-05-27
CN1509376A (zh)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140B1 (ko) 모터 구동 장치와, 이것을 포함한 공기 조절 장치,냉동기, 극저온 냉동기, 온수 공급 유닛 및 휴대 전화
KR100776360B1 (ko) 선형 압축기를 제어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이용한 자유 피스톤 가스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장기
US6663348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compressor, piston-position monitoring system, and compressor
JP2009503336A (ja) リニアコンプレッサ用制御装置
JP4744451B2 (ja) リニアモータ、リニア圧縮機、リニア圧縮機制御方法、冷却システムとリニア圧縮機制御システム
KR100568050B1 (ko) 스털링 기관
US20070196214A1 (en) Sensor-less control method for linear compressors
KR100549489B1 (ko) 스터링 냉동기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20030096289A (ko) 리니어 콤프레서 구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KR100628588B1 (ko) 모터 구동 장치, 공기 조화기, 냉장고, 극저온 냉동기,급탕기 및 휴대 전화
KR20060119924A (ko) 리니어 모터 컨트롤러
US10587211B2 (en) Linear compressor and methods of polarity detection
JPH09112439A (ja) リニアコンプレッサの駆動装置
JP2000110732A (ja) リニアコンプレッサの制御装置
JP2002013484A (ja) リニアコンプレッサの駆動制御装置
US1064126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linear compressor
JP3865679B2 (ja) スターリング冷凍機
JP2001165059A (ja) 振動式圧縮機
JP2007298219A (ja) スターリング冷凍機
JP3522682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2652591B1 (ko) 리니어 압축기 및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US10830230B2 (en) Method for operating a linear compressor
JP2002122080A (ja) リニアコンプレッサーの制御装置
JPH11303763A (ja) 振動式圧縮機
US10670008B2 (en) Method for detecting head crashing in a linear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