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4128A - 등유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등유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4128A
KR20030094128A KR1020030046068A KR20030046068A KR20030094128A KR 20030094128 A KR20030094128 A KR 20030094128A KR 1020030046068 A KR1020030046068 A KR 1020030046068A KR 20030046068 A KR20030046068 A KR 20030046068A KR 20030094128 A KR20030094128 A KR 20030094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milky
solution
glass solution
sp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유리
Priority to KR1020030046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4128A/ko
Publication of KR20030094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12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9/00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02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with the mouth; Auxiliary mean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용액 표면에 유백색의 얇은 유리 용액을 방사하여 등유리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등유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테인레스 봉의 일단부에 유리용액을 묻혀 스테인레스 봉의 타단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부풀린 유리제의 표면에 유백색의 유리용액과 투명한 유리용액을 차례로 도포하고 무늬를 형성하여 가열한 다음, 소정 모양의 금형에 넣어 스테인레스 봉의 타단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금형에 따른 모양으로 형성한 후, 서냉 및 절단하여 제조하는 등유리 제조방법에 있어서, 무늬는 방사공이 형성된 방사용기 내부에 유백색의 유리용액을 수용하여 방사공을 통해 유백색의 유리용액을 유리제의 표면에 방사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등유리의 무늬를 더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를 아름답게 연출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등유리 제조방법{Lamp cover glas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등유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용액 표면에 유백색의 얇은 유리 용액을 방사하여 등유리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등유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 커버는 조명등을 보호하고 조명등에 의한 조명이 간접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조명등 커버는 다양한 실내 분위기의 연출을 위하여 여러가지 형태로 제조된다.
전술한 조명등 커버의 재로는 통상적으로 유리, 종이 및 직물 등의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소재 중 유리는 인화성이 아니라는 점과 소재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조명등 커버는 간접 조명 내지 인테니러어 효과를 위해 투명유리가 그대로 사용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즉, 빛의 산란 내지 굴절을 이용하여 자체가 반투명한 것이 사용되거나 입체적인 무늬로 제공되기도 한다.
이러한 종래의 등유리 제조공정을 설명하면, 먼저 투명유리의 원료를 용해로 내부에 장입한 다음 120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해시킨다.
다음, 용해된 유리용액을 중공의 스테인레스 봉의 일단부에 묻히고, 타단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소정 크기의 탄원형 또는 원형 유리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유리제가 형성되면, 다른 반투명 즉, 유백색의 유리용액으로 유리제의 전면을 골고루 도포하고, 그 위에 다시 투명한 유리용액을 도포한다.
다음으로, 유백색의 유리용액과 투명한 유리용액이 차례로 도포된 유리제의 표면에 무늬를 형성한다.
무늬형성방법은 스테인레스 봉의 일단에 유백색의 유리용액을 묻힌 다음 이를 상기한 유리제의 표면에 그리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봉에 유백색의 유리용액을 묻혀 유리제의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유리제를 돌려 그 표면을 따라서 유백색의 유리용액이 묻으면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유백색의 유리용액에 의해 유리제의 표면에 무늬가 형성되면, 이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가열한 다음, 일정한 형태의 금형에 넣어 스테인레스 봉의 타단으로 공기를 주입한다.
공기가 주입된 유리제는 부풀려지면서 상기 금형에 따른 형태로 형성되고, 이 유리제를 서냉로에 통과시켜 서서히 냉각시킨 다음 마지막으로 상단과 하단을 절개한 후 그 표면처리하여 표면에 무늬가 형성된 등유리를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등유리는 전술한 무늬형성과정에서 스테인레스 봉의 일단에 유백색의 유리용액을 묻혀 접촉시킨 다음, 유리제를 회전시켜 형성하였는데, 이는 스테인레스 봉의 두께에 따라서 무늬가 형성되는 만큼, 표현할 수 있는 무늬에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얇은 무늬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얇은 스테인레스 봉을 접촉시켰으나 이는 스테인레스 봉에 유백색의 유리용액을 여러번 반복하여 묻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풀려진 유리용액 표면에 유백색의 얇은 유리 용액을 방사하여 등유리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등유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등유리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등유리 제조공정을 보인 공정순서도.
도 3 은 도 2 의 방사용기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등유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스테인레스 봉 32,34 : 용기
80 : 유백색의 유리용액 90 : 투명한 유리용액
40 : 방사용기 42 : 방사공
50 : 가열로 60 : 금형
70 : 서냉로 100i : 등유리
102 : 무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봉의 일단부에 유리용액을 묻혀 스테인레스 봉의 타단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부풀린 유리제의 표면에 유백색의 유리용액과 투명한 유리용액을 차례로 도포하고 무늬를 형성하여 가열한 다음, 소정 모양의 금형에 넣어 스테인레스 봉의 타단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금형에 따른 모양으로 형성한 후, 서냉 및 절단하여 제조하는 등유리 제조방법에 있어서, 무늬는 방사공이 형성된 방사용기 내부에 유백색의 유리용액을 수용하여 방사공을 통해 유백색의 유리용액을 유리제의 표면에 방사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등유리 제조공정을 보인 공정순서도이고, 도 3 은도 2 의 방사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등유리의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리용액과 유리용액이 부풀려진 이후의 유리용액을 유리제로 통칭하고, 이들에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각각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a) 유리용액을 스테인레스 봉에 묻히는 단계
먼저, 유리용액의 원료를 1200℃ 이상으로 가열하여 투명한 유리용액(100a)을 만든 후, 이를 중공의 스테인레스 봉(20)의 일단부에 제조하고자 하는 등유리의 크기에 맞는 적당한 양을 묻혀 낸다.
b) 유리용액을 부풀리는 단계
상기한 a) 단계를 통해 유리용액(100a)이 묻혀진 스테인레스 봉(20)의 타단부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소정 크기로 부풀린 유리제(100b)를 형성한다.
c) 유백색 유리용액 도포단계
공기가 주입되어 소정 크기로 부풀려진 유리제(100b)를 유백색의 유리용액(80)이 수용된 용기(32)에 투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유리제(100b)의 표면 전체에 유백색의 유리용액(80)을 골고루 도포한다.
d) 투명한 유리용액 도포단계
유백색의 유리용액(80)이 도포된 유리제(100c)를 투명한 유리용액(90)이 수용된 용기(34)에 투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유백색의 유리용액(80)이 도포된 유리제(100c) 표면 전체에 투명한 유리용액(90)을 골고루 도포한다.
특히, 전술한 유백색 유리용액 도포단계(c 단계)와 투명한 유리용액 도포단계(d 단계)에 있어서, 이들이 유리제(100b)의 표면에 고르게 묻어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는 등유리(100i) 완성시 그 투명도나 색이 균일하게 나타나도록 하기 위함이다.
e)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
유백색의 유리용액(80)과 투명한 유리용액(90)이 차례로 도포된 유리제(100d)에 무늬(102)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먼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다수개의 방사공(42)이 형성된 방사용기(40)에 유백색의 유리용액(80)을 담는다. 방사공(42)이 형성된 방사용기(40)에 투명한 유리용액(80)이 수용되면 상기 방사공(42)을 통해 유백색의 유리용액(80)이 아래로 방사되므로, 유리제(100d)를 직선 또는 회전운동을 반복시키면서 그 표면에 무늬(102)를 형성한다.
이 경우에, 방사용기(40) 내부에 담긴 유백색의 유리용액(80)이 온도가 내려가 굳어질 수 있으므로 방사용기(40)에 계속적으로 열을 가한다.
이와 같이, 무늬(102)가 형성된 유리제(100e) 상태에서의 표면상태는 상기한 유백색의 유리용액(80)이 단순히 묻어서 굳은 상태이므로 유리제(100e) 표면에서 무늬(102)가 쉽게 떨어질 수 있다.
f) 가열단계
상기한 무늬형성단계를 통해 무늬(102)가 형성된 유리제(100e)를 가열로(50)에 투입하여 가열한다.
이 경우 무늬(102)는 투명한 유리용액(90)에 묻히면서 유리제(100f) 표면에 완전히 부착되는 한편, 유리제(100f)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 그 크기가 부풀려질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가열한다.
g) 모양형성단계
모양형성단계를 등유리(100i)의 겉모양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전술한 가열단계를 통해 가열된 유리제(100f)를 금형(60)에 투입한 후 스테인레스 봉(20)의 타단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부풀린다.
이와 같이, 부풀려진 유리제(100g)는 금형(60)에 의해 완성된 등유리(100i)의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된다.
h) 서냉단계
금형(60)에 의해 모양과 크기가 완성된 유리제(100h)를 서냉로(70)을 통과시켜서 서서히 냉각시키는 단계이다.
i) 절단단계
전술한 서냉단계를 거쳐 서냉된 유리제(100h)의 상단 또는 하단을 절단하여 완전한 등유리(100i)로 완성되는 단계이다.
절단단계에 있어서, 유리제(100i)의 절단면은 연마기를 통해 연마하여 완성된 등유리(100i)를 취급하고자 할 때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히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각 단계를 거친 완성된 등유리(100i)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백색의 유리용액(80)을 방사하여 형성된 무늬(102)에 의해 더욱 고급스러운 멋과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등유리의 무늬를 더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를 아름답게 연출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1)

  1. 스테인레스 봉의 일단부에 유리용액을 묻혀 상기 스테인레스 봉의 타단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부풀린 유리제의 표면에 유백색의 유리용액과 투명한 유리용액을 차례로 도포하고 무늬를 형성하여 가열한 다음, 소정 모양의 금형에 넣어 상기 스테인레스 봉의 타단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금형에 따른 모양으로 형성한 후, 서냉 및 절단하여 제조하는 등유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늬는
    방사공이 형성된 방사용기 내부에 유백색의 유리용액을 수용하여 상기 방사공을 통해 상기 유백색의 유리용액을 상기 유리제의 표면에 방사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유리 제조방법.
KR1020030046068A 2003-07-08 2003-07-08 등유리 제조방법 KR20030094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068A KR20030094128A (ko) 2003-07-08 2003-07-08 등유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068A KR20030094128A (ko) 2003-07-08 2003-07-08 등유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128A true KR20030094128A (ko) 2003-12-11

Family

ID=32388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068A KR20030094128A (ko) 2003-07-08 2003-07-08 등유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41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308A (ko) * 2005-04-12 2006-10-17 송기만 조명등 커버유리의 제조방법
CN104058579A (zh) * 2014-06-25 2014-09-24 宿迁澳中玻璃有限公司 一种热熔玻璃模具生产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308A (ko) * 2005-04-12 2006-10-17 송기만 조명등 커버유리의 제조방법
CN104058579A (zh) * 2014-06-25 2014-09-24 宿迁澳中玻璃有限公司 一种热熔玻璃模具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94128A (ko) 등유리 제조방법
CN110899992B (zh) 一种内壁绘画工艺及其制品
KR100521981B1 (ko) 무늬가 부가된 등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32016A (ko) 야광 장식부가 점착된 양초, 양초제조장치 및 양초제조방법
US4415614A (en) Decorative hollow vitreous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750882B1 (ko) 화장품 용기 및 그 도장방법
KR100266411B1 (ko) 한지무늬 조명등 커버유리 제조방법 및 그 제품
JP7030725B2 (ja) 蝋細工物の製造方法及び蝋細工物
CN1739985A (zh) 一种葫芦工艺品及其“雕塑”成形方法
KR20030051476A (ko) 등유리 제조방법
KR100963657B1 (ko) 천장등용 투광판 제조방법
KR100750812B1 (ko)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장식용 판유리의 제조방법
KR100440040B1 (ko) 유리전등갓 제조방법
KR20050087772A (ko) 조명 갓 유리 제조 방법
CN206781398U (zh) 一种玻璃酒瓶贴花的快速定位结构
KR20040031746A (ko) 다양한 무늬를 갖는 인조대리석 제조방법 및 그 구조
CN109278460B (zh) 一种琥珀微缩软木画的制备方法
KR20030025960A (ko) 투명 액세서리 제조방법
KR100947866B1 (ko) 유리 조명 갓 제조방법
KR101241341B1 (ko) 유리 재질내 기포가 형성된 조명등 커버 및 그의 제조 방법
CN207680850U (zh) 一种多色瓶盖自动化喷涂生产装置
KR20030044927A (ko) 등유리 제조방법
JPH10510794A (ja) ガラス又はクリスタル製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手段
KR100326336B1 (ko)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 방법
JPH0641876A (ja) 染色したプラスチック構造物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