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336B1 -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336B1
KR100326336B1 KR1019990016094A KR19990016094A KR100326336B1 KR 100326336 B1 KR100326336 B1 KR 100326336B1 KR 1019990016094 A KR1019990016094 A KR 1019990016094A KR 19990016094 A KR19990016094 A KR 19990016094A KR 100326336 B1 KR100326336 B1 KR 100326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attern
glaze
illumination
patter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3064A (ko
Inventor
문공열
Original Assignee
문공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공열 filed Critical 문공열
Priority to KR1019990016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336B1/ko
Publication of KR2000007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61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글래스의 표면으로 유약도포에 의한 점막을 형성시켜, 무늬형성틀에 의해 원하는 형상의 무늬를 형성하므로서 외관이 수려하며 유약에 의해 은은한 간접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는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글래스의 표면으로 유약도포에 의한 점막을 형성시켜, 무늬형성틀에 의해 원하는 형상의 무늬를 형성하므로서, 무늬형성작업의 단순화로 작업효율을 증대시킴은 물론 외관이 수려하며 은은한 간접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는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융로에서 유리재료를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원하는 형태의 글래스를 제작하는 외형제작과정인 제 1과정과, 성형된 조명글래스의 표면으로 유약을 도포하는 제 2과정과, 도포된 유약이 글래스의 표면에서 점막을 형성토록 1차 자연건조하는 제 3과정과, 유약점막층이 형성된 조명글래스를 무늬성형틀에 장입하여 원하는 무늬를 형성하는 제 4과정과, 건조로를 통해 무늬가 형성된 조명글래스를 550℃-650℃로 2차 강제건조하는 제 5과정을 통해 조명글래스의 표면으로 무늬를 형성하는 조명글래스 무늬형성방법을 그 구체적인 수단으로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방법{A PATTERN FORMATING METHOD}
본 발명은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글래스의 표면으로 유약도포에 의한 점막을 형성시켜, 무늬형성틀에 의해 원하는 형상의 무늬를 형성하므로서 외관이 수려하며 유약에 의해 은은한 간접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는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으로 설치고정되는 글래스는 조명등에서 발하는 빛을 1차적으로 투과시켜 간접조명을 얻고자 사용되는 것인바, 이와같은 간접조명을 얻기 위한 종래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벙법으로는 글래스의 제작과정에서 용융상태로 존재하는 글래스의 표면에 미세한 모래 등을 도포한 후, 금형틀에서 원하는 형상의 무늬를 글래스의 표면에 형성시키는 무늬형성방법이 대표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미세한 모래입자가 도포되는 종래 조명글래스는 반투명체를 취하게됨에 따라 조명등으로의 설치시 간접조명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었다.
하지만, 위와같이 무늬형성방법이 적용되는 조명글래스는 미세한 입자형태를 취하는 모래를 별도의 주입수단(대개가 에어 컴프레셔가 사용됨.)에 의해 글래스의 표면으로 도포하는 과정이 상당히 난해한 것으로, 이는 작업공정의 번거로움과 함께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며, 표면으로 미세한 모래를 도포함에 따라 그 표면이 거칠게 되어, 먼지 등에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과 함께 사용자의 심미감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이었다.
한편, 또 다른 무늬형성방법으로는 조명글래스의 내측면으로 각종 무늬를 갖는 한지를 부착시키거나, 유성페인트 등을 글래스의 표면에 페인팅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여기서 전자, 즉 한지를 부착하는 방법은 내측면으로 부착된 한지의 형태변형에 따른 내구성저하의 문제점을 갖는 것이며, 이에따라 빈번히 한지의 교체작업을 요하게 되므로 이또한 상당한 번거로움과 경제적 손실이 야기되는 것이고,
후자인 페인팅방법은 무늬를 형성하기 위해 솔을 이용한 별도의 무늬형성작업을 요하게 되므로, 이에따른 작업효율 저하와 함께 제품 불량률이 상승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방법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글래스의 표면으로 유약도포에 의한 점막을 형성시켜, 무늬형성틀에 의해 원하는 형상의 무늬를 형성하므로서, 무늬형성작업의 단순화로 작업효율을 증대시킴은 물론 외관이 수려하며 은은한 간접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는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융로에서 유리재료를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원하는 형태의 글래스를 제작하는 외형제작공정인 제 1과정과, 성형된 조명글래스의 표면으로 유약을 도포하는 제 2과정과, 도포된 유약이 글래스의 표면에서 점막을 형성토록 1차 자연건조하는 제 3과정과, 유약점막층이 형성된 조명글래스를 무늬성형틀에 장입하여 원하는 무늬를 형성하는 제 4과정과, 건조로를 통해 무늬가 형성된 조명글래스를 550℃-650℃로 2차 강제건조하는 제 5과정을 통해 조명글래스의 표면으로 무늬를 형성하는 조명글래스 무늬형성방법을 그 구체적인 수단으로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글래스 무늬형성방법의 공정도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제 1- 5공정 : S1 - S5 1,1',1',1'' : 조명글래스
B : 붓 T : 점막층 M : 무늬형성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글래스 무늬형성방법의 공정도로써,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명글래스 외형제작공정인 제 1 과정(S1)과, 유약도포공정인 2 과정(S2)과, 1차 자연건조공정인 3 과정(S3)과, 무늬형성공정인 4 공정(S4)과, 2차 강제건조공정인 5 공정(S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1 과정(S1)인 외형제작공정은 통상의 글래스 제작과정과 상이함이 없이 용융로에서 유리재료를 13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성형틀에서 행하여지는 공기주입봉에 의한 공기주입에 의해 원하는 형태의 조명글래스를 제작하는 것으로, 이와같이 제작된 조명글래스는 상기 성형틀의 금형형상에 따라 그 형상을 달리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작된 조명글래스(1)는 투명체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2 과정(S2)인 유약도포공정은 조명글래스(1)의 표면으로 유약을 도포하는 과정으로서, 이는 반광 표면광택제인 유약재(예 :LUSTRE(LU 666T))를 콜로이드 액상체로 만들어 붓(B) 등의 도포수단을 이용, 조명글래스의 표면으로 도포하되,
이때, 표면이 도포되는 조명글래스(1')는 별도의 회전기기(굴림판 등)에 의해 회전력을 주어 그 표면에 유약이 고르게 도포되도록함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글래스(1') 표면 전체에 유약을 도포하거나, 부분적으로 도포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어서 행하여지는 3과정(S3)은 전술한 2과정(S2)을 통해 글래스(1')의 표면으로 도포된 유약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점막층(T)을 형성하도록 자연상태에서 건조하는 1차 건조과정이며, 상기 4 과정(S4)은 유약점막층(T)이 형성된 조명글래스(1')의 표면으로 무늬를 형성하는 공정으로서,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표현하고자하는 무늬가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무늬형성틀(M)에 상기 3 과정(S3)을 마친 조명글래스(1')를 장입하여 유약점막층(T)에 요철무늬를 접촉시키므로서 조명글래스(1')의 표면에 원하는 형태의 무늬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같이 무늬성형공정은 필요에 따라 점막층을 타력구(일정한 탄성과 경도를 갖는 도구)를 이용하여 표면을 스크래칭하므로서 점막층을 변형시켜 자연적인 형태의 여러가지 무늬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5 과정은 표면에 무늬가 형성된 조명글래스(1'')를 건조로(소성로)에서 550℃-650℃의 온도로 30분 동안 강제건조시키는 공정으로서, 이와같은 조명글래스(1'')의 가열온도는 유리의 용융이 시작되지 않는 온도이며, 이후 자연상태에서 서냉하여 완제품형태의 조명글래스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유약도포에 의해 표면무늬를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글래스는 유약의 작용에 의해 표면이 매끄럽고, 오염이 방지되며, 전기,화학적 저항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는 것이며, 무늬를 갖는 유약도포층(T)에 의해 반투명체로서 구성됨에 따라 조명등에 설치사용시 간접조명으로서 은은한 간접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2과정(S2)인 유약도포과정에서 도포되는 유약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다양한 색깔의 유약을 글래스의 표면으로 도포하여 무늬형성시, 컬러무늬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방법은 유약을 글래스의 표면으로 도포하되, 유약점막층을 형성시켜 원하는 무늬를 무늬형성틀에 의해 형성시키므로서, 무늬형성작업이 간소화되어 이에따른 작업효율의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또 다르게는 유약자체가 갖는 성질에 의해 조명글래스에 심미감을 부여함은 물론 간접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생산자 및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용융로에서 유리재료를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원하는 형태의 글래스(1)를 제작하는 외형제작공정인 제 1과정(S1)과, 성형된 조명글래스(1')의 표면으로 유약을 도포하는 제 2과정(S2)과, 도포된 유약이 글래스(1')의 표면에서 점막을 형성토록 1차 자연건조하는 제 3과정과, 유약점막층(T)이 형성된 조명글래스(1')를 무늬성형틀(M)에 장입하여 원하는 무늬를 형성하는 제 4과정(S4)과, 건조로를 통해 무늬가 형성된 조명글래스(S'')를 550℃-650℃로 2차 강제건조하는 제 5과정을 통해 조명글래스의 표면으로 무늬를 형성하는 조명글래스 무늬형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 조명글래스(1) 표면으로 도포되는 유약을 다수개 색깔로 적용하여 글래스의 표면에 칼러무늬가 형성되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방법.
KR1019990016094A 1999-05-04 1999-05-04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 방법 KR100326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094A KR100326336B1 (ko) 1999-05-04 1999-05-04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094A KR100326336B1 (ko) 1999-05-04 1999-05-04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064A KR20000073064A (ko) 2000-12-05
KR100326336B1 true KR100326336B1 (ko) 2002-03-08

Family

ID=19583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094A KR100326336B1 (ko) 1999-05-04 1999-05-04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3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6745A (ja) * 1986-04-04 1987-11-09 Kuroi Glass Kogyo Kk 装飾ガラス器具
KR890017184A (ko) * 1988-05-31 1989-12-15 김철중 스테인드글래스 제작용 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950005765A (ko) * 1993-08-06 1995-03-20 홍태식 유리조각을 이용한 무늬 조명등 커버유리의 제조방법
KR970065449A (ko) * 1997-07-30 1997-10-13 김영국 표면에 무늬모양이 형성되는 유리성형품의 제조방법
KR19980019332A (ko) * 1998-03-06 1998-06-05 안대훈 인쇄에 의한 입체적 칼라무늬 반사경면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three-dimensional color reflection mirror shown by print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6745A (ja) * 1986-04-04 1987-11-09 Kuroi Glass Kogyo Kk 装飾ガラス器具
KR890017184A (ko) * 1988-05-31 1989-12-15 김철중 스테인드글래스 제작용 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950005765A (ko) * 1993-08-06 1995-03-20 홍태식 유리조각을 이용한 무늬 조명등 커버유리의 제조방법
KR970065449A (ko) * 1997-07-30 1997-10-13 김영국 표면에 무늬모양이 형성되는 유리성형품의 제조방법
KR19980019332A (ko) * 1998-03-06 1998-06-05 안대훈 인쇄에 의한 입체적 칼라무늬 반사경면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three-dimensional color reflection mirror shown by prin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064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0086C (zh) 一种彩绘玻璃的制作工艺
CN101121601A (zh) 骨质瓷釉下彩工艺
KR100326336B1 (ko) 조명글래스의 무늬형성 방법
CN101097813A (zh) 电梯按钮及其制作方法
CN107336552B (zh) 一种陶瓷工艺品的装饰方法
CN1064006C (zh) 青铜器仿制品的制作工艺
KR100445721B1 (ko) 조명등용 커버 및 이 커버의 제조방법
KR200338357Y1 (ko) 도자기
KR19980081192A (ko) 한지무늬 조명등 커버유리의 제조방법
JP2641669B2 (ja) 模様タイルの製造方法
CN102079656A (zh) 钙质瓷的釉中彩手绘生产工艺方法
KR200301861Y1 (ko) 조명등용 커버
KR100592340B1 (ko) 입체 유리타일의 제조방법
KR100440040B1 (ko) 유리전등갓 제조방법
KR20170060876A (ko) 도자기의 무늬 형성방법
MA23450A1 (fr) Procede pour former un decors sur un ustensil cubinaire .
JP2002338305A (ja) 装飾型板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109661A (ko) 금분을 이용한 분청사기의 제조방법
KR200183365Y1 (ko) 한지무늬 조명등 커버유리
KR200163894Y1 (ko) 분청사기표면을갖는벽돌
KR20040058820A (ko)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030087255A (ko) 한지무늬 조명등 커버유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55529A (ko) 벼루의 제조방법
KR19990018741U (ko) 축광도자
KR910005796B1 (ko) 내표면부에 문양을 전사하여 제조하는 청화백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