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341B1 - 유리 재질내 기포가 형성된 조명등 커버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재질내 기포가 형성된 조명등 커버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341B1
KR101241341B1 KR1020100082550A KR20100082550A KR101241341B1 KR 101241341 B1 KR101241341 B1 KR 101241341B1 KR 1020100082550 A KR1020100082550 A KR 1020100082550A KR 20100082550 A KR20100082550 A KR 20100082550A KR 101241341 B1 KR101241341 B1 KR 101241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layer
glass material
inner layer
lam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014A (ko
Inventor
안종연
Original Assignee
안종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연 filed Critical 안종연
Priority to KR1020100082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341B1/ko
Publication of KR2012002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61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g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63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omprising air or water bubbles, e.g. foamed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리 재질 내에 다수의 기포가 형성되어 상기 기포가 직접광을 간접광으로 바꿔주며, 상기 유리 재질은 상기 간접광의 채도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재질내 기포가 형성된 조명등 커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리 재질내 기포가 형성된 조명등 커버 및 그의 제조 방법{Lamp cover formed of glass with bubble therei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조명등 커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리 재질내 기포가 형성된 조명등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명방식에는 직접 조명과 간접 조명 방식이 있는데, 전자인 직접 조명 방식은 작업면을 비추는 조도 중 직사조도가 확산조도 보다 높은 경우를 말하고, 후자인 간접 조명 방식은 작업면을 비추는 조도 중 확산조도가 직사조도 보다 높은 경우를 말한다.
직접 조명 방식은 조명 효율은 높으나 빛이 비쳐지는 공간과 그렇지 않은 공간 사이의 휘도 차가 심하고 그림자의 발생 및 작업자의 눈에 피로를 주는 단점이 있다. 간접 조명 방식은 조명 효율은 낮으나 눈부심이나 휘도차가 매우 작은 장점이 있다.
최근, 시력의 보호를 위하거나 장식적인 목적으로 분위기에 맞춰 우아함, 화려함, 은은함 등의 미적 심미감을 창출하기 위한 간접조명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간접 조명 방식에는 조명등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일정량을 반투명체에 의해 차단하는 방식이 있다.
반투명체로는 창호지 내지 일정한 무늬가 새겨진 직물, 플라스틱 또는 유리 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창호지 내지 직물 등의 재료는 파손의 우려가 적고, 경량이며, 요구되는 무늬를 비교적 자유롭게 넣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장기간 사용시 변식 또는 오염이 되어 교체를 해주거나 세탁을 해야 하며, 화재의 위험이 있는 등, 유지 보수에 있어 문제가 있다.
플라스틱 재질의 조명등 커버는 빛의 질감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나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유리 재질이 반투명체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리 재질은 반투명 유리가 사용되며, 이에 양각을 하거나 채색을 하여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반투명 유리는 그 제작 과정이 복잡하여 조명등의 가격이 상승되는 원인이 된다. 이에, 투명유리에 창호지 내지 직물이 혼용되는 방식이 채용되기도 하지만, 변색의 문제를 극복하기 어렵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특허 제1999-0022754호(이하 "특허문헌 1")는 조명등 유리커버의 표면에 도료를 도포(ST10)한 후 톨루엔을 분무(ST11)하여 기포 무늬를 형성(ST12)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하지만, 특허 문헌 1은 유리 표면에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선명성이 떨어지기 쉽고, 이에 사용되는 톨루엔은 인화성이 크고 인체에 매우 유해할 뿐만 아니라,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기포 무늬는 평면적인 무늬에 지나지 않는 내재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친환경적으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유리 재질 내부에 기포를 입체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기포에 의해 간접 조명 효과 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접 조명의 선명성 유지가 가능한 조명등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유리 재질내 기포가 형성된 조명등 커버는 투명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리 재질 내에 다수의 기포가 형성되어 상기 기포가 직접광을 간접광으로 바꿔주며, 상기 유리 재질은 상기 간접광의 채도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등 커버는, 투명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부층;
상기 내부층의 표면 부위에 형성되는 다수의 기포로 이루어지는 기포층; 및
상기 기포층을 덮으며 매끄러운 외부 표면을 갖는 외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등은 LED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리 재질내 기포가 형성된 조명등 커버의 제조 방법은,
용융된 유리를 블로잉에 의해 내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내부층의 표면에 기포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층을 탄산에 담구는 단계; 및
상기 기포층이 형성된 상기 내부층 상에 용융된 유리로 캐스팅에 의해 외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조 방법은 외부층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층의 표면에 국부적으로 물리적 자극을 가하여 기포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등은 LE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친환경적으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며, 매우 용이하게 유리 재질 내부에 기포를 입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기포에 의해 간접 조명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간접 조명의 선명성 유지가 가능하여 영롱한 분위기 등 심미감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조명등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포 무늬를 갖는 조명등 커버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 재질 내 기포가 형성된 조명등 커버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 재질 내 기포가 형성된 조명등 커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은 간단하게 유리 재질 내에 다수의 기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기포에 의해 직접광을 간접광으로 바꾸고, 상기 유리 재질의 외표면을 매끄럽게 함으로써 이 간접광의 채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부단한 노력끝에 알아내었다.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 태양은, 투명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부층(10), 상기 내부층(10)의 표면(10a) 부위에 형성되는 다수의 기포로 이루어지는 기포층(30) 및 상기 기포층(30)을 덮으며 매끄러운 외부 표면(50a)을 갖고 투명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외부층(5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내부층(10)은 투명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작하고자 하는 조명 커버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구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부층(10)의 안쪽은 비어있을 수 있고 조명원, 바람직하게는 LED(미도시)로부터 나온 빛이 이 내부층(10)을 지나게 된다.
그리고, 기포층(30)이 내부층(10)의 표면(10a) 부근 유리 재질 내의 발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기포층(30)은 다양한 체적을 갖는 다수의 기포들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포층(30)을 구성하는 다수의 기포들은 간접조명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즉, 이를 지나는 조명의 직사조도 보다 확산조도가 같거나 더 크게되도록, 상기 내부층의 표면 면적 중 상기 기포가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적어도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부층(10)을 지난 빛은 이 기포층(30)을 지나면서 간접광으로 바뀌게 된다.
그 다음, 투명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외부층(50)으로 기포층(30)을 덮어, 기포층(30)을 유리재질내에 고정한다.
상기 외부층(50)은 매끄러운 외부표면(50a)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기포층(30)의 두께보다는 큰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외부층(50)이 매끄러운 외부표면(50a)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투명효과를 극대화하고, 상기 기포층(30)에 의해 변환된 간접광이 이 외부층(50)을 지나면서 채도가 향상되어 결국 선명한 간접광을 제공하게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 재질내 기포가 형성된 조명등 커버의 제조 방법은, 용융된 유리를 블로잉(blowing)하여 내부층을 형성하는 단계(ST30), 내부층을 탄산에 담궈 내부층 표면에 기포층을 형성하는 단계(ST31), 그리고 기포층이 형성된 내부층상에 용융된 유리를 캐스팅(casting)에 의해 외부층을 형성하는 단계(ST32)을 포함한다.
먼저, 내부층을 형성하는 단계(ST30)는 예를 들면, 용융된 유리를 쇠대롱에 묻힌 뒤 입김(글라스 블로잉·glass blowing)을 불어 풍선을 만들고, 그 풍선을 원하는 모양으로 다듬어 내부층을 형성한다.
그 다음, 기포층을 형성하는 단계(ST31)는 내부층을 탄산 용액에 담구어 탄산 용액과 접촉하는 내부층의 표면에 고루 기포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기포 형성법은 본 발명자의 부단한 노력 끝에 알아낸 것으로, 종래의 기술에 비해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며, 그리고 친환경적으로 다수의 기포를 형성할 수 있게 해준다. 이에 의해 얻어진 기포들은 비교적 작은 사이즈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내부층의 표면에 송곳등을 이용하여 물리적인 자극을 가함으로써 비교적 큰 사이즈의 기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기포층을 형성하는 단계(ST31)에 의해 형성된 기포층은 조명원, 예를 들면 LED의 조명을 간접조명 방식으로 바뀌게 된다.
그 다음, 외부층을 형성하는 단계(ST32)는, 예를 들면 몰드내 용융된 유리에 상기 기포층이 형성된 상기 내부층을 담구어 캐스팅에 의해 외부층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층의 외부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단계를 더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스팅 과정을 거치는 동안 버(bur) 등이 형성되어 매끄럽지 못한 표면을 다듬질하여 매끄럽게 할 수 있다 .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용융된 유리를 블로잉하여 내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내부층의 표면에 기포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층을 탄산에 담구는 단계;
    상기 기포층이 형성된 상기 내부층 상에 용융된 유리로 캐스팅하여 외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층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재질내 기포가 형성된 조명등 커버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의 표면에 국부적으로 물리적 자극을 가하여 기포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재질내 기포가 형성된 조명등 커버의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가 형성된 유리 재질내 기포가 형성된 조명등 커버의 제조 방법.
KR1020100082550A 2010-08-25 2010-08-25 유리 재질내 기포가 형성된 조명등 커버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41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550A KR101241341B1 (ko) 2010-08-25 2010-08-25 유리 재질내 기포가 형성된 조명등 커버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550A KR101241341B1 (ko) 2010-08-25 2010-08-25 유리 재질내 기포가 형성된 조명등 커버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014A KR20120022014A (ko) 2012-03-09
KR101241341B1 true KR101241341B1 (ko) 2013-03-11

Family

ID=4613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550A KR101241341B1 (ko) 2010-08-25 2010-08-25 유리 재질내 기포가 형성된 조명등 커버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3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869U (ko) * 2007-01-23 2008-07-28 광성전기산업(주) 교류 전원용 발광 다이오드 램프
JP2009098615A (ja) * 2007-06-08 2009-05-07 Hitachi Maxell Ltd 光学調製部材、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869U (ko) * 2007-01-23 2008-07-28 광성전기산업(주) 교류 전원용 발광 다이오드 램프
JP2009098615A (ja) * 2007-06-08 2009-05-07 Hitachi Maxell Ltd 光学調製部材、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014A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9440B1 (en) Structure of formative lighting fixtures
CN208630241U (zh) 一种带光源的沉雕工艺品
JP6117859B2 (ja) 照明装置
KR101241341B1 (ko) 유리 재질내 기포가 형성된 조명등 커버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1585289A (zh) 一种可变化物体表面颜色的装饰装置
CN201186578Y (zh) 铝塑板浮雕工艺品
CN108790573A (zh) 一种沉雕工艺品成像方法和工艺品
KR200398985Y1 (ko) 다양한 모양과 색상이 표출되는 전등갓
CN204845333U (zh) 一种光、图案与玻璃结合的视觉装饰品
CN204510662U (zh) 一种线切割立体墙面
KR100963657B1 (ko) 천장등용 투광판 제조방법
CN206291161U (zh) Eva平面皮料
KR100631045B1 (ko) 스테인레스 밀러판이나 성형틀을 이용한 아크릴 조명커버의제조방법
KR20160104114A (ko) 금속재 장식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형물
KR100440040B1 (ko) 유리전등갓 제조방법
JP2006349918A (ja) 遊技機部品
CN204451790U (zh) 一种激光内雕装饰装置
CN215174867U (zh) 一种可调节文创系列灯饰筒灯
CN215112265U (zh) 一种复合散射发光面板
CN216924245U (zh) 一种星点效果的车用后位置灯
CN208535887U (zh) 车灯内配光镜结构
KR101331235B1 (ko) 조명기구용 글로브 및 그 제조방법
CN2207949Y (zh) 平面透光工艺品
CN207912239U (zh) 发光陶瓷珠宝
JP2006223743A (ja) 仏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